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844A -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844A
KR20170137844A KR1020177032817A KR20177032817A KR20170137844A KR 20170137844 A KR20170137844 A KR 20170137844A KR 1020177032817 A KR1020177032817 A KR 1020177032817A KR 20177032817 A KR20177032817 A KR 20177032817A KR 20170137844 A KR20170137844 A KR 20170137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data
changed
web
targ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306B1 (ko
Inventor
히로키 카네시마
Original Assignee
글래드 큐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래드 큐브 인크. filed Critical 글래드 큐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3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는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단말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기초로 웹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갱신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갱신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웹 데이터 생성부와, 웹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이벤트와, 목표치와 계수 결과를 기초로 연산된 목표 달성도와,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리스트 정보 생성부와, 웹 데이터 생성부가 갱신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웹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하는 추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기억 매체
본 발명은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이러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터넷 상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여러 가지 정보가 발신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정보로서, 예컨대 상품과 점포의 선전 광고나 인재 모집의 안내 등이 있다. 웹 페이지의 제공자(이하 “제공자”라 함)의 입장을 감안하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웹 페이지의 열람자(이하 “열람자”라 함)에게 웹 페이지의 내용을 빠짐없이 열람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전 광고의 대상물이나 모집 내용의 안내, 더욱이 웹 페이지의 디자인 등에 따라서는, 열람자의 흥미나 열람 시간 등이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고, 이에 따른 웹 페이지의 내용의 전부가 열람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공자에게는 열람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웹 페이지의 작성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예컨대 하기에 출처를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WEB시스템은 인터넷 상에 제공되고 있는 광고로의 액세스 로그를 해석하여, 광고에 대한 클릭율과 컨버전율을 산정하여 광고의 효과를 측정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11-1372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이미 인터넷 상에 제공되고 있는 광고의 효과를 측정할 뿐이다. 이를 위해, 제공자는 광고의 효과를 더욱 더 향상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은지를, 측정 결과를 기초로 자신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검토한 결과를 반영한 웹 페이지를 작성할 때, 번거럽게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제공 목적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이와 같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대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는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서버 장치와, 해당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치 설정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상기 이벤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 계수 결과를 취득하는 계수 결과 취득부와, 상기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조작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 정보 및 상기 목표치를 기초로 상기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웹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웹 페이지 및 상기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목표치와 상기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하는 달성도 연산부와,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상기 이벤트와, 연산된 상기 목표 달성도와, 상기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리스트 정보 생성부와,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하는 추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서버 장치와, 해당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도 권리 범위로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스탭과,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상기 이벤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 계수 결과를 취득하는 스탭과, 상기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스탭과, 상기 조작 정보 및 상기 목표치를 기초로 상기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과, 상기 웹 페이지 및 상기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목표치와 상기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하는 스탭과,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상기 이벤트와, 연산된 상기 목표 달성도와, 상기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스탭과,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서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상기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변경 정보를 추출하는 스탭을 구비한다.
제공 목적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이와 같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웹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입력 조작 및 조작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웹 페이지에서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웹 페이지에서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웹 페이지에서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억부에 기억되는 기억 데이터의 기억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웹 페이지의 변경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웹 페이지의 변경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웹 페이지의 변경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웹 페이지의 변경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웹 페이지의 변경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웹 페이지의 변경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금지 영역의 설정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는 인터넷 상에 제공되고 있는 웹 페이지의 제공 목적을 향상하도록 해당 웹 페이지를 변경할 때,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의 구성이 모식적으로 나타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서버 장치(2)와, 해당 서버 장치(2)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3A)에 표시하는 단말 장치(3)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도 1에서는 1대의 서버 장치(2)가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대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복수대의 단말 장치(3)가 도시되어 있지만 1대일 수도 있다.
