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496A -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496A
KR20170138496A KR1020177033187A KR20177033187A KR20170138496A KR 20170138496 A KR20170138496 A KR 20170138496A KR 1020177033187 A KR1020177033187 A KR 1020177033187A KR 20177033187 A KR20177033187 A KR 20177033187A KR 20170138496 A KR20170138496 A KR 20170138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radio link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link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207B1 (ko
Inventor
샤오후아 리
지엔펑 왕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7013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안한다. 특히,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빔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나온다.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단계, 및 그 후,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지국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빔들은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 나온다. 본 방법은 복수의 빔들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구성하는 단계, 및 그 후, 구성된 연관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장치들이 추가로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내용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및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본 개시내용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태들을 소개한다. 따라서, 본 섹션의 진술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혀져야 하며, 종래 기술에 있는 것 또는 종래 기술에 없는 것에 대한 인정들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는 자신의 서빙 셀(1차 셀(primary cell)(PCell)로도 알려짐)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서빙 셀 성능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LTE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RLM) 또는 RLM 관련 측정으로 불리며, 여기서 서빙 셀의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은 상위 계층들에 대한 OOS(out-of-synchronization) 상태 및/또는 IS(in-synchronization) 상태를 나타낼 목적으로 셀-특정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다.
3GPP 표준, 즉 3GPP TS 36.133 V12.5.0에 따라 OOS 및 IS 상태들을 나타내기 위해, UE는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을 추정하고 그것을 임계값들(Qout 또는 Qin)과 비교해야 한다. 임계값 Qout은 다운링크 무선 링크가 신뢰성있게 수신될 수 없는 레벨로서 정의되며, 3GPP TS 36.133 V12.5.0의 표 7.6.1-1에 명시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의한 물리적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에러들을 고려하여 가상의(hypothetical)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송신의 10% 블록 에러 레이트(block error rate)(BLER)에 대응해야 한다. 평가 기간 동안에 추정된 BLER이 Qout보다 클 때, OOS 표시가 생성된다. 임계값 Qin은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이 Qout에서보다 훨씬 더 신뢰성있게 수신될 수 있는 레벨로서 정의되며, 3GPP TS 36.133 V12.5.0의 표 7.6.1-2에 명시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의한 PCFICH 에러들을 고려하여 가상의 PDCCH 송신의 2% BLER에 대응해야 한다. 평가 기간 동안에 추정된 BLER이 Qin보다 작은 경우, IS 표시가 생성된다. 표 7.6.1-1 및 표 7.6.1-2는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내에서 특정 수보다 적은 연속적인 IS 표시들이 검출될 때, UE는 무선 링크 장애(radio link failure)(RLF)를 선언할 수 있다. 이 시간 기간은 특정 수의 연속적인 OOS 표시들을 검출한 후에 시작된다.
