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144A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144A
KR20170137144A KR1020177032314A KR20177032314A KR20170137144A KR 20170137144 A KR20170137144 A KR 20170137144A KR 1020177032314 A KR1020177032314 A KR 1020177032314A KR 20177032314 A KR20177032314 A KR 20177032314A KR 20170137144 A KR20170137144 A KR 2017013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se station
small cell
macro bas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201B1 (ko
Inventor
리 원
지안준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의 기술적 분야에 관한 것이고 매크로 및 마이크로 기지국들의 협력적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방법은,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기지국으로의 연결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기지국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자체-정의된 논리적 연결임 - ; 및 노드에 의해, 협력적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 협력적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기지국이 협력적으로 전송한 데이터임 - 를 포함한다.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 사이의 전송 시간 지연을 단축시키고, 매크로/마이크로 협력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된 노드들을 증가시키고 노드를 사용하여 매크로/마이크로 협력 프로세스에서 협력적 데이터를 스케줄링함으로써, 본 발명은 매크로/마이크로 협력의 전송 모드 하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 사이의 긴 전송 시간 지연이 매크로/마이크로 협력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된 기술에서의 문제를 다룬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5년 4월 08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발명의 명칭이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510164513.0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영어: Long Term Evolution, 요약하여 LTE)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용량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은 매크로 기지국(영어: Macro Base Station)과 마이크로 기지국 (영어: Micro Base Station)이 사용자 장비를 위한 서비스를 공동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호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이크로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영어: Small Base Station)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과 마이크로 기지국 사이의 주된 차이는 전송 전력 또는 커버리지에 있다. 보통, 매크로 기지국의 전송 전력 또는 커버리지는 마이크로 기지국의 전송 전력 또는 커버리지보다 훨씬 더 크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용량을 개선시키기 위해, 소형 기지국이 LTE 시스템에 추가로 배치되고, 소형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의 전송 서비스들의 일부를 공유한다. 무선 기술들의 분야에서, 소형 기지국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소형 셀로서 지칭될 수 있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관련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다: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베어러 네트워크(bearer network)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에 별도로 연결되고,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보통 이동성 관리 엔티티(영어: Mobility Management Entity, 요약하여 MME)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영어: Serving Gateway, 요약하여 S-GW)이고;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사용자 장비(영어: User Equipment, 요약하여 UE)에 추가로 별도로 연결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UE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호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발명자는 전술한 기술이 적어도 다음의 문제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전송될 때,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
전술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기술적 솔루션들은 다음과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방법은,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는 단계 -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임 - ; 및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임 -
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노드에 의해,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제1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 및/또는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또는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하는 단계; 또는
노드에 의해, 소형 셀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또는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노드에 의해,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면, 노드에 의해,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고, 노드에 적용되는데, 여기서 장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설정 모듈 -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임 - ; 및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모듈 -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임 -
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스케줄링 모듈은 제1 수신 유닛 및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수신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송신 유닛은,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스케줄링 모듈은 제2 송신 유닛 및 제3 송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2 송신 유닛은,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3 송신 유닛은,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스케줄링 모듈은 제2 수신 유닛, 통합 유닛, 및 제4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2 수신 유닛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통합 유닛은,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고;
제4 송신 유닛은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스케줄링 모듈은 제5 송신 유닛 및 제6 송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5 송신 유닛은, 제1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6 송신 유닛은,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또는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설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스케줄링 모듈은 제1 포워드 유닛 및/또는 제2 포워드 유닛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포워드 유닛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포워드 유닛은, 소형 셀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또는 제2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2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고 결정될 때,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고, 노드에 적용되는데, 여기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됨 - ;
프로세서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임 - ;
프로세서는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임 - .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송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송수신기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송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송수신기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는 제1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에 의해,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제3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또는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송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송수신기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소형 셀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된다.
