KR20180000101A - 엔드밀 케이스 - Google Patents

엔드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01A
KR20180000101A KR1020160077833A KR20160077833A KR20180000101A KR 20180000101 A KR20180000101 A KR 20180000101A KR 1020160077833 A KR1020160077833 A KR 1020160077833A KR 20160077833 A KR20160077833 A KR 20160077833A KR 20180000101 A KR20180000101 A KR 2018000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case
end mill
seating memb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196B1 (ko
Inventor
이임석
Original Assignee
이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임석 filed Critical 이임석
Priority to KR102016007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03Holders for drill b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밀(E)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재(100), 안착부재(100)의 일방인 제1 안착부재(110)의 외측이 걸림으로써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내측에서 서로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210, 220)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200),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하부 케이스(300)를 포함하며, 안착부재(110)는 엔드밀(E)이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몸체(112), 몸체(112)의 외측에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날개(114),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날개(114)에 구비되는 결합공(116)으로 이루어지는 엔드밀 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엔드밀 케이스{End mill case}
본 발명은 엔드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드밀의 보관을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엔드밀의 크기와 직경에 관계없이 엔드밀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드밀 케이스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엔드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엔드밀은 원기둥 형태로 일정한 길이로 구비되는 바디의 상측에 장착면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모재에 홈이나 홀을 형성하거나 절삭등에 사용하기 용이한 형상의 바이트(날)을 형성하여 밀링머신에 사용되는 도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엔드밀은 가공치수에 따라 상당히 많은 종류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엔드밀을 보관을 각각 보관하기 위하여 엔드밀의 종류만큼 엔드밀 케이스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엔드밀을 보관하는 케이스는 도 1의 사진에서 보듯이 상하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사각 케이스 내에 엔드밀이 내재되어 보관하고 있으며, 엔드밀의 크기와 직경에 따라 각각 크기를 달리하는 엔드밀의 케이스에 엔드밀이 보관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 엔드밀 케이스는 엔드밀의 머리부분이 삽입되는 상부 케이스와 엔드밀의 몸체부분이 삽입되는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엔드밀의 크기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각 엔드밀이 보관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종래 엔드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는 일단부가 닫혀져 있고 타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단면이 대략 사각 관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엔드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는 단면이 대략 사각 관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한 수납 보관을 위하여 엔드밀의 크기/직경에 따라 각각의 보관 케이스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각각의 크기에 맞는 엔드밀 케이스를 제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엔드밀 케이스는 단순한 사각 관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엔드밀이 그 내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보관될 수 없기 때문에 엔드밀의 보관을 위한 케이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와 직경을 가진 엔드밀을 보관할 수 있는 엔드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드밀을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보관함으로써 엔드밀 케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엔드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드밀의 안착 보관을 위한 구성을 내재하는 엔드밀 케이스에 있어서 제조에 필요한 금형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엔드밀 케이스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엔드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밀(E)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재(100), 안착부재(100)의 일방인 제1 안착부재(110)의 외측이 걸림으로써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내측에서 서로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210, 220)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200),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하부 케이스(300)를 포함하며, 안착부재(110)는 엔드밀(E)이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몸체(112), 몸체(112)의 외측에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날개(114),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날개(114)에 구비되는 결합공(116)으로 이루어지는 엔드밀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안착부재(100)는 그 일단부로부터 내외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된 탄성편(118´)을 더 구비하는 안착부재(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케이스(200)는 제1 안착부재(110)의 날개(114)에 구비된 결합공(116)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 결합공(212a)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212)를 구비한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의 결합공(212a)에 대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222)를 구비한 제2 상부 케이스(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는 사각의 관체가 이루어지도록 끼움 결합되며, 이 때,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결합돌기(222)는 내주면(214, 224)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내주면(214, 224)으로부터 돌출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케이스(200)인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종방향의 가이드 리브(218a, 228a)가 구비되며, 가이드 리브(218a, 228a)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 