웹 페이지란 인터넷 상에 제공되는 문서이다. 이러한 웹 페이지는 그 자체가 네트워크 상을 전송하는 것은 아니고, 웹 페이지를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 표시하는 지시가 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이러한 웹 페이지 데이터는 서버 장치(2)에 기억되며, 단말 장치(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요구를 수행한 단말 장치(3)로 전송된다.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는 해당 웹 페이지 데이터에 따라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웹 페이지 데이터는, 예컨대 마크업 언어의 일종인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에서 기술된 HTML 파일과, 정지화상과 동영상을 나타내는 화상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대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목표치 설정부(11), 계수 결과 취득부(12), 조작 정보 취득부(13), 웹 데이터 생성부(14), 달성도 연산부(15), 리스트 정보 생성부(16), 추출부(17), 출력부(18)의 각 기능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의 각 기능부는 웹 페이지 작성의 지원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CPU를 핵심 부재로 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혹은 그 양측으로 구축되어 있다. 또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한 서버(예컨대 클라우드 서버 등)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제공자(이하 “제공자”)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해당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예컨대 상품의 판매나 인재 모집이나 서비스의 안내 등을 들 수 있다. 상품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제공자에 있어서는, 예컨대 인터넷 상에 제공한 웹 페이지의 상품의 판매 수량이 많을수록 좋고, 또한, 체재 시간이 길수록 좋다. 한편, 인재 모집의 안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제공자는 문의가 많을수록 좋고, 또한, 웹 페이지의 스크롤율(혹은 스크롤량)이 많을수록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공자가 상품의 판매 수량이 더 많아지도록 웹 페이지를 개량하는 경우,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하는(자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에는 테이블(판매 상품의 일례)의 판매를 목적으로 한 웹 페이지의 예를 들 수 있다. 단말 장치(3)에 대해 이러한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가 서버 장치(2)에 기억되며, 해당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 도 2에 나타내는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웹 페이지 데이터는 판매자가 작성할 수도 있고, 판매자 이외의 사람이 작성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의 판매자 및 웹 페이지의 작성자가 같거나 달라도 된다. 이러한 판매자나 작성자도 웹 페이지의 제공자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별히 구별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공자”에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웹 페이지는 형태가 다른 테이블(상품S, T, U, V)의 판매를 목적으로 한다.
목표치 설정부(11)는 단말 장치(3)에서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한다. “단말 장치(3)에서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란 서버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을 소개하고 있는 웹 페이지를 열람하고 있는 사용자이며, 상술한 열람자가 해당된다. 또한,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이란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고 있는 문서의 내용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소개에 관한 내용이 해당된다.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란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고 있는 문서의 내용에 따라 이루어진 열람자의 행동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의 구입이 해당된다. “발생 횟수의 목표치”란 제공자가 열람자에 의한 행동이 발생하여 탐내고 원하는 목표로 하는 횟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의 구입 횟수가 해당된다. 따라서, 목표치 설정부(11)는 서버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초로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 표시되는 상품 소개의 웹 페이지의 열람자에 의한 상품 구입의 목표 횟수를 설정한다. 이 설정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의 관리자가 입력 디바이스를 통한 입력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도 17 참조). 또한, 해당 관리자는 상술한 제공자와 같거나 달라도 된다.
계수 결과 취득부(12)는 단말 장치(3)에서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이벤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 계수 결과를 취득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이벤트 발생 횟수”란 열람자가 실제로 일으킨 행동의 횟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의 구입 횟수가 해당된다. 이러한 구입 횟수는, 예컨대 웹 페이지에 대한 웹 페이지 데이터가 기억되는 서버 장치(2)가 계수하고, 계수 결과 취득부(12)가 서버 장치(2)의 계수 결과를 취득할 수도 있고, 계수 결과 취득부(12)가 취득할 수도 있다.
조작 정보 취득부(13)는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단말 장치(3)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단말 장치(3)에 대한 입력 조작”이란 단말 장치(3)에 설치되는 입력 장치(예컨대 문자 입력 디바이스나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단말 장치(3)에 입력된 열람자에 의한 조작이다. 또한, 조작 정보란 열람자에 의한 입력 장치의 조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3의 (A)에는 웹 페이지 상에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커서(30)가 도시된다. 예컨대, 사람이 웹 페이지를 열람할 때, 자신의 시선에 맞추어 커서(30)를 이동시키는 것이 많다고 한다. 조작 정보에는 이러한 사람(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람자”)에 의한 커서(30)의 이동(이동 궤적)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웹 페이지는 인터넷 상에 제공되므로, 다수의 사람에게 열람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작 정보 취득부(13)는 웹 페이지가 열람된 모든 단말 장치(3)의 열람자의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조작 정보를 기초로 도 3의 (B)에 나타내는 것 같은 조작 정보 맵(히트 맵)를 작성한다. 물론, 조작 정보는 일부의 단말 장치(3)에 있어서의 열람자의 조작 정보만을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의 (B)의 예에서는 진한 색의 영역 정도, 커서(30)가 존재하고 있는 시간이 길고, 얇은 색의 영역 정도, 커서(30)가 존재하고 있는 시간이 짧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의 예에서는 열람자는 상품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안이나, 상품 설명이나, 가격을 열람하고 있는 시간이 보다 길었던 것이 나타나며, 또한, 실제로 상품을 구입할 때 누르는 아이콘 상에 커서(30)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도 나타난다. 여기서, “아이콘”이란, 도 3의 (B)의 예에서는 “장바구니에 넣는다”라는 문자가 기재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나, “장바구니의 내용”이라는 문자가 기재된 GUI나, “주문”이라는 문자가 기재된 GUI가 상당한다. 조작 정보 취득부(13)는 단말 장치(3)을 통해 조작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고, 서버 장치(2)를 통해 조작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웹 데이터 생성부(14)는 조작 정보 및 목표치를 기초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는, 예컨대 JavaScript(등록상표)에서 기술된다(도 14의 변경 후 참조). JavaScript(등록상표)에서 기술함으로써, 문서 전체의 데이터를 기억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 처리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고, 연산 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 조작 정보는 상술한 조작 정보 취득부(13)에서 전달된다. 목표치는 상술한 목표치 설정부(11)에서 전달된다. 웹 페이지란 서버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웹 페이지 데이터의 지시에 따라 표시되는 웹 페이지(예컨대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이다.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이란 웹 페이지내의 문자나 도안 등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기도 하고, 표시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표시 형태의 변경이란 웹 페이지의 겉보기(예컨대 디자인)를 변경하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사이즈나 문자 종류 등의 변경이나, 점멸 표시하거나 색을 변경하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표시 위치의 변경이란 웹 페이지 내에서 문자나 도안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웹 데이터 생성부(14)는 웹 데이터에 대하여 이러한 변경을 실시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도 6에는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변경 웹 페이지의 예가 나타난다. 도 4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상품의 주문을 할 때 누르는 “장바구니에 넣는다”라는 문자가 기재된 아이콘(40)과, “주문”이라는 문자가 기재된 아이콘(41)이 점멸 표시하도록 변경되어 있다.