제3 양태,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제3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제3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또는 제3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3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송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송수신기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프로세서는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고 결정될 때,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기술적 솔루션들에 의해 가져와진 유익한 효과들은 적어도 다음 항목들을 포함한다: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데이터가 기지국이 위치하는 액세스 네크워크로부터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다시 전송되고, 그 다음에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포워드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된 첨부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 노력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구현 환경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솔루션들, 및 이점들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음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추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구현 환경의 개략적 구조도를 도시한다. 구현 환경은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환경은 LTE 시스템, LTE-A(영어: LTE-Advanced) 시스템, 또는 또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의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코어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요소(110)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110)는 MME 또는 S-GW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노드(120), 매크로 기지국(130), 소형 셀(140), 및 적어도 하나의 UE(150)를 포함한다. 매크로 기지국(130)과 소형 셀(140)은 UE(150)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호 조정한다. 노드(12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130) 및 소형 셀(140)에 별도로 연결된다. 노드(120)는 독립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노드(120)는 매크로 기지국(130) 또는 소형 셀(140)에 통합된 기능적 엔티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120)는 매크로 기지국(130)의 기저대역 유닛(영어: Baseband Unit, 요약하여 BBU)에 통합된 기능적 엔티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베어러 네트워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코어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에 추가로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구현 환경 내의 노드(120)에 적용된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 여러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는데, 여기서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단계 204: 노드가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여기서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드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노드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에 별도로 연결된다. 게다가,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과 별도로 통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논리적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고, 논리적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전술한 네트워크 연결 및 논리적 연결에 기초하여,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고,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데이터가 기지국이 위치하는 액세스 네크워크로부터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다시 전송되고, 그 다음에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포워드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기술적 솔루션들에서, 노드는 주로 다음 2개 기능을 갖는다: (1) 집성 기능, 및 (2) 포워드 기능. 다음은 집성 기능을 먼저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연결이 노드(320)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310) 사이에 설정되고,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 노드(320)와 매크로 기지국(330) 사이에 설정되고,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 노드(320)와 소형 셀(340) 사이에 설정되고, Uu 연결이 매크로 기지국(330) 또는 소형 셀(340)과 UE(350) 사이에 설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노드(320)는 집성 기능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이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된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 여러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한다.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노드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에 별도로 연결된다. 게다가,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과 별도로 통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논리적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고, 논리적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X2 연결이 노드와 매크로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다는 것이 예로서 사용되고, X2 연결을 설정하는 개시자는 매크로 기지국이라는 것이 가정된다. 매크로 기지국은 X2 셋업 요청 메시지를 노드로 송신하고, X2 셋업 요청 메시지는 매크로 기지국의 수송 네트워크 계층과 관련된 초기 연결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X2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X2 셋업 응답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피드백하여 회신한다. X2 셋업 응답 메시지는 노드의 수송 네트워크 계층과 관련된 초기 연결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이 X2 셋업 응답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이후에, 매크로 기지국은 노드로의 X2 연결을 성공적으로 설정한다. 물론,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노드와 매크로 기지국 사이의 논리적 연결을 설정하는 개시자가 노드일 수 있다. 게다가, 노드가 소형 셀로의 논리적 연결을 설정하는 프로세스는 전술한 프로세스와 동일한 것이고, 상세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 402: 노드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S1 연결은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설정되고, S1 연결에 기초하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한다.
게다가, S1 연결이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설정되는 프로세스의 경우에, 관련된 기술에서, S1 연결이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내용의 이러한 부분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단계 402는 단계 401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401 이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401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단계 403: 노드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노드는 S1 연결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관련된 기술과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관련된 기술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그 다음에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매크로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스위치, 라우터,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MME/S-GW)로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그러므로, 관련된 기술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하고, 그 다음에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판정을 행하고 다운링크 데이터 분배를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다음 여러개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51: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연결 정보는 보통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제1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보통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제2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강도의 핵심 파라미터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영어: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요약하여 RSRP)이다.
게다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연결 정보를 노드에 적극적으로 보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연결 정보를 노드에 보고하거나; 또는 노드에 의해 송신된 보고 지시를 수신한 이후에,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보고 지시에 따라 연결 정보를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단계 52: 노드가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수신 신호 강도는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를 반영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는 제1 수신 신호 강도와 제2 수신 신호 강도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을 계산하고, 차이의 절대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차이의 절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작을 때, 그것은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는 것, 즉, 사용자 장비가 셀의 에지에 위치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판정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노드는 다음의 단계 404를 수행한다.