3GPP 표준, 예를 들어, 3GPP TS 36.213 V11.7.0에 따르면, 비-비연속 수신(non-Discontinuous Reception)(DRX) 동작에서, OOS 및 IS에 대한 다운링크 링크 품질은 3GPP TS 36.133 V12.5.0에 명시된 평가 기간들, 예를 들어, 각각 200㎳ 및 100㎳ 동안에 추정된다. DRX 모드 동작에서, OOS 및 IS에 대한 다운링크 링크 품질은 3GPP TS 36.133 V12.5.0에 명시된 것과 동일한 평가 기간들 동안에 추정되며, 이는 DRX 사이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추정된 무선 링크 품질은 일부 구성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한 평가 기간에서 상위 계층들뿐만 아니라, 물리 계층 상에서도 필터링될 수 있다. 이는 무선 링크 장애(RLF) 검출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불필요한 무선 링크 장애 및 그에 따른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재확립을 피하게 한다.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진보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빔포밍에 의해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고, 공간 멀티플렉싱에 의해 전반적인 시스템 용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좁은 빔들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사용되는 빔포밍은 데이터 레이트들 및 용량 모두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이고, 하나 이상의 단말들에 동시에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파(propagation) 특성들이 사용되는 공간 멀티플렉싱은 다중-안테나 기술을 위한 또 다른 중요한 기술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추가적인 개발에 따라, 대용량 빔들(massive beams)이 UE를 서빙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에서는, 더 많은 빔들이 관련되기 때문에,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존의 솔루션은 더 이상 적용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주로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또한 예로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원리들을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읽을 때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본 방법은, 복수의 빔들 중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이 장애로 판정되거나, 또는 연관된 빔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들이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은 장애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은,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1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는 단계; 제1 성능 파라미터의 추정된 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제1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2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는 단계; 제2 성능 파라미터의 추정된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2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표시 및 제2 표시에 기초하여, 해당 빔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는 단계의 동작들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1 성능 파라미터 및 제2 성능 파라미터는 블록 에러 레이트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기지국에서 수행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본 방법은 복수의 빔들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연관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구성된 연관은 단말 디바이스와, 복수의 빔들 전부; 또는 복수의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 중 임의의 것을 연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빔들은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구성된 연관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1 서브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2 서브세트와 단말 디바이스를 연관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1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2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 또는 단말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는 판정 유닛 및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판정 유닛은, 복수의 빔들 중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유닛은,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기지국 또는 그 일부, 또는 기지국과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는 연관 구성 유닛 및 통지 유닛을 포함한다. 연관 구성 유닛은 복수의 빔들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통지 유닛은 구성된 연관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5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 또는 단말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6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기지국 또는 그 일부, 또는 기지국과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7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 또는 단말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8 양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기지국 또는 그 일부, 또는 기지국과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9 양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10 양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효율적인 솔루션이 제공된다. 이 솔루션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이 빔 레벨로 단말 디바이스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빔들의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을 고려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무선 링크 장애에 대한 빈번한 표시 또는 보고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무선 링크 장애가 발생할 때마다 RRC 상태들이 변경될 필요가 있고 접속 재확립 프로시져가 개시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 솔루션에 따라 RRC 상태들의 빈번한 변경 및 접속 재확립 프로시져의 빈번한 개시가 감소되거나 피해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기 및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예로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UE가 대용량 빔들에 의해 서빙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매크로 기지국(BS1) 및 복수의 소형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 명칭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상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모든 실시예들은 단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고 추가로 실시하게 하기 위해 주어지는 것이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설명되는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어, 추가적인 실시예도 산출할 수 있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는 않는다.
명세서에서 "실시예", "다른 실시예" 등을 참조하는 것은 설명된 실시예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반드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문구들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설명될 때,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내에 있다는 것이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엘리먼트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및 "제2"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엘리먼트들이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엘리먼트를 다른 엘리먼트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엘리먼트가 제2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엘리먼트가 제1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열거된 용어들 중 하나 이상의 용어들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예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들("a", "an" 및 "the")은 복수 형태들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갖다(has)", "갖는(having)", "포함하다(includ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용어들은 명시되는 특징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 등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 조합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base station)"(BS)이라는 용어는 사용되는 기술 및 용어에 따라 eNB, eNodeB, NodeB 또는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 등도 지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UE라는 용어는 모바일폰들, 셀룰러폰들, 스마트폰들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휴대용 컴퓨터들, 디지털 카메라들과 같은 이미지 캡쳐 디바이스들, 게임 디바이스들, 음악 저장 및 재생 어플라이언스들, 및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임의의 휴대용 유닛들 또는 단말들, 또는 무선 인터넷 액세스 및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인터넷 어플라이언스들 등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임의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단말 디바이스" 및 "UE"라는 용어들은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차세대 또는 상위 세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는, 거대한 수의 엘리먼트들을 갖는 첨단 안테나들(대용량 MIMO(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이 시스템에서 대용량 빔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UE가 대용량 빔들에 의해 서빙되는 예를 도시한다.
