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293A -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293A
KR20170138293A KR1020160070507A KR20160070507A KR20170138293A KR 20170138293 A KR20170138293 A KR 20170138293A KR 1020160070507 A KR1020160070507 A KR 1020160070507A KR 20160070507 A KR20160070507 A KR 20160070507A KR 20170138293 A KR20170138293 A KR 2017013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separator
valve
flui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김찬년
박상민
성채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8293A/ko
Publication of KR2017013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34Arrangements for separat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wel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21B21/063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by separating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12Methods o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obtained fluid to or in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34Arrangements for separat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well
    • E21B43/36Underwater separ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처리 가능한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양플랜트에서 오일, 물 및 가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있어서, 유정으로부터 생산된 원유가 이송되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된 원유에서 오일 및 가스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어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액분리기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파이프라인과 기액분리기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개폐지시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separator system of off-shore plant}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처리 가능한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는 해저 유정에서 생산되는 원유 및 천연가스와 같은 해저자원을 채취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각종 산업이 발달되고,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에너지수요가 급증되고 있는데, 매장량이 고갈되어 가고 있는 석유자원을 대체할 에너지자원으로 천연가스와 같은 가스자원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해양플랜트는 기본적으로 유정(Well)에서 생산된 원유가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고 원유의 오일과 가스를 분리하기 위해 기액분리기를 거쳐 처리된 후 해상플랫폼인 탑사이드로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은 크게, 파이프라인(10), 기액분리기(20), 레벨센서(30), 유량조절밸브(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은 유정(Well)에서 생산되는 오일 및 가스를 포함한 해저자원이 파이프라인(10)을 통해 이송되어 기액분리기(20)로 보내지고, 상기 기액분리기(20)에서 오일, 물과 가스를 분리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20)로 유입되어 수용된 오일, 물 및 가스를 포함한 유체는 레벨센서(30)를 통해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유입될 경우 이와 연동된 유량조절밸브(40)의 개도를 조절하여 폐쇄함으로써 기액분리기(2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레벨센서0(30a)와 제 2 레벨센서(30b)를 통해 기액분리기(20)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을 확인한 후 제 1 유량조절밸브(40a)와 제 2 유량조절밸브(40b)를 조절하여 기액분리기(20)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배출시켜 적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파이프라인(10) 내의 이물질 및 슬러그를 제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피깅(Pigging)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라인(10)의 피깅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많은 양의 리퀴드가 파이프라인(10)을 통해 기액분리기(20)로 유입되게 되고, 기액분리기(20)는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유체를 처리해야 함으로써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은 레벨센서(30)와 유량조절밸브(40)를 통해 기액분리기(20)의 적정 레벨을 유지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피깅 작업 등의 특정 상황 발생 시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량의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서 기액분리기(20)의 부피 및 용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기액분리기(20)의 부피가 커질수록 해상플랜트인 탑사이드의 부하 하중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설계 안정성의 한계에 따라 무한정 기액분리기(20)의 부피를 키울 수 없음으로 특정 상황 발생 시 이에 대응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액분리기로 순간적으로 다량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유량을 제어하여 작은 사이즈의 기액분리기로 운용가능하도록 한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해양플랜트에서 오일, 물 및 가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있어서, 유정으로부터 생산된 원유가 이송되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된 원유에서 오일 및 가스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어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액분리기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파이프라인과 기액분리기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개폐지시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는 해저 또는 해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기액분리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기액분리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 1 레벨센서; 및 상기 기액분리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 2 레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제 2 밸브보다 상대적으로 밸브 용량 계수가 큰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제 1 밸브와 연계되어 제 1 밸브의 기설정된 개도 시점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는, 초기에 제 1 밸브는 개방되고 제 2 밸브는 폐쇄 상태에서 제 1 밸브를 통해 유량을 조절하고, 유량의 정밀 조절이 필요로 할 경우에는 제 1 밸브가 폐쇄되고 제 2 밸브가 개방되어 제 2 밸브를 통해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해저 파이프 라인에서 불안정한 다상 유동의 흐름에 의해 다량의 슬러그가 발생하거나 또는 피깅 작업과 같이 파이프라인으로 다량의 유체가 이송되어 기액분리기로 유입될 경우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대응하여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기액분리기로 유입되어 수용되는 유체의 레벨이 상시 기설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량의 흐름이 적을 때 또는 클 때 이러한 각각의 상황별로 적절히 유량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작은 수용 공간을 갖는 기액분리기로도 운용할 수 있어 기액분리기의 사이즈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은 크게, 파이프라인(100), 기액분리기(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유량조절밸브(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은 기액분리기로 순간적으로 다량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유량을 제어하여 작은 사이즈의 기액분리기로 운용가능하도록 한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라인(100)은 유정(Well)에서 생산되는 오일 및 가스를 포함한 해저자원이 이송되는 배관으로 해저에서 해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라인(100)은 해저에 설치되는 서브시 파이프라인(Subsea Pipeline)과 해수면 위로 설치되는 라이저(Riser)로 구성될 수 있고, 원유가 생산되는 유정에서부터 후술하는 기액분리기(200)까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부분이다.
