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805A -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805A
KR20170142805A KR1020160095228A KR20160095228A KR20170142805A KR 20170142805 A KR20170142805 A KR 20170142805A KR 1020160095228 A KR1020160095228 A KR 1020160095228A KR 20160095228 A KR20160095228 A KR 20160095228A KR 20170142805 A KR20170142805 A KR 2017014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skin
gum
weight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280B1 (ko
Inventor
홍성훈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엔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스 filed Critical (주)엔코스
Publication of KR2017014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는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으로 이루어진 제1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기 성형된 탄력있는 마스크 시트 제2제를 상기 제1제에 밀착되도록 부착하여 제1제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및 영양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제의 유효성분이 제1제와 밀착되어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피부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SKIN MASK PACK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는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으로 이루어진 제1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기 성형된 탄력있는 마스크 시트 제2제를 상기 제1제에 밀착되도록 부착하여 제1제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및 영양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제의 유효성분이 제1제와 밀착되어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밥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시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화장품을 제형에 따라 나누어 보면 액상제형과 고상의 제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액상의 제형은 겔, 크림, 로션, 에센스 등이 있으며, 고상의 제형으로는 하이드로겔팩, 모델링팩, 석고팩, 화장품패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액상의 겔, 크림, 로션, 에센스의 피부 미용용 제품의 경우에는 고상의 팩류 및 패취형태에 비해 증발되어 소실되는 양이 많고, 지속적으로 피부에 보습성분 및 영양성분을 전달하기 어렵다. 이러한 액상형태를 갖는 피부미용용제품의 문제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팩류와 패취류를 들 수 있다. 모델링팩 및 석고팩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1제와 2제를 적당한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일정 시간 내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팩이 굳어져 피부에 도포가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팩은 사용 후 경화된 팩을 피부로부터 벗겨낼 시에 잔류물을 씻어내야 하는 워시오프(Wash-off)방식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패취 및 감압점착성 패취류의 경우에는 사용을 마친 후 팩을 피부로 벗겨낼 때 잔류물이 남지않아 별도의 세안이 필요 없는 필오프(peel-off)방식의 팩이란 장점이 있으나, 제조공정상의 도포 및 절단공정 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하며, 1회분 사용분 포장으로 인한 포장비용 상승 등이 소비자에게 비용부담을 안기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피부 미용을 위한 팩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6-0024737호 『마스크 팩』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셀룰로오스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는 제1이형지 및 제2이형지의 밖으로 유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92628호 『피부미용용 팩』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액, 고분자물질, 제형제, 색소로 이루어진 수용성 필름과, 핫멜트 접착제, 카르복시메틸셀롤오스나트륨,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콜로이드 필름과,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피부에 영양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부를 재생하여 피부에 활력을 제공하여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피부미용용 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료가 도포된 마스크팩을 피부에 부착시키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부착시 잘 찢어질 수 있고, 오랜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장료가 말라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사용자의 얼굴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피부 전체에 고르게 영양분을 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고체형 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액상형으로 이루어진 팩 또는 화장료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액상형 화장료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3-0109950호 『피부 개선 피부 화장료』, 등록특허 제10-0812129호 『비타민 씨와 수용성 베타 글루칸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조성물』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통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액상형 화장료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에 도포한 후에 화장료, 영양성분, 수분 등이 증발하여 지속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키기가 어려우며, 특히 도포된 화장료를 세안 등을 통하여 씻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액상형 제1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미리 성형된 탄력있는 마스크 시트 제2제를 상기 제1제에 밀착될 수 있도록 부착시킴에 따라 제1제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성분 등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제는 상기 제1제와 밀착됨에 따라 피부보습 완료 후 제2제를 떼어내면 자연스럽게 제1제가 제2제의 유효성분을 함께 흡수 시키는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은
점증 고분자 1~3중량%, 다가 알코올 5~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피부에 도포되는 도포 제1제;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겔화 보조제 0.01~10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도포제에 밀착되도록 성형된 마스크 시트 제2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의 사용방법은
피부에 제1 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피부에 도포된 제1제에 성형된 마스크 시트 제2제를 밀착시키는 부착단계;
상기 제1제와 제2제의 유효성분을 함께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제는 점증 고분자 1~3중량%, 다가 알코올 5~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5중량%, 물 60~9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 시트 제2제는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겔화 보조제 0.01~10중량%, 물 40~99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은
