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021A -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 Google Patents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021A
KR20170143021A KR1020177036516A KR20177036516A KR20170143021A KR 20170143021 A KR20170143021 A KR 20170143021A KR 1020177036516 A KR1020177036516 A KR 1020177036516A KR 20177036516 A KR20177036516 A KR 20177036516A KR 20170143021 A KR20170143021 A KR 2017014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symbols
layer data
forward error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039B1 (ko
Inventor
코르넬리우스 헤르게
토마스 쉬를
야고 산체스
마누엘 헨젤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17014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involving scalability at the object level, e.g. video object layer [V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volving multiple description coding [MDC], i.e. with separate layers being structured as independently decodable descriptions of input pictu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는 공동 방식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발생되어야만 하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을 위한 입력을 포함하고, 각각의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은 가능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서브셋을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기초로 한다. 순 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의 제 1 데이터스트림 및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들, 및 각각,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데이터스트림 및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내의 어떤 심벌들이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지와 관련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심벌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정보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USING SOURCE BLOCKS WITH SYMBOLS FROM AT LEAST TWO DATASTREAMS WITH SYNCHRONIZED START SYMBOL IDENTIFIERS AMONG THE DATASTREAM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 방송, 및/또는 저장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송되거나, 방송되거나, 및/또는 저장되려는 데이터의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구현들은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은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들은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양상들은 동기화 심벌 식별자(synchronization symbol identifier)를 갖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들의 재구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증가하는 공간 해상도(예를 들면, 초고해상도(UHD, ultra high resolution)를 지원하기 위하여, 오늘날 비디오 코딩 기술들이 여전히 조사중에 있다. 다른 연구 관심은 전송되려는 데이터의 감소 및/또는 특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코딩 효율의 최적화이다. 이용 가능한 비디오 코딩 표준들 중에서, H.264/MPEG-4 AVC 표준이 아마도 10억 장치 이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2003년의 H.264/MPEG-4 AVC 표준의 도입 이후에, 기본 표준으로의 일부 확장, 예를 들면, H.264/AVC 표준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SVC) 개정안, 및 다시점 비디오 코딩(Multiview video coding, MVC) 개정안이 성공적으로 착수되었다.
H.264/AVC 표준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개정안은 단일 계층 H.264/AVC에 대하여 디코더 복잡성의 약간의 증가를 갖는 비트 스트림 레벨에서의 네트워크 친화적 확장성을 제공한다. 이는 비트 레이트, 포맷, 및 손실 전송 환경들에서의 전력 적응, 우아한(gracefule)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단일 계층 H.264/AVC 비트 스트림들에 대한 품질-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비트 스트림들의 무손실 재기록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전송 및 저장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개선(enhancement)을 제공한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은 종래의 비디오 코딩 표준들의 스케일러블 프로파일들에 대하여 증가된 지원 확정성을 갖는 코딩 효율의 상당한 개선을 달성하였다.
H.264/AVC 표준의 다시점 비디오 코딩 개정안은 비트스트림 레벨에서의 시점 확장성을 제공한다. 이는 효율적이고 역방향 호환성 방법으로 다시점 비디오(예를 들면,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기에 적합한 2개의 시점을 갖는 비디오)의 효율적인 전송을 허용한다. 레거시(legacy) H.264/AVC 디코더는 다시점 비트스트림 내에 포함된 두 개의 시점 중 하나(이른바 기본 시점)만을 디코딩한다. 재구성된 비디오 시퀀스는 종래의 2차원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스테레오 디코더는 두 시점 모두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디코딩된 비디오 시퀀스들(왼쪽 눈을 위한 하나 및 오른쪽 눈을 위한 하나)은 3차원 디스플레이들에 적합하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및 다시점 비디오 코딩 모두 다양한 미디어 계층들을 갖는 비디오 비트-스트림들을 발생시키는 이른바 적층(layered) 미디어 코딩 기술들의 예들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또 다른 품질의 레벨을 표현한다. 계층간 예측 때문에 이러한 미디어 계층들 사이에 계층구조(hierarch)들이 존재하며, 미디어 계층들은 성공적인 디코딩을 위하여 다른 미디어 계층들에 의존한다. 계층-인식(Layer-Aware, LA) 순방향 오류 정정은 적층 미디어 스트림들 내에 존재하는 의존성 구조들의 지식을 이용한다.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은 덜 중요한 미디어 계층들의 보호가 공동 오류 정정을 위하여 더 중요한 미디어 층들의 보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은 새로운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 총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중요한 미디어의 보호를 증가시킨다.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의 이용에 의해 전송 채널의 수신기 측에서 수신된 데이터 내의 오류들을 정정하기 위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는 페이로드 데이터의 주어진 부분 및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의 부분 내의 오류들의 정정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데이터(parity data)의 부분 사이의 상응성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는 페이로드 데이터 및/또는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데이터 내의 오류들을 성공적으로 정정하기 위하여 페이로드 데이터의 부분 및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데이터의 상응하는 부분 사이의 연결을 달성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양상은 기본 표현, 개선 표현, 및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정보가 서로 다른 데이터 흐름들 또는 스트림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때 특히 중요하다. 페이로드 데이터 및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데이터 사이의 상응성이 간단하지 않을 수 있는 또 다른 가능한 시나리오는 각각의 페킷이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수신기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도착하도록 페이로드 데이터 및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데이터가 패킷-교환(packet-switched) 네트워크를 거쳐 전송될 때이다.
