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252A - 자화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252A
KR20170142252A KR1020160075399A KR20160075399A KR20170142252A KR 20170142252 A KR20170142252 A KR 20170142252A KR 1020160075399 A KR1020160075399 A KR 1020160075399A KR 20160075399 A KR20160075399 A KR 20160075399A KR 20170142252 A KR20170142252 A KR 2017014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body member
inlet
magn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진
Original Assignee
(주)브리스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리스워터 filed Critical (주)브리스워터
Priority to KR102016007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252A/ko
Publication of KR2017014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25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5/0057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부재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자화시켜 품질이 향상된 음료용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타측에 형성되며, 입수구와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입수구 및 배수구 측에 각각 위치되어 중공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과 가림판을 관통하여 일측이 입수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본체 부재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과 가림판을 관통하여 타측이 배수구와 연통되고, 일측이 본체 부재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과 각각의 가림판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화수 생성 장치{Magnetized water cre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본체 부재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자화시켜 품질이 향상된 음료용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부재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자성체의 자력으로 자화시키되, 여러 번 순환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물이 자화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보장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료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자화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생존 자체를 위한 음료용으로써 뿐만 아니라 농업용·공업용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도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이 필터링 된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가 등장하였고,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대중화되었다.
또한, 단순히 물을 정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물 자체의 기능을 향상시켜 사람에게 유익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써, 물을 자화시키는 자화수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화수 장치를 통해 물을 자화시키면, 물은 생체분자와의 친화성이 높은 육각형 고리구조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물에 포함된 이온을 활성화 시키고, 용존 산소를 증가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세정력이 증가하여 과일 등에 묻은 잔류 농약의 제거가 용이해지고, 체내의 모세혈관이나 세포막에 침투하는 침투력이 증가하여 체내의 노폐물 제거 및 보습 효과에 효율적이며, 경수를 연수화시키는 효과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자화수를 생성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036호의 "이동용 자화수 처리기"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979호의 "가정용 자화수 처리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875호의 "자화수 생성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6872호의 "미네랄 자화수 및 알칼리수 생성 장치"가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036호의 "이동용 자화수 처리기" 에는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979호의 "가정용 자화수 처리장치"에는 영구자석의 자력이 외부로 누설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유통되는 수도관에 자력이 원활히 집중되게 함으로써, 자화수 생성의 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영구자석이 수도관의 외면을 등각 간격으로 둘러쌓는 배치로 인해 물이 유통되는 수도관에 골고루 자력이 제공되어 우수한 자화수 생성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875호의 "자화수 생성장치"에는 물에 자기력을 발산함으로써 물 분자의 세분화 및 이온화를 촉진하여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고 물이 자기력에 접촉되는 시간과 면적을 증대시켜 자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6872호의 "미네랄 자화수 및 알칼리수 생성 장치"에는 상부하우징 사방면에 동일 극으로 대향된 자석을 각각 배치시키고, 중앙부에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회전이 가능한 자석을 배치하여 수용된 물을 자화수로 변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물이 자화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자화율이 낮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물이 자기력에 접촉되는 시간과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도, 물의 수용량에 한계가 있어 자화수의 생성량이 보장되지 못하거나, 장치 자체의 길이에 한계가 있어 충분한 자화율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물이 자화되는 시간과 면적을 충분히 보장하여 자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수용된 물을 자화시키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흐르는 물을 자화시키는 방식으로 충분한 자화수 생성량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036호(2012. 02. 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979호(2012. 12. 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875호(2014. 12. 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6872호(2015. 11 .02)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물을 내부에 수용한 후 자화시키는 경우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한계가 있어 자화수의 충분한 생성량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흐르는 물을 자화시키는 경우에는, 장치 자체의 길이에 한계가 있어 물이 자화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자화율이 낮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 상기 입수구 및 상기 배수구 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중공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 상기 가림판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부재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 상기 가림판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 각각의 상기 가림판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링 및 자화수 생성장치는,
본체 부재 내부에 유입되어 흐르는 물을 자화시킴으로써 자화수의 충분한 생성량이 보장되는 효과가 발생하였고;
