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102A -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102A
KR20170140102A KR1020170072687A KR20170072687A KR20170140102A KR 20170140102 A KR20170140102 A KR 20170140102A KR 1020170072687 A KR1020170072687 A KR 1020170072687A KR 20170072687 A KR20170072687 A KR 20170072687A KR 20170140102 A KR20170140102 A KR 2017014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binder
present
copolymer resin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370B1 (ko
Inventor
송동민
이명
유다영
임지원
노상현
김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17014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other than embo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5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8Thermoform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6Fibres; Fibrils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기계적 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밀도를 유지하면서도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기 때문에 생활 자재 또는 산업 자재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A MOLDED OBJ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 섬유 구조의 성형체는 일회용 기저귀 등의 위생 또는 의료 용도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생활 자재에서부터 산업 자재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직 섬유 구조의 성형체는 니들 펀치, 열풍 서벌 본드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유연성 및 경량성을 가지게 되지만, 경도가 낮기 때문에 생활 자재에서부터 산업 자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경도를 부여하여, 금속에 가까운 구조 강성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부직 섬유 구조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이러한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섬유에 바인더를 혼합한 후, 고온의 수증기를 분사하여 접착하거나, 용액상에 함침시키는 등의 습식 공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공정에 의해 제조된 성형체의 경우, 밀도가 낮고, 굴곡강도,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단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온에서 사용하는 생활 자재나 산업 자재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성형체를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서는, 성형체 내에 침투하는 수분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성형체가 가지고 있는 물성, 예를 들어 굴곡강도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성형체 내에 다량의 수분이 흡수되어 경량화 효과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27692호,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습식 공정이 아닌 건식 공정에서, 비흡습성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밀도가 높으면서도 단열성이 뛰어난 성형체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이며 단열성이 뛰어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곡 강도나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이 높고, 장기간 사용에 의하더라도 수분 흡수에 따른 중량 변화가 적고, 굴곡 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변화가 적은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구조의 성형체로서, 상기 바인더는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바인더에 의하여 융착되고, 상기 성형체 내에는 자연 기공이 포함되고, 상기 성형체는 겉보기 밀도가 0.5~0.8g/cm3이며, 열전도도 (TC: Thermal Conductivity)와 겉보기 밀도(AD: Apparent Density)가, AD/TC ≥ 8의 관계 (상기 식에서 열전도도의 단위는 W/m·K이고, 겉보기 밀도의 단위는 g/cm3임)를 만족하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열전도도가 0.03 내지 0.075 W/m·K 일 수 있다.
상기 성형체는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가 20 MPa 이상이고,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가 50 내지 80 MPa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체는 굴곡강성(Flexural Modulus)이 1.0~1.5 GPa이고, 인장 강성 (Tension Stiffness)이 1.0~1.8 GPa의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체는 인장 신율 (Tensile Elongation )이 10~30%의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체는 박리강도가 150~200 N의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는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항온/항습 후 중량 변화율이 0.1% 미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녹는점이 160℃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코어부(core part); 및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인 시스부(sheath part);를 포함하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type) 이성분(bicomponent)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체는 5 내지 7 mm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체는, 가전용 구조재; 건축용 내외장 보드; 자동차 내외장재; 기차, 선박, 항공기용 내외장재; 칸막이용 보드; 또는 엘레베이터 구조재;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고밀도이며 단열성이 뛰어나며, 굴곡 강도나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이 높고, 장기간 사용에 의하더라도 수분 흡수에 따른 중량 변화가 적고, 굴곡 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변화가 적어, 가전용 구조재 (TV백커버, 세탁기용 