따라서, 그중에서도 오류 정정 능력들 및/또는 오류 정정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이거나 및/또는 강력한 시그널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 청구항 9항에 따른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 청구항 12항에 따른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청구항 20항에 따른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청구항 23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달성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가 제공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는 공동 방식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발생되어야만 하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을 위한 입력을 포함하고, 각각의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하며,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은 가능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서브셋을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기초로 한다. 순 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제 1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starting symbol)에 대한 포인터(pointer),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에 대한 포인터,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 및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내의 어떤 심벌들이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지와 관련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심벌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정보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순방향 오류 정정되려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된 데이터스트림에 관한 수리 심벌(repair symbol)들을 포함하는 수리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입력을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를 제공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는 수리 심벌 내의 시그널링 정보 또는 그것들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정보 분석기를 더 포함한다. 시그널링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시작 심벌,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 및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를 포함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는 시그널링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블록 수집기(source block collector)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발생되어야만 하는 공동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은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스트림의 심벌들의 서브셋을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기초로 한다.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내의 어떤 심벌들이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지와 관련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심벌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시그널링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제 1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에 대한 포인터,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에 대한 포인터,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 및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발생된다.
디코딩 양상과 관련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을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순방향 오류 정정되려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되는 데이터스트림에 관한 수리 심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리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수리 심벌 내의 시그널링 정보 또는 그것들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그널링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시작 심벌,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 및 상응하는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수를 포함한다. 방법은 시그널링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컴퓨터 또는 신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위에 설명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다음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적층 코딩된 미디어의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을 갖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두 개의 소스 흐름이 독립적인 심벌 식별자를 갖는 제 1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들을 위한 어떤 동기화 포인트들에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당 동기화된 심벌 식별자가 제공되는지에 따른 제 2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제 1 데이터 스트림 및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이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이 목적을 위하여 어떻게 그룹핑(grouping)되거나 또는 수집될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데이터스트림들이 인코더 측에서 어떻게 처리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의 일부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또는 채널 코딩은 신뢰할 수 없거나 또는 잡음 통신 채널들을 통한 데이터 전송 내의 오류들을 정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특정 양의 중복이 오류 정정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채널의 전송기 단부(transmitter end)에서 원래 메시지에 추가된다. 제한된 수의 오류들만이 메시지 내의 어딘가에서 발생하는 한, 수신기는 추가된 중복에 기인하여, 오류들을 검출할 수 있다. 흔히, 재전송 없이 이러한 오류들을 정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기 위하여 어떠한 역 채널도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오류들을 정정하는 능력은 고정된, 높은 순방향 채널 대역폭의 희생이 따른다. 따라서 순방향 오류 정정은 일반적으로 재전송들이 일-방향 통신 연결들과 같은, 희생이 크거나 불가능한 상황들 및 멀티캐스트(multicast) 내의 다중 수신기들에 전송할 때 적용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의 또 다른 적용은 오류가 생긴(corrupted) 데이터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장치들과 관련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 전략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많은 오류 정정 코드들이 이용 가능하다. 가능한 오류 정정 코드들의 예들은: BCH(Bose Chaudhuri-Hocquenghem) 코드, 하다마드(Hadamard) 코드, 해밍(Hadamard) 코드, 저밀도 패리티 체크(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코드, 랩터(Raptor) 코드, 리드-솔로몬(Reed-Solomon) 오류 정정, 리드-뮬러(Reed-Muller) 코드, 터보(Turbo) 코드, 및 월시-하다마드(Walsh-Hadamard) 코드이다.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은 순방향 오류 정정 구성을 위한 미디어의 계층들을 가로지른 의존성을 이용하는, 적층 미디어 데이터에 구체적인 순방향 오류 정정 계획이다. 도 1은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또는 다시점 비디오 코딩 또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의 스케일러블 확장에 의해 인코딩되는 콘텐츠와 같은, 적층 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독립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기본 표현(BR, 12, 예를 들면, 기본 해상도 또는 왼쪽 시점) 및 기본 표현에 대한 의존성을 갖는 하나의 부가적인 개선 표현(ER1, 14, 예를 들면, 개선 해상도 또는 오른쪽 시점)이 존재한다. 