게다가, 차이의 절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클 때,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하고,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은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 또한,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할 때, 노드는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할지를 추가로 판정할 수 있다. 판정 결과가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는 것일 때, 노드는 다음의 단계 405를 수행하고; 또는 판정 결과가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는 것일 때, 노드는 다음의 단계 406을 수행한다.
게다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들은 공동 전송(영어: Joint Transmission, 요약하여 JT), 조정된 스케줄링(영어: Coordinated Scheduling, 요약하여 CS), 빔형성(영어: Beamforming, 요약하여 BF), 동적 셀 선택, 반송파 집성(영어: Carrier Aggregation, 요약하여 CA), 이중 연결성(영어: Dual Connectivity), 등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할 때, 노드가 다음의 단계 53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53: 노드가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한다.
조정된 전송 지시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이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협력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는, 조정된 전송 지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에 관한 지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어,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이 지시 정보에 따라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을 결정하게 한다.
단계 404: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한다.
판정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일 때,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이다.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이러한 경우에, 노드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한다. 상이한 유형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에 따르면,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에서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게다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은 시스템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실제 전송 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게다가, 소형 셀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단계 405;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노드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투명하게 전송한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단계 406: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한다.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노드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투명하게 전송한다. 따라서, 소형 셀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한다는 것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하다는 것은 예로서 사용된다. 매크로 기지국은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연결 정보는 노드를 사용하여 소형 셀로부터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된다. 매크로 기지국은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수행될지를 판정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요구된다면, 매크로 기지국은 조정된 전송 지시를 노드로 송신하고; 또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이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노드로 송신하여, 노드가 판정 결과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명시된 기지국으로 투명하게 전송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게다가,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추가로 집성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는 2개의 기지국에 의해 각각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 직접 전달하여,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 포워드될 필요가 없게 하여, 데이터 포워드에 의해 야기된 시간 소모를 회피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효율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을 완전히 개선하게 된다.
게다가,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노드는 기지국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기능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스케줄링 기능을 공유하고, 그에 의해 기지국의 처리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전송 프로세스가 설명된다. 도 6에 도시된 다음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가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이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된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여전히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 여러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01: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한다.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노드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에 별도로 연결된다. 게다가,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과 별도로 통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논리적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고, 논리적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단계 602: 노드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한다.
S1 연결은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설정되고, S1 연결에 기초하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한다.
전술한 단계 602는 단계 601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거나, 단계 601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거나, 단계 601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단계 603: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업링크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되고, 제1 업링크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된다. 제2 업링크 데이터는 소형 셀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되고, 제2 업링크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된다.
게다가, 노드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패킷 파라미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의 패킷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업링크 데이터와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협력적으로 전송되는 조정된 데이터인지, 또는 제1 업링크 데이터가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인지, 또는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사용자 장비를 위해 소형 셀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경우에, 노드는 다음의 단계 604 및 단계 605를 수행하고; 또는 전술한 제2 경우에, 노드는 다음의 단계 606을 수행하고; 또는 전술한 제3 경우에, 노드는 다음의 단계 607을 수행한다.
단계 604: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가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한다(consolidate).
단계 605: 노드가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한다.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으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되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는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한다. 상이한 유형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에 따르면, 제1 업링크 데이터는 제3 업링크 데이터에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고, 제2 업링크 데이터 또한 제3 업링크 데이터에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설정된 S1 연결을 사용하여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한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606: 제1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가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한다.
노드는 S1 연결을 사용하여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투명하게 전송한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607: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노드가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한다.
