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955A -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퓨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9955A KR20170139955A KR1020160072616A KR20160072616A KR20170139955A KR 20170139955 A KR20170139955 A KR 20170139955A KR 1020160072616 A KR1020160072616 A KR 1020160072616A KR 20160072616 A KR20160072616 A KR 20160072616A KR 20170139955 A KR20170139955 A KR 201701399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housing
- fuse
- inner spac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퓨즈는 하우징(10)이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는 제1캡(30)이 타단부에는 제2캡(30')이 체결된다. 상기 제1캡(30)과 제2캡(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퓨즈엘레먼트(20)가 있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에는 과부하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22)가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내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제1캡(30)의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부(33)와 제2캡(30')의 외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33')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퓨즈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시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하우징 양단에 구비되는 캡 사이가 나사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으로부터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장부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 내부에 있는 용단부가 과전류에 의해 녹아 끊어져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퓨즈에는 다양한 것이 있는데,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것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퓨즈엘레먼트에 용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퓨즈엘레먼트를 소호사로 둘러싸서 용단부에서 발생하는 스파크가 하우징 등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퓨즈 내부에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등의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때, 하우징 양단의 캡을 통해서 내부로부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하우징과 캡 사이를 세라믹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봉되도록 접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착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경화를 위한 장비가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하우징과 캡 사이의 결합이 기구적인 결합이 아니라 화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퓨즈의 성능 테스트 등의 작업 시에 퓨즈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원래의 상태대로 분리할 수 없어 테스트 결과를 정확하게 얻을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퓨즈를 보다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를 관통하여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제1캡과, 상기 제1캡이 설치된 하우징의 반대쪽 단부에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제2캡과, 상기 제1캡과 제2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과부하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를 구비하는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제1캡에 형성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1연결레그와, 상기 제2캡에 형성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연결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의 내부공간에는 단부턱이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단부턱의 내면을 따라서는 턱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캡에 구비되는 제1나사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1캡의 제1몸체의 외경은 상기 제2캡의 제2몸체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1캡은 상기 제2캡이 결합되는 하우징의 타단부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단부턱에 결합된다.
상기 제1캡의 제1몸체에는 제1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제1단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캡의 제2몸체에는 제2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류즈엘레먼트의 제2단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캡의 제1몸체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캡의 제2몸체도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결합편이나 제2결합편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체가 구비된다.
상기 소호체는 소호사이거나 소호사와 워터글래스를 혼합한 것을 주입하여 일체로 굳어져 만들어진 것이다.
소호사와 워터글래스가 경화되어 만들어진 소호체는 외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소호체나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제1캡의 제1나사부와 제2캡의 제2나사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캡과 제2캡에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엘레먼트를 구비하는 퓨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일단부에 제1캡을 결합하고 타단부에 제2캡을 결합한 엘레먼트조립체를 만드는 조립체제조단계와, 상기 엘레먼트조립체의 제1캡과 제2캡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와 상기 제1캡의 제1나사부 그리고 상기 제2캡의 제2나사부를 결합시키는 나사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캡과 제2캡을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에 힘을 가해 회전시켜 결합한다.
상기 제1캡의 제1나사부가 형성된 외면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하우징 일단부의 내부공간 내면에 형성된 단부턱의 턱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어서, 상기 제1캡은 상기 제2캡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단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단부턱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단부턱의 턱나사부와 제1나사부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나사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내부공간에 소호체를 형성하는 소호체형성단계를 더 수행한다.