보드 등), 건축용 내외장 보드, 자동차 내외장재, 기차/선박/항공기용 내외장재, 각종 칸막이용 보드, 엘레베이터 구조재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를 FE-SEM(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성형체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구조의 성형체로서, 상기 바인더는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바인더에 의하여 융착되고, 상기 성형체 내에는 자연 기공이 포함되고, 상기 성형체는 겉보기 밀도가 0.5~0.8g/cm3이며, 열전도도 (TC: Thermal Conductivity)와 겉보기 밀도(AD: Apparent Density)가, AD/TC ≥ 8의 관계 (상기 식에서 열전도도의 단위는 W/m·K이고, 겉보기 밀도의 단위는 g/cm3임)를 만족하는, 성형체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흡습성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고 습식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성형체의 경우, 밀도가 낮고, 굴곡강도,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단열성이 떨어지질 뿐만 아니라, 제조된 성형체의 굴곡강도나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고 건식공정에 의하여 성형체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된 성형체의 굴곡강도나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각종 물성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생활 자재나 산업 자재 등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성형체를 제조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섬유가 서로 엉켜 있는 부직 섬유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형체 내에 자연 기공이 포함되어, 통기성이 양호해지고, 경량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섬유들이 서로 엉키면서 형성된 자연 기공을 가지기 때문에, 발포제와 같은 첨가제에 의해 인위적으로 기공을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발포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평균 길이는 5~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의 평균 길이가 5mm 미만인 경우, 섬유의 길이가 짧아 연신율이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100mm를 초과하는 경우, 서로 엉클어지는 섬유의 함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성형체의 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100mm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체의 제조 시, 섬유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성형체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포함되는 바인더는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흡수성 공중합 수지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수지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성형체를 기준으로,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방치한 후의 성형체의 중량 변화율(즉 수분량의 증가율)이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형체에 포함되는 PET 섬유의 흡습도가 0.05% 미만이라는 점에서, 성형체의 중량 변화율이 0.05%를 넘는다는 것은, 성형체 내의 또 다른 구성인 바인더에 의하여 흡수되는 수분의 양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흡수성 공중합 수지란, 최종 제조된 성형체를 기준으로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방치한 후의 성형체의 중량 변화율(즉 수분량의 증가율)이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미만인 정도로 낮은 흡수율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로는, 폴리 에스테르계 섬유와, 결정성이 강하고 탄성이 우수한 디올계 단량체와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산성분을 함께 공중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상기 흡수율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디올계 단량체로는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산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세바신산, 숙신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는 비흡습성 수지인 바인더에 의하여 융착되고, 상기 바인더는 녹는점이 16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겉보기 밀도가 0.5~0.8g/cm3이다. 상기 밀도 범위를 만족하기 때문에 생활 자재나 산업 자재 등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가 20 MPa 이상이고,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가 50 내지 80 MPa으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상기 성형체의 굴곡강도는 ASTM D790의 기준으로 측정되고, 상기 성형체의 인장강도는 ASTM D638의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굴곡강성(Flexural Modulus)이 1.0~1.5 GPa이고, 인장 강성 (Tension Stiffness)이 1.0~1.8 GPa의 범위로 우수한 기계적 강성을 가진다. 상기 성형체의 굴곡강성은 ASTM D790의 기준으로 측정되고, 상기 성형체의 인장 강성은 ASTM D638의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인장 신율 (Tensile Elongation )이 10~30%의 범위이고, 박리강도가 150~200 N의 범위로, 외부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성형체의 인장 신율은 ASTM D638의 기준으로 측정되고, 상기 성형체의 박리강도는 KSF 4737의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열전도도가 0.03 내지 0.075 W/m·K 일 수 있다. 상기 성형체는 상기와 같이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단열성이 높아진다. 다만, 종래의 성형체 역시 열전도도를 낮추기 위하여, 성형체의 겉보기 밀도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겉보기 밀도를 낮추게 되면, 굴곡 강도, 인장 강도, 굴곡강성, 인장강성 및 인장 신율 등의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성형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열전도도 (TC: Thermal Conductivity)와 겉보기 밀도(AD: Apparent Density)가, AD/TC ≥ 8의 관계 (상기 식에서 열전도도의 단위는 W/m·K이고, 겉보기 밀도의 단위는 g/cm3임)를 만족한다.