피부에 직접 도포되는 액상형으로 이루어진 제1제에 기존의 성형된 마스크 시트 제2제를 부착시킴에 따라 제1제의 영양성분의 증발을 방지하여 피부로 지속적으로 영양성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피부 보습 및 영양공급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 시트 제2제의 유효성분이 제1제와 밀착되어 피부에 수분 및 영양성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제를 기존의 성형된 제품, 특히 얼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얼굴모양으로 성형된 팩을 이용함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의 사용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의 사용방법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의 사용방법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제2제를 수식하는 탄성 마스크 시트는, 탄력이 있는 마스크 시트를 말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피부(S) 마스크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S)에 도포되는 액상형 제1제(10)와, 상기 제1제(10)에 밀착되는 기 성형된 제2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제(10)는 피부(S)에 직접 도포되는 것으로서, 점증 고분자 1~3중량%, 다가 알코올 5~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가온(40~90℃)에서 교반과정을 거쳐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마스크는 얼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손이나 팔 등의 다양한 부위를 모두 통칭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마스크라 지칭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점증 고분자는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 폴리아크릴레이트-13(Polyacrylate-13 ),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소듐카보머(Sodium Carbomer), 피브이피(PVP),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Sodium Polystyrene Sulfonate ),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가 알코올은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마스크팩(A)에는 피부(S)에 수분, 영양분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보습제, 피부(S)컨디셔닝제, 유연제, 영양제, 계면활성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향료, pH조절제, 각종 천연 소재 추출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습제는 디글리세린(Diglycerin) 솔비톨(solbitol),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POE 메틸글루코시드(POE methylglucoside) 또는 글리세린(glyceri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제로는 스쿠알렌(squalane), 액상 파라핀(liquid paraffin), 올리브유(olive oil), 동백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Glycerides), 피마자유(caster oi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부(S) 컨디셔닝제는 밀글루텐 (Triticum Vulgare (Wheat) Gluten), 옥수수글루텐프로테인 (Zea Mays (Corn) Gluten Protein), 하이드롤라이즈드밀글루텐 (Hydrolyzed Wheat Gluten), 글리아딘 (Gliadin), 젤라틴 (Gelatin), 젤라틴크로스폴리머 (Gelatin Crosspolymer), 바이오사카라이드검-1(Biosaccharide Gum-1),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디메치콘(Dimethicone), 베타글루칸(Beta-Glucan), 세라마이드3(Ceramide3),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망고씨드버터(Mangifera Indica (Mango) Seed Butter) 망고씨드버터 (Mangifera Indica (Mango) Seed Butter )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유연제로는 스쿠알렌(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액상파라핀(Liquid Paraffin), 올리브유(Olive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동백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아르간트리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호오스팻(Horse Fat)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영양제로는 알란토인(allantoin), DL-판테놀(DL-panthenol), 트레할로스(Trehalose), 알란토인(Allantoin),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베타인(Betaine), 판테놀(Panthenol), 로즈힙열매오일(Rosa Canina Fruit Oil), 코코넛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피토스테롤(Phytosterols),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 Hexapeptide-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5(Palmitoyl Pentapeptide-5),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류(Polysorbate), 피이지캐스터오일류(PEG-Castor Oil), 피이지-60캐스터오일(PEG-60 Castor Oil), 폴리글리세릴-10디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10 Distearate),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소르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 세테아레스-20 (Ceteareth-20), 피이지-6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PEG-60 Glyceryl Isostearate),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미백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알부틴(Arbutin),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에칠아스코빌에텔(3-O-Ethyl Ascorbic Acid), 유용성감초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름개선제로는 아데노신(Adenosine), 레티놀(Retinol),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Polyethoxylated Retinamide)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토타롤(Totarol), 유비퀴논(Ubiquinone), 코직애씨드(Kojic Acid)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존제로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데하이드로아세틱애씨드 (Dehydroacetic Acid), 도미펜브로마이드 (Domiphen Bromide), 디엠디엠하이단토인(DMDM Hydantoin), 디클로로벤질알코올 (Dichloronbenzyl Alcohol),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ㅇ메틸이소치아졸리논혼합액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Mixed Solution), 메칠파라벤 (Methylparaben), 무수소듐설파이트 (Anhydrous Sodium Sulfite), 벤질코늄클로라이드 (Benzalkonium Chloride), 벤제토늄클로라이드 (Benzethonium Chloride), 벤조익애씨드 (Benzoic Acid), 벤질알코올 (Benzyl Alcohol),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 (Sodium Dehydroacetate), 소듐벤조에이트 (Sodium Benzoate), 소듐살리실레이트 (Sodium Salicylate), 소르빅애씨드 (Sorbic