본체 부재 내부에 유입된 물이 본체 부재 내부를 여러 번 순환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물이 자화되는 충분한 시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자성체 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자성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에 유입된 물을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와류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본 발명은 본체 부재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자화시켜 품질이 향상된 음료용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101)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102)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101)와 상기 배수구(102)를 연통시키는 중공(103)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100); 상기 입수구(101) 및 상기 배수구(102) 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중공(103)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110);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입수구(101)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120);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배수구(102)와 연통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130); 각각의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101)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102)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101)와 상기 배수구(102)를 연통시키는 중공(103)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부재(100)는 물이 흐르는 배관, 호스 등의 중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써, 배관, 호스 등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입수구(101)로 유입된 물이 상기 중공(103)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구(102)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배관, 호스 등의 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본체 부재(100)의 형상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수구(101) 및 상기 배수구(102)는 배관, 호스 등의 말단과 상호 간에 끼워맞춤 되도록 그 직경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입수구(101) 및 상기 배수구(102)는 배관, 호스 등의 말단이 삽입되도록 그 직경이 형성되거나 배관, 호스 등의 말단에 삽입되도록 그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상기 입수구(101) 및 상기 배수구 (102)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중공(103)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림판(110)은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 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물이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입수구(101)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상기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가림판(110)을 통과하게 되나, 아래에서 설명되는 입수관(120)이 상기 가림판 관통홀(111)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가림판(110)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를 순환하는 물은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상기 가림판(110)을 재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배수구(1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상기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배수관(130)이 상기 가림판 관통홀(111)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입수관(120)을 통과한 물은 곧바로 상기 본체 부재(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를 순환한 후 배수관(130)으로 유입되고,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가림판(1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본체 부재(10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공(103)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중공(103)을 가로막는 구성인 상기 가림판(110)은 상기 중공(10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 중공(103)에는 상기 가림판(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단턱 사이에 상기 가림판(110)이 끼워지면, 상기 가림판(110)과 상기 단턱 사이에는 기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체 부재(100)와 상기 가림판(110) 상호 간의 사이로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입수구(101)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관(120)은 상기 본체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그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103)에 내입되어, 일측이 상기 입수구(101)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 부분에 개구된 상태로 위치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입수구(101)로 유입된 물을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으로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입수관(120)은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에 내입되므로, 상기 입수관(120)의 길이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야 하나, 물이 자화되는 시간을 보장하여 자화율을 높이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하여, 상기 입수관(120)의 일측이 상기 입수구(101)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입수관(120)의 타측은 상기 배수구(1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근접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입수관(120)의 타측은 상기 입수관(12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상기 배수구(1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그 위치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배수구(102)와 연통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관(1)은 상기 본체 부재(1)의 길이방향으로 그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내입되어, 타측이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며, 일측은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 부분에 개구된 상태로 위치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중공에 유입된 물을 상기 본체 부재의 타측으로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배수관(130)은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에 내입되므로, 상기 배수관(130)의 길이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야 하나, 물이 자화되는 시간을 보장하여 자화율을 높이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하여, 상기 배수관(130)의 타측이 상기 배수구(1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130)의 일측은 상기 입수구(101)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근접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배수관(130)의 타측은 상기 배수관(13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상기 입수구(101)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그 위치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각각의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상기 중공(103) 내부에 내재되어 상기 입수관(120)과 상기 배수관(130)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를 순환하며 흐르는 물을 자화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 부재(140)에는 물을 자화시키기 위한 자성체(142)가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자성체(142)를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43)이 형성되는 홀더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홀(143)이 상기 홀더부(141)에 배치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141)는 상기 가림판(110)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103)에 내재되며, 상기 자성체(142)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지연시켜 물이 자화되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구성이다.