표현들의 수 및 의존성 구조는 미디어 인코딩에 의존하고 주어진 예와 다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기본 표현(12)은 두 경우,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및 다시점 비디오 코딩에 존재하는, 예를 들면 720P의 해상도를 갖는 비디오 스트림인, 기본 품질을 표현하는 기본 층/표현(BL/BR)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디코딩 과정에서의 개선 계층/표현(EL/ER)의 부가적인 통합은 비디오 품질을 개선시킨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으로, 품질은 1080P의 해상도로 증가한다. 다시점 비디오 코딩으로, 개선 계층(또는 개선 표현)의 디코딩은 3차원 텔레비전을 위한 제 2 시점을 추가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계층들 사이에 의존성들이 존재한다. 기본 계층/표현(BL/BR)은 다른 미디어 계층들과 독립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으나 개선 계층/표현(EL/ER)은 무-오류 디코딩을 위하여 기본 계층(또는 기본 표현)이 필요하다. 비록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가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또는 다시점 비디오 코딩과 같은, 적층 미디어 코딩 기술들의 맥락에서 설명되나, 순방향 오류 정정을 위한 위한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제안된 개념은 또한 다른 환경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스트림들 중 어느 하나는 비디오 트랙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데이터스트림은 상응하는 오디오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5.1 서라운드 사운드 멀티채널 오디오 시스템들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부 오디오 신호들일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또는 그것들의 콘텐츠)이 서로 관련되지 않고 오히려 독립적인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능한 예는 동일한 채널을 거쳐(예를 들면, 위성을 거쳐) 방송되는 두 개의 독립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일 수 있다.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을 위하여, 특정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는 다수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서브-블록들, 표현 자체를 위한 하나 및 이러한 표현의 각각의 상보 표현(complementary representation)을 위한 하나로 구성된다. 이러한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서브-블록들 각각은 하나의 표현으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만 발생된다. 적층 코딩된 미디어 구조 예를 위한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의 바람직한 도해가 도 2에 도시된다. 기본 표현(BR)이 다른 표현들과 독립적이기 때문에, 그것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블록(32)은 기본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서브-블록(22)만으로 구성되나, 개선 표현(ER1)의 순방향 오류 정정 블록(34)은 기본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서브-블록(22) 및 개선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서브-블록(24)으로 구성된다.
도 2는 기본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블록(32)을 인코딩하고, 특히 기본 표현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블록(52)을 발생시키기 위한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더(42)를 더 도시한다. 개선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블록(34)을 인코딩하고, 특히 개선 표현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블록(54)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더(44)가 제공된다.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과 함께, 종속 표현들(실시 예에서 ER1)의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블록은 부가적으로 그것의 모든 상보 표현(실시 예에서 BR)의 모든 데이터를 보호한다. 따라서, 주어진 표현은 그것에 의존하는 표현들로부터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블록들에 의해 발생되는, 그것의 상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블록에 의해 발생되는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을 사용하거나, 또는 공동 디코딩 과정에서 의존성 표현들의 모든 순방향 오류 정정 블록 및 그것의 모든 상보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복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수신하는 엔티티(entity)가 기본 표현(BR)만을 수신하면, 이는 디코딩할 수 있고,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52, BR)을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표현을 정정할 수 있다. 만일 수신하는 엔티티가 기본 표현 및 개선 표현을 수신하면, 이는 공동 디코딩 과정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52, BR),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54, ER1), 또는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52, BR) 및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54, ER1) 모두로 기본 표현을 디코딩하고 정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은 적층 코딩된 미디어의 견고성을 개선하도록 허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기본 표현이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BR)에 의해 정정될 수 없는 상황에서,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으로 수신하는 엔티티는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BR)에 의하거나, 또는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BR) 및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블록(ER1) 모두의 공동 디코딩에 의해 개선 표현을 정정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방법 1: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들의 재구성
수신된 심벌들로부터 소스 블록의 재구성은 어떤 소스 심벌들이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의 일부분인지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으로, 기본 및 개선 계층의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SB)들을 연결하는 것이 부가적으로 필요한데, 그 이유는 개선 계층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두 계층 모두의 데이터에 걸쳐 발생되기 때문이다.
첫 번째 가능한 시그널링 방법에 따르면, 다음에서 심벌 식별자(SI)로서 언급되는, 각각의 소스 심벌을 위한 증가적 식별자(incremental ID)들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한 접근법으로, 심벌 식별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계층을 위하여 독립적이다. 따라서, 도 3은 두 개의 소스 흐름을 위한 독립적인 심벌 식별자를 도시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의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은 수리 심벌들을 서로 다른 흐름들의 소스 심벌들과 관련시키기 위하여 수리 심벌들을 위한 다음의 시그널링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작동한다.
기본 계층/개선 계층
순방향 오류 정정 식별자: [SI]
기본 계층 순방향 오류 정정 수리 식별자: [Start SI of FEC SB; length;]
개선 계층 순방향 오류 정정 수리 식별자: [Start SI of FEC SB; length;
Start SI of FEC SB (Base);
length(Base);]
예를 들면, 도 1의 방법에서 []이 하나의 패킷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도 3에서 FEB SB2의 소스 및 수리 심벌들(2 심벌)을 위한 바람직한 시그널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소스(기본): [6] [7] [8] [9] 소스(개선): [7] [8]
수리(기본): [6;4][6;4] 수리(개선): [7;2;6;4][7;2;6;4]
위의 실시 예에서 수리 심벌들의 시그널링 [7;2;6;4]은 수리 심벌이 소스 흐름 2 내의 심벌 식별자 7로 시작하는, 개선 계층 내의 두 개의 심벌, 및 또한 소스 흐름 1 내의 심벌 식별자 6으로 시작하는, 기본 계층 내의 4개의 심벌과 관련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소스 흐름 1은 기본 표현을 포함한다. 소스 흐름 2는 개선 표현을 포함한다. 위의 실시 예에서, 기본 표현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는 볼드체이다.