Acid), 에칠파라벤 (Ethylparaben), 이소부틸파라벤 (Isobutylparaben), 징크클로라이드 (Zinc Chloride), 크리솔 (Cresol), 클로로부탄올 (Chlorobutanol), 클로록실레놀 (Chloroxylenol), 트리클로카반 (Triclocarban), 페네칠알코올 (Phenethyl Alcohol), 포타슘소르베이트 (Potassium Sorbate), 및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향료, pH조절제, 색소, 천연소재 추출물 등 다양한 원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1제(10)는 피부(S)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이 제1제(10)의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제(10)에 밀착되는 제2제(2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제(20)는 피부(S) 위치에 따라 그에 맞게 성형된 것으로서,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겔화 보조제 0.01-10%중량% 및 잔류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제(10)와 마찬가지로 가온(40~90℃)에서 교반 과정을 거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제2제(20)는 두께가 0.1~5mm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제 또는 제2제 또는 이들 모두에는 합성색소, 타르색소 뿐만 아니라 천연색소를 더 추가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제2제(20)는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및 잔류의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Guar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젤란검(Gellan Gum),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타마린드씨검(Tamarindus Indica Seed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소듐카라기난(Sodium Carrageenan), 카라기난 가루(Chondrus Crispus Powder), 카라기난추출물(Chondrus Crispus Extract), 칼슘카라기난(Calcium Carrageenan), 로커스트빈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Locust Bean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아가(Agar), 글루코만난(Glucomannan), 만난(Mannan), C1-5알킬갈락토만난(C1-5 Alkyl Galactomannan), 알진(Algin),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프로필렌글라이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롤라이즈드알진(Hydrolyzed Algi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제(20) 또한 제1제(10)를 통과하여 피부(S)에 흡수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보습제, 피부(S)컨디셔닝제, 유연제, 영양제, 계면활성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향료, pH조절제, 각종 천연 소재 추출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보습제로는 디글리세린(Diglycerin) 솔비톨(solbitol),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POE 메틸글루코시드(POE methylglucoside) 또는 글리세린(glyceri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제로는 스쿠알렌(squalane), 액상 파라핀(liquid paraffin), 올리브유(olive oil), 동백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Glycerides), 피마자유(caster oi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피부(S) 컨디셔닝제로는 밀글루텐 (Triticum Vulgare (Wheat) Gluten), 옥수수글루텐프로테인 (Zea Mays (Corn) Gluten Protein), 하이드롤라이즈드밀글루텐 (Hydrolyzed Wheat Gluten), 글리아딘 (Gliadin), 젤라틴 (Gelatin), 젤라틴크로스폴리머 (Gelatin Crosspolymer), 바이오사카라이드검-1(Biosaccharide Gum-1),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디메치콘(Dimethicone), 베타글루칸(Beta-Glucan), 세라마이드3(Ceramide3), 쉐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망고씨드버터(Mangifera Indica (Mango) Seed Butter)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연제로는 스쿠알렌(Squal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액상파라핀(Liquid Paraffin), 올리브유(Olive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Integrifolia Seed Oil), 동백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아르간트리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호오스팻(Horse Fat)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영양제로는 알란토인(allantoin), DL-판테놀(DL-panthenol), 트레할로스(Trehalose), 알란토인(Allantoin),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베타인(Betaine), 판테놀(Panthenol), 로즈힙열매오일(Rosa Canina Fruit Oil), 코코넛오일(Cocos Nucifera (Coconut) Oil), 피토스테롤(Phytosterols),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 Hexapeptide-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5(Palmitoyl Pentapeptide-5),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류(Polysorbate), 피이지캐스터오일류(PEG-Castor Oil), 피이지-60캐스터오일(PEG-60 Castor Oil), 폴리글리세릴-10디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10 Distearate),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소르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 세테아레스-20 (Ceteareth-20), 피이지-6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PEG-60 Glyceryl Isostearate),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미백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알부틴(Arbutin),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에칠아스코빌에텔(3-O-Ethyl Ascorbic Acid), 유용성감초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주름개선제로는 아데노신(Adenosine), 레티놀(Retinol),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Polyethoxylated Retinamide)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토타롤(Totarol), 유비퀴논(Ubiquinone), 코직애씨드(Kojic Acid)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존제로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데하이드로아세틱애씨드 (Dehydroacetic Acid), 도미펜브로마이드 (Domiphen Bromide), 디엠디엠하이단토인(DMDM Hydantoin), 디클로로벤질알코올 (Dichloronbenzyl Alcohol),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ㅇ메틸이소치아졸리논혼합액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Mixed Solution), 메칠파라벤 (Methylparaben), 무수소듐설파이트 (Anhydrous Sodium Sulfite), 벤질코늄클로라이드 (Benzalkonium Chloride), 벤제토늄클로라이드 (Benzethonium Chloride), 벤조익애씨드 (Benzoic Acid), 벤질알코올 (Benzyl Alcohol), 부틸파라벤 (Butylparaben),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 (Sodium Dehydroacetate), 소듐벤조에이트 (Sodium Benzoate), 소듐살리실레이트 (Sodium Salicylate), 소르빅애씨드 (Sorbic Acid), 에칠파라벤 (Ethylparaben), 이소부틸파라벤 (Isobutylparaben), 징크클로라이드 (Zinc Chloride), 크리솔 (Cresol), 클로로부탄올 (Chlorobutanol), 클로록실레놀 (Chloroxylenol), 트리클로카반 (Triclocarban), 페네칠알코올 (Phenethyl Alcohol), 포타슘소르베이트 (Potassium Sorbate), 및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나아가 상기 제2제(20)는 겔화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칼슘설페이트 (Calcium Sulf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제(20)는 (a)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가온, 교반, 혼합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제2제를 하필름에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제2제를 냉각하는 단계