한편, 도 5의 예에서는 상품명의 문자(42), 및, 상품의 가격을 나타내는 문자(43)가 점멸 표시하도록 변경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넣은 상품을 확인할 때 누르는 “장바구니의 내용”이라는 문자가 기재된 아이콘(44), 및 상품의 주문을 확정할 때 누르는 “주문”이라는 문자가 기재된 아이콘(45)의 위치가 이동되어 있다. 이러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생성된다.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는 해당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서버 장치(2)에 웹 페이지 데이터와 함께 기억할 수도 있고,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기억할 수도 있다. 어쨌든, 이 단계에서는 웹 페이지 데이터와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웹 데이터 생성부(14)는 복수의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1개만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 장치(3)로부터 서버 장치(2)에 액세스가 있고, 웹 페이지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요구된 경우에는, 단말 장치(3)에 대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 및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의 어느 한 쪽이 랜덤으로 자동적으로 송신된다. 이때, 서버 장치(2)에 복수의 단말 장치(3)로부터 액세스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웹 페이지 데이터의 송신지가 같은 정도가 되도록 처리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기억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서버 장치(2)가 단말 장치(3)로부터 액세스가 있던 것을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서버 장치(2) 또는 대상의 단말 장치(3)에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달성도 연산부(15)는 웹 페이지 및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목표치와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한다. 목표치는 단말 장치(3)에 의해 열람된 웹 페이지 및 변경 웹 페이지에 구애받지 않고, 상술한 목표치 설정부(11)에서 설정된 같은 값이다. 이 목표치는 목표치 설정부(11)로부터 달성도 연산부(15)로 전달된다. 계수 결과는 단말 장치(3)의 표시 화면(3A)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 및 변경 웹 페이지마다 집계되고, 계수 결과 취득부(12)에서 전달된다. 따라서, 목표 달성도는 웹 페이지 및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하여 연산된다. 구체적으로는 목표치를 L, 웹 페이지 또는 변경 웹 페이지의 단말 장치(3)에 의한 열람 수를 M, 계수 결과를 N으로 하면, 단말 장치(3)에 있어서의 이벤트의 발생 비율이 N/M으로 연산되고, 이 결과를 목표치L에서 제거한 결과, 즉 N/(MXL)가 목표 달성도가 된다. 이 목표 달성도의 연산 결과는 달성도 연산부(15)로부터 후술하는 리스트 정보 생성부(16)로 전달된다. 또한, 목표 달성도는 변경 전의 웹 페이지의 달성도를 기준으로 연산한 변화율일 수도 있다.