종래 습식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성형체의 경우, 부직 섬유의 특징 상 많은 섬유들이 엉켜 있는 관계로, 열에너지는 가지고 있는 수증기가 성형체의 내부에까지 충분하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성형체의 외부 표면과 내부의 중심부 간에 균일한 융착이 되지 않아,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충분한 열차단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습식 공정이 아닌 건식 공정에서 비흡습성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성형체 전체의 균일한 융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열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겉보기 밀도가 높으면서도, 충분한 열차단 효과를 가지게 되며, 생활 자재나 산업 자재 등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굴곡 강도, 인장 강도, 굴곡강성, 인장강성 및 인장 신율 등)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는, 상기와 같은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기 때문에, 가전용 구조재(TV백커버, 세탁기용 보드 등), 건축용 내외장 보드, 자동차 내외장재, 기차/선박/항공기용 내외장재(칸막기등의 보드), 각종 칸막이용 보드, 엘레베이터 구조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type) 이성분(bicomponent)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코어부(core part); 및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인 시스부(sheath part);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단계에서 투입되었던 것이 시스부의 수지가 융해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기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 중 코어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 중 시스부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포함되는 바인더와 동일한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흡수성 공중합 수지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수지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성형체를 기준으로,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방치한 후의 성형체의 중량 변화율(즉 수분량의 증가율)이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형체에 포함되는 PET 섬유의 흡습도가 0.05% 미만이라는 점에서, 성형체의 중량 변화율이 0.05%를 넘는다는 것은, 성형체 내의 또 다른 구성인 바인더에 의하여 흡수되는 수분의 양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흡수성 공중합 수지란, 최종 제조된 성형체를 기준으로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방치한 후의 성형체의 중량 변화율(즉 수분량의 증가율)이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미만인 정도로 낮은 흡수율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비흡성 공중합 수지로는, 폴리 에스테르계 섬유를 결정성이 강하고 탄성이 우수한 디올계 단량체와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산성분을 함께 공중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상기 흡수율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디올계 단량체로는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산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세바신산, 숙신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는 상기 코어부의 성분과 시스부의 성분을 사용하여 용융방사하고 연신하여 제조한다.
또한 상기 비흡습성 수지를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의 시스성분으로 사용하면 굴곡강도 및 인장강도가 향상되고, 건식공정으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어 고밀도의 성형체를 제조하기에 용이해진다. 또한, 대형 화물의 포장재 등에 이용하면 고온 다습의 분위기 하에서도 물성과 형태유지성이 양호하여 부직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는, 유리섬유, 탄소 섬유, 고분자 섬유 등과 같은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롬계 유기 난연제 등과 같은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충격보강제, 열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성형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a) (A)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B)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코어부(core part)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인 시스부(sheath part)를 포함하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type) 이성분(bicomponent) 섬유를 혼합한 후, 가열 및 가압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부직포를 복수의 언와인딩 장치에 장착한 후, 가열 프레스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가열 프레스로 이동된 복수의 부직포를 170 내지 210℃의 온도조건 및 1 내지 10 MPa의 압력조건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a) 단계에서는, (A)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B)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코어부(core part)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인 시스부(sheath part)를 포함하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type) 이성분(bicomponent) 섬유를 혼합한 후, 가열 및 가압하여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 a) 단계에서, (A)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B)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를 1:99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미달하는 경우에는 섬유간의 융착이 충분하지 않아 부직포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상의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례로는 혼합된 섬유들을 롤러 카딩기 등으로 카딩한 후, 가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160 내지 210℃의 온도로 5 초 내지 30초간 열접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b) 단계에서는, 상기 제조된 부직포를 복수의 언와인딩 장치에 장착한 후, 가열 프레스로 이동시킨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제조된 부직포 2 내지 10장을 개수에 맞게 복수의 언와인딩 장치에 장착한 후, 성형체 제조를 위한 가열 프레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언와인딩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부직포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하나의 언와인딩 장치에 권취되는 부직포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속적인 공정 중에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부직포 사이를 이어주기 위한 연폭기의 사용 횟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c) 단계에서는, 상기 가열 프레스로 이동된 복수의 부직포를 170 내지 210℃의 온도조건 및 1 내지 10 MPa의 압력조건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성형체를 