노드는 S1 연결을 사용하여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투명하게 전송한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의사-결정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의사-결정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위해 사용되고; 노드는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면, 노드는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 송신하고, 조정된 전송 지시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협력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물론,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는 소형 셀의 제2 연결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할 수 있고,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또는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의 제1 연결 정보를 소형 셀로 포워드할 수 있고, 소형 셀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게다가,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노드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협력적으로 전송되는 조정된 데이터를 집성하여, 전송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 포워드될 필요가 없게 하여, 데이터 포워드에 의해 야기된 시간 소모를 회피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효율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을 완전히 개선하게 된다.
게다가,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노드는 기지국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기능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스케줄링 기능을 공유하고, 그에 의해 기지국의 처리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 노드(720)와 매크로 기지국(730) 사이에 설정되고,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 노드(720)와 소형 셀(740) 사이에 설정되고, 매크로 기지국(730) 및 소형 셀(740)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710)로의 S1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고, 매크로 기지국(730) 또는 소형 셀(740)은 UE(750)로의 Uu 연결을 설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노드(720)는 포워드 기능을 갖는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이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된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 여러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01: 매크로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S1 연결은 매크로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설정되고, S1 연결에 기초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장비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802: 매크로 기지국이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한다.
매크로 기지국은 제1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연결 정보는 보통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제1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게다가, 매크로 기지국은 제2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보통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제2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강도의 핵심 파라미터는 RSRP이다.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노드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에 별도로 연결된다. 게다가,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과 별도로 통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논리적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고, 논리적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제2 연결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소형 셀은 노드를 사용하여 제2 연결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할 수 있다. 제2 연결 정보가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직접 포워드되기 때문에, 제2 연결 정보를 포워드하기 위해 요구된 시간이 감소된다.
단계 803: 매크로 기지국이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수신 신호 강도는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를 반영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기지국은 제1 수신 신호 강도와 제2 수신 신호 강도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을 계산하고, 차이의 절대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차이의 절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작을 때, 그것은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는 것, 즉, 사용자 장비가 셀의 에지에 위치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판정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은 다음의 단계 804 및 805를 수행한다.
게다가, 차이의 절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클 때,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하고,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은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 또한,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은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할지를 추가로 판정할 수 있다. 판정 결과가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는 것일 때, 매크로 기지국은 다음의 단계 808을 수행하고; 또는 판정 결과가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는 것일 때, 매크로 기지국은 다음의 단계 809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이 노드를 사용하여 조정된 전송 지시를 소형 셀로 포워드하고, 조정된 전송 지시가 소형 셀에게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이라는 점을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게다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들은 공동 전송, 조정된 스케줄링, 빔형성, 동적 셀 선택, 반송파 집성, 이중 연결성, 등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804: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단계 805: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판정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일 때,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이다.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이러한 경우에, 매크로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상이한 유형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에 따르면,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게다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은 시스템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실제 전송 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노드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소형 셀로 포워드되고, 그에 의해 포워드 프로세스에서 요구된 시간을 완전히 단축시킨다.
게다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노드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에 추가하여, 소형 셀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추가로 반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자는 IP(영어: Internet Protocol; 중국어: 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Global eNB ID(영어: Global Evolved Node Base station Identity; 중국어: Global Evolved Node Base station Identity)일 수 있다.
따라서,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전술한 단계 805는 단계 804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804 이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804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806: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선택적으로는,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반송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대응하는 소형 셀로 포워드할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반송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저장할 수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이후에, 노드는 매핑 관계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매크로 기지국에 대응하는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매핑 관계는 노드에 의해 미리-저장될 수 있고, 동적 학습 이후에 노드에 의해 저장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형 셀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807: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고, 노드에 의해 포워드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소형 셀은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그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과 함께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협력적으로 송신한다.
단계 808: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매크로 기지국이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은 독립적으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809: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매크로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하고, 노드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다운링크 데이터에 추가하여,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노드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은 소형 셀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추가로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810: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서 반송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대응하는 소형 셀로 포워드할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한다.