리브(218b, 228b)를 더 구비하며,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삽입시에 락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요철(218c, 228c)이 가이드 리브(218a, 228a)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더 구비되며, 하부 케이스(300)는 내부에 엔드밀(E)이 수용되며,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를 따라 가이드되어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의 외주연은 상부 케이스(200)의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에 대응하여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외곽면, 바람직하게는 정팔각면을 가지며, 외곽면에는 상부 케이스(200)의 요철(218c, 228c)에 대하여 이동시 걸림을 위한 요철을 가진 잠금홈(312)을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300)의 내측 일단부에는 제2 안착부재(120)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3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케이스(200)의 제1 상부 케이스(210)는 상부 케이스(200)의 중심을 향하여 제1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제1 결합돌기(212´)를 구비하며, 제2 상부케이스(220)는 제2 상부케이스(22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의 단부에 후킹되기 위한 절곡편(222a´)을 구비된 제2 결합돌기(2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상부 케이스(210) 또는 제2 상부케이스(220)의 측단부에 열융착이나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돌기(210a)가 구비되며,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의 측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융착돌기(210a)가 열이나 초음파로 융착됨으로써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밀 케이스에 있어서 엔드밀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조공정에 필요한 금형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엔드밀 케이스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의 결합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있어서, 제1 상부 케이스와 제2 상부 케이스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2의 C 부분에 대한 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있어서, 제1 상부 케이스와 제2 상부 케이스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2의 C 부분에 대한 선 BB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의 결합된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의하면, 엔드밀(E)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복수개로 이루어진 안착부재(100), 안착부재(100)의 일방인 제1 안착부재(110)의 외측이 걸림으로써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내측에서 서로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210, 220)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200), 및 엔드밀(E)의 안착부재(100)의 타방인 제2 안착부재(120)가 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2 안착부재(120)의 내측에 엔드밀(E)이 장착된 상태로 끼움 결합된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하부 케이스(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착부재(100)는 엔드밀(E)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서로 끼움 결합된 상부 케이스(200; 210, 2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안착부재(110)와, 엔드밀(E)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부 케이스(30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2 안착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제1 안착부재(110)는 엔드밀(E)이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몸체(112), 몸체(112)의 외측에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날개(114),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날개(114)에 구비되는 결합공(116)으로 이루어진다.
제2 안착부재(120)는 엔드밀(E)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200)는 제1 안착부재(110)의 날개(114)에 구비된 결합공(116)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 결합공(212a)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212)를 구비한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의 결합공(212a)에 대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222)를 구비한 제2 상부 케이스(220)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는 사각의 관체가 이루어지도록 끼움 결합된다. 이 때,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결합돌기(222)는 내주면(214, 224)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내주면(214, 224)으로부터 돌출되어 성형된다.
이와 같이,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결합돌기(222)는 내주면(214, 224)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내주면(214, 224)으로부터 돌출되어 성형되기 때문에,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는, 하부 케이스(300)가 상부 케이스(200)에 삽입되는 작용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코어가 필요없이 상하로 작동되는 금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많은 제품을 금형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상부 케이스(200) 내에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엔드밀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00)인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종방향의 가이드 리브(218a, 228a)가 구비되며, 가이드 리브(218a, 228a)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 리브(218b, 228b)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제2 결합돌기(222)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에 대하여 가이드 가능을 수행한다.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삽입시에 락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요철(218c, 228c)이 가이드 리브(218a, 228a)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더 구비된다.
하부 케이스(300)는 내부에 엔드밀(E)이 수용되며,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를 따라 가이드되어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10)를 구비한다.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의 외주연은 상부 케이스(200)의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에 대응하여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외곽면, 바람직하게는 정팔각면을 가지며, 외곽면에는 상부 케이스(200)의 요철(218c, 228c)에 대하여 이동시 걸림을 위한 요철을 가진 잠금홈(312)을 구비한다.