제조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사용되는 가열 프레스는, 통상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인 일례로 더블 벨트 프레스(Double Belt Pres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되는 성형체는 0.1 내지 10 mm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두께가 10mm를 초과하게 되면 성형체를 굽히거나 딥 드로잉(deep drawing) 성형시에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조된 성형체의 물성은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성형체의 물성과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d) 160 내지 210℃의 온도 조건에서 3 내지 10분간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예열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되면, 부직포 내의 시스-코어형 이성분 섬유의 시스부의 비흡수성 공중합체 수지에 열에너지가 미리 가해지기 때문에, c) 단계의 가열 및 가압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열전도도 (TC: Thermal Conductivity)와 겉보기 밀도(AD: Apparent Density)가, AD/TC ≥ 8의 관계 (상기 식에서 열전도도의 단위는 W/m·K이고, 겉보기 밀도의 단위는 g/cm3임)를 만족하는 성형체는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겉보기 밀도가 높으면서도, 충분한 열차단 효과를 가지게 되며, 생활 자재나 산업 자재 등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굴곡 강도, 인장 강도, 굴곡강성, 인장강성 및 인장 신율 등)를 가질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
본 발명은 상기 성형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로 구성되는 코어층(10); 상기 코어층의 일면 이상에 적층된 스킨층(20); 및 상기 코어층과 스킨층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코어층(10)은,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체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0.1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두께가 10mm를 초과하게 되면 샌드위치 패널을 굽히거나 딥 드로잉(deep drawing) 성형시에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스킨층(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강(SUS), 마그네슘 및 전기아연도금강판(EGI)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우수한 성형성 및 굴곡강성을 가지기 위해, 전기아연도금강판(EGI)을 포함하는 스킨층(20)을 샌드위치 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화를 가지기 위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스킨층(20)을 샌드위치 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20)의 두께는 0.1~0.5mm 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0.1mm 미만이면 스킨층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0.5mm를 초과하면 샌드위치 패널의 경량화 효과가 감소되며, 원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접착층은 상기 코어층(10)과 스킨층(20) 사이에 도포되어, 코어층(10)과 스킨층(20)를 접착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층은 점도를 고려하여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코어층(10)과 스킨층(20)을 적층한 후, 경화시켜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경화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코어층(10)으로 파고 들어가면서, 코어층(10)을 이루는 성분들과의 화학적 결합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에 의해 스킨층(20)과 코어층(10)의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학적 결합은 접착제가 코어층의 상부면, 하부면과의 공유 결합, 수소결합, 반데르발스 결합, 이온 결합 등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계적 결합은 접착제가 코어층에 스며들어가면서 고리가 서로 걸려 있는 것처럼 물리적으로 걸려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를 Mechanical interlocking이라고도 한다.
상기 접착층을 이루는 접착제는 올레핀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및 에폭시계 접착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접착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비정질 폴리알파올레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접착제는 우레탄 구조(-NH-CO-O-)를 포함하는 접착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접착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접착제, 히드록시기 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카르복시기 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접착제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접착제, 비스페놀-F형 에폭시 접착제, 노볼락 에폭시 접착제, 선형 지방족 에폭시 접착제 (Linear aliphatic epoxy resins) 및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접착제(cycloaliphatic epoxy resins)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광경화성 접착제,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광경화 방법 및 열경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층, 코어층, 접착제가 포함된 적층물을 열경화시킴으로써,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 온도인 50~110℃에서 대략 5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상온에서도 대략 1~10시간 동안 경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층은 대략 20~300㎛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층을 상기 스킨층(30)의 일면에 도포하는 방법은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은 일례로 상기 스킨층(20), 코어층(10), 스킨층(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데, 적층 단계 이후, 경화 및 압착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은 기계적 물성이 좋은 성형체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뿐만 아니라 성형성도 우수하다. 또한, 고밀도이며 굴곡 강도나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이 높고, 장기간 사용에 의하더라도 수분 흡수에 따른 중량 변화가 적고, 굴곡 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변화가 적어, 가전용 구조재(TV백커버, 세탁기용 보드 등), 건축용 내외장 보드, 자동차 내외장재, 기차/선박/항공기용 내외장재(칸막기등의 보드), 각종 칸막이용 보드, 엘레베이터 구조재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1) 성형체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도레이 케미칼社, RPF, 섬도 4데니어, 섬유 길이 51㎜)와 시스부가 비흡습성 수지인 시스-코어형 PET 섬유(도레이 케미칼社, EZBON-L, 섬도 4데니어, 시스부 녹는점 164℃, 섬유 길이 64 ㎜)를 준비한 후, 이들을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섬유를 롤러 카딩기로 카딩하고 가열프레스를 사용하여 190℃의 온도에서 10초간 열접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부직포를 6개의 언와인딩 장치에 장착한 후, 6장의 부직포를 챔버 내 온도가 180℃인 예열 챔버에 진입시킨 후 3분간 예열시켰다.