상기 소호체는 소호사이거나 소호사와 워터글래스를 섞은 것을 상기 내부공간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 양단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캡과의 결합을 나사부를 통해 수행하므로 퓨즈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제1캡 및 제2캡의 결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제1캡 및 제2캡의 결합이 나사부를 통한 기구적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하우징, 제1캡 및 제2캡의 손상없이 부품을 분리할 수 있어 퓨즈의 성능 테스트 등의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소호체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퓨즈엘레먼트와 제1 및 제2캡의 조립체가 삽입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우징에 제1캡과 제2캡이 결합되는 것을 보인 조립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소호체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퓨즈엘레먼트와 제1 및 제2캡의 조립체가 삽입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우징에 제1캡과 제2캡이 결합되는 것을 보인 조립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이 퓨즈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절연성의 세라믹으로 만들어 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실시례에서 원통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0)의 외관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12)이 원통형상으로 되기만 한다면, 하우징(10)의 외부 형상은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가 사각기둥형상 등 다각기둥형상으로도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부공간(12)은 원통형상으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14)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캡(30)과 제2캡(30')이 결합되고, 필요한 경우 아래에서 설명될 소호체(28)도 회전을 통해 하우징(10)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쪽 내부공간(12) 내면에는 단부턱(16)이 형성된다. 상기 단부턱(16)은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을 둘러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턱(16)의 내면에는 턱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턱나사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캡(30)의 제1나사부(33)와 결합된다. 상기 단부턱(16)의 위치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 있으나 반드시 하우징(10)의 일측 끝부분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퓨즈엘레먼트(20)가 설치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띠모양의 금속판이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길이방향 중간영역에는 용단부(22)가 형성된다. 도면에 주어진 용단부(22)의 구성은 단지 예이고, 편의상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퓨즈엘레먼트(20)가 4개가 있다. 하지만,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갯수는 하나의 퓨즈에서 몇 개의 용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는 하나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 들의 일측 단부인 제1단부(24)와 타측 단부인 제2단부(26)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제1캡(30) 그리고 제2캡(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소호체(28)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소호체(28)는 전체가 하나의 덩어리로 된 것이다. 하지만, 한 덩어리로 된 상기 소호체(28)를 대신해서 소호사가 소호체(28)로서 채워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호체(28)가 하나의 덩어리가 되도록 하기 위해 소호사와 워터글래스(water glass)를 섞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퓨즈엘레먼트(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소호사와 워터글래스를 주입하여 굳히는 것이다. 상기 워터글래스는 상기 하우징(10)에 비해 응집력이 좋아서 내부공간(12) 내부에서 굳었을 때 상기 하우징(10)의 나사부(14)의 존재에 의해 외면에 나사부가 만들어진다. 이 나사부를 소호체나사부(29)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는 제1캡(30)이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제2캡(30')이 설치된다. 이들 제1캡(30)과 제2캡(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퓨즈엘레먼트(20)와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캡(30)과 제2캡(3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캡(30)과 제2캡(30')은 단조 또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상이 만들어지고 후가공을 통해 완성된다. 이들 제1캡(30)과 제2캡(30')은 그 구조가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캡(30)의 골격을 제1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32)는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되어 만들어진 대략 원통형상이다. 상기 제1몸체(32)의 외면에는 제1나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32)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10)의 단부턱(16)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과 대응된다. 상기 제1나사부(33)는 상기 턱나사부(18)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턱나사부(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된다.
상기 제1몸체(32)중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편(34)이 있다. 상기 제1결합편(34)은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제1단부(24)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결합편(34)의 갯수는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갯수와 대응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제1결합편(34)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편(34)에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제1단부(24)는 납땜이나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편(34)이 있는 반대쪽의 제1몸체(32)에는 제1연결레그(3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레그(36)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제1연결레그(36)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연결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제1연결레그(36)에는 외부의 버스바 등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캡(30')의 골격을 제2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제2몸체(32')의 구성은 상기 제1몸체(32)의 그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제2몸체(32')의 외경은 상기 제1몸체(32)의 외경보다 크다. 즉, 상기 제2몸체(32')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10)에서 나사부(14)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32')에서 상기 내부공간(12)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제2결합편(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편(34')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제2단부(26)가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32')에도 외부와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제2연결레그(36')가 있고, 상기 제2연결레그(36')에는 제2관통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의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 퓨즈엘레먼트(20), 제1캡(30) 그리고 제2캡(30')은 미리 만들어져서 조립라인에 제공된다. 상기 소호체(28)의 경우 소호사만이 사용될 경우에는 소호사를 조립라인에 제공하면 되고, 일체로 된 소호체(28)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소호사와 워터글래스를 조립라인에 제공하고 조립과정에서 경화작업을 한다.