방법 2: 동기화 식별자로의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들의 재구성
시그널링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동기화 심벌 식별자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들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시그널링 방법이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FEC SB) 당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들을 위한 동기화 지점을 도시한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에 따른 시그널링 방법으로, 수리 심벌들을 소스 심벌들과 관련시키기 위하여 수리 심벌들을 위한 다음의 시그널링 방법이 필요하다:
소스 흐름 1/2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식별자: [SI]
소스 흐름 1 순방향 오류 정정 수리 식별자: {Start SI of FEC SB; length;]
소스 흐름 2 순방향 오류 정정 수리 식별자: Start SI of FEC SB; length;
length (base)]
예를 들면, 제 2 방법에서 []이 하나의 패킷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도 4에서 FEB SB2의 소스 및 수리 심벌들(2 심벌)을 위한 바람직한 시그널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소스 흐름 1: [7] [8] [9] [10] 소스 흐름 2: [7] [8]
수리 흐름 1: [7;4][7;4] 수리 흐름 2: [7;2;4][7;2;4]
도 4의 실시 예 및 관련 실시 예들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의 시작 심벌 식별자"는 기본 표현(소스 흐름 1) 및 개선 표현(소스 흐름 2) 모두에 유효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제 1 데이터스트림(본 실시 예에서는 개선 계층에 대한) 및 제 2 데이터스트림(여기서는 기본 계층에 대한) 내의 심벌들이 계층 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의 목적을 위하여 어떻게 그룹핑되거나 또는 수집될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심벌이 작은 정사각형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면, 제 1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FEC 소스 블록 1)은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제 1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3개의 심벌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제 2 데이터 스트림 - 또는 그 반대)으로부터 두 개의 심벌을 고려한다. 기본 계층은 부가적으로 또 다른, 기본 계층 전용 순방향 오류 정정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한 기본 계층 전용 순방향 오류 정정은 예를 들면, 기본 계층을 지니는 데이터스트림만이 확실히 수신되고, 개선 계층을 지니는 데이터스트림이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대역폭 제한 등의 이유를 위하여).
심벌 카운터(symbol counter)는 25(어떠한 다른 수일 수 있는, 임의로 선택된)의 초기 카운터 값을 갖는다. 따라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내의 제 1 및 제 2 데이터스트림들을 위한 시작 심벌들은 그 다음 숫자, 여기서는 26을 수신한다. 제 1 데이터스트림 또는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현재 고려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위하여 더 많은 심볼들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그 다음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위한 시작 심벌은 이러한 숫자에 의해, 즉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기여하는 데이터스트림 중 하나 내의 심벌들의 최대 수에 의해 증가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FEC 소스 블록 1은 개선 계층 내의 3개의 심벌 및 기본 계층 내의 두 개의 심벌을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스트림 당 심벌들의 최대 수는 FEC 소스 블록 1에 대하여 3이다. 따라서, 제 2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FEC 소스 블록 2) 내의 시작 심벌들은 지수 "29"의 숫자에 의해 언급된다. 도 5에서 FEC 소스 블록 2 내의 시작 심벌들은 정렬되지 않으나(즉,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 또는 디코더가 이러한 심벌들의 서로 다른 표현 시간들을 고려해야만 할 수 있다), 이는 순방향 오류 정정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모든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더 또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가 데이터스트림 내의 어떤 심벌이 주어진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위한(즉, 두 제 1 및 제 2 데이터스트임들 내의 #29) 제 1 심벌(즉, 시작 심벌)인지, 그리고 주어진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위하여(즉, FEC source block 2를 위하여: 제 1 데이터스트림 내의 3개의 심벌 및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3개의 심벌) 이러한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전체로서 얼마나 많은 심벌이 고려되어야만 하는지를 알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데이터스트림들이 인코더 측에서 어떻게 처리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특히, 도시된 심벌 식별자 동기화기(synchronizer)는 위에 언급된 도 4의 방법에 따라 순방향 오류 정정에 유용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의 동기화에 관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데이터스트림들을 변형할 수 있다.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인코더 측 어레인지먼트는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602),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 및 심벌 식별자 동기화기(66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2)가 또한 제공되나, 이러한 또 다른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2)는 선택적이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의 기능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인코더 측 어레인지먼트의 프레임워크를 먼저 설명한다.
