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044A -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 Google Patents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044A
KR20170142044A KR1020160075260A KR20160075260A KR20170142044A KR 20170142044 A KR20170142044 A KR 20170142044A KR 1020160075260 A KR1020160075260 A KR 1020160075260A KR 20160075260 A KR20160075260 A KR 20160075260A KR 20170142044 A KR20170142044 A KR 2017014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layer
water hose
fabric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8146B1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국전자
Priority to KR102016007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146B1/en
Publication of KR2017014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 water blanket easily folded 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blanket comprises an upper layer (10) and a lower layer (20). The upper layer (10) comprises: an outer fabric (12) having an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 sponge layer (14)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outer fabric (12); and an inner fabric (16)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sponge layer (14). The lower layer (20) comprises: an outer fabric (22) having a low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 sponge layer (24)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outer fabric (22); and an inner fabric (26)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sponge layer (24). Moreover, a hot water hose (3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abric (16) and the inner fabric (26) of the lower layer (20). A plurality of upper layers (10) and a plurality of lower layers (20) are bonded by a first sewing line (40) and a second sewing line (50), which are alternately formed, and the hot water hose (30)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sewing line (40) and the second sewing line (50) while forming a zigzag-shape. The hot water hose (30) is supported by being bent with each one end of the first sewing line and the second sewing line as support points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wing line and the second sewing line is formed to be further extend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Description

온수요{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온수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충분한 난방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편리하게 접을 수 있고 경량이어서 보관 및 이동, 그리고 관리가 편리한 온수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n-demand, and more particularly, to on-demand which can provide sufficient heating by using circulating hot water, and which is conveniently foldable and lightweight, and which is easy to store, move, and manage.

일반적으로 '요'라고 함은 사람이 누울 때 방바닥에 까는 침구의 한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는 우리나라의 온돌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침구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온돌과 유사한 난방을 수행하는 온수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yo' is one kind of bedding placed on the floor when a person lays down. This is a bedding closely related to Korean ondol culture. Recently, hot water mat which performs heating similar to ondol heating by circulating hot water is widely used.

그러나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온수매트는 온수 파이프를 내장시켜야 하고, 이렇게 내장된 온수 파이프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견고한 구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중량이 무겁고 원하는 형태로 접는 것이 아주 불편한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 외에도 실질적으로 세탁도 쉽지 않은 사용 상의 단점도 불가피한 실정이다.However, most of the hot water mats currently on the market have a built-in hot water pipe, and a built-in solid structure is generally installed in order to keep the built hot water pip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fore, it is a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is heavy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fold in a desired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it is inevitable that there are disadvantages in use that are not easy to wash practicall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 매트의 단점을 감안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쉽게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 등이 아주 편리한 온수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hot water mat, and aims to provide hot water which can be easily folded while being lightweight and is very convenient to store and m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되는 온수 호스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온수요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demand which is constructed to more firmly support a built-in hot water h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으로 구성될 수 있음과 같이 세탁도 쉽게 할 수 있는 온수요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on-demand which can be constructed in a light weight and can be easily wash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은, 상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과, 상기 외측원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 상기 스폰지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층은, 저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 상기 외측원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 상기 스폰지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온수 호스는 상부층의 내측원단과 하부층의 내측원단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층과 하부층은 각각 다수이고 교대로 형성되는 제1봉재선과 제2봉재선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봉재선과 제2봉재선 사이에 온수 호스가 지그재그 배열된다. 그리고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일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온수 호스가 벤딩되어 지지되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타단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더 연장 성형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ayer comprises an outer fabric having an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 sponge layer formed under the outer fabric, and an inner fabric formed under the sponge layer. The lower layer includes an outer fabric having a bottom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 sponge layer formed on the outer fabric, and an inner fabric formed on the sponge layer. And the hot water hose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abric of the upper layer and the inner fabric of the lower layer. Here,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joined by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ar lines respectively formed alternately, and a hot water hose is stagge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r lines. The hot water hose is bent and supported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ar lines,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r lines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은, 그 사이에 삽입된 온수 호스에 대하여 근접한 근접부분과 이격된 이격부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bar lines are preferably formed in a staggered shape in which a proximate portion adjacent to the hot water hose inserted therebetween and a spaced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ntinuously repeat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과 하부층이 다수의 봉제선에 의하여 한번에 일체화되고 있으며, 그 사이에 온수 호스가 개재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온수 호스는 봉재선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간단한 봉재과정 및 봉재선을 통하여, 온수 호스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부층과 하부층 자체가 부드러운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는 등의 편리함이 있음도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integrated at one time by a plurality of sewing lines, and a hot water hose 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se hot water hoses are supported to maintain the position determined by the seal lin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onvenience that the hot water hose can b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simple bar process and the sewing line as a whole. Also, since the upper and lower layers themselves are formed of a soft material,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re is convenience such as folding in a desired shape.