조립을 위해 조립라인에 제공된 상기 부품에서 상기 제1캡(30)과 제2캡(30')을 상기 퓨즈엘레먼트(20)로 연결한다. 즉,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제1단부(24)를 상기 제1캡(30)의 제1결합편(34)에 결합하고, 상기 제2단부(26)를 상기 제2캡(30')의 제2결합편(34')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조립체(이하에서는 '엘레먼트조립체'라 하기로 한다.)는 도 5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엘레먼트조립체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엘레먼트조립체는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단부턱(16)이 있는 반대쪽을 통해서 상기 제1캡(30)부터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1캡(30)의 제1몸체(32)에 형성되어 있는 제1나사부(33)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형성된 나사부(14)를 그대로 통과해서 상기 단부턱(16)에 형성된 턱나사부(18)에서부터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단부턱(16)을 만든 이유는 제1나사부(33)가 턱나사부(18)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하우징(10)에 엘레먼트조립체를 결합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14) 전체를 제1나사부(33)가 통과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단부턱(16)의 턱나사부(18)와 상기 제1캡(30)의 제1나사부(33)가 결합되기 시작할 때와 거의 동시에 상기 제2캡(30')의 제2나사부(33')와 상기 하우징(10)의 나사부(14)가 결합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엘레먼트조립체가 회전되거나, 상기 엘레먼트조립체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이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엘레먼트조립체는 상대적으로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퓨즈엘레먼트(20)에 의해 제1캡(30)과 제2캡(3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캡(30)과 제2캡(30')에 힘을 주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서 상기 하우징(10)을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제1캡(30)과 제2캡(30')의 제1연결레그(36)와 제2연결레그(36')를 활용하여 제1캡(30)과 제2캡(3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엘레먼트조립체와 하우징(10) 사이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엘레먼트조립체를 하우징(1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소호체(28)를 형성한다. 즉, 소호사만을 주입하거나 소호사와 워터클래스를 주입하여 경화시켜서 소호체(28)를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제1캡(30)의 제1몸체(32) 또는 제2캡(30')의 제2몸체(32')에는 원판부분에 주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공을 통해서 소호체(28)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주입한다.
상기 소호사와 워터글래스가 상기 내부공간(12)에 주입된 상태에서는 이들이 경화되어 소호체(28)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주입공은 예를 들면 나사와 같은 것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와 내부공간(12)이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퓨즈는 상기 제1캡(30)의 제1연결레그(36)와 제2캡(30')의 제2연결레그(36')를 회로를 구성하는 버스바 등에 결합하여 배터리 등에서 전장부품으로 전달되는 전원이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용단부(22)가 녹아서 끊어지게 되어 전장부품으로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2)에 퓨즈엘레먼트(20)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체(28)를 두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퓨즈의 용량에 따라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하우징(10)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아니라면 소호체(28)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레그(36)와 제2연결레그(36')는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연결레그(36)와 제2연결레그(36')가 중간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서 선단부가 상대측에 터미널과 같이 삽입되는 형태로 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나사부 16: 단부턱
18: 턱나사부 20: 퓨즈엘레먼트
22: 용단부 24: 제1단부
26: 제2단부 28: 소호체
29: 소호체나사부 30: 제1캡
30': 제2캡 32: 제1몸체
32': 제2몸체 34: 제1결합편
34': 제2결합편 36: 제1연결레그
36': 제2연결레그 37: 제1관통공
37': 제2관통공
14: 나사부 16: 단부턱
18: 턱나사부 20: 퓨즈엘레먼트
22: 용단부 24: 제1단부
26: 제2단부 28: 소호체
29: 소호체나사부 30: 제1캡
30': 제2캡 32: 제1몸체
32': 제2몸체 34: 제1결합편
34': 제2결합편 36: 제1연결레그
36': 제2연결레그 37: 제1관통공
37': 제2관통공
Claims (12)
- 내부를 관통하여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제1캡과,
상기 제1캡이 설치된 하우징의 반대쪽 단부에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제2캡과,
상기 제1캡과 제2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과부하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를 구비하는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제1캡에 형성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1연결레그와,
상기 제2캡에 형성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2연결레그를 포함하는 퓨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의 내부공간에는 단부턱이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단부턱의 내면을 따라서는 턱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캡에 구비되는 제1나사부와 결합되는 퓨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제1몸체의 외경은 상기 제2캡의 제2몸체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1캡은 상기 제2캡이 결합되는 하우징의 타단부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단부턱에 결합되는 퓨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제1몸체에는 제1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제1단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캡의 제2몸체에는 제2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류즈엘레먼트의 제2단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퓨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제1몸체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캡의 제2몸체도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원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외면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결합편이나 제2결합편이 형성되는 퓨즈.
