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806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806A
KR20170139806A KR1020160072198A KR20160072198A KR20170139806A KR 20170139806 A KR20170139806 A KR 20170139806A KR 1020160072198 A KR1020160072198 A KR 1020160072198A KR 20160072198 A KR20160072198 A KR 20160072198A KR 20170139806 A KR20170139806 A KR 2017013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arm
door
moving roller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806A/ko
Priority to EP17174725.6A priority patent/EP3254599B1/en
Priority to US15/617,297 priority patent/US10285560B2/en
Publication of KR2017013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806A/ko
Priority to US16/368,105 priority patent/US109936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터브, 터브 내부에서 식기를 수납하고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수납부, 터브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제1 수납부 인출 시 제1 수납부를 지지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는, 터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세척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제1 수납부를 지지하고 제1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돌출부, 및 제1 돌출부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터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세척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제1 수납부 인출 시 제1 수납부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기구 등(이하 '세척대상'이라 함)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서 상기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및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고, 상기 수납부를 잡아당겨 상기 도어의 상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의 상부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를 비스듬하게 잡아당긴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고, 상기 수납부가 원활하게 인출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터브 내에서 회전하는 메인암, 및 상기 메인암에 롤링(rolling)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암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수납부를 잡아당기는 방향에 관계없이, 수납부가 도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식기를 수납하고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수납부,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제1 수납부 인출 시 상기 제1 수납부를 지지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세척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세척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수납부 인출 시 상기 제1 수납부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상기 터브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서로 교차되어 상기 식기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동롤러의 지름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이동롤러 및 제2 이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롤러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제1 수납부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식기를 수납하며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터브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수납부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사용자가 수납부를 잡아 당기는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수납부가 상방으로 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는 도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섬프 및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암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편심회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링크부재가 보조암을 롤링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식기 세척기에서 제1 및 제2 수납부가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수납부가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제1 돌출부(23) 및 제2 돌출부(24)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섬프 및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암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편심회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세척공간(20)을 형성하는 터브(2), 세척공간(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터브(2)는 식기 세척기(1)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공간(20)을 형성할 수 있다.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세척공간(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수납부 인출 시 상기 수납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3)의 내측벽에는 세제함(31) 및 린스함(3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세제함(31) 및 린스함(33)은 각각 세제 및 린스를 저장하며, 이를 터브(2)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제는 세척단계에서 터브(2) 내부로 공급되어, 이물질 제거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린스는 헹굼단계에서 터브(2) 내부로 공급되어 세척대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린스는 세척대상의 살균 소독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린스는 세척대상 표면에 묻어있는 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세척대상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섬프(4)는 급수부(7)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식기 세척기(1) 내부에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섬프(4)에 저장된 물은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10)를 통해 수납부(5) 및 세척대상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된 물은 세척공간(20)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1) 및 섬프 배출부(43)를 지나 다시 섬프(4)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세척대상을 수용하며, 터브(2)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부는 제1 수납부(5, 도 9 참조) 및 제1 수납부(5) 상부에 구비된 제2 수납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5, 6)는 터브(2)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납부들을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세척대상을 수납하거나,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을 꺼낼 수 있다.
이때, 제1 수납부(5)는 터브(2)의 내측벽(21)에 구비된 가이드부(23, 24)를 따라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터브(2)를 벗어난 뒤에는 도어(3)의 내측면에 형성된 도어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10)는 섬프커버(41)에 장착되며,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10)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100), 섬프커버(41)에 장착되어 분사암(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기어부(200), 분사암(100) 하부에 구비되어 섬프커버(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암홀더(300), 암홀더(300) 내부에 수용되며 분사암(10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부(400), 분사암(100)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고정기어부(200)와 치합되는 편심회전부(500), 및 분사암(100), 고정기어부(200) 및 편심회전부(500)와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암(100)은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암(110), 메인암(1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암(130), 메인암(110)으로부터 연장하여 보조암(120)과 결합되는 연장부(120), 및 암홀더(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암홀더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2개의 메인암(110) 및 보조암(130)을 갖는 분사암(1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사암은 3개 이상의 메인암(110) 및 보조암(130)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사암(100)이 2개의 메인암(110) 및 2개의 보조암(130)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암(110)은 