(d) 냉각된 제2제를 상필름에 부착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의 제2제를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a)단계는 (1) 상온에서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에 물 30-99중량%를 첨가하여 40~90℃로 가온하는 단계, (2)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1)단계의 40~90℃의 기능성 첨가제, 물 혼합물에 상기 (2)단계의 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을 천천히 혼합하면서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b) 및 (c)단계는 제조된 제2제를 40~90℃로 유지하면서 하필름으로 이송하고 0~3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와 (4) 냉각된 제2제에 상필름이 부착되어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d) 단계는 상기 냉각된 제2제에 상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e)단계는 (d)단계의 제2제를 적합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6) 성형된 제2제를 형상이 유지되도록 트레이에 수용하여 진공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S)용 마스크팩의 사용방법(M)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피부(S)에 제1제(10)를 도포하는 도포단계(100), 상기 피부(S)에 도포된 제1제(10)에 성형된 마스크 시트 제2제(20)를 밀착시키는 부착단계(200) 및 흡수단계(300)을 통하여 피부(S)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다 끝난 후에 제2제(20)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액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제(10)를 피부(S)에 도포하고, 상기 제1제(10)의 영양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제(20)를 상기 제1제(1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제(20)는 미리 성형된 것으로서, 부착하고자 하는 피부(S)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제는 기 성형된 마스크시트로서,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피부, 특히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피부 마스크팩 S : 피부
10 : 제1제 20 : 제2제
M : 피부 마스크팩의 사용방법
100 : 도포단계 200 : 부착단계
300 : 흡수단계

Claims (5)

  1. 점증 고분자 1~3중량%, 다가 알코올 5~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피부에 도포되는 도포 제1제;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겔화 보조제 0.01~10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도포 제1제에 밀착되도록 성형된 탄성 마스크 시트 제2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스크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에서
    점증 고분자는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 폴리아크릴레이트-13(Polyacrylate-13 ),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소듐카보머(Sodium Carbomer), 피브이피(PVP),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Sodium Polystyrene Sulfonate ),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다가 알코올은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스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마스크 시트 제2제에서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Guar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잔탄검(Xanthan Gum), 잔탄검크로스폴리머(Xanthan Gum Crosspolymer), 젤란검(Gellan Gum),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타마린드씨검(Tamarindus Indica Seed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소듐카라기난(Sodium Carrageenan), 카라기난 가루(Chondrus Crispus Powder), 카라기난추출물(Chondrus Crispus Extract), 칼슘카라기난(Calcium Carrageenan), 로커스트빈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Locust Bean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아가(Agar), 글루코만난(Glucomannan), 만난(Mannan), C1-5알킬갈락토만난(C1-5 Alkyl Galactomannan), 알진(Algin), 칼슘알지네이트(Calcium Alginate), 포타슘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프로필렌글라이콜알지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하이드롤라이즈드알진(Hydrolyzed Algin)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Tr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글라이콜(Hexylene Glycol), 2,3-부탄다이올(2,3-Butanediol)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겔화 보조제는 칼슘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칼슘설페이트 (Calcium Sulfate)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마스크 팩.
  4. 피부에 제1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피부에 도포된 제1제에 성형된 탄성 마스크 시트 제2제를 밀착시키는 부착단계;
    상기 제1제와 제2제의 유효성분을 피부에 함께 흡수시키는 흡수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제는 점증 고분자 1~3중량%, 다가 알코올 5~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5중량%,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 시트 제2제는 겔화 고분자 0.1~20중량%, 다가 알코올 0.1~3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겔화 보조제 0.01~10중량%,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사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마스크 시트 제2제는
    a)겔화 고분자, 다가 알코올, 기능성 첨가제, 겔화 보조제,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가온, 교반 및 혼합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제2제를 하필름에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제2제를 냉각하는 단계,
    (d) 상기 냉각된 제2제에 상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제2제를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사용방법.