-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체가 구비되는 퓨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체는 소호사이거나 소호사와 워터글래스를 혼합한 것을 주입하여 일체로 굳어져 만들어진 것인 퓨즈.
- 제 7 항에 있어서, 소호사와 워터글래스가 경화되어 만들어진 소호체는 외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소호체나사부가 형성되는 퓨즈.
-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제1캡의 제1나사부와 제2캡의 제2나사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캡과 제2캡에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엘레먼트를 구비하는 퓨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일단부에 제1캡을 결합하고 타단부에 제2캡을 결합한 엘레먼트조립체를 만드는 조립체제조단계와,
상기 엘레먼트조립체의 제1캡과 제2캡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와 상기 제1캡의 제1나사부 그리고 상기 제2캡의 제2나사부를 결합시키는 나사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캡과 제2캡을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에 힘을 가해 회전시켜 결합하는 퓨즈의 제조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제1나사부가 형성된 외면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하우징 일단부의 내부공간 내면에 형성된 단부턱의 턱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어서, 상기 제1캡은 상기 제2캡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단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단부턱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단부턱의 턱나사부와 제1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퓨즈의 제조방법.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내부공간에 소호체를 형성하는 소호체형성단계를 더 수행하는 퓨즈의 제조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체는 소호사이거나 소호사와 워터글래스를 섞은 것을 상기 내부공간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것인 퓨즈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2616A KR20170139955A (ko) | 2016-06-10 | 2016-06-10 |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2616A KR20170139955A (ko) | 2016-06-10 | 2016-06-10 |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9955A true KR20170139955A (ko) | 2017-12-20 |
Family
ID=6093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2616A KR20170139955A (ko) | 2016-06-10 | 2016-06-10 |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995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4368A1 (ko) * | 2018-04-06 | 2019-10-10 | 강민정 |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
KR20190130249A (ko) * | 2018-05-14 | 2019-11-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고전압 퓨즈 |
-
2016
- 2016-06-10 KR KR1020160072616A patent/KR20170139955A/ko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94368A1 (ko) * | 2018-04-06 | 2019-10-10 | 강민정 |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
KR20190130249A (ko) * | 2018-05-14 | 2019-11-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고전압 퓨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24564B2 (en) | Fuse with counter-bore body | |
KR20170139955A (ko) |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
WO2014181741A1 (ja) | 端子化電線 | |
US20120270414A1 (en) | Freely Rotatable Electrical Conduction Structure And Receptacle Using The Same | |
KR20170042852A (ko) | 다용량 퓨즈 | |
JP2018511921A (ja) | ヒューズ部品 | |
KR20140133256A (ko) | 고전압 퓨즈 | |
KR102432319B1 (ko) |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
CN106952701B (zh) | 过电压防护放电器 | |
CN201196941Y (zh) | 高压熔断器用的保险丝筒 | |
KR101579022B1 (ko) | 점화 플러그 | |
US11158472B2 (en) | Electric circuit breaker device | |
KR102277838B1 (ko) | 고전압 퓨즈 | |
CN204760585U (zh) | 电气设备接头的t型连接端子接头 | |
KR20130114985A (ko) | 고전압 퓨즈 | |
JP6648677B2 (ja) | モールド形変成器およびモールド形変成器の製造方法 | |
KR20180017433A (ko) | 용융면적이 감소된 충전용 고전압 온도휴즈 | |
KR20170071936A (ko) | 고전압 퓨즈 | |
CN219017571U (zh) | 一种带安装座的激励保护装置 | |
US2964835A (en) | Detonator plug manufacture | |
KR102228859B1 (ko) | 고전압 퓨즈 | |
CN204732588U (zh) | 电气设备接头的t型连接端子头 | |
KR20130076527A (ko) | 고전압 퓨즈 | |
KR101482935B1 (ko) | 고주파 필터용 관통필름커패시터 | |
US2981860A (en) | Spark plug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