섬프(4)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암(110) 내부에는 복수개의 메인 유로가 구비되며, 메인암(110) 상면에 형성된 분사구(111, 113)를 통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세척수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상기 메인 유로 내부에 형성된 수압에 의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분사구(111, 113)의 위치, 형상,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구(111, 113)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조합하면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기 세척기(1)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수는 메인암(110)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즉, 분사구(111, 113)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은 메인암(110)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암(110)은 세척수 분사에 따른 반작용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메인암(110)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세척수의 분사압만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고, 메인암(1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 및 분사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메인암(110)의 저면에는 편심회전부(500)에 결합되는 기어 회전축(115), 및 링크부재(600)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36)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 회전축(115)은 편심회전부(500)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가이드 돌기(136)는 메인암(1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링크부재(600)의 걸림부(641, 6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암홀더 결합부(140)는 메인암(110)의 저면에 구비되며, 암홀더(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연장부(120)는 메인암(1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보조암(13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20)는 보조암(1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장부(120) 내부에는 메인암(110)의 상기 메인 유로와 연결되는 전달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섬프(4)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메인 유로 및 상기 전달 유로를 순차적으로 거쳐 보조암(13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암(130)은 연장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는 세척수 분사를 위한 복수개의 분사구들(131, 13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암(130) 내부에는 세척수가 지나는 보조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섬프(4)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메인 유로, 상기 전달 유로, 상기 보조 유로, 및 분사구(131, 133)를 순차적으로 거쳐 세척대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분사구(131, 133)의 위치, 형상,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분사구(131, 133)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조합하면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식기 세척기(1)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암(130)의 외주면에는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출구(135)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암(13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보조암(130)의 분사구(131, 133)가 막히거나 또는 보조암(130)이 원활하게 롤링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곧바로 식기 세척기의 세척 능력 저하로 이어지게 되므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배출구(135)는 메인암(11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보조암(13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배출구(135)가 보조암(130)의 측면 또는 저면에 구비되면, 이물질이 더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암(130)은 메인암(110)과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지속적으로 회전 왕복 운동하는 보조암(130)의 강도를 보강하여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암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암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암(130) 전체가 메인암(110)과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조암(130)의 일부만 메인암(110)과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홀더(300)는 섬프커버(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입부(310), 암홀더(300)가 섬프커버(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315), 및 분사암(10)과 결합하는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암홀더(300)는 섬프커버(41) 상에서 분사암(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섬프(4)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암홀더(300) 내부를 통해 분사암(1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암홀더(300) 내부에는 유로전환부(400)가 수용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400)는 암홀더(300)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상방으로 이동하고, 세척수 유입이 중단되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400)의 이동에 의해 분사암(10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기어부(200)는 암홀더 결합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섬프커버(41)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기어부(200)는 체결부재에 의해 섬프커버(41)에 고정되므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어부(200)는 다수개의 제1 기어이(230)가 형성된 림부(210), 및 림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섬프커버(41) 상에 고정되는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림부(210)는 중공이 구비된 링 형상일 수 있다. 림부(210)의 상기 중공에는 암홀더 결합부(14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림부(2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격 감소 돌기(240)가 구비되어 림부(210)와 암홀더 결합부(140)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기어부(200)는 림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손끼임 방지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커브(41)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700)는 메인암(110)과 보조암(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인출될 수 있는데, 이때 고정기어부(200) 내부로 손이 끼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손끼임 방지부(250)는 필터 교체시 사용자의 손이 고정기어부(200) 등의 구동부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손끼임 방지부(250)는 세척대상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이 상기 구동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편심회전부(500)는 분사암(10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고정기어부(200)의 제1 기어이(230)에 치합될 수 있다.
편심회전부(500)는 메인암(110) 저면의 기어 회전축(115)에 결합되는 림부(510), 림부(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기어이(520), 및 림부(510)로부터 돌출되는 편심돌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림부(510)는 기어 회전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메인암(110)이 회전하면 편심회전부(50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림부(510) 외주면의 제2 기어이(520)는 고정기어부(200)의 제1 기어이(230)에 치합되므로, 편심회전부(500)는 고정기어부(200)의 둘레를 따라 원운동할 수 있다. 즉, 메인암(110)이 회전하면, 편심회전부(500)는 고정기어부(200)의 둘레를 따라 원운동 하면서 동시에 자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어이(230)의 기어 잇수와 제2 기어이(520)의 기어 잇수는 서로 소 관계일 수 있다.
제1 기어이(230)의 기어 잇수와 제2 기어이(520)의 기어 잇수가 배수 관계인 경우, 제1 기어이(230)와 제2 기어이(520)의 접촉 부위가 항상 일정하므로 기어이들(230, 520)의 마찰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메인암(110)의 회전 위치에 따른 보조암(130)의 회전 각도도 항상 일정하게 정해지므로, 세척수의 분사 패턴도 일정해질 우려가 있다. 세척수의 분사 패턴이 일정해지면 그만큼 세척수의 분사 범위도 제한되고, 이는 식기 세척기(1)의 세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어이(230)의 기어 잇수와 제2 기어이(520)의 기어 잇수가 서로 소 관계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어이들(230, 520)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세척수의 분사 패턴도 더욱 다양화시킬 수 있다.