이후 상기 부직포를 5 m/분의 속도로 더블 벨트 프레스(double Belt Press)에 이송시켰다. 이 때 더블 벨트 프레스의 가열온도는 180℃, 압력은 5MPa이었으며, 2분간 가열/가압처리를 하여 5.5 ㎜ 두께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시스부가 비흡습성 수지인 시스-코어형 PET 섬유(도레이 케미칼社, EZBON-L, 섬도 4데니어, 시스부 녹는점 110℃, 섬유 길이 64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도레이 케미칼社, RPF, 섬도 4데니어, 섬유 길이 51㎜)를 롤러 카딩기로 카딩하고 가열프레스를 사용하여 190℃의 온도에서 10초간 열접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부직포를 7장 준비한 후, 각 부직포의 사이에 흡습성 공중합체인 폴리에틸렌 필름을 위치시킨 후, 부직포를 5 m/분의 속도로 더블 벨트 프레스(double Belt Press)에 이송시켰다. 이 때 더블 벨트 프레스의 가열온도는 110℃, 압력은 5MPa이었으며, 2분간 가열/가압처리를 하여 5.5 ㎜ 두께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도레이 케미칼社, RPF, 섬도 4데니어, 섬유 길이 51㎜)에 유리섬유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로울러 카딩기로 카딩하여 카드 웹을 제조한 후, 이 웹을 6장 중첩시킨 후, 증기 분사 노즐이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시켰다. 이 후, 증기 분사 노즐에서 고온 수증기를 카드 웹의 두께 방향으로 분사하고, 웹 두께 조정 롤을 통과시켜 5.5 ㎜ 두께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 성형체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성형체를 시편으로 제작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밀도(g/cm3):
15㎜x15㎜x1㎜ 크기로 제단하여 시편을 마련한 후, 전자식 비중계(VIBRA, DME-220E)를 사용하여, 밀도를 측정하였다.
(2) 열전도율(W/m·K)
KS L 9016의 측정조건에 따라 평균 온도 20±5℃에서 열전도율 측정기(EKO제조사, HC-074-200모델명)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MPa) 및 굴곡강성(GPa): ASTM D790에 근거하여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MPa), 인장강성(GPa) 및 인장신율(%): ASTM D638에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
(5) 박리강도(N): KSF 4737에 근거하여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회 2회 1회 2회 1회 2회 1회 2회
두께 5.53 5.52 5.55 5.53 5.54 5.53 5.55 5.54
밀도 0.686 0.667 0.672 0.0672 0.623 0.617 0.631 0.637
열전도율 0.07144 0.06891 0.06448 0.06193 0.09517 0.09811 0.10198 0.09891
AD/TC 9.602 9.679 10.42 10.85 6.546 6.289 6.187 6.440
굴곡강도(MD) 28.95 27.30 26.18 27.43 1.89 2.52 18.56 19.48
굴곡강도(TD) 32.93 33.96 27.56 30.16 2.17 2.69 20.78 22.47
굴곡강성 1.24 1.19 1.01 1.11 0.04 0.12 0.81 0.83
인장강도 110.89 107.68 103.59 106.87 58.03 59.19 150.44 150.54
인장강성 4.76 4.59 4.13 4.22 2.22 2.24 7.81 7.83
인장신율 35.53 34.72 35.12 35.29 21.06 21.55 2.03 2.09
박리강도 172.03 170.25 165.58 168.18 56.44 57.48 78.34 78.5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성형체는 고밀도이면서도 굴곡 강도, 굴곡 강성, 인장 강도, 인장 강성, 인장 신율 및 박리강도의 물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밀도를 유지하면서도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기 때문에, 기계적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뛰어난 열차단 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이에 반하여 흡습성 공중합체를 습식 공정으로 제조한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 고밀도임에도 기계적 강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열차단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구조의 성형체로서,
    상기 바인더는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바인더에 의하여 융착되고,
    상기 성형체 내에는 자연 기공이 포함되고,
    상기 성형체는 겉보기 밀도가 0.5~0.8g/cm3이며, 열전도도 (TC: Thermal Conductivity)와 겉보기 밀도(AD: Apparent Density)가, AD/TC ≥ 8의 관계를 만족하는, 성형체.