한편, 하부 케이스(300)의 내측 일단부에는 제2 안착부재(120)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320)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의하면, 제1 안착부재(110)가 상부 케이스(200)를 이루는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가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결합돌기(222)의 끼움 결합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부 케이스(200)가 조립된다. 사용자의 사용시에, 하부 케이스(300)의 내부에 끼움 고정된 제2 안착부재(120)에 엔드밀(E)이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상부 케이스(200)의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를 따라 가이드되며, 이 때 엔드밀(E)의 크기에 따라 하부 케이스(300)의 잠금홈(312)이 상부 케이스(200)의 요철(218c, 228c)에 치합되어 엔드밀(E)이 보관된다.
또한, 엔드밀(E)의 굵기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에 구비된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결합돌기(222)의 끼움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엔드밀(E)의 굵기에 맞는 제1 안착부재(110)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엔드밀(E)을 동일한 엔드밀 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밀(E)의 굵기에 관계없이 보다 긴밀하게 엔드밀(E)을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부재(100´)를 이루는 제1 안착부재(110´)와 제2 안착부재(12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그 일단부로부터 내외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된 탄성편(118´, 128´)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엔드밀 케이스에 의하면, 엔드밀(E)이 안착부재(100´)를 이루는 제1 안착부재(110´)와 제2 안착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내외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된 탄성편(118´, 128´)에 삽입될 때 엔드밀(E)의 굵기에 따라 탄성편(118´, 128´)이 탄성적으로 엔드밀(E)을 파지함으로써 보다 긴밀하게 엔드밀(E)을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C 부분에 있어서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결합 구성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는 상부 케이스(200)의 중심을 향하여 제1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된다. 한편, 제2 상부케이스(220)의 제2 결합돌기(222´)는 제2 상부케이스(22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의 단부에 후킹되기 위한 절곡편(222a´)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제2 상부케이스(220)의 제2 결합돌기(222´)의 단부에 구비된 절곡편(222a´)이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에 후킹됨으로써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가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돌기가 제외되는 대신에 제1 상부 케이스(210) 또는 제2 상부케이스(220)의 측단부에 열융착이나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돌기(210a)가 구비되며,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의 측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융착돌기(210a)가 열이나 초음파로 융착됨으로써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가 결합된다.
100, 100´: 안착부재
110, 110´: 제1 안착부재
112: 몸체
114: 날개
116: 결합공
118´: 탄성편
120, 120´: 제2 안착부재
128´: 탄성편
200: 상부 케이스
210: 제1 상부 케이스
210a: 융착돌기
212: 제1 결합돌기
212´: 제1 결합돌기
212a: 결합공
218a: 가이드 리브
218b: 보조 리브
218c: 요철
220: 제2 상부 케이스
222: 제2 결합돌기
222´: 제2 결합돌기
222a´: 후크
228a: 가이드 리브
228b: 보조 리브
228c: 요철
300: 하부 케이스
310: 삽입부
312: 잠금홈
320: 고정홈
E: 엔드밀

Claims (8)

  1. 엔드밀(E)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재(100);
    안착부재(100)의 일방인 제1 안착부재(110)의 외측이 걸림으로써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내측에서 서로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210, 220)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200);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하부 케이스(300)를 포함하며,
    안착부재(110)는 엔드밀(E)이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몸체(112), 몸체(112)의 외측에 좌우 대칭되는 한 쌍의 날개(114), 및 상부 케이스(200)의 내부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날개(114)에 구비되는 결합공(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안착부재(100)는 그 일단부로부터 내외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된 탄성편(118´)을 더 구비하는 안착부재(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0)는 제1 안착부재(110)의 날개(114)에 구비된 결합공(116)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 결합공(212a)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212)를 구비한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의 결합공(212a)에 대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222)를 구비한 제2 상부 