리스트 정보 생성부(16)는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이벤트와, 연산된 목표 달성도와,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란 웹 페이지에서 변경 웹 페이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 대하여 실시한 변경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표시 형태의 변경이나 표시 위치의 변경을 나타내는 내용이 상당한다. 이러한 변경 정보에 의해, 원래의 웹 페이지와, 해당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와의 차이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이벤트”란 변경 웹 페이지의 작성 목적이 된 이벤트이며, 예컨대 “상품의 구입”이 상당한다. 이러한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목표치와 관련 지어 목표치 설정부(11)에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산된 목표 달성도”는 달성도 연산부(15)에 의해 연산되고, 전달된다. 또한, “조작 정보”는 조작 정보 취득부(13)에 의해 취득되고, 전달된다. 리스트 정보 생성부(1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 리스트 정보는, 예컨대 소정의 태그마다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태그 “P”에 대해 변경 정보로서 “좌표, 크기, 애니메이션” 등을 규정하고, 이벤트로서 “상품의 구입” 등을 규정하고, 목표 달성도로서 “달성도”를 규정하고, 조작 정보로서 “클릭, 마우스 오버” 등을 규정할 수 있다. 생성된 리스트 정보는 서버 장치(2)나 다른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할 수도 있고,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기억해 둘 수도 있다. 이러한 리스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제공자가 희망하는 “이벤트” 및 “목표 달성도”를 실현할 수 있는 웹 페이지에 개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정보는 JavaScript(등록상표)의 태그마다 정리되어 있다. 또한, 리스트 정보는 순차, 축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추출부(17)는 웹 데이터 생성부(14)가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웹 데이터 생성부(14)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 정보는 리스트 정보 생성부(16)에 의해 생성되고, 리스트 정보로서, 변경 정보, 이벤트, 목표 달성도, 및 조작 정보가 관련 지어져 있다. 이를 위해, 목표치 설정부(11)에 의해 대상이 되는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가 설정된 경우에는,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같은 종류의 이벤트 및 목표 달성도가 참고가 된다. 따라서, 추출부(17)는 이들에 관련 지어진 변경 정보를 웹 데이터 생성부(14)로 전달한다.
웹 데이터 생성부(14)는 생성한 변경 웹 페이지의 목표 달성도가 100% 미만이면, 추출부(17)에서 전달되는 변경 정보를 바탕으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웹 데이터 생성부(14)는 원래의 웹 페이지에서 최초로 변경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경우라도, 지금까지의 다른 웹 페이지를 기초로 생성된 리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예컨대 다른 상품이라도, 열람자에게 주목 받기 쉬운 웹 페이지에 자동으로 개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추출부(17)나 리스트 정보가 축적된 서버는 리스트 정보 중, 어떤 데이터를 이용하면 보다 우수한 웹 페이지가 되는 가를 학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예컨대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목표 달성도에 따라, 웹 페이지를 변경 웹 페이지로 갱신시키는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를 서버 장치(2)로 출력한다. “목표 달성도에 따라”란, “웹 페이지에 있어서의 목표 달성도보다도, 변경 웹 페이지에 있어서의 목표 달성도 쪽이 큰 경우”를 의미한다.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란, 최종적으로 목표 달성도가 높고, 그 이상 변경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갱신 웹 페이지에서의 목표치의 달성도가 원래의 웹 페이지에서의 목표치의 달성도를 상회한 경우,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를 서버 장치(2)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웹 페이지 데이터가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로 재기입되고, 해당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새로운 웹 페이지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갱신 후의 단말 장치(3)로부터의 열람 요구에 의해, 해당 새로운 웹 페이지 데이터에 대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웹 페이지의 제공 목적을 달성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렇게 출력부(18)를 구성함으로써, 서버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보다 웹 페이지의 제공 목적의 달성도를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8)가 자동으로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갱신용 웹 데이터 페이지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2)가 기억되어 있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공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것이 없고, 보다 제공 목적에 대하여 효과가 높은 웹 페이지를 인터넷 상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8에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의해 작성 지원된 웹 페이지의 일련의 흐름이 나타난다. 우선, 소정의 웹 페이지가 인터넷 상에 제공되고 있다고 한다(#01).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웹 페이지의 내용이 A, B 및 C의 3개의 블록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원래의 웹 페이지와 함께(#02),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생성된 블록B의 내용이 B'로 변경된 웹 페이지(#03)와, 블록C의 내용이 C'로 변경된 웹 페이지(#04)가 인터넷 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웹 페이지의 열람에 따른 이벤트 발생 횟수가 계수 결과 취득부(12)에 의해 취득된다. 각각, “3회”, “5회”, “1회”로 한다.
다음에, 가장 발생 횟수가 많은 웹 페이지(목표 달성도가 가장 높은 웹 페이지)를 바탕으로, 웹 데이터 생성부(14)가 갱신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원래의 웹 페이지는 그대로 제공되고(#05), 블록B'의 내용이 D과 E로 변경된 웹 페이지(#06)와, 블록B'의 내용이 D과 F로 변경된 웹 페이지(#07)가 인터넷 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웹 페이지의 열람에 따른 이벤트 발생 횟수가 계수 결과 취득부(12)에 의해 취득된다. 각각, “3회”, “4회”, “6회”로 한다.