따라서, 소형 셀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811: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소형 셀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소형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및 스케줄링을 담당한다는 것은 단지 예로서 사용된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할 수 있고, 소형 셀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및 스케줄링을 담당한다. 소형 셀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소형 셀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따라서, 노드는 소형 셀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한다. 그 다음에,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전송 프로세스는 단지 예로서 사용된다는 점이 추가로 유의되어야 한다.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은 제2 업링크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하고; 노드는 제2 업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고;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매크로 기지국은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고; 매크로 기지국은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한다.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기능 및 소형 셀의 기능이 상호교환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데이터 상호작용이 수행될 때,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노드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포워드를 수행하고, 그에 의해 포워드 프로세스에서 요구된 시간을 완전히 단축시킨다는 것을 알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전송된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포워드한다는 것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점이 추가로 유의되어야 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전송된 제어 평면 시그널링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노드에 의해 포워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전송된 제어 평면 시그널링의 전송 지연이 또한 단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게다가,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전송된 사용자 평면 데이터 및/또는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추가로 포워드하고, 그에 의해 포워드 프로세스에서 요구된 시간을 완전히 단축시키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효율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을 개선시킨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이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된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 여러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01: 매크로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S1 연결은 매크로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설정되고, S1 연결에 기초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장비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902: 노드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한다.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게다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연결 정보를 노드에 적극적으로 보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연결 정보를 노드에 보고하거나; 또는 노드에 의해 송신된 보고 지시를 수신한 이후에,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보고 지시에 따라 노드에 연결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단계 903: 노드가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는 전술한 여러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상세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설명을 참조하라. 상세 내용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노드는 다음의 단계 904를 수행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지를 추가로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는 것일 때, 노드는 다음의 단계 909를 수행하고; 또는 판정 결과가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는 것일 때, 노드는 다음의 단계 911을 수행한다.
단계 904: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 것으로 판정할 때, 노드가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조정된 전송 지시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이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협력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는, 조정된 전송 지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에 관한 지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어, 매크로 기지국이 지시 정보에 따라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을 결정하게 한다.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유형들은 공동 전송, 조정된 스케줄링, 빔형성, 동적 셀 선택, 반송파 집성, 이중 연결성, 등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는, 노드가 또한 조정된 전송 지시를 소형 셀로 송신한다.
따라서, 노드에 의해 송신된 조정된 전송 지시를 수신한 이후에, 매크로 기지국은 조정된 전송 지시에 따라 다음의 단계 905계 및 906을 수행한다.
단계 905: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단계 906: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판정이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일 때,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이다. 이러한 경우에, 매크로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조정된 전송 지시에서 반송된 지시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결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노드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소형 셀로 포워드되고, 그에 의해 포워드 프로세스에서 요구된 시간을 완전히 단축시킨다.
따라서,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전술한 단계 906은 단계 905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905 이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단계 905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907: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따라서, 소형 셀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908: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단계 909: 매크로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노드가 제1 독립적인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1 독립적인 전송 지시는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매크로 기지국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노드로부터 제1 독립적인 전송 지시를 수신한다.
단계 910: 매크로 기지국이 제1 독립적인 전송 지시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단계 911: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독립적으로 담당한다고 판정할 때, 노드가 제2 독립적인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2 독립적인 전송 지시는 전술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매크로 기지국에게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912: 매크로 기지국이 제2 독립적인 전송 지시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노드로 송신한다.