    (상기 식에서 열전도도의 단위는 W/m·K이고, 겉보기 밀도의 단위는 g/cm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열전도도가 0.03 내지 0.075 W/m·K인, 성형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가 20 MPa 이상이고,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가 50 내지 80 MPa이고, 굴곡강성(Flexural Modulus)이 1.0~1.5 GPa이고, 인장 강성 (Tension Stiffness)이 1.0~1.8 GPa의 범위이고, 인장 신율 (Tensile Elongation )이 10~30%의 범위이고, 박리강도가 150~200 N의 범위인, 성형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성형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는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항온/항습 후 중량 변화율이 0.1% 미만인, 성형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녹는점이 160℃ 이상인, 성형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코어부(core part); 및 상기 코어부를 둘러싼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인 시스부(sheath part);를 포함하는 시스-코어형(sheath-core type) 이성분(bicomponent) 섬유를 더 포함하는, 성형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성형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습성 공중합 수지인 시스부는,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100시간 항온/항습 후 중량 변화율이 0.1% 미만인, 성형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가전용 구조재; 건축용 내외장 보드; 자동차 내외장재; 기차, 선박, 항공기용 내외장재; 칸막이용 보드; 또는 엘레베이터 구조재;에 사용되는 것인, 성형체.
  11. 제1항의 성형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KR1020170072687A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94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49 2016-06-10
KR20160072149 2016-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102A true KR20170140102A (ko) 2017-12-20
KR102294370B1 KR102294370B1 (ko) 2021-08-26

Family

ID=60931664

Famil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04A KR102243566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67A KR102243568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33A KR102066542B1 (ko) 2016-06-10 2017-06-09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48A KR102294371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12A KR102066539B1 (ko) 2016-06-10 2017-06-09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37A KR102243567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57A KR102066544B1 (ko) 2016-06-10 2017-06-09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691A KR102243565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54A KR102294372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687A KR102294370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00001863A KR102163085B1 (ko) 2016-06-10 2020-01-07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04A KR102243566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67A KR102243568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33A KR102066542B1 (ko) 2016-06-10 2017-06-09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48A KR102294371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12A KR102066539B1 (ko) 2016-06-10 2017-06-09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37A KR102243567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57A KR102066544B1 (ko) 2016-06-10 2017-06-09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691A KR102243565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0072754A KR102294372B1 (ko) 2016-06-10 2017-06-09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863A KR102163085B1 (ko) 2016-06-10 2020-01-07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81341B2 (ko)
EP (4) EP3470220B1 (ko)
KR (11) KR102243566B1 (ko)
CN (1) CN1096185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15B1 (ko) 2018-03-02 2021-10-25 (주)엘엑스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69941B1 (ko) 2018-03-02 2021-06-25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7518B1 (ko) 2018-03-02 2021-10-25 (주)엘엑스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198273B2 (en) 2016-06-10 2021-12-14 Lg Hausys, Ltd. Sandwi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43566B1 (ko) 2016-06-10 2021-04-23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7516B1 (ko) 2018-03-02 2021-10-25 (주)엘엑스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001035B2 (en) 2016-06-10 2021-05-11 Lg Hausys, Ltd. Sandwi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7517B1 (ko) 2018-03-02 2021-10-25 (주)엘엑스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7993B1 (ko) 2018-07-11 2020-02-17 주식회사 케이.피 이중 발포시트가 도입된 구조의 경량 샌드위치 구조물