링크부재(600)는 삽입홀(611)이 구비된 림부(610), 및 림부(61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들(620, 630, 640, 65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600)는 분사암(100) 및 편심회전부(50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홀(611)에는 분사암(100)의 암홀더 결합부(140)가 삽입되며, 연장부들(620, 630, 640, 650)은 각각 메인암(110) 및 보조암(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620, 630)의 가이드부(621, 631)는 메인암(110)의 가이드 돌기(116)에 각각 결합되며, 제3 및 제4 연장부(640, 650)의 걸림부(641, 651)는 보조암(130)의 동력 전달부(136)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620)에는 편심회전부(500)의 편심돌기(530)가 삽입되는 삽입부(6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623)는 제1 연장부(620)의 연장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편심회전부(500)의 회전력은 링크부재(600)에서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고, 링크부재(600)는 보조암(130)은 롤링(rolling)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암(130)이 롤링한다”는 것은, 보조암(130)이 보조암(130)의 연장 방향을 회전축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왕복 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보조암(130)의 세척수 분사 각도가 계속 변화하게 되며, 세척수의 분사 범위가 다양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기 세척기(1)는 세척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로, 보조암(130)의 롤링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링크부재(600)가 보조암(130)을 롤링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의 (a), (b), (c), (d)는 각각 편심회전부(500)가 0°, 90°, 180°, 270° 회전하였을 때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10)의 저면을 나타낸다.
먼저 도 8(a)을 참조하면, 편심회전부(500)가 회전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편심돌기(530)는 삽입부(625)의 일측에 위치하고, 보조암(130)은 메인암(110)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도 8(b)는 메인암(110)이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메인암(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기어부(200)에 치합된 편심회전부(5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심회전부(500)의 편심돌기(530)는 링크부재(600)를 장축(612)의 A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116)는 가이드부(621) 내에서 상기 A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링크부재(600)는 상기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부재(600)의 이동에 따라, 제3 및 제4 연장부(640, 650)에 연결된 보조암(130)의 동력전달부(136)는 상기 A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고, 보조암(130)은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암(110)이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초기 상태(도 8(a))에 대한 회전 각도가 180°가 되면, 편심회전부(500)는 초기 상태(도 8(a))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편심돌기(530)는 링크부재(600)를 장축(612)의 B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링크부재(600)는 상기 B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a)에서와 같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보조암(130)의 동력전달부(136)는 상기 B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보조암(130)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도 8(a)에서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암(110)이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초기 상태(도 8(a))에 대한 회전 각도가 270°가 되면, 편심회전부(500)는 초기 상태(도 8(a))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270°회전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편심돌기(530)는 링크부재(600)를 장축(612)의 B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링크부재(600)는 상기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암(130)의 동력전달부(136)는 상기 B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보조암(130)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후, 메인암(110)이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링크부재(600)는 다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a)와 같은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보조암(13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a)에서와 같은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회전부(500)는 메인암(110)의 회전 운동을 링크부재(60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링크부재(600)와 연결된 보조암(130)은 보조암(130)의 연장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 왕복 운동(롤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수납부(5, 6)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도 1의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식기 세척기에서 제1 및 제2 수납부가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의 터브(2) 내부에는 세척대상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는 2개의 수납부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 세척기(1)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식기 세척기(1)가 2개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수납부(5)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세척대상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수납부(5)의 하부에는 분사암 어셈블리(10)가 구비되므로, 분사암 어셈블리(1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제1 수납부(5)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공급될 수 있다.