따라서, 노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913: 노드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따라서, 소형 셀은 노드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914: 소형 셀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기능 및 소형 셀의 기능이 상호교환될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전송 프로세스는 단지 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알아내질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게다가,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노드는 기지국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기능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스케줄링 기능을 공유하고, 그에 의해 기지국의 처리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또한 노드를 사용하여 X2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이 추가적으로 유의되어야 한다. X2 연결을 설정하는 개시자가 매크로 기지국이라는 것이 예로서 사용된다. 매크로 기지국은 X2 셋업 요청 메시지를 노드로 송신하고, X2 셋업 요청 메시지는 소형 셀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반송하고, 노드는 소형 셀의 디바이스 식별자에 따라 X2 셋업 요청 메시지를 소형 셀로 포워드한다. 따라서, 소형 셀은 노드에 의해 송신된 X2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X2 셋업 응답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에 포워드하기 위해 노드를 사용하여 회신한다. 매크로 기지국이 X2 셋업 응답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이후에, 매크로 기지국은 소형 셀로의 X2 연결을 성공적으로 설정한다. 물론,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X2 연결을 설정하는 개시자는 소형 셀일 수 있다. 게다가,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은 노드를 사용하여 설정된 X2 연결을 추가로 유지할 수 있다. 유지보수 프로세스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교환된 메시지 모두는 노드에 의해 포워드될 수 있다.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의 모든 대화형 데이터가 노드에 의해 투명하게 포워드될 수 있어, 전송 지연을 단축시키고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의 조정 성능을 완전히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게 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이고,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에 개시되지 않은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라.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구현 환경내의 노드(120)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설정 모듈(1010) 및 스케줄링 모듈(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모듈(1010)은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스케줄링 모듈(1020)은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장치에 따르면,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노드(320)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설정 모듈(1010) 및 스케줄링 모듈(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모듈(1010)은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스케줄링 모듈(1020)은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는, 스케줄링 모듈(1020)이 제1 수신 유닛(1020a) 및 제1 송신 유닛(1020b)을 포함한다.
제1 수신 유닛(1020a)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송신 유닛(1020b)은, 제1 수신 유닛(1020a)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스케줄링 모듈(1020)이 제2 송신 유닛(1020c) 및 제3 송신 유닛(1020d)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송신 유닛(1020c)은, 제1 수신 유닛(1020a)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3 송신 유닛(1020d)은, 제1 수신 유닛(1020a)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스케줄링 모듈(1020)이 제2 수신 유닛(1020e), 통합 유닛(1020f), 및 제4 송신 유닛(1020g)을 포함한다.
제2 수신 유닛(1020e)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합 유닛(1020f)은, 제2 수신 유닛(1020e)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된다.
제4 송신 유닛(1020g)은 통합 유닛(1020f)에 의한 통합에 의해 획득된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스케줄링 모듈(1020)이 제5 송신 유닛(1020h) 및 제6 송신 유닛(1020i)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송신 유닛(1020h)은, 제2 수신 유닛(1020e)에 의해 수신된 제1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6 송신유닛(1020i)은, 제2 수신 유닛(1020e)에 의해 수신된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장치가 제2 설정 모듈(1030)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설정 모듈(1030)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장치가 수신 모듈(1040), 결정 모듈(1050), 및 송신 모듈(1060)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 모듈(1040)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결정 모듈(1050)은 수신 모듈(104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1060)은, 결정 모듈(1050)이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고 결정할 때,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수신 유닛(1020a), 제2 수신 유닛(1020e), 및 수신 모듈(1040)은 상이한 기능적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동일한 기능적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것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제1 송신 유닛(1020b), 제2 송신 유닛(1020c), 제3 송신 유닛(1020d), 제4 송신 유닛(1020g), 제5 송신 유닛(1020h), 제6 송신 유닛(1020i), 및 송신 모듈(1060)은 상이한 기능적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동일한 기능적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장치에 따르면,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게다가,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추가로 집성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노드는 2개의 기지국에 의해 각각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 직접 전달하여, 전송을 위해 데이터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 포워드될 필요가 없게 하여, 데이터 포워드에 의해 야기된 시간 소모를 회피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효율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을 완전히 개선하게 된다.
게다가,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노드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협력적으로 전송되는 조정된 데이터를 집성하여, 전송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 포워드될 필요가 없게 하여, 데이터 포워드에 의해 야기된 시간 소모를 회피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효율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을 완전히 개선하게 된다.
게다가,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노드는 기지국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기능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스케줄링 기능을 공유하고, 그에 의해 기지국의 처리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킨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노드(720)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1 설정 모듈(1010) 및 스케줄링 모듈(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모듈(1010)은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스케줄링 모듈(1020)은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조정된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는, 스케줄링 모듈(1020)이 제1 포워드 유닛(1020j) 및/또는 제2 포워드 유닛(1020k)을 포함한다.
제1 포워드 유닛(1020i)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된다.