KR20200061612A (ko) 2018-11-26 2020-06-03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44363A (ko) 2019-10-14 2021-04-23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및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WO2021075817A1 (ko) * 2019-10-14 2021-04-22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655190B1 (ko) 2019-10-14 2024-04-04 (주)엘엑스하우시스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20210063510A (ko) 2019-11-22 2021-06-02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5032A (ko) 2019-11-26 2021-06-03 (주)엘지하우시스 부직 섬유 집합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8221A (ko) 2019-11-29 2021-06-09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8988A (ko) 2019-12-02 2021-06-10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12535A1 (ko) 2019-12-02 2021-06-10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8376A (ko) 2020-05-12 2021-11-19 (주)엘엑스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210156756A (ko) 2020-06-18 2021-12-27 (주)엘엑스하우시스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8946A (ko) 2020-10-13 2022-04-20 (주)엘엑스하우시스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7513A (ko) 2020-11-17 2022-05-24 (주)엘엑스하우시스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보호커버용 샌드위치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보호커버
EP4250451A1 (en) 2020-11-17 2023-09-27 LX Hausys, Ltd. Sandwich panel for protective cover of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rotective cover of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220091768A (ko) 2020-12-24 2022-07-01 (주)엘엑스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3932B1 (ko) 2021-08-13 2023-09-01 주식회사 대광판넬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361587B1 (ko) 2021-11-15 2022-02-15 좋은엘리베이터(주) 내마모 및 미끄럼방지가 강화된 바닥코팅층이 구비된 화물용 엘리베이터
KR102560090B1 (ko) 2022-05-23 2023-07-27 주식회사 대광판넬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102521669B1 (ko) 2022-05-23 2023-04-14 한신범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5833A (ja) * 2002-12-19 2004-07-15 Toyobo Co Ltd 熱可塑性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積層体
KR20090009222A (ko) * 2006-03-31 2009-01-22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부직 섬유 구조를 갖는 성형체
JP2009084715A (ja) * 2007-09-27 2009-04-23 Kuraray Kuraflex Co Ltd 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5889A (ko) * 2010-05-14 2011-11-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탄성 및 형태 복원력이 우수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쿠션용 소재
KR20140027692A (ko) 2012-08-27 2014-03-07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445B2 (ja) * 1993-02-19 2000-01-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材
US6171705B1 (en) 1997-02-10 2001-01-09 Dofasco, Inc.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80495A (en) * 1997-10-27 2000-06-27 Wright; John Structural panels with metal faces and corrugated plastic core
US6855432B1 (en) 1999-09-03 2005-02-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activation temperature adhesive composition with high peel strength and cohesive failure
US20060141260A1 (en) 2004-12-29 2006-06-29 Enamul Haque Sandwich composite material using an air-laid process and wet glass
JP4773726B2 (ja) * 2005-01-14 2011-09-14 株式会社カネカ 多層押出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WO2006092835A1 (ja) * 2005-02-28 2006-09-08 Unitika Fibers Ltd. 自動車用天井材及びその成形方法
US7446064B2 (en) 2006-03-01 2008-11-04 Alcoa Inc. Impact resistant building panels
WO2008032770A1 (fr) 2006-09-15 2008-03-2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Plaqué composite métallique pour la fabrication d'un tableau de connexion flexible et tableau de connexions flexible
JP5180184B2 (ja) 2007-03-08 2013-04-10 株式会社クラレ 不織布
US20080248278A1 (en) 2007-04-02 2008-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heets with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of making