그리고 봉재선 자체도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그 사이에 배치되는 온수 호스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온수 호스는,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삽입되는데,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작은 내측원단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온수 호스의 조립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support the hot water hose disposed therebetween by basically having the zigzag shape of the wire itself. Further, the hot water hos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loths having relatively small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assembling work of the hot water hose is expected to proce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온수요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수요의 단면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on-dem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of the on dem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 매트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서 온수 호스(30)가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부층(10)과 하부층(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경량이면서도 원하는 형태로 쉽게 접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1 and 2, the hot wat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hot water hose 30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between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 Since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 soft and soft material as described later, they are lightweight and easily folded into a desired shape.

상부층(10)은, 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원단(12)과, 이러한 외측원단(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14), 그리고 스폰지층(14)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16)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층(20)도 상부층(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데,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원단(22)과, 외측원단(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24), 그리고 스폰지층(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26)을 포함하고 있다. The upper layer 10 includes an outer fabric 12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yaw, a sponge layer 14 formed below the outer fabric 12 and an inner fabric (16). The lower layer 20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layer 10 and includes an outer fabric 22 forming the outer surface, a sponge layer 24 formed on the outer fabric 22, and a sponge layer 24 And an inner fabric 26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fabric 26.

여기서 각각의 외측원단(12,22)은 실질적으로 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원단으로, 상부층의 외측원단(12)은 요의 상면을 형성하고, 하부층(20)의 외측원단(22)은 요의 저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폰지층(14,24)은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폰지층(14,24)의 내측(온수 호스 측)에서 접촉하는 상태로 제공되는 내측원단(16,26)은, 실질적으로 온수 호스(30)의 원활한 삽입 및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층이다. Wherein the outer fabric 12 of the upper layer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yaw and the outer fabric 22 of the lower layer 20 is the outer fabric of the lower layer 20, As shown in FIG. And each sponge layer 14,24 can be said to be a layer made to provide a cushioning function. The inner fabrics 16 and 26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hot water hose side) of the sponge layers 14 and 24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hot water hose 30 can be smoothly inserted and maintained in its original position It is the layer provided for.

이러한 내측원단(16,26)은, 마찰력이 아주 낮은 재질의 원단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내측원단(16,26)이 없다고 가정하면, 온수 호스(30)는 스폰지층(14,24) 사이로 삽입되어야 하는데, 스폰지는 마찰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온수 호스(30)가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 아주 어렵다. 따라서 각각의 스폰지층(14,24)의 내측에 내측원단(16,26)을 제공함으로써, 온수 호스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It is desirable that these inner fabrics 16 and 26 are formed into a fabric having a very low frictional forc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is no inner fabric 16, 26, the hot water hose 30 must be inserted between the sponge layers 14, 24, because the sponge is too large in frictional force to allow the hot water hose 30 to be inserted smoothly It is very difficult. Thus, the inner threads 16 and 26 are provided inside the respective sponge layers 14 and 24 so that the hot water hose can be inserted smoothly.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는 온수 호스(30)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온수 매트(30)는 봉재선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온수 호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온수 매트의 내부에 일정한 형상의 홈을 성형하는 등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더욱이 전체적으로 유연하지 못한 단점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A hot water hose 30 must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hot water mat 30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sealing line. The conventional hot water hos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forming a constant shape groove i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mat to support the hot water hose, and further, it is not flexible as a whol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 온수 호스(30)를 배치하고, 이러한 온수호스(30)의 위치 유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봉재선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스폰지층(14,24)을 포함하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자체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특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되어, 원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경량의 온수요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hose (3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and the position of the hot water hose (30) is maintained by the following sealing line. Accordingly,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including the sponge layers 14 and 24 themselves can take advantage of the soft and soft characteristics, so that they can be folded into a desired shape and provide lightweight on-demand It will b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호스(3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봉재선은, 제1봉재선(40)과 제2봉제선(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봉재선(40)과 제2봉제선(50)은 서로 동일한 간격(도면 상 좌우 간격)을 가지고 있으나, 그 시점 및 종점이 상이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ealing line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hot water hose 30 is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sewing lines 40 and 50. Here, the first and second sewing lines 40 and 50 have the same interval (left and right intervals in the figure), but have different positions at the start and end points.