제2 수납부(6)는 제1 수납부(5)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세척대상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수납부(6)의 하부에는 상부 분사암 어셈블리(9)가 구비되어, 하부 분사암 어셈블리(9)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제2 수납부(6)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부(7)는 외부의 급수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섬프(4)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섬프(4)는 저장된 물을 공급부(45) 및 공급 유로(46)를 통해 분사암 어셈블리(10) 및 상부 분사암 어셈블리(9)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급부(45)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로(46)는 분사암 어셈블리(10)에 연결되는 제1 공급 유로(461), 상부 분사암 어셈블리(9)에 연결되는 제2 공급 유로(463), 및 각 공급 유로(461, 46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암 어셈블리(10) 및 상부 분사암 어셈블리(9)를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하방으로 낙하하여 섬프(4)로 회수될 수 있다. 섬프(4)는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배수부(8)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제1 수납부(5)는 서로 교차되어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51), 및 프레임(51) 하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롤러(53)는 제1 수납부(5)의 일측 하부에 구비된 제1 이동롤러(531) 및 제2 이동롤러(5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롤러(531)는 복수개의 이동롤러들 중에서 Z축 방향으로 가장 전방에 구비된 이동롤러로 정의하고, 제2 이동롤러(533)는 제1 이동롤러(531) 다음에 구비된 이동롤러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완전히 개방되면, 이동롤러(53)는 도어(3)의 내측면에 형성된 도어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수납부(5) 인출 시, 도어(3)는 제1 수납부(5)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도어레일(30)은 제1 수납부(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터브(2) 내에서의 제1 수납부(5)의 이동에 관해서는 도 11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수납부(6) 역시 제1 수납부(5)와 유사하게,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브(2)의 내측벽(21)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고, 그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가이드부(25)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터브(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납부(5)는 터브(2) 외부에서 도어(3)에 의해 지지되나, 제2 수납부(6)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없다. 따라서, 가이드부(25)는 제2 수납부(6)와 함께 터브(2) 외부로 인출되어 제2 수납부(6)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는 다단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레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로 터브(2) 내에서 제1 수납부(5)의 이동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제1 수납부가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때, 도 11의 (a), (b), (c)는 제1 수납부(5)의 인출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터브(2)의 내측벽(21)에는 이동롤러(53)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돌출부(23, 24)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3, 24)는 터브(2)의 내측벽(21)으로부터 세척공간(20)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동롤러(53)는 제1 돌출부(23)와 제2 돌출부(2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23)와 제2 돌출부(24) 사이의 Y축 방향 이격 거리(H)는 적어도 이동롤러(53)의 지름(R)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제1 돌출부(23)는 이동롤러(53)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동롤러(5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수납부(5)가 터브(2) 내부에서 도어(3)의 내측면 상으로 부드럽게(smoothly) 넘어가기 위해서는 제1 돌출부(23)가 도어(3)에 최대한 근접한 곳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돌출부(23)와 도어(3) 사이의 간격이 크면, 제1 수납부(5)가 덜컹거리거나, 심한 경우 이동롤러(53)가 도어(3)의 내측면 상으로 옮겨가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3)는 터브(2)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터브(2)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2)와 도어(3)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제1 수납부(5)가 터브(2) 내부에서 도어(3)의 내측면 상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부(5)가 부드럽게 도어(3)의 내측면 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도어(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제1 돌출부(23)의 상면이 도어(3)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제1 수납부(5)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터브(2)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1 수납부(5)의 측방 또는 상방에서 제1 수납부(5)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수납부(5)에 가하는 힘에는 X축 방향의 힘 성분 또는 Y축 방향의 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납부(5)는 상방(Y축 방향)으로 들리거나 또는 측방(X축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고, 이동롤러(53)가 도어(3)의 내측면에 형성된 도어 레일(30)에 안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제2 돌출부(24)는 이동롤러(53)의 Y축 방향 움직임을 구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방 또는 측방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제1 수납부(5)가 상방(Y축 방향)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수납부(5)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동롤러(53)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롤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제2 돌출부(24)에 의해 구속되어야 한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롤러(531)가 터브(2)의 외부로 인출되는 순간에, 제2 이동롤러(533) 상부에 제2 돌출부(24)가 구비되어야 제1 수납부(5)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출부(24)의 길이(L)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이동롤러(531, 533) 사이의 거리(D)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롤러(53)가 터브(2) 내부에서 도어(3)의 내측면 상으로 부드럽게 건너가기 위해, 제1 돌출부(23)는 터브(2)의 개방된 일면에서부터 터브(2)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여야 한다. 이와 다르게, 제2 돌출부(24)는 이동롤러(53)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반드시 터브(2)의 개방된 일면에서부터 터브(2)의 내부를 향해 연장될 필요는 없다. 즉, 제2 돌출부(24)는 제1 이동롤러(531)와 제2 이동롤러(533) 사이의 간격(D)보다 길게 형성되기만 하면 족하다. 다만, 상기 제1 이동롤러(531)를 Z축 방향으로 가장 전방에 구비된 이동롤러로 정의하였으므로, 제2 돌출부(24)도 터브(2)의 개방된 일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것이다.