이때, #07에 대한 웹 페이지의 이벤트 발생 횟수가 목표치를 구비하였다고 한다면(목표 달성도가 100% 이상이 되었다고 한다면), 해당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가 서버 장치(2)에 기억된다(#08). 이렇게 하여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본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의하면, 조작 정보에 따라,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한 주목도가 높은 부위와 주목도가 낮은 부위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된 결과를 기초로, 웹 페이지의 제공 목적의 달성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변경(개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사용자가 기대하는 이벤트의 발생과 해당 이벤트 발생 횟수가 웹 페이지의 변경의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에 관련 지어진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웹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웹 페이지의 제공의 목적의 달성도를 향상함에 있어서, 웹 페이지를 어떻게 개량하면 되는지를 적절히 제안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이렇게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의하면, 웹 페이지의 제공의 목적의 달성도를 향상 가능한 웹 페이지의 작성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에,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의한 웹 페이지의 변경에 관한 처리(이하 “변경 처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경 처리는 도 9에 나타내는 메인 루틴과, 도 10-도 13에 나타내는 서브 루틴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메인 루틴부터 설명한다. 메인 루틴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 변경 조건 설정 루틴을 기초로 변경 조건이 설정된다(스탭 #100). 다음에, 테스트 페이지 생성 서브 루틴(스탭 #200)을 기초로 테스트 페이지가 생성된다(스탭 #200). 이 테스트 페이지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진다(스탭 #300).
데이터 수집 중에 중단 지령이 있었을 경우에는(스탭 #400 : Yes),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데이터 수집 중에 중단 지령이 없고(스탭 #400 : No), 유의한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되지 않으면(스탭 #500 : No), 스탭 #300으로 돌아가 처리가 계속된다.
스탭 #500에서, 유의한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된 경우에는(스탭 #500 : Yes), 데이터 송신 서브 루틴을 기초로, 기계 학습부로 데이터가 송신된다(스탭 #600). 또한, 이 데이터 송신 서브 루틴의 종료 후에는, 스탭 #200으로 돌아가 처리가 계속된다. 여기서, 기계 학습부는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부이다. 이러한 기계 학습부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구비해 둘 수도 있고,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와는 다른 장치에 구비해 둘 수도 있다.
다음에, 각 서브 루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변경 조건 설정 서브 루틴(스탭 #100)의 흐름이 나타난다. 우선,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1로부터 웹 페이지의 변경 설정용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조건 설정용 단말로 송신된다(스탭 #101). 또한, 이 조건 설정용 단말은 웹 페이지의 제공자에 의한 단말에서 구성할 수도 있고,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조건 설정용 단말에서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건 변경 페이지(도 17 참조)가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스탭 #111). 이 표시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변경 조건이 설정된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변경 조건은 조건 설정용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 송신된다(스탭 #112).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조건 설정용 단말로부터 변경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스탭 #102).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는 변경 조건을 변경 웹 페이지의 생성에 반영한다(스탭 #103). 이러한 처리가 이루어진 후, 변경 조건 설정 서브 루틴은 종료된다.
다음에, 테스트 페이지 생성 서브 루틴(스탭 #200)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변경 조건 설정 서브 루틴(스탭 #100)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언어(예컨대 HTML)로 기재된 요소를 추출한다(스탭 #201).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요소를 변경하면 설정한 목표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기계 학습부로 문의한다(스탭 #202). 기계 학습부는 학습 모델에 근거한 입력된 요소에 대한 변경이 목표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 회답한다(스탭 #211).
또한, 상술한 기계 학습부는, 예컨대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알고리즘에서는 학습 과정에서 샘플 데이터의 모든 조합에 대한 계산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때문에, 샘플 데이터량이 많으면 기계 학습부의 학습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러한 대량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량의 하드웨어 자원을 투입할 필요가 있고,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 학습부는 소정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계 학습부는 Google Prediction API(등록상표)를 이용하여 실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물론, 장래적으로는 하드웨어 성능의 향상에 따라, 쿼리(소정의 처리의 요구)를 던지고 외부에서 처리되고 있는 부분을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기계 학습부는 교사가 있는 기계 학습로 분류된다. 기계 학습부 자신은 외부로부터의 문의에 대해 목표 달성도가 소정의 값(예컨대 A)이 되는 확률은 X%이고, 목표 달성도가 다른 소정의 값(예컨대 B)이 되는 확률은 Y%라고 하는 형태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 회답을 돌려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기계 학습부로부터 목표에 대하여 양호한 영향을 준다(상술한 확률이 가장 높다)고 회답된 요소에 관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JavaScript(등록상표)를 갱신한다(스탭 #203). 이렇게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의 일례가 도 14에 나타난다. 도 14의 예에서는 단말 장치(3)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부터 취득하도록 추가 기술되어 있다.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다른 요소도 변경하는 경우에는(스탭 #204 : Yes), 스탭 #202로 돌아가 처리를 계속한다.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다른 요소를 변경하지 않고(스탭 #204 : No), 또한, 소정 종류의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스탭 #205 : Yes), 테스트 페이지 생성 서브 루틴은 종료된다. 스탭 #205에서, 다른 종류의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의 생성을 계속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스탭 #205 : No), 스탭 #100의 변경 조건 설정 서브 루틴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또한, 생성 완료의 변경 웹 페이지와는 다르도록 변경하는 언어로 기재된 요소를 추출한다(스탭 #206). 그 후, 스탭 #202로 돌아가, 처리가 계속된다.