다음으로, 기액분리기(200)는 상기 파이프라인(100)과 해상플랜트인 탑사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원유에서 오일과 가스를 분리하는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액분리기(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으로 오일과 가스를 포함하는 유체가 유입되어 수용된 후 오일과 가스를 분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기액분리기(200)의 구조는 공지된 구성에 따른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센서부(300)는 상기 기액분리기(200)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센서부(300)는 크게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10),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레벨센서(320) 및 제 2 레벨센서(33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센서(310)는 상기 기액분리기(2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유체가 수용되는 기액분리기(200) 내부 공간의 유체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센서(310)를 통해 기설정된 기액분리기(200)의 유체 수용공간의 압력을 측정하여 정상 압력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이상 압력 발생 시 이를 판단하여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레벨센서(320)는 상기 기액분리기(2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200)의 용량을 고려하여 유체의 수용 가능 수위를 결정하여 기설정 수위 이상으로 유체가 수용될 경우 이를 측정하여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레벨센서(3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레벨센서(3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기액분리기(200)에 수용된 유체의 정상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유체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 유체의 레벨을 확인하여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액분리기(200)의 유체 유입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센서(310)와 제 1 레벨센서(320)를 통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압력센서(310)와 제 1 레벨센서(3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기액분리기(200)의 유체 압력 및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이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를 제어하여 유체의 압력 및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기액분리기(200)에 과유량이 유입되고 과유압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더 이상 유체의 유입이 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하는 유량조절밸브(500)와 연계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기액분리기(200)의 유체의 압력 및 레벨을 상시 정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유량조절밸브(500)는 크게, 제 1 밸브(510), 제 2 밸브(520), 제 3 밸브(530)을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기액분리기(200)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는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 3 밸브(530)는 기액분리기(20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상기 파이프라인(100)과 기액분리기(200)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상기 제어부(400)의 개폐지시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센서부(300)를 통해 기액분리기(200)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 및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되어 제어부(400)의 판단에 따라 유량조절밸브(500)의 개폐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압력센서(310)와 제 1 레벨센서(320)로부터 전달된 유체의 압력 및 레벨 정보를 통해 제어부(400)의 판단에 의해 상기 제 1 밸브(510) 및 제 2 밸브(520)의 개폐여부를 결정하여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밸브(530)는 상기 제 2 레벨센서(330)와 연계되어 기액분리기(200)의 유체 레벨 정보를 전달받아 과유량이라 판단되면 제 2 밸브(530)가 개방되도록 동작하여 유체의 레벨을 기설정된 적정 레벨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밸브(510)는 상기 제 2 밸브(520)보다 상대적으로 밸브 용량 계수가 큰 밸브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밸브(520)는 상기 제 1 밸브(510)와 연계되어 제 1 밸브(510)의 기설정된 개도 시점에 따라 제어부(400)의 동작 지시에 따라 유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510) 및 제 2 밸브(520)는 초기에 제 1 밸브(510)는 개방되고, 제 2 밸브(520)는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밸브(510)를 통해 유량을 조절하고, 유량의 정밀 조절이 필요로 할 경우에는 제 1 밸브(510)가 폐쇄되고 제 2 밸브(520)가 개방되어 제 2 밸브(520)를 통해 유량을 조절하도록 동작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 2 밸브(520)보다 밸브 용량 계수가 큰 제 1 밸브(510)는 10~85% 개도 상태에서 최적화된 밸브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제 2 밸브(520)는 제 1 밸브(510)보다 밸브 용량 계수가 작은 것으로 구성하여 10% 미만의 개도 상태에서 신속히 동작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밸브 용량 계수를 갖는 밸브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유량으로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상기 제 1 밸브(51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밸브(520)만 동작되도록 세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가 동시에 개방될 수 있고,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 중 어느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동작하거나 동시에 동작하여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밸브의 개도 상태에 대해서는 특정 수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밸브 개도에 대한 작동 세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얘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을 돕고자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과 같이 유량조절밸브(500)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저유량에서부터 고유량까지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는 유체가 과유량 또는 과유압이 형성되는 것을 사전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국 작은 사이즈의 내부 공간을 갖는 기액분리기(200)로도 운용이 가능하여 사이즈 축소 및 경량화를 가능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의 유체 흐름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정으로부터 생산된 원유는 파이프라인(100)을 통해 기액분리기(200)로 보내져 오일과 가스로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된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이 기설정 수치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압력센서(310)와 제 1 레벨센서(52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측정하게 된다.