인코더 측 어레인지먼트의 목적은 페이로드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채널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전손을 위하여 인코딩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코딩된 페이로드 데이터는 데이터스트림(또는 소스 흐름) 또는 몇몇 데이터스트림들(또는 소스 흐름들)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예를 들면, 페이로드 데이터는 가능하게는 오디오 트랙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페이로드 데이터가 또한 가능하고 배제되지 않는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예를 들면 H.264/MPEG-AVG와 같은 손실 비디오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는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602)에서 수신된다. 게다가.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602)는 인코딩된 페이로드 데이터 중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기본 계층(기본 표현)을 위한 제 1 데이터스트림 및 개선 계층(개선 표현)을 위한 제 2 데이터스트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의 구현들에서,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는 서로 다른 개선의 계층들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스트림(두 개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602)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인코더 또는 다시점 비디오 코딩(MVC) 인코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제 두 데이터 스트림, 즉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모두를 수신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를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공동 방식으로 발생되어야만 하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을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은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기초로 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은 가능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의 심벌들의 서브셋을 포함한다(도 3 내지 5 참조).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은 또한 설명의 일부 섹션과 일부 청구항에서 "수리 심벌"로서 언급되는데, 그 이유는 "수리 심벌들"이 페이로드 데이터 심벌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심벌에서 수리하도록(즉, 순방향 오류 정정을 사용하여 전송 오류들을 정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정보 발생기를 포함한다. 시그널링 정보는 어떤 심벌들이 고려된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과 상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는 주어진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을 위하여 데이터스트림들 내의 어떤 (페이로드) 심벌들이 함께 그룹핑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의 이러한 결정은 관련되는 심벌들 사이의 시간 관계를 기초로 할 수 있는데, 따라서 예를 들면 특정 기간 간격(예를 들면 "표현 시간 스탬프(representation time stamp"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동안에 표현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기본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 내의 모든 심벌이 특정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내에 포함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하나의 일관성 있는 승계(succession)를 고려하는데, 즉 데이터스트림 내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의 어떠한 오버래핑 또는 상호작용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주어진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을 위한 시그널링이 상대적으로 짧고 단순하게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고려되는 소스 심벌들의 승계의 제 1 심벌, 및 심벌들의 수(즉, 승계의 길이)를 알리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그널링 정보는 다음의 단계에 의해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제 1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에 대한 포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 중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시작 심벌에 대한 포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 상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 정보는 상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수리 심벌)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시그널링 정보는 상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과 관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데이터스트림을 거쳐 디코더에 전송될 수 있다.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에 의해 생산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심벌들은 개선 및 기본 계층들을 위한 수리 스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시된 심벌 식별자 카운터는 데이터스트림 및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당 심벌들의 최대 수를 결정한다. 뒤따르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전달할 때, 현재 카운터 값은 결정된 수에 의해 증가된다.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정의(FEC source block definition, 782), 이미 언급된 심벌 식별자 카운터(784), 및 심벌 식별자 동기화기(786)를 포함한다.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정의(782)는 복수의 기본 계층 심벌을 포함하는 기본 계층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정의는 또한 복수의 개선 계층 심벌을 포함하는, 개선 계층 스트림(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정의(782)는 또한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들)의 특정 심벌들을 그룹핑함으로써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정의(782)는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의 어떤 심벌들이 특정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심벌들의 선택은 다양한 기준, 예를 들면 심벌들의 시간 관계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심벌 식별자 카운터(784)는 공동 카운터 값인 현재 카운터 값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동 카운터는 각각의 데이터스트림(기본 스트림 및 개선 스트림(들))이 현재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기여하는 심벌들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업데이트된다. 다양한 데이터스트림들 중 가장 높은 심벌들의 수는 공동 카운터가 증가되는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기본 계층 스트림이 동일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6을 주고, 개선 계층 스트림이 동일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11을 준다고 가정하면, 그때 공동 카운터를 위한 증가 값은 11이다. 따라서, 현재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및 뒤따르는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을 시작하는 심벌들을 위한 심벌 식별자들 사이의 차이는 11이다. 심벌 식별자 동기화기(786)는 심벌 식별자 카운터(784)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심벌 식별자들을 변형한다. 따라서, 심별 식별자 동기화기(786)는 동기화된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 스트림들을 출력하는데, 이는 각각의 새로운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이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에 기여하는 모든 데이터스트림에 대하여 동일한 공동 심벌 식별자와 함께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일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 식별자들은 더 이상 연속적/지속적일 수 없으나, 두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의 경계에서 점프(jump)들 또는 갭(gap)들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프들 또는 갭들의 발생은 일반적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및 특히 데이터 전송 전략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변경하지 않는다.
이전 설명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의 재구성을 위하여 수리 심벌들을 다수의 흐름의 소스 심벌들에 관련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 가능한 방법(예를 들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상응하는 설명)은 관련된 소스 흐름에 포인터 및 길이를 사용한다. 두 번째 가능한 방법(예를 들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상응하는 설명)은 모든 소스 흐름 내의 시작 심벌 식별자로서 동기화 포인터들을 사용한다. 두 번째 방법으로,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은 기본 계층 내의 소스 심벌들의 수의 시그널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언급된 첫 번째 방법으로 이는 부가적으로 기본 계층 내의 시작 심벌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장치의 맥락에서 일부 양상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양상들은 또한 블록 또는 장치가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과 상응하는, 상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나타낸다는 것은 자명하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양상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아이템 혹은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분해된 신호는 디지털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거나 혹은 무선 전송 매체 또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전송 매체와 같은 전송 매체 상에 전송될 수 있다.