또한, 차세대 또는 상위 세대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은 때때로 "울트라-린 송신(ultra-lean transmission)"이라고도 하는 송신에서 에너지 소비의 급격한 감소를 필요로 한다. 울트라-린 송신은 더 낮은 동작 코스트로 이어지는 에너지-효율적인 네트워크가 되게 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간섭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매우 밀집된 로컬-영역 배치들을 위한 핵심 요소인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사용자 성능이 낮은 부하에서 중간 부하까지의 간섭으로 인해 제한될 것이기 때문이다. 잔여 셀 간 간섭 및 에너지 소비를 피하기 위해, 정적 레퍼런스 신호들 및 채널들을 통한 "상시 작동(always-on)" 송신이 울트라-린 송신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차세대 또는 상위 세대 통신 시스템들에 "상시 작동" 레퍼런스 신호들이 없다면, 대용량 빔들에 의한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빔-특정 및 UE-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에 의해 자립 송신(self-contained transmission)이 만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 송신을 위한 무선 링크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RLM 또한 빔-특정적일 수 있다. 이것은 현재 LTE 사양을 단순하게 확장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UE가 평소와 같이 이동하는 경우, 대용량 MIMO에 의한 대용량의 좁은 빔들로 인해, 무선 링크 품질은 안정적이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OOS 및 IS가 매우 빈번하게 교환될 것이다.
또한, OOS 및 IS 교환과 함께, 시스템 상태들에 대한 중요한 액션들이 존재한다. 배경 기술 섹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로 향하는 무선 링크가 무선 링크 품질의 추정에 기초하여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 UE는 RRC 상태들을 변경하고, RRC_CONNECTED를 벗어날 때의 액션들을 수행하고 및/또는 접속 재확립 프로시져를 개시할 필요가 있다. 빈번한 교환은 UE로 하여금 RRC 상태 변경 및/또는 재확립 프로시져를 빈번하게 수행하게 할 것이고, 이는 명백히 바람직하지 않다.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 중 일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새로운 솔루션을 제안하는데, 이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매크로 기지국(BS1) 및 복수의 소형 기지국들, 예를 들어, BS2 및 BS3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UE1)는 매크로 기지국(BS1) 및 소형 기지국(BS2)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 0-9의 커버리지 하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BS1)은 주로 단말 디바이스(UE1)의 제어 및 이동성을 담당하는 앵커 기지국으로서 서빙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앵커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에 한정되지 않고, 소형 기지국 또한 단말 디바이스(UE1)에 대한 앵커 기지국으로서 서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의 개념 및 원리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이 복수의 빔들에 의한 통신을 포함하는 한, 복수의 빔들이 어디에서 오더라도,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의 개념 및 원리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에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300)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2의 UE1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예를 들어, 도 2의 BS1 및 BS2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들 각각에 대해,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링크 품질이 판정되는 블록(310)으로 들어간다.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들은 복수의 빔들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그 다음, 블록(320)에서,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이 결정된다.
방법(300)에 의해, 원하는 빔들의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을 고려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할 수 있으므로, 무선 링크 장애의 결정이 단일 서빙 빔에 기초하고, 현재-서빙 빔에 장애가 생기면, 무선 링크 장애가 무선 링크에 보고되는 경우에 비해,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무선 링크 장애에 대한 빈번한 표시 또는 보고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RRC 상태들이 덜 빈번하게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접속 재확립 프로시져가 덜 개시될 수 있다.