그 다음, 측정된 유체의 압력 및 레벨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400)는 전달된 유체의 압력 및 레벨 정보를 분석하여 파이프라인(100)에서 피깅 작업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과유량이 발생되어 기액분리기(200)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기액분리기(200)로 더 이상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자할 때,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를 제어하여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는 유량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제 1 밸브(510)와 제 2 밸브(520)는 유량의 흐름에 따라 제어부(400)의 지시를 받아 개방 및 폐쇄가 유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액분리기(200)에 과유량 유입에 의해 레벨이 기설정 레벨 이상이라고 판단되어 제 2 레벨센서(3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제 3 밸브(530)를 개방하여 기액분리기(200)로부터 유체를 배출할 수 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레벨은 상시 정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해저 파이프 라인에서 불안정한 다상 유동의 흐름에 의해 다량의 슬러그가 발생하거나 또는 피깅 작업과 같이 파이프라인(100)으로 다량의 유체가 이송되어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될 경우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대응하여 제 1 밸브(510) 및 제 2 밸브(520)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기액분리기(200)로 유입되어 수용되는 유체의 레벨이 상시 기설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량의 흐름이 적을 때 또는 클 때 이러한 각각의 상황별로 적절히 유량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작은 수용 공간을 갖는 기액분리기(200)로도 운용할 수 있어 기액분리기(200)의 사이즈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파이프라인 200: 기액분리기
300: 센서부 310: 압력센서
320: 제 1 레벨센서 330: 제 2 레벨센서
400: 제어부 500: 유량조절밸브
510: 제 1 밸브 520: 제 2 밸브
530: 제 3 밸브

Claims (7)

  1. 해양플랜트에서 오일, 물 및 가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시스템에 있어서,
    유정으로부터 생산된 원유가 이송되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된 원유에서 오일 및 가스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어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액분리기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 및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파이프라인과 기액분리기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개폐지시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해저 또는 해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기액분리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기액분리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 1 레벨센서; 및
    상기 기액분리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 2 레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 3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제 2 밸브보다 상대적으로 밸브 용량 계수가 큰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제 1 밸브와 연계되어 제 1 밸브의 기설정된 개도 시점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는,
    초기에 제 1 밸브는 개방되고 제 2 밸브는 폐쇄 상태에서 제 1 밸브를 통해 유량을 조절하고, 유량의 정밀 조절이 필요로 할 경우에는 제 1 밸브가 폐쇄되고 제 2 밸브가 개방되어 제 2 밸브를 통해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KR1020160070507A 2016-06-07 2016-06-07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KR20170138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507A KR20170138293A (ko) 2016-06-07 2016-06-07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507A KR20170138293A (ko) 2016-06-07 2016-06-07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93A true KR20170138293A (ko) 2017-12-15

Family

ID=6095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507A KR20170138293A (ko) 2016-06-07 2016-06-07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82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20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전진엔텍 유전 및 가스전 다상유체 분리를 위한 베인형 세퍼레이터
KR20190125725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전진엔텍 유전 및 가스전 다상유체 분리장치의 드레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20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전진엔텍 유전 및 가스전 다상유체 분리를 위한 베인형 세퍼레이터
KR20190125725A (ko)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전진엔텍 유전 및 가스전 다상유체 분리장치의 드레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5948B1 (en) Advanc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inimizing gushing
AU2013246915B2 (en) Method of handling a gas influx in a riser
US9353899B2 (en) Water hammer recognizing and energy saving water hammer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7630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ressing and controlling slug flow in a multi-phase fluid stream
US10221645B2 (en) High-integrity pressure protection system Christmas tree
EP1875038B1 (en) Method, system, controll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 multiphase fluid
RU200413154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смеси текучих сред
Nnabuife et al. Slug flow control using topside measurements: A review
KR20170138293A (ko) 해양플랜트의 기액분리기 시스템
Pedersen et al. Influence of riser-induced slugs on the downstream separation processes
WO2021076588A1 (en) Safety variable frequency drive for preventing over pressurization of a piping network
US20210394084A1 (en) Multiphase Separation System
NO20140274A1 (no) Undervannsmodul for trykkregulering
US20030230190A1 (en) Apparatus for surface control of a sub-surface safety valve
RU259122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быстроскоростного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гидроприводом
BR112019014678A2 (pt) manifold para redução de pressão submarina
KR20170031279A (ko) 유정유체 분리장비
Jesperse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e-oiling Process Controlled by PID, H∞ and MPC
KR101571501B1 (ko) 버퍼 탱크
Fong et al. Increasing production by applying simple/robust, field proven slug control technology
Storkaas et al. Extended slug control for pipeline-riser systems
KR20170076326A (ko) 선박의 슬러그 제어 방법 및 슬러그 제어 시스템
JP2003259746A (ja) 送水管の減圧を最適化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56292B1 (ko) 해양 구조물의 위치 유지 시스템
Skofteland et al. Implementation of a slug control system for subsea wells in an integrated operat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