제2 포워드 유닛(1020j)은, 소형 셀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는, 장치가 수신 모듈(1040), 결정 모듈(1050), 및 송신 모듈(1060)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 모듈(1040)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결정 모듈(1050)은 수신 모듈(104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1060)은, 결정 모듈(1050)이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고 결정할 때,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장치에 따르면,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게다가,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포워드의 요건 없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추가로 포워드하고, 그에 의해 포워드 프로세스에서 요구된 시간을 완전히 단축시키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효율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을 개선시킨다.
게다가, 노드는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이 수행될지를 추가로 판정하고, 노드는 기지국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의사-결정 기능 및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스케줄링 기능을 공유하고, 그에 의해 기지국의 처리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는, 전술한 기능적 모듈들의 분할이 단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실제적 응용에서, 전술한 기능들은 필요에 따라 완료를 위해 상이한 기능적 모듈에게 할당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의 내부적 구조는 상술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료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적 모듈로 분할된다. 게다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라. 세부 내용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들 사이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의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 구조도를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1300)는 노드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장치(1300)는 버스(1310), 버스(1310)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프로세서(1320), 메모리(1330) 및 송수신기(1340)를 포함한다. 메모리(1330)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명령어는 프로세서(132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1320)는 노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이다.
프로세서(1320)는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조정된 데이터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송 장치에 따르면, 노드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노드가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프로세스에서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관련된 기술에서의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전송 모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사이의 전송의 지연이 단축되고, 매크로-마이크로 조정 성능이 개선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음은 선택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40)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1340)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송수신기(1340)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1340)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음은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40)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20)는,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조정된 데이터일 때,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제2 업링크를 통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1340)는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송수신기(1340)는, 제1 업링크 데이터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1340)는,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음은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320)는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음은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40)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소형 셀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송수신기(1340)는, 소형 셀로부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음은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40)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1 연결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연결 정보는 소형 셀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1320)는 제1 연결 정보 및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이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1340)는,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고 결정될 때, 조정된 전송 지시를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문서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하나(one)"("a", "an", "the")는 상황이 다른 경우를 명확하게 지원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and/or)"은 또한 하나 이상의 연관된 목록화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이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실시예들의 우선순위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 또는 관련된 하드웨어에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판독-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예들이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된 임의의 수정, 등가물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노드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는 단계 - 상기 노드,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임 - ; 및
    상기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임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조정된 데이터일 때,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상기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상기 소형 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상기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소형 셀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조정된 데이터일 때, 상기 노드에 의해,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에 의해,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상기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소형 셀로 포워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소형 셀로부터, 상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연결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연결 정보는 상기 소형 셀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소형 셀이 상기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면, 상기 노드에 의해, 조정된 전송 지시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상기 소형 셀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노드에 적용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매크로 기지국 및 소형 셀로의 연결을 별도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설정 모듈 - 상기 노드,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소형 셀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은 X2 연결 또는 사용자-정의된 논리적 연결임 - ; 및