제1봉재선(40) 및 제2봉제선(50)의 시점 및 종점의 위치를, 지그재그 배열되는 온수 호스(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봉재선(40,50)의 시점 및 종점은 실질적으로 퀼팅장치가 봉재를 시작하고 끝내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도 1을 기준으로 각 봉재선(40,50)의 상단과 하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1봉재선(40)의 상단(41)은 온수 호스(30)의 상부의 벤딩부분(32) 보다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상대적으로 위에서부터 봉재가 시작되는 것을 의미함), 제1봉재선(40)의 하단(42)은 온수 호스(30)의 하부의 벤딩부분(34)의 지지부분이 된다. 즉, 제1봉재선(40)의 하단(42)은 온수 호스(30)의 하부의 벤딩부분(34)과 거의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The positions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sewing lines 40 and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hot water hose 30 arranged in a zigzag manner. Here,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ewing lines 40 and 50 mean substantially the point where the quilting apparatus starts and ends the sew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spective sewing lines 40 and 50 It can be said that. The upper end 41 of the first bar harness 40 is positioned relatively above the bending portion 32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hose 30 Is a supporting portion of the lower bending portion 34 of the hot water hose 30. [ That is, the lower end 42 of the first bar harness 40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lower bent portion 34 of the hot water hose 30.

그리고 제2봉재선(5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로 성형되는 제1봉재선(40)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고, 상단(51)(실제 봉재의 시작점)은 상부의 벤딩부분(32)과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면서 상부 벤딩부분(32)의 지지점이 된다. 그리고 제2봉재선(50)의 하단(52)은 온수 호스(34)의 하부의 벤딩부분(34)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까지 성형되고 있다. The upper end 51 (the starting point of the actual bar stock) is made to coincide with the upper bending portion 32, and the upper end 51 And becomes a supporting point of the upper bending portion 32. [ And the lower end 52 of the second bar 50 is formed to a lower portion relative to the lower bending portion 34 of the hot water hose 34. [

이상과 같은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의 배열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호스(30)의 시작부분(36)이 하부에서 상부로 시작하고 온수호스의 끝 부분(38)이 시작부분(36)과 동일한 위치를 가진다고 하면, 온수호스(30)의 상부의 벤딩부분(32)은 제2봉재선(50)의 상단(5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벤딩된다. 그리고 온수 호스(30)의 하부의 벤딩부분(34)은, 제1봉재선(40)의 하단(42)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벤딩된다.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r harnesses 40 and 50 as described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f the start portion 36 of the hot water hose 30 start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end portion 38 of the hot water hose has the same position as the start portion 36 as shown in the figure, The bending portion 32 of the second wire 50 is ben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upper end 51 of the second bar 50. The bending portion 34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hose 30 is ben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ower end 42 of the first seal wire 40.