특히, 빔과 연관된 임의의 레퍼런스 신호가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기 위해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는, 측정에 사용되는 측정-특정된 레퍼런스 신호(measurement-specific reference signal)(MRS); 데이터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레퍼런스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임의의 다른 물리적 레퍼런스 신호; 또는 레퍼런스 신호들의 임의의 조합 중 어느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빔들이 전부 하나의 기지국, 예를 들어,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것인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은 예를 들어, 이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모든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관에 의해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빈번한 스위칭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상위 계층 핸드오버 프로시져의 빈번한 트리거링을 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은,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모든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관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빔들의 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현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의 빔들이 앵커 기지국,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매크로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소형 기지국(BS2) 모두로부터의 것인 실시예에서,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은 복수의 빔들의 전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빔들 0-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은, 복수의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은 앵커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1 서브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2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예에서, 제1 서브세트에 포함된 빔들 각각은 제1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가질 수 있고, 제2 서브세트에 포함된 빔들 각각은 제2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앵커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은, 적어도 다른 기지국 중 일부가 그것의 커버리지의 셀-에지에 위치될 때 확장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들과 단말 디바이스의 연관은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들에 기초하여 앵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규격이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300)의 특정 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블록들(311-319) 및 다른 병렬 블록들은 도 3의 블록(310)에서의 동작에 대응하고, 블록들(321-323)은 도 3의 블록(320)에서의 동작에 대응한다.
도 4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M개의 빔들이 있다고 가정할 때,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는 상세한 동작들이 예로서 빔 #1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른 빔들, 즉, #2-#M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는 동작들은 동일하므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빔 #1에 관해서, 블록(311)에서, 제1 성능 파라미터의 값이 해당 빔(빔 #1)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제1 성능 파라미터 값의 이러한 추정은 제1 물리적 채널의 가상의 포맷, 즉, 송신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블록(311)에서, 제2 성능 파라미터의 값 또한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제2 성능 파라미터 값의 이러한 추정은 제2 물리적 채널의 가상의 포맷, 즉, 송신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물리적 채널들의 가상의 포맷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성능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대응하는 물리적 채널의 BLER 또는 신호 대 잡음비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리적 채널들의 가상의 포맷들이 동일하고 제1 및 제2 성능 파라미터들 또한 동일한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성능 파라미터 값만이 실제로 추정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방법이 본 기술분야 및 관련 구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 후에, 블록(312)에서, 제1 성능 파라미터의 추정된 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1 표시가 생성될 수 있다. 성능 파라미터가 BLER인 예에서, 제1 임계값은 3GPP TS 36.133 V12.5.0의 표 7.6.1-1에 명시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의한 PCFICH 에러들을 고려하여 가상의 PDCCH 송신에 대해 10%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추정된 BLER 값이 10%보다 크면, OOS 표시로 지칭될 수 있는 OOS를 나타내는 제1 표시가 생성될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블록(313)에서 제2 성능 파라미터의 추정된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2 표시가 생성될 수 있다. 성능 파라미터가 BLER인 예에서, 제1 임계값은 3GPP TS 36.133 V12.5.0의 표 7.6.1-2에 명시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의한 PCFICH 에러들을 고려하여 가상의 PDCCH 송신에 대해 2%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추정된 BLER 값이 2%보다 작으면, IS 표시로서 지칭될 수 있는 IS를 나타내는 제2 표시가 생성될 것이다.
그 다음, 제1 표시 및 제2 표시에 기초하여, 빔 #1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이 판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미리 정해진 수의 연속적인 OOS 표시들이 생성되면, 블록(317)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을 계시(timing)하기 위한 타이머가 시작될 수 있다.
그 후, 블록(318)에서, 이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에, 즉,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제2 미리 정해진 수의 연속적인 IS 표시들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빔 #1에 대한 무선 링크가 유지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블록(319)에서, 빔 #1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이 장애로 판정된다.