특정 구현 요구사항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면, 그 안에 저장되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들을 갖는,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레이, CD, RON, PROM,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방법이 실행되는 것과 같이 프로그램가능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한다(또는 협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예들은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것과 같이, 프로그램가능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들을 갖는 비-일시적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구동할 때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면, 기계 판독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은 기계 판독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되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 예는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 구동할 때,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그 안에 기록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데이터 저장 매체,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는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연결, 예를 들면 인터넷을 거쳐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적용되는, 처리 수단, 예를 들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그 안에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실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예를 들면,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바람직하게는 어떠한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위한 설명이다. 여기에 설명된 배치들과 상세내용들의 변형과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자명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의 설명에 의해 표현된 특정 상세내용이 아닌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2 : 기본 표현
14 : 개선 표현
22 : 기본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서브-블록
24 : 개선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서브-블록
32 : 기본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정보 블록
34 : 개선 표현의 순방향 오류 정정 블록
42, 44 :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더
52 : 기본 표현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블록
54 : 개선 표현을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패리티 블록
602 : 페이로드 데이터 인코더
642, 644 :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
660 : 심벌 식별자 동기화기
782 : 순방향 오류 정정 소스 블록 정의
784 : 언급된 심벌 식별자 카운터
786 : 심벌 식별자 동기화기

Claims (6)

  1.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발생되어야만 하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에 대한 입력 -
    여기서 각각의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하고, 상기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는 순방향 오류 정정(FEC) 소스 블록들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에서 심벌들을 함께 그룹핑하고, FEC 소스 블록에 기초하여 수리 심벌(repair symbol)을 발생시키기 위해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LA-FEC)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은,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에 대해 동일한, 각 FEC 소스 블록에 대한 공동 심벌 식별자와 함께 시작하도록 동기화되는 증가적 식별자를 가짐 -; 및

    시그널링 정보가 수리 심벌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그것들과 관련되도록, 그리고 시그널링 정보가:
    어떤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는 FEC 소스 블록의 공동 심벌 식별자 - 상기 공동 심벌 식별자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1 시작 심벌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2 시작 심벌을 동일하게 나타냄 -;
    제 1 시작 심벌로 시작하고,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1 길이 정보; 및
    제 2 시작 심벌로 시작하고,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2 길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떤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여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어떤 심벌들이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지에 관한 수리 심벌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정보 발생기;를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FEC 소스 블록에 대하여,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 중 어떤 데이터스트림이 심벌들의 가장 큰 수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고, 뒤따르는 FEC 소스 블록에 전달할 때 상기 결정된 심벌들의 가장 큰 수로 공동 카운터 상태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공동 카운터(78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 발생기(644).
  3.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되려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에 관한 수리 심벌들을 포함하는 수리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입력;을 포함하되,
    여기서 각각의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하고, 순방향 오류 정정(FEC) 소스 블록들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의 심벌들이 함께 그룹핑되며, 수리 심벌(repair symbol)은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LA-FEC)을 이용하여 FEC 소스 블록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여기서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은,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에 대해 동일한, 각 FEC 소스 블록에 대한 공동 심벌 식별자와 함께 시작하도록 동기화되는 증가적 식별자를 가지며,

    수리 심벌 내 또는 그것들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정보 분석기;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어떤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는 FEC 소스 블록의 공동 심벌 식별자 - 상기 공동 심벌 식별자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1 시작 심벌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2 시작 심벌을 동일하게 나타냄 -;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시작 심벌로 시작하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1 길이 정보; 및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시작 심벌로 시작하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2 길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사용하여, 어떤 시그널링 정보가 관련되어서 또는 어떤 시그널링 정보 내에서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여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블록 수집기;를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더.
  4.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가 발생되어야만 하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각각의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함 -;

    순방향 오류 정정(FEC) 소스 블록들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에서 심벌들을 함께 그룹핑하는 단계;

    FEC 소스 블록에 기초하여 수리 심벌(repair symbol)을 발생시키기 위해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LA-FEC)을 이용하는 단계 - 여기서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은,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에 대해 동일한, 각 FEC 소스 블록에 대한 공동 심벌 식별자와 함께 시작하도록 동기화되는 증가적 식별자를 가짐 -; 및

    시그널링 정보가 수리 심벌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그것들과 관련되도록, 그리고 시그널링 정보가:
    어떤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는 FEC 소스 블록의 공동 심벌 식별자 - 상기 공동 심벌 식별자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1 시작 심벌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2 시작 심벌을 동일하게 나타냄 -;
    제 1 시작 심벌로 시작하고,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1 길이 정보; 및
    제 2 시작 심벌로 시작하고,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2 길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떤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여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어떤 심벌들이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지에 관한 수리 심벌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5.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되려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에 관한 수리 심벌들을 포함하는 수리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각각의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심벌을 포함하고, 순방향 오류 정정(FEC) 소스 블록들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의 심벌들이 함께 그룹핑되며, 수리 심벌(repair symbol)은 계층-인식 순방향 오류 정정(LA-FEC)을 이용하여 FEC 소스 블록에 기초하여 발생되고, 여기서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은,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들에 대해 동일한, 각 FEC 소스 블록에 대한 공동 심벌 식별자와 함께 시작하도록 동기화되는 증가적 식별자를 가짐 -;

    수리 심벌 내 또는 그것들과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어떤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는 FEC 소스 블록의 공동 심벌 식별자 - 상기 공동 심벌 식별자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1 시작 심벌 및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제 2 시작 심벌을 동일하게 나타냄 -;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1 시작 심벌로 시작하는,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1 길이 정보; 및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제 2 시작 심벌로 시작하는, 기본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의 숫자에 대한 제 2 길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사용하여, 어떤 시그널링 정보가 관련되어서 또는 어떤 시그널링 정보 내에서 수리 심벌이 발생되는지에 기초하여 FEC 소스 블록에 속하는 기본 계층 및 개선 계층 데이터스트림 내의 심벌들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을 위한 방법.