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상기 한 쌍의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므로, 상기 한 쌍의 홀더부(14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입수구(101)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홀더부(14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배수구(1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판(110)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자성체(142)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 중공(103)에는 상기 홀더부(141)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단턱 사이에 상기 홀더부(141)가 끼워지면, 상기 홀더부(141)와 상기 단턱 사이에는 기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체 부재(100)와 상기 홀더부(141) 상호 간의 사이로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홀더부(141)에는, 상기 입수관(120)이 통과되는 제1 관통홀(144) 및 상기 배수관(130)이 통과되는 제2 관통홀(14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상기 한 쌍의 가림판(110) 상호 간의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1 관통홀(144) 및 상기 제2 관통홀(145)은 상기 입수관(120) 및 상기 배수관(130)을 각각 통과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홀(143)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체(142)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자화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본체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봉 또는 바(bar)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자성체(14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림판(110)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홀(143)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자성체(142)의 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모양이 형성되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홀(143)은 상기 체결홀(143)을 관통하는 상태의 상기 자성체(142)의 일부 외측면이 상기 체결홀(143)의 내측면 전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그 크기와 모양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성체(142)는 하나의 개체만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물과 상기 자성체(142)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본체 부재(100) 내부의 곳곳으로 상기 자성체(142)의 자력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142)가 배치되는 형태는 상기 체결홀(143)이 상기 홀더부(141)에 배치되는 형태를 따라야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홀더부(141)에 상기 자성체(142)가 배치되는 일 실시예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자성체(142)는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홀더부(141)에 일렬로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관(120) 및 상기 배수관(130)은 상기 자성체(14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입수관(120)을 통과하는 물은 상기 자성체(142)의 어느 한쪽 측부로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되고, 상기 배수관(130)을 통과하는 물은 상기 자성체(142)의 다른 한쪽 측부로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되며, 상기 한 쌍의 홀더부(141) 사이를 흐르는 물은 상기 자성체(142)와 직접 맞닿거나 상기 자성체(142)의 측부로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홀더부(141)에 상기 자성체(142)가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자성체(142)는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홀더부(141)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내부에 자성체 중공을 형성시키고, 외측면에는 상기 자성체 중공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부를 형성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141)에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1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44) 및 제2 관통홀(145)은 상기 입수관 (120)및 배수관(130)에 의해 각각 관통되며, 상기 홀더부(141)에 형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홀(143)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성체(142)에 의해 각각 관통되어, 상기 홀더부(141)에 물을 통과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없는 한, 상기 한 쌍의 홀더부 (141)사이에는 물이 내입되지 못하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홀더부(141)에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공(14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홀더부(141) 사이에는 물이 내입될 수 있고, 상기 입수관(12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배수관(130)의 일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101)를 통하여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입수관(120)을 통과하며 정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유로를 통과하며 역방향으로 진행되며, 상기 배수관(130)을 통과하며 다시 정방향으로 진행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본체 부재(100)의 내부를 순환하며 자화되기 충분한 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141)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146)은 상기 체결홀(143)에 최대한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이 상기 통공(146)을 통과하는 순간 상기 자성체(142)와 근접되게 함으로써 자화되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통공(146)에는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 부재(150)가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 부재(150)는 물이 상기 통공(146)을 통과하는 순간 와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물이 상기 자성체(142)의 자력에 의해 골고루 자화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와류 부재(150)는 상기 한 쌍의 홀더부(141) 중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에 위치되는 홀더부(141)에 형성되는 통공(146)에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류 부재(150)는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일 