다음에, 데이터 수집 서브 루틴(스탭 #300)의 흐름에 대해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 장치(3)가 웹 페이지 데이터를 서버 장치(2)에 요구한다(스탭 #321). 서버 장치(2)는 단말 장치(3)측으로부터의 요구를 받아, JavaScript(등록상표)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단말 장치(3)로 되돌린다(스탭 #311). 단말 장치(3)는 소정의 언어(예컨대 HTML) 내에 기재된 JavaScript(등록상표)를 취득하기 위한 어드레스에 액세스하고, JavaScript(등록상표)를 요구한다(스탭 #322).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을 변경하기 위해 변경 웹 페이지로서의 JavaScript(등록상표)를 단말 장치(3)로 되돌린다(스탭 #301). 이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는 A/B테스트(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선택지를 지켜보는 테스트)가 되도록, 각 단말 장치(3)에 따라 제공된다. 단말 장치(3)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웹 페이지의 표시를 변경한다(스탭 #323). 단말 장치(3)는 변경 웹 페이지 내에서의 사용자 행동 데이터(“조작 정보”나 “계수 결과”에 상당)를 취득한다(스탭 #324). 단말 장치(3)는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 송신한다(스탭 #325).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단말 장치(3)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행동 데이터와 DOM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관련 지어 리스트 정보로서 보존한다(스탭 #302). 이때, 달성도 연산부(15)가 사용자 행동 정보로부터 목표 달성도를 연산한다(도 7 참조). 이러한 처리가 이루어진 후, 데이터 수집 서브 루틴은 종료된다.
다음에, 데이터 송신 서브 루틴(스탭 #600)의 흐름에 대해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데이터 수집 서브 루틴(스탭 #30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계 학습부로 송신한다(스탭 #601). 기계 학습부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이용하여 학습한다. 이 학습은 “모델 갱신”이라 지칭된다(스탭 #611). 기계 학습부는 모델 갱신의 완료를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 통지한다(스탭 #612).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타에 관련된 수집한 데이터가 있으면(스탭 #602 : Yes), 스탭 #601로 돌아가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는 타에 관련된 수집한 데이터가 없으면(스탭 #602 : No), 데이터 송신 서브 루틴에 대한 처리를 종료한다.
데이터 수집 서브 루틴(스탭 #300)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교사 데이터로 이용된다. 즉,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송신 서브 루틴(스탭 #600)에서, 기계 학습부로 송부되고, 기계 학습부는 송부되어온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이용하여 학습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언어의 일례로서, HTML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나 CSS(Cascading Style Sheets)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DOM란 HTML이나 XML 등에서 기재된 문서를 취급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며, 예컨대 문서의 읽기, 문서로의 액세스나 조작의 방법 등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의한 변경 처리가 이루어진다.
[기타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목표치 설정부(11)는 단말 장치(3)에서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한다고 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컨대 이벤트가 해당 이벤트의 속성에 따라 분류되도록 구성하여 두고, 목표치가 분류된 속성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이벤트로서 “전화를 받는다”든가 “메일을 받는다” 등과 같이 “제공자에 대한 연락”으로 분류함으로써, 마찬가지의 분류에 따른 목표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7 “최적화하는 목표”).