도 12는 제1 돌출부(23) 및 제2 돌출부(24)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12에는 제1 돌출부(23)와 제2 돌출부(24)의 길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터브(2)의 내측벽(21), 제1 돌출부(23), 및 제2 돌출부(24) 만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23)와 제2 돌출부(24)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 내측벽(21)에 돌출부들(23, 24)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돌출부(23)와 제2 돌출부(24)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3)는 터브(2)의 내측벽(21)을 따라 터브(2)의 후벽까지 연장하고, 제2 돌출부(24)는 제1 이동롤러(531)와 제2 이동롤러(533) 사이의 간격(D)보다 긴 정도로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24)는 터브(2)의 내측벽(21)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사용자가 제1 수납부(5)를 잡아 당기는 방향에 관계없이 제1 수납부(5)가 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도어(3)에 형성된 도어레일(30)에 제1 수납부(5)를 부드럽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식기 세척기 2: 터브
23: 제1 돌출부 24: 제2 돌출부
25: 가이드부 3: 도어
30: 도어레일 4: 섬프
5: 제1 수납부 51: 프레임
53: 이동롤러 6: 제2 수납부
9: 상부 분사암 어셈블리 10: 분사암 어셈블리
100: 분사암 110: 메인암
120: 연장부 130: 보조암
140: 암홀더 결합부 200: 고정기어부
300: 암홀더 400: 유로전환부
500: 편심회전부 600: 링크부재
700: 필터부

Claims (8)

  1.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식기를 수납하고,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수납부;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제1 수납부 인출 시 상기 제1 수납부를 지지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세척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세척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수납부 인출 시 상기 제1 수납부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터브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상기 터브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서로 교차되어 상기 식기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동롤러의 지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이동롤러 및 제2 이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롤러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 내부에서 상기 식기를 수납하며,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납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수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수납부와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60072198A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KR20170139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98A KR20170139806A (ko)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EP17174725.6A EP3254599B1 (en) 2016-06-10 2017-06-07 Dishwasher
US15/617,297 US10285560B2 (en) 2016-06-10 2017-06-08 Dishwasher
US16/368,105 US10993600B2 (en) 2016-06-10 2019-03-2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98A KR20170139806A (ko)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806A true KR20170139806A (ko) 2017-12-20

Family

ID=5902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198A KR20170139806A (ko)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285560B2 (ko)
EP (1) EP3254599B1 (ko)
KR (1) KR201701398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9964B (zh) * 2014-08-25 2019-09-10 工业涡轮(英国)有限公司 燃气涡轮发动机封装件以及相应的方法
KR20200037042A (ko) * 2018-09-29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목욕기
KR20200037041A (ko) * 2018-09-29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목욕기
USD937506S1 (en) * 2019-10-04 2021-11-30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assembly
USD956372S1 (en) * 2019-11-2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rm for a dish treating appliance
US11779191B2 (en) * 2021-02-19 2023-10-10 Midea Group Co., Ltd. Wheel shelf for a dish washing appliance
USD1020141S1 (en) * 2021-11-08 2024-03-2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5491C3 (de) * 1974-09-24 1980-09-2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Geschirrkorbführung für den Unterkorb einer frontseitig beschickbaren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6061101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rbführungsschiene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S9259138B2 (en) * 2010-12-07 2016-02-1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uxiliary spray system having removable sprayers
US9282877B2 (en) * 2012-03-21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 pivot system for a dish rack
US9295368B2 (en) * 2013-03-01 2016-03-2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hydraulically driven spr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5560B2 (en) 2019-05-14
US20190216288A1 (en) 2019-07-18
EP3254599B1 (en) 2020-01-15
US10993600B2 (en) 2021-05-04
EP3254599A1 (en) 2017-12-13
US20170354309A1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9806A (ko) 식기 세척기
CN101153451B (zh) 洗衣机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KR102007843B1 (ko) 식기세척기
US10413152B2 (en) Spray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EP2236073B1 (en) Dishwasher
US20140076369A1 (en) Dishwashing machine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20140039747A (ko) 식기세척기
KR101063527B1 (ko) 식기 세척기
KR20120126596A (ko) 식기세척기
KR101598753B1 (ko) 식기 세척기
KR100377622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KR102439517B1 (ko) 식기세척기
US10512387B2 (en)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for an appliance
KR200366704Y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분사구조
CN112533524B (zh) 餐具筐和具有该餐具筐的餐具清洗机
KR20170139808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3366839B2 (ja) 洗浄機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KR20180106058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186442B1 (ko) 식기 세척기
KR100378709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JP2005342296A (ja) 食器洗い機
KR20060044040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7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221

Effective date: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