KR100850765B1 (ko) * 2007-04-06 2008-08-06 (주)리앤에스 2성분 섬유 및 고융점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음보드및 그의 제조방법
US7871947B2 (en) 2007-11-05 2011-01-18 Milliken & Company Non-woven composite office panel
JP5168009B2 (ja) * 2008-07-28 2013-03-21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イミドおよびその製造法
US7927708B2 (en) 2008-08-18 2011-04-19 Productive Research Llc Formable light weight composites
JP5302725B2 (ja) 2009-03-18 2013-10-0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2013063605A (ja) 2011-09-20 2013-04-11 Nitto Denko Corp ポリマー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マー部材
TW201343733A (zh) * 2012-02-29 2013-11-01 Oji Holdings Corp 纖維強化塑膠成形用複合材料及纖維強化塑膠成形體
WO2014083200A1 (en) 2012-11-30 2014-06-05 Innventia Ab Sandwich material
KR101465595B1 (ko) 2013-07-11 2014-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흡습-발수성 부직포 적층체
JP2015068485A (ja) 2013-09-30 2015-04-13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真空断熱材用コア材及び真空断熱材
EP3159444B1 (en) * 2014-06-17 2020-07-29 Kuraray Co., Ltd. Water absorbent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S2557390B1 (es) 2014-07-24 2016-11-07 Recubrimientos Plásticos, S.A. Multi-panel metálico y magnetorreológico
WO2016055128A1 (en) 2014-10-06 2016-04-14 Siniat International Improved mat and related gypsum boards suitable for wet or humid areas
JP6265954B2 (ja) 2015-09-16 2018-01-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裏面用フィルム
KR20170077985A (ko) 2015-12-29 2017-07-07 (주) 금토일산업 자동차 휠 가드용 흡·차음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75126A (ja) 2016-03-18 2017-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搬送固定治具
KR101744794B1 (ko) 2016-04-21 2017-06-09 주식회사 부림케미칼 연속 공정에 의한 자동차 매트용 부직포 제조 방법
KR102243566B1 (ko) 2016-06-10 2021-04-23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5833A (ja) * 2002-12-19 2004-07-15 Toyobo Co Ltd 熱可塑性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積層体
KR20090009222A (ko) * 2006-03-31 2009-01-22 구라레 구라후렛쿠스 가부시키가이샤 부직 섬유 구조를 갖는 성형체
JP2009084715A (ja) * 2007-09-27 2009-04-23 Kuraray Kuraflex Co Ltd 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5889A (ko) * 2010-05-14 2011-11-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탄성 및 형태 복원력이 우수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쿠션용 소재
KR20140027692A (ko) 2012-08-27 2014-03-07 (주)엘지하우시스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565B1 (ko) 2021-04-23
KR20170140111A (ko) 2017-12-20
KR102163085B1 (ko) 2020-10-07
EP3470218B1 (en) 2020-11-11
KR102243566B1 (ko) 2021-04-23
EP3470217B1 (en) 2021-08-04
EP3470219A1 (en) 2019-04-17
US10981341B2 (en) 2021-04-20
KR102294372B1 (ko) 2021-08-26
KR20170140108A (ko) 2017-12-20
EP3470220A1 (en) 2019-04-17
EP3470217A1 (en) 2019-04-17
KR20170140106A (ko) 2017-12-20
EP3470220B1 (en) 2021-08-04
EP3470218A1 (en) 2019-04-17
KR102294370B1 (ko) 2021-08-26
KR20170140105A (ko) 2017-12-20
EP3470218A4 (en) 2020-02-26
KR20170140110A (ko) 2017-12-20
KR102243568B1 (ko) 2021-04-23
KR20170140112A (ko) 2017-12-20
KR102294371B1 (ko) 2021-08-26
EP3470220A4 (en) 2020-02-26
KR102066539B1 (ko) 2020-01-15
KR20200004914A (ko) 2020-01-14
EP3470219A4 (en) 2020-02-26
KR102066544B1 (ko) 2020-03-02
KR20170140104A (ko) 2017-12-20
EP3470219B1 (en) 2021-08-04
KR20170140103A (ko) 2017-12-20
EP3470217A4 (en) 2020-02-26
CN109618554A (zh) 2019-04-12
US20190105853A1 (en) 2019-04-11
KR102066542B1 (ko) 2020-01-15
KR20170140109A (ko) 2017-12-20
KR102243567B1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085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772362B2 (en) Sandwi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7515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7518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6791276A (zh) 模制体及制造该模制体的方法
KR102317516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198273B2 (en) Sandwi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7517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48946A (ko) 성형체,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4363A (ko) 성형체 및 이를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
KR20210044108A (ko)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