이러한 구성에 따라, 지금까지와 마찬가지의 제공 목적을 가지는 웹 페이지의 변경을 참고하여, 제공 중의 웹 페이지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공 목적을 향상 가능한 웹 페이지로 변경하기 쉬워질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웹 데이터 생성부(14)가 조작 정보 및 목표치를 기초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컨대 금지 영역 설정부가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웹 페이지에서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영역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17 “변경을 가하지 않는 요소의 셀렉터”). 이러한 예가 도 15에 나타난다. 제공자는, 예컨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변경을 금지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금지 영역이 도 15에서는 해칭(60)을 부여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공자가 변경하고 싶지 않는 부위를 금지 영역으로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갱신 웹 페이지가 생성된 경우에도, 변경하고 싶지 않는 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해당 부위를 남겨 두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웹 데이터 생성부(14)에 의해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웹 페이지 전체에서의 변경량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17 “한번의 테스트에서 변경하는 레벨”).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공자가 큰 변경을 바라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의도를 따라 변경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고, 제공자가 큰 변경이 있어도 상관없는 경우에는, 목표 달성도의 향상을 우선으로 하여 변경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변경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예컨대 변경량 설정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변경량 설정부를 통해 변경량을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면 매우 적합하다. 이렇게 구성함에 따라, 제공자가 웹 페이지에서 변경 가능한 양을 변경량으로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제공 중의 웹 페이지가 전혀 다른 디자인을 나타내는 것 같은 웹 페이지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로부터 단말 장치(3)로 제공되었다고 설명하였지만,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서버 장치(2)로부터 단말 장치(3)로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3)의 예로서 퍼스널 컴퓨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 정보를 열람자에 의한 탭 조작, 플릭 조작, 스와이프 조작을 기초로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목표치를 설정하는 스탭(도 10의 스탭 #102를 참조)과, 계수 결과를 취득하는 스탭(도 12의 스탭 #325로부터의 수신을 참조)과,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스탭(도 12의 스탭 #325로부터의 수신을 참조)과,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도 11의 스탭 #203을 참조)과, 목표 달성도를 연산하는(판정하는) 스탭(도 12의 스탭 #302를 참조)과,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스탭(도 12의 스탭 #302를 참조)과, 변경 정보를 추출하는 스탭(도 11의 스탭 #203을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각 스탭은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목표치를 설정하는 스탭(예컨대 “목표치 설정 스탭”)은 단말 장치(3)에서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다. 계수 결과를 취득하는 스탭(예컨대 “계수 결과 취득 스탭”)은 단말 장치(3)에서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이벤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 계수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스탭(예컨대 “조작 정보 취득 스탭”)은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단말 장치(3)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예컨대 “웹 데이터 생성 스탭”)은 조작 정보 및 목표치를 기초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목표 달성도를 연산하는 스탭(예컨대 “목표 달성도 연산 스탭”)은 웹 페이지 및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목표치와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할 수 있다.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스탭(예컨대 “리스트 정보 생성 스탭”)은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이벤트와, 연산된 목표 달성도와,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변경 정보를 추출하는 스탭(예컨대 “추출 스탭”)은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변경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탭을 구비하는 프로그램을 기억시켜서 컴퓨터로 제공함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기억 매체는 CD나 DVD라고 하는 광학 디스크,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 클라우드 서버나 렌탈 서버 등에 기억되는 것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흐름도가 도 16에 나타난다. 또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설정 화면의 일례가 도 17에 나타난다. 우선, 조건 설정용 단말측의 설정 화면에서, 자동 테스트를 수행할지의 여부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자동 테스트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탭 #700 : Yes), 테스트에 대한 테스트 조건이 설정된다(스탭 #701). 이러한 조건으로는, 예컨대, 이벤트의 선택이나, 변경량의 선택이나, 변경 금지 영역의 설정 등이 상당한다.
스탭 #701에서 테스트 조건을 설정한 후, 혹은 스탭 #700에서 자동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스탭 #700 : No)에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가 이하의 스탭을 실행한다. 목표치 설정 스탭에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한다(스탭 #702). 그리고, 계수 결과 취득 스탭에서, 웹 페이지의 열람에 따른 이벤트 발생 횟수의 계수 결과를 취득하고(스탭 #703), 조작 정보 취득 스탭에서,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열람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스탭 #704).
다음에, 웹 데이터 생성 스탭에서, 조작 정보 및 목표치를 기초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탭 #705). 또한, 목표 달성도 연산 스탭에서, 원래의 웹 페이지 및 생성된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목표치와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한다(스탭 #706).
또한, 리스트 정보 생성 스탭에서,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이벤트와, 연산된 목표 달성도와,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스탭 #707).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추출 스탭에서,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변경 정보를 추출하고(스탭 #708), 갱신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탭 #709). 계속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는(스탭 #710 : No), 스탭 #100에서 처리를 계속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경우에는(스탭 #710 : Yes),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흐름을 따라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도, 상술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1)에 비하여, 실질적인 구성에 틀림이 없고,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스탭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가 기억되는 서버 장치와, 해당 서버 장치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에 이용할 수 있다.