그리고 제1봉재선(40)의 상단(41)은 제2봉재선(50)의 상단(51) 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부까지 연장 성형되어 있고, 제2봉재선(50)의 하단(52)은 제1봉재선(40)의 하단(42) 보다 더 하방까지 연장 성형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부층(10)과 하부층(20)의 봉재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은, 서로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고, 모든 봉재선 중에서 내측단부[상부에 있어서는 밑에 있는 단부(51)를, 그리고 하부에 있어서는 위에 있는 단부(42)를 의미함]를 온수 호스(30)의 벤딩 시 지지점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upper end 41 of the first bar code line 40 is exte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end 51 of the second bar code line 50 and the lower end 52 of the second bar code line 50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are formed so as to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ends 42 of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ar harnesses 40 and 5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and an inner end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51) And an upper end portion 42 at the lower portion) is used as a fulcrum when the hot water hose 30 is bent.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봉재선(40,50)은 상부층(10)과 하부층(20)을 동시에 봉제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기 요에 있어서는 발열선은 매쉬형태의 원단이 부착된 하부층에 일단 고정시키고, 상부층도 별도의 봉제를 통하여 1차 가공된 후, 상부층과 하부층을 다시 봉제함으로 인하여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을 같이 봉제함으로써, 퀼팅 처리 시 공정을 단순화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The sewing lines 40 and 50 described above sew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at the same time.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ovens, the heating line is once fixed to the lower layer having the mesh-shaped fabric, and the upper layer is also processed through the separate sewing,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sewed agai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are sewn together to simplify the quilting process.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봉재선(40,50)은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온수 호스(30)를 기준으로 할 때, 온수 호스(30)에 더 근접한 근접부분(46,56)과 온수 호스(30)에서 떨어진 이격부분(48,58)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태의 봉재선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한 지점의 온수 호스(30)에 근접한 근접부분(46,56)은 인접한 온수 호스(30)에서는 이격부분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bove-described bar harnesses 40 and 50 are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but in a zigzag form. That is, when the hot water hose 30 described above is used as a reference, the adjacent portions 46, 56 closer to the hot water hose 30 and the spaced portions 48, 58 apart from the hot water hose 30 are continuously repeated It has the shape of a seal line.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adjacent portions 46, 56 adjacent to the hot water hose 30 at one point are represented as the separated portions in the adjacent hot water hose 30. [

이와 같이 봉재선(40,50) 자체를, 온수 호스(30)에 대하여 근접부분과 이격부분이 연속하여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온수 호스(30)의 지지에서도 유리함은 당연하고 시각적으로도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근접부분은 온수 호스(30)에 더욱 근접한 상태이기 때문에 온수 호스(30)가 정해진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고, 이격부분은 실질적으로 인접한 온수 호스에 대하여 근접부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일자형의 봉재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봉재선(30)은, 온수 호스(30)의 지지와 시각적 심미감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함을 알 수 있다. By thus treating the seal lines 40, 50 themselves in a zigzag shape in which the adjacent portion and the spaced portion are continuously repeated with respect to the hot water hose 30, it is advantageous also in the support of the hot water hose 30, It is possible to expect an advantage of creating a feeling. For example, since the adjacent portion is closer to the hot water hose 30, the hot water hose 30 is supported so as to more firmly mainta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paced portion acts as an adjacent portion to the substantially adjacent hot water hose 30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ealing line 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upport of the hot water hose 30 and the visual aesthetics compared to the straight type sealing line.

그리고 상기 온수 호스(30)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을 서로 연결하는 봉재선(40,50)의 형성이 완료된 후, 각 봉재선(40,50)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수 호스(30)의 배치가 완료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는 테두리 부분의 마감 봉제처리(웨빙)가 완료되면, 실질적으로 온수요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온수 호스(30)를 발연선으로 대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The hot water hose 30 is inserted between the respective sealing lines 40 and 50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aling lines 40 and 50 connecting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to each other, The placement of the hot water hose 30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in FIG. 1, when the finish sewing (webbing) of the rim portion is completed between the upper layer 10 and the lower layer 20,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bstantially on-demand is completed.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conceivable to replace the hot water hose 30 with a stranded wir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고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온수요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light demand and easy folding are constituted by on dem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 상부층
12, 22 ..... 외측원단
14, 24 ..... 스폰지층
16, 26 ..... 내측원단
20 ..... 하부층
30 ..... 온수 호스
40 ..... 제1봉제선
50 ..... 제2봉제선
10 ..... upper layer
12, 22 ..... outer fabric
14, 24 ..... sponge layer
16, 26 ..... inner fabric
20 ..... lower layer
30 ..... Hot water hose
40 ..... 1st sewing line
50 ..... 2nd sewing line