구성요소로써, 상기 통공(146)에 끼워 맞춤되고,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끼움부 홀(152)이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끼움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부(151)의 외경은 상기 통공(146)의 내경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상기 통공(146)의 내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그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146)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끼움부(151)가 상기 통공(146)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기 입수관(120)을 통과한 물은 상기 끼움부 홀(152)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103)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류 부재(150)는 일측이 상기 끼움부(15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타측이 상기 끼움부(15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나팔관(1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팔관(153)은 상기 끼움부 홀(152)을 통과하는 물을 타측으로 유입받아,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써, 타측은 좁고 일측은 타측보다 넓게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154)가 형성될 수 있어 통과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와류 부재(150)는 와류를 형성시키는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끼움부(151)와 상기 나팔관(153)은 상호 간에 이격되되, 상기 나팔관(153)의 타측이 상기 끼움부 홀(152)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 홀(152)의 타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나팔관(153)의 타측으로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끼움부(151)와 상기 나팔관(153) 상호 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출되며 와류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와류 부재(15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와류 부재(150)는 상기 통공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를 이어주는 곡선형의 벽면부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가능하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본체 부재 101 : 입수구
102 : 배수구 103 : 중공
110 : 가림판 111 : 가림판 관통홀
120 : 입수관 130 : 배수관
140 : 자성체 부재 141 : 홀더부
142 : 자성체 143 : 체결홀
144 : 제1 관통홀 145 : 제2 관통홀
146 : 통공 150 : 와류 부재
151 : 끼움부 152 : 끼움부 홀
153 : 나팔관 154 : 돌기부

Claims (6)

  1.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101)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102)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101)와 상기 배수구(102)를 연통시키는 중공(103)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100);
    상기 입수구(101) 및 상기 배수구(102) 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중공(103)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110);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입수구(101)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120);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배수구(102)와 연통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130);
    각각의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43)이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부(141);
    일단 및 타단이 한 쌍의 상기 홀더부(141)를 각각 관통하여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1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41)에는,
    상기 입수관(120)이 통과되는 제1 관통홀(144) 및 상기 배수관(130)이 통과되는 제2 관통홀(14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41)에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1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46)에는,
    와류 부재(150)가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부재(150)는,
    상기 통공(146)에 끼워 맞춤되고,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끼움부 홀(152)이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끼움부(151);
    일측이 상기 끼움부(15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타측이 상기 끼움부(15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내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부(154)가 형성되는 나팔관(153);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151)와 상기 나팔관(153)은 상호 간에 이격되되, 상기 나팔관(153)의 타측이 상기 끼움부 홀(152)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KR1020160075399A 2016-06-17 2016-06-17 자화수 생성 장치 Abandoned KR20170142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399A KR20170142252A (ko) 2016-06-17 2016-06-17 자화수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399A KR20170142252A (ko) 2016-06-17 2016-06-17 자화수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252A true KR20170142252A (ko) 2017-12-28

Family

ID=6093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399A Abandoned KR20170142252A (ko) 2016-06-17 2016-06-17 자화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2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839A (ko) 2020-04-14 2021-10-25 지니스(주) 수도계량기용 자화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839A (ko) 2020-04-14 2021-10-25 지니스(주) 수도계량기용 자화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505467A (ja) 水流から汚染物を除去するための電気凝集システム
ATE258080T1 (de) Kavitationsmischer
US7378018B2 (en) Intersecting water conducting filter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20170142252A (ko) 자화수 생성 장치
KR101233914B1 (ko) 자화수를 이용한 배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476726Y1 (ko) 자화 이온수기
KR101635844B1 (ko) 주방용 샤워기
KR100731763B1 (ko) 정수기용 여과기의 물활성화장치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KR101651497B1 (ko) 물 자화 및 필터링장치
KR101267930B1 (ko) 복합 이온미네랄 활성수 제조장치
KR101571776B1 (ko) 자력을 이용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KR101489293B1 (ko) 배관 스케일 방지 장치
KR101825466B1 (ko) 배관의 녹 및 스케일 방지장치
JPH1085757A (ja) 水処理装置
CN204918032U (zh) 水质调节装置
KR100782353B1 (ko) 기능성 자화 활성수 필터
JP3079166U (ja) 水道水活性装置
JPH02303595A (ja) 給水浄化装置
KR200399100Y1 (ko) 교차형 물 도수 필터
JP3421637B2 (ja) 磁気流体処理装置
JP2004344691A (ja) 貴陽石カートリッジ及び貴陽石を用いたイオン水生成装置
KR200214701Y1 (ko) 자연여과방식 생수기의 자화장치
KR20180055108A (ko) 자화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