  6. 컴퓨터 또는 신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제 4항 또는 제 5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7036516A 2013-01-18 2014-01-17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KR101905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4065P 2013-01-18 2013-01-18
US61/754,065 2013-01-18
PCT/EP2014/050906 WO2014111524A1 (en) 2013-01-18 2014-01-17 Forward error correction using source blocks with symbols from at least two datastreams with synchronized start symbol identifiers among the datastream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294A Division KR101812218B1 (ko) 2013-01-18 2014-01-17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021A true KR20170143021A (ko) 2017-12-28
KR101905039B1 KR101905039B1 (ko) 2018-10-08

Family

ID=499897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294A KR101812218B1 (ko) 2013-01-18 2014-01-17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KR1020177036516A KR101905039B1 (ko) 2013-01-18 2014-01-17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294A KR101812218B1 (ko) 2013-01-18 2014-01-17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097861B2 (ko)
EP (1) EP2946555B1 (ko)
JP (1) JP6073503B2 (ko)
KR (2) KR101812218B1 (ko)
CN (3) CN105009591B (ko)
WO (1) WO2014111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85B1 (ko) * 2013-04-17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순방향 오류 정정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6507243B2 (ja) * 2015-06-30 2019-04-2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整合器
US10110348B2 (en) * 2016-01-25 2018-10-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 transmissions in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CN107592540B (zh) * 2016-07-07 2020-02-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10581587B1 (en) * 2019-04-29 2020-03-03 Advanced Micro Devices, Inc. Deskewing method for a physical layer interface on a multi-chip module
US20220311539A1 (en) * 2021-03-24 2022-09-29 Nokia Technologies Oy Forward error correction and ran retransmission
CN113946526B (zh) * 2021-10-29 2023-06-09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高速串行总线的多通道数据绑定系统及方法
CN117294392A (zh) * 2023-09-25 2023-12-26 海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前向纠错方法、前向纠错装置、电子装置与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881B1 (en) * 1991-12-23 2006-02-28 Steven Hoffberg Media recording device with remote graphic user interface
US5903454A (en) * 1991-12-23 1999-05-11 Hoffberg; Linda Irene Human-factored interface 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US6400996B1 (en) * 1999-02-01 2002-06-04 Steven M.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850252B1 (en) * 1999-10-05 2005-02-01 Steven M. Hoffberg Intelligent electron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6434319B1 (en) * 1994-01-19 2002-08-13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for digital HDTV
US6112085A (en) * 1995-11-30 2000-08-29 Amsc Subsidiary Corporation Virtual network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6058307A (en) * 1995-11-30 2000-05-02 Amsc Subsidiary Corporation Priority and preemption service system for satellite related communication using central controller
US6385647B1 (en) * 1997-08-18 2002-05-07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s System for selectively routing data via either a network that supports Internet protocol or via satellite transmission network based on size of the data
US7058027B1 (en) * 1998-09-16 2006-06-06 Scientific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and internet protocol
US7904187B2 (en) * 1999-02-01 2011-03-08 Hoffberg Steven M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8364136B2 (en) * 1999-02-01 2013-01-29 Steven M Hoffberg Mobile system, a method of operating mobile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 programmable control of a mobile system
AU2001244007A1 (en) * 2000-03-31 2001-10-15 Ted Szymanski Transmitter, receiver, and coding scheme to increase data rate and decrease bit error rate of an optical data link
EP1293059B1 (en) * 2001-02-21 2004-03-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ybrid arq method with signal constellation rearrangement
US7124064B1 (en) * 2001-03-30 2006-10-17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 generation of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code for complex polynomial functions
US7280615B2 (en) * 2002-02-20 2007-10-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making a clear channel assessment in a wireless network
US7403569B2 (en) * 2004-02-03 2008-07-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fficient low-power mode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s
US7532666B1 (en) * 2004-05-18 2009-05-12 Ikan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in multi-line multi-tone gigabit transmission systems
US7660245B1 (en) * 2004-09-16 2010-02-09 Qualcomm Incorporated FEC architecture for streaming services including symbol-based operations and packet tagging
US7644335B2 (en) * 2005-06-10 2010-01-05 Qualcomm Incorporated In-place transformations with applications to encoding and decoding various classes of codes
US7617436B2 (en) * 2005-08-02 2009-11-10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forward channel error recovery in video sequence transmission over packet-based network
US9113147B2 (en) * 2005-09-27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Scalability techniques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US8908577B2 (en) * 2005-12-02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Solving IP buffering delays in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s with translayer optimization
KR101292851B1 (ko) * 2006-02-13 2013-08-02 디지털 파운튼, 인크. 가변적 fec 오버헤드 및 보호 구간을 이용하는 스트리밍및 버퍼링
US8306060B2 (en) * 2006-11-07 2012-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composite frame format
US8126076B2 (en) * 2007-02-27 2012-02-2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with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EP2075696A3 (en) * 2007-05-10 2010-01-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rupt- related circuits, systems and processes
JP5656633B2 (ja) * 2007-08-16 2015-01-21 イカノ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マルチトーン・トランシーバにおけるビット誤り判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MX2010002147A (es) * 2007-08-24 2010-04-07 Lg Electronics Inc Sistema de radiodifusion digital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en el sistema de radiodifusion digital.