유사하게,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빔들 #2-#M 각각에 대해, 블록들(311 내지 319)에서의 동작들이 수행될 것이다. 그 다음, 블록(321)에서 연관된 빔들에 대해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가 판정될 수 있다.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의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가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블록(322)에서,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가 장애로 결정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블록(323)에서,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가 유지된다. 이 예에서, 무선 링크 품질은 모든 연관된 빔들에 관하여 결정되므로, 무선 링크 장애의 결정이 단일 서빙 빔에 기초하는 경우에 비해, 무선 링크 장애가 덜 빈번하게 표시되거나 보고될 수 있다. 따라서, RRC 상태 변경 또는 접속 재확립 프로시져가 덜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록(321)에서의 판정은 연관된 빔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빔들의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최상의 무선 링크 품질을 갖는 빔들, 예를 들어, 이전에 추정된 BLER들이 특정 임계값보다 낮은 빔들이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가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블록(322)에서,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가 장애로 결정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블록(323)에서,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가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무선 링크 품질은 최상의 무선 링크 품질을 갖는 빔들에 관하여 결정되므로, 한편으로는, 무선 링크 장애의 결정이 단일 서빙 빔에 기초하는 경우에 비해, 무선 링크 장애가 덜 빈번하게 표시되거나 보고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빔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어,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현 복잡성이 그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500)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방법(500)은 기지국, 예를 들어, 앵커 기지국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 나오는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방법(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블록(510)에서, 복수의 빔들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이 기지국에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구성된 연관은 복수의 빔들 전부를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관에 의해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빈번한 스위칭을 피할 수 있고, 따라서 상위 계층 핸드오버 프로시져의 빈번한 트리거링을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된 연관은, 복수의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을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관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빔들의 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현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빔들은 단지 기지국으로부터의 것, 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 모두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복수의 빔들이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 모두로부터 나오는 실시예에서, 연관에 의해 구성되는 연관된 빔들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1 서브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2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1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2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에, 블록(520)에서, 구성된 연관은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된다. 예로서, 구성된 연관은 하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관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들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구성된 연관은 주기적으로 통지될 수도 있고, 또는 매 변경시마다 통지될 수도 있다.
방법(50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의 빔들이 단말 디바이스와 적절하게 연관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단일 서빙 빔보다는 원하는 빔들에 관해 무선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무선 링크 장애에 대한 빈번한 표시 또는 보고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RRC 상태들이 덜 빈번하게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접속 재확립 프로시져가 덜 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6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600)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로서, 또는 단말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판정 유닛(610) 및 결정 유닛(620)을 포함한다. 판정 유닛(610)은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들은 복수의 빔들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결정 유닛(620)은,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620)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이 장애로 판정되거나, 또는 연관된 빔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들이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장애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판정 유닛(610)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해,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1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고, 제1 성능 파라미터의 추정된 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제1 표시를 생성하고,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2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고, 제2 성능 파라미터의 추정된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2 표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표시 및 제2 표시에 기초하여, 해당 빔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들(610 및 62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대응하는 동작들 또는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7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다. 장치(700)는 기지국 또는 그 일부, 또는 기지국과 독립적인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700)는 연관 구성 유닛(710) 및 통지 유닛(720)을 포함한다. 연관 구성 유닛(710)은 복수의 빔들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통지 유닛(720)은 구성된 연관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연관 구성 유닛(710)에 의해 구성되는 연관된 빔들은 복수의 빔들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관 구성 유닛(710)에 의해 구성되는 연관된 빔들은, 복수의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복수의 빔들이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 모두로부터 나오는 실시예에서, 연관 구성 유닛(710)에 의해 구성되는 연관된 빔들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1 서브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2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1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2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구성된 연관은 하위 계층 시그널링 및/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 유닛(720)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관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들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구성된 연관은 통지 유닛(720)에 의해 주기적으로 통지될 수도 있고, 또는 매 변경시마다 통지될 수도 있다.