KR1020160095228A 2016-06-20 2016-07-27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009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6718 2016-06-20
KR1020160076718 2016-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05A true KR20170142805A (ko) 2017-12-28
KR102009280B1 KR102009280B1 (ko) 2019-08-09

Family

ID=609397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28A KR102009280B1 (ko) 2016-06-20 2016-07-27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0160095234A KR20170142806A (ko) 2016-06-20 2016-07-27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34A KR20170142806A (ko) 2016-06-20 2016-07-27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092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73B1 (ko) * 2018-06-07 2019-12-02 주식회사 숲앤 백금 콜라겐 앰플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117B1 (ko) * 2018-10-17 2020-04-13 주식회사 에스엘씨 피부미용을 위한 모델링 마스크팩
WO2020080847A1 (ko) * 2018-10-19 2020-04-23 주식회사 러브바드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27B1 (ko) * 2018-04-25 2019-11-15 주식회사 엔제이코스랩 다양한 원단시트를 이용한 모델링 마스크팩 제조방법
CN109010095A (zh) * 2018-09-20 2018-12-18 黄犟兵 一种用于海藻纤维面膜布的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102644609B1 (ko) * 2018-11-02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마스크 겔 조성물, 이를 포함한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74571B1 (ko) * 2018-12-11 2020-11-05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조성물
KR102082359B1 (ko) * 2019-10-04 2020-02-28 (주)스킨러버스코스메틱 구리 이온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17560A1 (en) * 2020-04-30 2021-11-04 L'oreal Kit for caring for the skin
KR20230146241A (ko) 2022-04-12 2023-10-19 김회철 노즈 와이어가 구비된 마스크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277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동결건조 방식으로 제조된 2제식 다공성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842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KR20160005672A (ko) * 2012-07-18 2016-01-15 신현우 2액형 타입 미용용 팩류 및 패취류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277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동결건조 방식으로 제조된 2제식 다공성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842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KR20160005672A (ko) * 2012-07-18 2016-01-15 신현우 2액형 타입 미용용 팩류 및 패취류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73B1 (ko) * 2018-06-07 2019-12-02 주식회사 숲앤 백금 콜라겐 앰플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117B1 (ko) * 2018-10-17 2020-04-13 주식회사 에스엘씨 피부미용을 위한 모델링 마스크팩
WO2020080847A1 (ko) * 2018-10-19 2020-04-23 주식회사 러브바드 신축성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신축성 마스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280B1 (ko) 2019-08-09
KR20170142806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2805A (ko) 피부 마스크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731926B1 (ko) 이종 혼합 파우치 어셈블리
KR102055150B1 (ko)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CN106214515A (zh) 一种含油保湿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03385848B (zh) 一种化妆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736136A (zh) 美容化妆用或药用保湿成分
WO2010143196A1 (en) Novel synergistic transparent / translucent hydrogel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it and a sheet / film made thereform
CN105362091A (zh) 一种含γ-氨基丁酸和透明质酸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3237555A (zh) 外用皮肤护理制剂
US20140350125A1 (en) Novel oil-in-water emulsions enriched with salt, which are stabilized using natural gums, highly viscous, and stable over time
CN104302271A (zh) 包含氨基肽混合物的保湿组合物
CN104546650A (zh) 一种紧致肌肤的面膜及其制作方法
US20140335039A1 (en) Novel oil-in-water emulsions enriched with salt which are highly viscous and stable over time
CN109069393B (zh) 化妆用醇凝胶膜及其制造方法
EP2979685A1 (en) Film forming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heir use as peel-off film mask
JP5760280B1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14224779A (zh) 一种眼部修复组合物及其应用
US20200016437A1 (en) Skin Care Compositions
CN115006265A (zh) 一种分离式凝胶面膜
CN104288066A (zh) 一种柔肤水及其制备方法
KR101419271B1 (ko) 실온 반응형 캡슐이 혼합된 하이드로겔 팩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하이드로겔 팩제
CN106176562A (zh) 一种具有美白保湿功效的抗菌型面膜
KR20200060837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1890132B1 (ko) 석고미용시트를 활용한 석고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석고미용팩
KR20190063226A (ko) 원물이 함유된 필오프 타입 팩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5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09

Effective date: 2019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