    조정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모듈 - 상기 조정된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임 -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제1 수신 유닛 및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조정된 데이터일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있고 상기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상기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제2 송신 유닛 및 제3 송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신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송신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상기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제2 수신 유닛, 통합 유닛, 및 제4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로부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합 유닛은,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소형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조정된 데이터일 때, 제3 업링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송신 유닛은 상기 제3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제5 송신 유닛 및 제6 송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5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6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소형 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일 때,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의 S1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설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제1 포워드 유닛 및/또는 제2 포워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워드 유닛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상기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소형 셀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포워드 유닛은, 상기 소형 셀로부터, 상기 조정된 데이터에 있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포워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형 셀로부터 제2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제1 연결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연결 정보는 상기 소형 셀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의 품질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제1 연결 정보 및 상기 제2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소형 셀이 상기 사용자 장비를 위해 조정된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조정된 전송이 요구된다고 결정될 때, 조정된 전송 지시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또는 상기 소형 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KR1020177032314A 2015-04-08 2016-01-08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6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64513.0 2015-04-08
CN201510164513.0A CN106162931B (zh) 2015-04-08 2015-04-08 数据传输方法和装置
PCT/CN2016/070469 WO2016161829A1 (zh) 2015-04-08 2016-01-08 数据传输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144A true KR20170137144A (ko) 2017-12-12
KR102026201B1 KR102026201B1 (ko) 2019-09-27

Family

ID=5707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314A KR102026201B1 (ko) 2015-04-08 2016-01-08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26837A1 (ko)
EP (1) EP3273741B1 (ko)
JP (1) JP6562574B2 (ko)
KR (1) KR102026201B1 (ko)
CN (1) CN106162931B (ko)
WO (1) WO2016161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04527T3 (es) * 2016-08-24 2021-02-08 Deutsche Telekom Ag Supervisión no intrusiva de una conexión
GB2572651A (en) * 2018-04-06 2019-10-09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5623A2 (en) * 2011-05-17 2012-1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14045444A (ja) * 2012-08-28 2014-03-1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5241B2 (en) * 2010-04-09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obust forward handover in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ystems
US8989004B2 (en) *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JP5942319B2 (ja) * 2012-04-12 2016-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13243454A (ja) * 2012-05-18 2013-12-05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03516494B (zh) * 2012-06-21 2016-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信息反馈方法和用户设备
CN104429111B (zh) * 2012-07-20 2019-02-19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本地集群、中央控制器、微基站和宏基站的网络系统
US9420605B2 (en) * 2013-05-10 2016-08-1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coordination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CN104284437B (zh) * 2013-07-09 2018-03-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协作多点传输中心调度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及系统
CN104349483B (zh) * 2013-08-07 2018-03-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协作多点传输场景下的资源调度方法和装置
US10129356B2 (en) * 2013-11-15 2018-11-13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hysical layer caching for flexible MIMO co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100585B1 (en) * 2014-01-31 2018-04-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enhanced radio resource deployment
US9609680B2 (en) * 2014-03-18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lows and buffer status report for a group in device-to-device broadcast communication
US10750419B2 (en) * 2015-02-04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efficient handover and reselection to a home ENODEB using user equipment motion
US20160255632A1 (en) * 2015-02-27 2016-09-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LTE/WI-FI Aggregation For Existing Network No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5623A2 (en) * 2011-05-17 2012-1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14045444A (ja) * 2012-08-28 2014-03-1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1829A1 (zh) 2016-10-13
US20180026837A1 (en) 2018-01-25
JP2018511270A (ja) 2018-04-19
CN106162931B (zh) 2020-01-03
EP3273741A4 (en) 2018-03-21
JP6562574B2 (ja) 2019-08-21
KR102026201B1 (ko) 2019-09-27
EP3273741B1 (en) 2020-03-11
CN106162931A (zh) 2016-11-23
EP3273741A1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584B2 (en) Federated X2 gateway
US20200358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pecific procedure or mobility procedure for network slice-base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304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pecification procedure for network slice-base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19012B2 (en) X2 brokering between inter-3GPP release eNodeB's
US10582381B2 (en) Implementing radio access network slicing in a mobile network
EP2472920B1 (en) Method for obtaining neighbor cell information, and network
US20190349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63986B2 (ja) 無線リンクの故障中におけるコール切断の回避
US20160212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between enb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20210045022A1 (en) Apparatus, method,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lated to beamforming
KR20230091856A (ko) 도너 간 모빌리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1798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transmission link,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1987429B1 (ko) 기지국 장비, 하향링크 협력 전송 방법 및 상향링크 협력 전송 방법
US11051213B2 (en) Core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in for obtaining a decision of a CN/RAN endpoint pair for user plane session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KR102026201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2082690A1 (zh) 群组切换的方法、装置和系统
CN112534956A (zh) 标识一个协议数据单元会话中设立的两个隧道
WO2023010367A1 (zh) 终端设备的转移方法、装置和系统
KR102337115B1 (ko) 무선링크 설정을 위한 탐색신호의 전송 방법 및 무선링크 설정 방법
US2015032711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bea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