Claims (2)

상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12)과, 상기 외측원단(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14), 상기 스폰지층(14)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16)으로 구성되는 상부층(10)과;
저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22), 상기 외측원단(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24), 상기 스폰지층(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26)으로 구성되는 하부층(20); 그리고
상기 상부층(10)의 내측원단(16)과 하부층(20)의 내측원단(26) 사이에 배치되는 온수 호스(3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층(10)과 하부층(20)은 각각 다수이고 교대로 형성되는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 사이에 온수 호스(30)가 지그재그 배열되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일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온수 호스(30)가 벤딩되어 지지되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타단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더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요.
And a sponge layer 14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fabric 12 and an inner fabric 16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ponge layer 14. The outer fabric 12 has an upper surface 12 exposed to the outside, (10);
A lower layer 22 consisting of an outer fabric 22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a sponge layer 24 formed on the outer fabric 22, and an inner fabric 26 formed on the sponge layer 24 20); And
A hot water hose 30 disposed between the inner fabric 16 of the upper layer 10 and the inner fabric 26 of the lower layer 20;
The upper and lower layers 10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alternately formed first and second bar lines 40 and 50 and the first bar line 40 and the second bar line 50, The hot water hoses 30 are arranged in a zigzag arrangement;
The hot water hose (30) is bent and supported with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ar lines as support points,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r lines extend to the upper or low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은, 그 사이에 삽입된 온수 호스(30)에 대하여 근접한 근접부분과 이격된 이격부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이루어지는 온수요.

2. The hot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ar stitching lines are staggered in such a manner that a close proximity to the hot water hose (30) inserted therebetween and a spaced apart spaced portion are continuously repeated.

KR1020160075260A 2016-06-16 2016-06-16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KR1018481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60A KR101848146B1 (en) 2016-06-16 2016-06-16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60A KR101848146B1 (en) 2016-06-16 2016-06-16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44A true KR20170142044A (en) 2017-12-27
KR101848146B1 KR101848146B1 (en) 2018-04-11

Family

ID=6093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60A KR101848146B1 (en) 2016-06-16 2016-06-16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1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550B1 (en) * 2019-01-10 2020-12-02 이홍석 Pipe layout of washable hot-water mat and layout method thereof
KR200497226Y1 (en) * 2022-09-19 2023-09-04 주식회사 네오코스텍 Near-infrared mat using IR 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146B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156B2 (en) Side cover apparatus for electric mat
US7232184B2 (en) Seat sock
CN102497795A (en) Functional seat cover
US20050235420A1 (en) Bedding hem with associated interlining
KR200477127Y1 (en) Electric mat where heating wire is easily installed
KR101848146B1 (en) A blanket having hot water heating device
JPH0231469B2 (en)
JPH08107985A (en) Combined fur textile and its manufacture
KR10094642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xtile goods with tassel and textile goods thereof
CN103349371A (en) Carbon fiber heating part for heating cloth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020926B2 (en) Lower bedding sheets
RU2537825C1 (en) Upper slash pocket with off-set welt for decorative neckerchief with position regulator
US10542825B1 (en) Multi-zone mattress
EP3351231B1 (en) Sliding sheet
JP6879696B2 (en) Electric heating mat
US10040380B2 (en) Seat cover for vehicle seat
KR200446838Y1 (en) Sewing construction of textile fabrics
CN205688126U (en) Mat
CN209152443U (en) The adjusting back buckle of pro-skin brassiere
KR101047864B1 (en) Fabric Connection and Connection Method
JP3113571U (en) Waterproof sheets
CN208630416U (en) A kind of anti-accumulation ornamental strip of high intensity
JP3139899U (en) Foot wipe mat
JPH072310Y2 (en) Mat for fixing loads
RU2297167C1 (en) Method for producing of ornamental three-dimensional "top" effects on sewing clo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