상기 유닛들(710 및 72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대응하는 동작들 또는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8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장치(8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UE1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 또는 단말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800)는 또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BS1과 같은 기지국 또는 그 일부, 또는 기지국과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800)는 데이터 프로세서(DP)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10) 및 프로세서(8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MEM)(820)를 포함한다. 장치(800)는 다른 장치들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기 위하여 프로세서(810)에 연결된 송신기(TX) 및 수신기(RX)(8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MEM(820)은 프로그램(PROG)(840)을 저장한다. 장치(800)가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때, PROG(840)는, 연관된 프로세서(810) 상에서 실행될 때, 장치(800)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게, 예를 들어, 방법(300)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800)가 기지국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때, PROG(840)는, 연관된 프로세서(810) 상에서 실행될 때, 장치(800)가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게, 예를 들어, 방법(500)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10)와 적어도 하나의 MEM(820)의 결합은 프로세싱 수단(850)을 형성할 수 있다. 장치(800)가 단말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때, 프로세싱 수단(85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고, 장치(800)가 기지국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때, 프로세싱 수단(850)은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MEM(820)은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고정식 메모리 및 이동식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국부적인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범용 컴퓨터들, 특수 목적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및 멀티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초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위에서 언급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스토리지 매체 중 하나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자기 테이프, CD-ROM,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 컴팩트 디스크 또는 전자 메모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어서, 실시예에서 설명된 대응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장치가 종래 기술의 수단뿐만 아니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대응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별개의 기능을 위한 별개의 수단 또는 2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하나 이상의 장치들), 펌웨어(하나 이상의 장치들),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구현은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져들, 기능들 등)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방법들 및 장치들의 블록도들 및 흐름도 예시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블록도들 및 흐름도 예시들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들 및 흐름도 예시들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각각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한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로딩되어 머신을 생성할 수 있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이 명세서는 많은 특정 구현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구현의 범위 또는 청구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제한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 구현들의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될 수 있는 특징들의 설명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복수의 실시예들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이, 특징들이 특정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고, 심지어 그 자체로 초기에 청구되었을지라도, 일부 경우들에서는,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그 조합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이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한정하기보다는 설명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은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300)으로서,
    상기 복수의 빔들 중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단계(310); 및
    상기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320)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320)는,
    상기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이 장애로 판정되거나, 또는 상기 연관된 빔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들이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321), 상기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장애로 결정하는 단계(322)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는 단계(310)는,
    상기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1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는 단계(311);
    상기 제1 성능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된 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312), 제1 표시(indication)를 생성하는 단계(314);
    상기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2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는 단계(311);
    상기 제2 성능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된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313), 제2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315); 및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빔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는 단계(316-319)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능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성능 파라미터는 블록 에러 레이트인 방법.
  5.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에서의 방법(500)으로서,
    상기 복수의 빔들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구성하는 단계(510); 및
    상기 구성된 연관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520)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연관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빔들 전부; 또는
    상기 복수의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
    중 임의의 것을 연관시키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들은 상기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것이고,
    상기 구성된 연관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1 서브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2 서브세트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연관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1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2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600)로서,
    상기 복수의 빔들 중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610); 및
    상기 판정된 무선 링크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향하는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620)
    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620)은,
    상기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이 장애로 판정되거나, 또는 상기 연관된 빔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들이 장애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을 장애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610)은, 상기 연관된 빔들 각각에 대해,
    상기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1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고,
    상기 제1 성능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된 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제1 표시를 생성하고,
    상기 해당 빔에 특정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측정에 기초하여, 제2 성능 파라미터의 값을 추정하고,
    상기 제2 성능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된 값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2 표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빔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을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능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성능 파라미터는 블록 에러 레이트인 장치.
  13. 적어도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700)로서,
    상기 복수의 빔들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연관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연관 구성 유닛(710); 및
    상기 구성된 연관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지 유닛(720)
    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연관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빔들 전부; 또는
    상기 복수의 빔들 중, 각각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들
    중 임의의 것을 연관시키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들은 상기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것이고,
    상기 구성된 연관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1 서브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빔들의 제2 서브세트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를 연관시키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1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세트는 각각이 제2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품질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포함하는 장치.
