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252A - 자화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자화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42252A KR20170142252A KR1020160075399A KR20160075399A KR20170142252A KR 20170142252 A KR20170142252 A KR 20170142252A KR 1020160075399 A KR1020160075399 A KR 1020160075399A KR 20160075399 A KR20160075399 A KR 20160075399A KR 20170142252 A KR20170142252 A KR 201701422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le
- body member
- inlet
- magne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3 har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7 pesticide resid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 B01F5/0057—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타측에 형성되며, 입수구와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와 입수구 및 배수구 측에 각각 위치되어 중공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과 가림판을 관통하여 일측이 입수구와 연통되고, 타측이 본체 부재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과 가림판을 관통하여 타측이 배수구와 연통되고, 일측이 본체 부재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과 각각의 가림판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자성체 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자성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에 유입된 물을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화수 생성 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와류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102 : 배수구 103 : 중공
110 : 가림판 111 : 가림판 관통홀
120 : 입수관 130 : 배수관
140 : 자성체 부재 141 : 홀더부
142 : 자성체 143 : 체결홀
144 : 제1 관통홀 145 : 제2 관통홀
146 : 통공 150 : 와류 부재
151 : 끼움부 152 : 끼움부 홀
153 : 나팔관 154 : 돌기부
Claims (6)
- 유체가 유입되는 입수구(101)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구(102)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구(101)와 상기 배수구(102)를 연통시키는 중공(103)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부재(100);
상기 입수구(101) 및 상기 배수구(102) 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중공(103)에 구획을 형성시키며,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가림판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판(110);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입수구(101)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타측 부분에 위치되는 입수관(120);
상기 가림판(11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배수구(102)와 연통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 부분에 위치되는 배수관(130);
각각의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부재(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부재(140)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43)이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부(141);
일단 및 타단이 한 쌍의 상기 홀더부(141)를 각각 관통하여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1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41)에는,
상기 입수관(120)이 통과되는 제1 관통홀(144) 및 상기 배수관(130)이 통과되는 제2 관통홀(14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41)에는,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1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46)에는,
와류 부재(150)가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부재(150)는,
상기 통공(146)에 끼워 맞춤되고,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끼움부 홀(152)이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끼움부(151);
일측이 상기 끼움부(15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타측이 상기 끼움부(15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내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부(154)가 형성되는 나팔관(153);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151)와 상기 나팔관(153)은 상호 간에 이격되되, 상기 나팔관(153)의 타측이 상기 끼움부 홀(152)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수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5399A KR20170142252A (ko) | 2016-06-17 | 2016-06-17 | 자화수 생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5399A KR20170142252A (ko) | 2016-06-17 | 2016-06-17 | 자화수 생성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2252A true KR20170142252A (ko) | 2017-12-28 |
Family
ID=6093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5399A Abandoned KR20170142252A (ko) | 2016-06-17 | 2016-06-17 | 자화수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4225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7839A (ko) | 2020-04-14 | 2021-10-25 | 지니스(주) | 수도계량기용 자화수기 |
-
2016
- 2016-06-17 KR KR1020160075399A patent/KR20170142252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7839A (ko) | 2020-04-14 | 2021-10-25 | 지니스(주) | 수도계량기용 자화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11505467A (ja) | 水流から汚染物を除去するための電気凝集システム | |
ATE258080T1 (de) | Kavitationsmischer | |
US7378018B2 (en) | Intersecting water conducting filter | |
KR101124463B1 (ko) |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 |
KR20170142252A (ko) | 자화수 생성 장치 | |
KR101233914B1 (ko) | 자화수를 이용한 배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 |
KR200476726Y1 (ko) | 자화 이온수기 | |
KR101635844B1 (ko) | 주방용 샤워기 | |
KR100731763B1 (ko) | 정수기용 여과기의 물활성화장치 | |
KR101510571B1 (ko) | 정수기필터구조 | |
KR101651497B1 (ko) | 물 자화 및 필터링장치 | |
KR101267930B1 (ko) | 복합 이온미네랄 활성수 제조장치 | |
KR101571776B1 (ko) | 자력을 이용하는 스케일 제거장치 | |
KR101489293B1 (ko) | 배관 스케일 방지 장치 | |
KR101825466B1 (ko) | 배관의 녹 및 스케일 방지장치 | |
JPH1085757A (ja) | 水処理装置 | |
CN204918032U (zh) | 水质调节装置 | |
KR100782353B1 (ko) | 기능성 자화 활성수 필터 | |
JP3079166U (ja) | 水道水活性装置 | |
JPH02303595A (ja) | 給水浄化装置 | |
KR200399100Y1 (ko) | 교차형 물 도수 필터 | |
JP3421637B2 (ja) | 磁気流体処理装置 | |
JP2004344691A (ja) | 貴陽石カートリッジ及び貴陽石を用いたイオン水生成装置 | |
KR200214701Y1 (ko) | 자연여과방식 생수기의 자화장치 | |
KR20180055108A (ko) | 자화수 제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