KR101435843B1 (ko) * 2007-08-24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9038408A2 (en) *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116381B2 (en) * 2007-10-22 2012-02-1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2058968A1 (en) 2007-11-07 2009-05-1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EC encoding and decoding
KR20090050994A (ko) * 2007-11-16 2009-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17198B1 (ko) * 2007-12-12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신호 송수신 장치
WO2009129838A1 (en) * 2008-04-25 2009-10-29 Fraunhofer -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Flexible sub-stream referencing within a transport data stream
RU2010150108A (ru) * 2008-05-07 2012-06-20 Диджитал Фаунтин, Инк. (Us) Быстрое переключение канала и защита потоковой передачи высокого качества по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му каналу
CN101729910B (zh) * 2008-10-15 2011-11-23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广播科学研究院 一种基于可分级比特流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8301973B2 (en) * 2008-10-16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television systems employing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ed data
WO2010107213A2 (ko) * 2009-03-15 201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US8489961B2 (en) * 2009-10-19 2013-07-1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 system,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receiving system
US20110202270A1 (en) * 2010-02-03 2011-08-18 Sharma Sridar G Delivery of advertisments over broadcasts to receivers with upstream connection and the associated compensation models
US9136981B2 (en) * 2010-03-03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Block aggregation of object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577976A2 (en) * 2010-06-01 2013-04-10 GI Provision Limite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374113B2 (en) * 2010-06-03 2013-02-12 Cisco Technology, Inc. Distributed gateway for reliable multicast wireless video
US8738988B2 (en) * 2010-06-29 2014-05-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Data sending/receiving method with forward error correction and related component and system for gigabit ethernet
JP2012095053A (ja) 2010-10-26 2012-05-17 Toshiba Corp ストリーム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55349A1 (en) * 2010-11-16 2012-06-21 Zeljko Bajic Rfid applications
TW201223170A (en) 2010-11-18 2012-06-01 Ind Tech Res Inst Layer-aware Forward Error Correction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9065598B2 (en) * 2010-12-10 2015-06-23 Panasonic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GB2486743B (en) * 2010-12-24 2013-02-13 Nvidia Corp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or broadcast communication
US9553912B2 (en) * 2011-01-19 2017-01-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content via a single port or multiple ports
US8874991B2 (en) * 2011-04-01 2014-10-28 Cleversafe, Inc. Appending data to existing data stored in a dispersed storage network
CN102510292B (zh) * 2011-10-09 2014-04-16 浙江大学 基于dstft的navtex解调方法
US20130136193A1 (en) * 2011-11-30 201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data
KR102027916B1 (ko) 2012-02-27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순방향 오류정정스킴을 사용하는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1524A1 (en) 2014-07-24
US20190014353A1 (en) 2019-01-10
US10681387B2 (en) 2020-06-09
CN109089122A (zh) 2018-12-25
US20200267417A1 (en) 2020-08-20
JP2016505225A (ja) 2016-02-18
US10097861B2 (en) 2018-10-09
CN105009591B (zh) 2018-09-14
CN108924593B (zh) 2021-07-06
KR20150108834A (ko) 2015-09-30
CN108924593A (zh) 2018-11-30
EP2946555B1 (en) 2018-07-04
JP6073503B2 (ja) 2017-02-01
CN105009591A (zh) 2015-10-28
CN109089122B (zh) 2022-08-05
KR101812218B1 (ko) 2018-01-30
EP2946555A1 (en) 2015-11-25
KR101905039B1 (ko) 2018-10-08
US20150319464A1 (en) 2015-11-05
US11277647B2 (en)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039B1 (ko) 데이터스트림들 중에서 동기화된 시작 심벌 식별자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의 심벌들을 갖는 소스 블록들을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EP2201691B1 (en) Scalable information signal,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 scalable information conten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correcting a scalable information signal
KR102133930B1 (ko) 데이터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374768B2 (ja) 追加的なネットワーク抽象化層(nal)を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保護方法
KR102027916B1 (ko) 순방향 오류정정스킴을 사용하는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6010525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data
KR101656969B1 (ko) 계층 인식 순방향 에러 정정을 위한 인터리빙
KR20100136999A (ko) 시간 확장성을 이용하는 스태거캐스팅
CN109245863B (zh) 用于传输和接收前向纠错分组的装置和方法
KR20150081924A (ko) 양안식 3차원 영상의 에러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15152A (ko) 3d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