케이스(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는 사각의 관체가 이루어지도록 끼움 결합되며, 이 때, 제1 결합돌기(212)와 제2 결합돌기(222)는 내주면(214, 224)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내주면(214, 224)으로부터 돌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0)인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종방향의 가이드 리브(218a, 228a)가 구비되며, 가이드 리브(218a, 228a)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보조 리브(218b, 228b)를 더 구비하며,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 케이스(220)의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가 삽입시에 락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요철(218c, 228c)이 가이드 리브(218a, 228a)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더 구비되며,
    하부 케이스(300)는 내부에 엔드밀(E)이 수용되며, 상부 케이스(200)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를 따라 가이드되어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300)의 삽입부(310)의 외주연은 상부 케이스(200)의 가이드 리브(218a, 228a)와 제1 및 제2 결합돌기(212, 222)에 대응하여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외곽면, 바람직하게는 정팔각면을 가지며, 외곽면에는 상부 케이스(200)의 요철(218c, 228c)에 대하여 이동시 걸림을 위한 요철을 가진 잠금홈(312)을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300)의 내측 일단부에는 제2 안착부재(120)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3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0)의 제1 상부 케이스(210)는 상부 케이스(200)의 중심을 향하여 제1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제1 결합돌기(212´)를 구비하며,
    제2 상부케이스(220)는 제2 상부케이스(22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제1 상부 케이스(210)의 제1 결합돌기(212´)의 단부에 후킹되기 위한 절곡편(222a´)을 구비된 제2 결합돌기(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상부 케이스(210) 또는 제2 상부케이스(220)의 측단부에 열융착이나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돌기(210a)가 구비되며,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의 측단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융착돌기(210a)가 열이나 초음파로 융착됨으로써 제1 상부 케이스(210)와 제2 상부케이스(2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밀 케이스.
KR1020160077833A 2016-06-22 2016-06-22 엔드밀 케이스 KR10183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33A KR101836196B1 (ko) 2016-06-22 2016-06-22 엔드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33A KR101836196B1 (ko) 2016-06-22 2016-06-22 엔드밀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01A true KR20180000101A (ko) 2018-01-02
KR101836196B1 KR101836196B1 (ko) 2018-03-08

Family

ID=6100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833A KR101836196B1 (ko) 2016-06-22 2016-06-22 엔드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65B1 (ko) 2018-07-27 2019-06-11 임용재 절삭 공구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67A (ja) 2001-03-19 2002-10-03 Honda Plus Kk 工具ケース用クッション部材及び工具ケース
JP2006205305A (ja) * 2005-01-28 2006-08-10 Toei Kagaku Sangyo Kk 切削工具の収納用ケース
JP2006346796A (ja) * 2005-06-15 2006-12-28 Toei Kagaku Sangyo Kk 切削工具の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196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783B2 (en) Tool container system
US6332381B1 (en) Hex key gripping aid
JP5165632B2 (ja) 固定具及び被取付部材の固定構造
US8708289B2 (en) Component for a fastening clip and fastening clip
JP5454445B2 (ja) コネクタ
KR101836196B1 (ko) 엔드밀 케이스
US8475345B2 (en) Exercise-cord anchored device
US10003154B2 (en) Dust cap having a housing with a cantilever beam secured to a shell of a receptacle by a coupling member
CN106030010B (zh) 挂锁芯保持件
KR20110005255A (ko) 볼 클램핑 기구를 갖는 공구 홀더
EP3032931B1 (en) Holder and noise current absorber
JP2006010007A (ja) パイプ柄および前記パイプ柄を使用した清掃用品
US9211590B2 (en) Screw head wedge clamp assembly for cutting tool
TWI700158B (zh) 套筒座及包含該套筒座之套筒架
JP4542820B2 (ja) スタッド用樹脂製係止具
US9820599B1 (en) Collapsible hook hanger
JP4777742B2 (ja) シャンクホルダ付き収納ケース
JP2017071014A (ja) 工具保持具及び工具保持方法
KR101611849B1 (ko) 잠금장치
US20200269413A1 (en) Tool storage device
US11150538B2 (en) Cap
EP1974605A1 (en) Fishing rod case
US20140260460A1 (en) Lock Re-Pinning Fixture
JP5039660B2 (ja) 丸座セット
US20150174757A1 (en) Operating rod assembly for a tool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