  17.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빔들의 커버리지 하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800)로서,
    프로세서(810) 및 메모리(82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장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KR1020177033187A 2015-04-21 2015-04-21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5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77084 WO2016168985A1 (en) 2015-04-21 2015-04-21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adio link qu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96A true KR20170138496A (ko) 2017-12-15
KR102015207B1 KR102015207B1 (ko) 2019-08-27

Family

ID=5714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187A KR102015207B1 (ko) 2015-04-21 2015-04-21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27166B2 (ko)
EP (1) EP3286846A4 (ko)
JP (1) JP2018518091A (ko)
KR (1) KR102015207B1 (ko)
CN (1) CN107534466B (ko)
HK (1) HK1246987A1 (ko)
PH (1) PH12017501917A1 (ko)
RU (1) RU2670604C9 (ko)
WO (1) WO20161689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640A (ko) * 2018-06-21 2021-03-0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링크의 모니터링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7499B2 (en) 2015-12-30 2020-03-10 Facebook, Inc. Wireless node memory utilization for storing beamforming settings
US10148557B2 (en) 2015-12-30 2018-12-04 Facebook, Inc. Link maintenance in point-to-poi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0313953B2 (en) * 2015-12-30 2019-06-04 Facebook, Inc. Micro-route characterization and selection
EP3424152B1 (en) * 2016-03-03 2020-06-10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eam control in beamformed systems
CN109478919B (zh) * 2016-06-30 2022-04-12 索尼公司 基站和用户设备
KR20180049772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SRC/IEEE 802.11p 와 LTE-V2X 공존을 위한 해결방법
EP3536093B1 (en) 2016-11-04 2022-06-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ments to mobility reference signals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a beam-based system
MA45750B1 (fr) 2016-11-04 2019-11-29 Ericsson Telefon Ab L M Réutilisation de signaux de référence de mobilité pour effectuer une surveillance de liaison radio dans un système à faisceau
WO2018084799A1 (en) * 2016-11-04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 of mobility reference signals to perform radio link monitoring in a beam-based system
WO2018128447A1 (en) 2017-01-06 2018-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dio link monitoring and failure procedure of multi beams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8143875A1 (en) * 2017-02-03 2018-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beamforming based radio link quality monitoring in nr
KR20190120373A (ko) 2017-03-09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80700B2 (en) * 2017-07-24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Parameter adjustment for radio link failure (RLF) procedure enhanced by aperiodic beam failure recovery (BFR) triggers
US10574329B2 (en) * 2017-07-28 2020-02-25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failure timers and constants based on radio link management and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CN110710311B (zh) * 2017-08-11 2023-05-23 富士通株式会社 波束失败事件的触发条件的配置方法、装置和通信系统
CN109600784B (zh) * 2017-09-30 2021-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报信号质量的方法及装置
US10743204B2 (en) * 2017-11-10 2020-08-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beam information
RU2746889C1 (ru) * 2017-11-16 2021-04-21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контроля линии радиосвязи
JP2019097120A (ja) * 2017-11-27 2019-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WO2019134749A1 (en) * 2018-01-04 2019-07-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Handling failure of a subset of serving beam pair links
US11540150B2 (en) * 2018-01-19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covery procedure using a second component carrier
KR20200116015A (ko) * 2018-02-05 2020-10-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링크 품질 검출 방법 및 단말 기기
US11032760B2 (en) * 2018-03-02 2021-06-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Cell selec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WO2019242015A1 (en) * 2018-06-22 2019-12-26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llocating measurement resources
RU2768794C1 (ru) * 2018-07-12 2022-03-24 Нтт Докомо, Инк.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WO2020065779A1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CN112997425A (zh) * 2018-11-12 2021-06-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终端设备
KR20200060965A (ko) *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라디오 링크 페일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EP4014348A1 (en) * 2019-08-13 2022-06-22 IDAC Holdings, Inc. Power saving signal operations
US11764851B2 (en) * 2019-08-16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Evaluation period for beam failure detection and candidate beam detection in multi-beam NR-U