1 :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2 : 서버 장치
3 : 단말 장치
3A : 표시 화면
11 : 목표치 설정부
12 : 계수 결과 취득부
13 : 조작 정보 취득부
14 : 웹 데이터 생성부
15 : 달성도 연산부
16 : 리스트 정보 생성부
17 : 추출부
18 : 출력부

Claims (6)

  1.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서버 장치와, 해당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치 설정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상기 이벤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 계수 결과를 취득하는 계수 결과 취득부와,
    상기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조작 정보 취득부와,
    상기 조작 정보 및 상기 목표치를 기초로 상기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웹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웹 페이지 및 상기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목표치와 상기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하는 달성도 연산부와,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상기 이벤트와, 연산된 상기 목표 달성도와, 상기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리스트 정보 생성부와,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변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로 전달하는 추출부
    를 구비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달성도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를 상기 변경 웹 페이지로 갱신시키는 갱신용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해당 이벤트의 속성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목표치는 분류된 속성마다 설정 가능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상기 웹 페이지에서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영역을 설정하는 금지 영역 설정부를 구비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상기 웹 페이지 전체에서의 변경량이 설정 가능한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6.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서버 장치와, 해당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에 웹 페이지의 작성의 지원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로서,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웹 페이지의 표시 내용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스탭과,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웹 페이지를 열람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상기 이벤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 계수 결과를 취득하는 스탭과,
    상기 웹 페이지의 열람 중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스탭과,
    상기 조작 정보 및 상기 목표치를 기초로 상기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변경 웹 페이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과,
    상기 웹 페이지 및 상기 변경 웹 페이지의 각각에 대해 상기 목표치와 상기 계수 결과를 기초로 목표 달성도를 연산하는 스탭과,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나타내는 변경 정보와, 상기 이벤트와, 연산된 상기 목표 달성도와, 상기 조작 정보를 관련 지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스탭과,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탭에서 상기 변경 웹 페이지 데이터가 생성될 때, 상기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변경 정보를 추출하는 스탭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억 매체.
KR1020177032817A 2016-01-08 2016-01-08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1976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0528 WO2017119124A1 (ja) 2016-01-08 2016-01-08 ウェブページ作成支援装置、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844A true KR20170137844A (ko) 2017-12-13
KR101976306B1 KR101976306B1 (ko) 2019-05-07

Family

ID=5927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17A KR101976306B1 (ko) 2016-01-08 2016-01-08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6306B1 (ko)
WO (1) WO20171191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10A1 (ko) * 2019-03-18 2020-09-24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생산자, 공급자 및 판매자를 온라인 쇼핑몰로 연결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기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240A1 (ja) * 2022-07-13 2024-01-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3172A (ja) * 2008-09-22 2010-04-02 Yahoo Japan Corp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JP2011013727A (ja) 2009-06-30 2011-01-20 Harmony:Kk Webシステム
JP2014174805A (ja) * 2013-03-11 2014-09-22 Yahoo Japan Corp 補正装置、補正方法及び補正プログラム
KR20150039657A (ko) * 2013-10-02 2015-04-13 (주)휴먼웍스 온라인쇼핑몰의 매출향상을 위한 빅데이터 로그분석 기반 인공지능형 편집시스템과 편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3172A (ja) * 2008-09-22 2010-04-02 Yahoo Japan Corp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JP2011013727A (ja) 2009-06-30 2011-01-20 Harmony:Kk Webシステム
JP2014174805A (ja) * 2013-03-11 2014-09-22 Yahoo Japan Corp 補正装置、補正方法及び補正プログラム
KR20150039657A (ko) * 2013-10-02 2015-04-13 (주)휴먼웍스 온라인쇼핑몰의 매출향상을 위한 빅데이터 로그분석 기반 인공지능형 편집시스템과 편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10A1 (ko) * 2019-03-18 2020-09-24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생산자, 공급자 및 판매자를 온라인 쇼핑몰로 연결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기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10951A (ko)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생산자, 공급자 및 판매자를 온라인 쇼핑몰로 연결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기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124A1 (ja) 2017-07-13
KR101976306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851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US9697191B2 (en) Flexible analytics-driven webpage design and optimization
Ding et al. Learning user real-time intent for optimal dynamic web page transformation
US8224823B1 (en) Browsing history restoration
US9386109B1 (en) Web page associated with a node in a website traffic pattern
US11698801B1 (en) Parameterized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user feedback
US20190228105A1 (en) Dynamic website content optimization
JP2016528608A5 (ko)
CN116821475B (zh) 基于客户数据的视频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170185423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personalized behavior-based content
CN107220880B (zh) 用于在网络购物中展示商品的方法、设备和服务器
US9984403B2 (en) Electronic shopping car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01976306B1 (ko) 웹 페이지 작성 지원 장치, 및 기억 매체
JP6162773B2 (ja)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端末プログラ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101332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atform-agnostic mobile application configuration data structure with a dynamic quiz
US10380669B2 (en) Product browsing system and method
JP2015099557A (ja)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及び端末プログラム
CN113220297A (zh) 网页样式动态生成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730340A (zh) 在用户界面数据收集中保护用户隐私
US11860931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sight hub and insight carousel
US11972206B2 (en) Automatically configuring an insight carousel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templates
US11972273B2 (en) Automatically positioning insights in spatial location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page based on rules
US20240013290A1 (en) Customizing an insight displa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rules and user customizations
CN113377196B (zh) 数据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422516A (zh) 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