CN113453266B (zh) * 2020-03-24 2023-07-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链路监测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3988A1 (en) * 2012-08-09 2014-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new carrier type (nct)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US20140146863A1 (en) * 2012-11-23 2014-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gain difference compensation according to chang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 pattern in beamforming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484B2 (en) * 2002-10-29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ultiple modems in a wireless terminal using energy-per-bit determinations
JP4648015B2 (ja) 2005-01-28 2011-03-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9408220B2 (en) *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EP3493427A1 (en) 2007-07-16 2019-06-05 BlackBerry Limited Providing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US7986758B2 (en) * 2008-05-30 2011-07-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detection using bandwidth and antenna configuration
WO2010039081A1 (en) * 2008-09-30 2010-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radio link failure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N102484509B (zh) * 2009-04-28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协调电子设备的系统和方法
US9296009B2 (en) * 2012-07-13 2016-03-29 Nordson Corporation Adhesive dispensing system having metering system including variable frequency drive and closed-loop feedback control
US9503216B2 (en) * 2012-11-02 2016-11-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related to effective measurements
JP6076044B2 (ja) * 2012-11-02 2017-02-08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10212958B (zh) 2013-05-21 2021-03-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信道信息反馈方法和装置
KR102177804B1 (ko) * 2014-03-25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170215117A1 (en) * 2015-04-07 2017-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EP3280068B1 (en) * 2015-04-17 2019-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TWI574804B (zh) * 2015-07-20 2017-03-21 Combination of kni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3988A1 (en) * 2012-08-09 2014-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new carrier type (nct)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US20140146863A1 (en) * 2012-11-23 2014-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gain difference compensation according to chang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 pattern in beamforming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640A (ko) * 2018-06-21 2021-03-0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링크의 모니터링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7501917A1 (en) 2018-03-19
JP2018518091A (ja) 2018-07-05
US10327166B2 (en) 2019-06-18
RU2670604C9 (ru) 2018-11-22
EP3286846A1 (en) 2018-02-28
WO2016168985A1 (en) 2016-10-27
CN107534466B (zh) 2021-03-30
CN107534466A (zh) 2018-01-02
EP3286846A4 (en) 2018-11-21
KR102015207B1 (ko) 2019-08-27
US20180084446A1 (en) 2018-03-22
RU2670604C1 (ru) 2018-10-24
HK1246987A1 (zh)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07B1 (ko)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79834B2 (en) Methods for reducing user equipment power consumption in presence of wake-up signal
RU2747271C2 (ru) Способы, сетевые узлы, оборудование пользователя и компьютерные программные продукты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радиосоединения
CN111345058A (zh) 带宽部分切换时的无线电链路监测/无线电链路故障重新配置
US11265746B2 (en) Configuring measurement reporting for new radio
WO201907018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NHANCED DECODING OF NARROWBAND MASTER INFORMATION BLOCKS (MIB-NB)
US11622285B2 (en) Performing measurements in multicarrier operation
WO2014037789A2 (en) Handover in heterogeneous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systematic imbalance differences
EP3718355A1 (en) Random access with different tti durations
US20220210681A1 (en) Radio Link Monitoring
US20220141885A1 (en) Random Access Procedure
US20210385801A1 (en) Self-Optimizing Repetitions in Power Limited RATs
WO2022028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associated to resource
US20230397282A1 (en) Methods for adapting a radio link procedure for ue power saving
US20230092483A1 (en) Method for Logging Coverage Enhancement Level Change in Low Complexity User Equipment
CN116438854A (zh) 在节电下适配信道监测模式
US20240015549A1 (en) Configuring and/or detecting measurement report triggering events based on unbalanced reference signal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and network nodes
WO2021206602A1 (en) Configuration and/or reporting of measurements in logged mdt
WO2022154741A1 (en) Beam-base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relax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