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131A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131A
KR20170136131A KR1020160067627A KR20160067627A KR20170136131A KR 20170136131 A KR20170136131 A KR 20170136131A KR 1020160067627 A KR1020160067627 A KR 1020160067627A KR 20160067627 A KR20160067627 A KR 20160067627A KR 20170136131 A KR20170136131 A KR 2017013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rice
germinated brown
germinated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0241B1 (en
Inventor
김복술
Original Assignee
김복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술 filed Critical 김복술
Priority to KR102016006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241B1/en
Publication of KR2017013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rminated brown rice preparing method and a preparing apparatu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rminated brown rice prepar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brown rice; removing impurities on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germinating the brown rice;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and pack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The germinated brown rice preparing method can promote germination of the brown rice in a clean state and remove various impurities and malodor to enhance the texture of the brown rice while enabling the brown rice to include better nutrients.

Description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germinated brown rice,

본 발명은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의 휴면을 타파하는 발아 과정에서 침지와 발아를 반복 실시함에 따라 상시 청정상태를 유지시켜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각종 불순물과 잡내를 제거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며, 일련의 전 단계에서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함에 따라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특히, 유기농으로 재배된 벼만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영양소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취향에 따라 가정에서 재 발아시킬 수 있어 발아 현미가 지니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germinated brown r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germinated brown ric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repeatedly immersing and germinating in a germination process that breaks the dormancy of brown rice, It improves the texture by eliminating impurities and omissions. It uses underground mineral water rich in natural minerals in a whole series of stages, and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ng adult disease, promoting metabolism, and treating skin diseases and analgesic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germinated brown r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maximize the efficacy of germinated brown rice by allowing only the cultivated rice to be used as a better nutrient, while satisfying consumers' desires and being able to be re-germinated at home according to their taste.

최근 생활패턴이 급격히 서구화되면서 우리의 식생활 또한 인스턴트나 육류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나 육류를 주로 섭취하는 경우에 혈액의 산독화(酸毒化)현상을 촉발하여 성인병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여러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미국 암연구소와 세계 암기금에서는 곡류 및 채소류 위주로 식생활을 개선하고 필요한 칼로리의 10%정도만 동물성에서 얻는다면 암의 50%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 현미나 전립분으로 제조된 빵, 야채, 과일, 콩류를 많이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As the recent patterns of living have rapidly westernized, our diet has also been shifting to the focus of instant and meat.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se intakes and meats are the main cause of adult diseases by triggering the acid poisoning of blood when they are consumed mainly. As a result, the American Cancer Research Institute and the World Memorial Foundation have announced that they can improve their diet mainly by grains and vegetables, and can prevent more than 50% of cancer if only 10% of calories are obtained from animal. It is recommended that you eat plenty of bread, vegetables, fruits and legumes.

주지된 바와 같이, 곡류 및 채소류의 섭취를 권장하는 이유는 곡류 및 채소류에는 육식으로는 보충할 수 없는 식이섬유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현미에는 탄수화물 이외에 식물성 단백질을 비롯하여 지방과 심장병을 예방하는 마그네슘, 뼈에 좋은 칼슘, 고혈압 예방에 절대 필요한 칼륨, 빈혈을 없애는데 좋은 철분 및 발육촉진과 에너지대사에 좋은 아연 등 풍부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현미에는 비타민 B1, B2, B6, 니코틴산, 판토텐산, 엽산 등의 비타민류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쌀눈에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뇌혈류를 증가시켜 산소공급량을 많게 하고 뇌세포대사기능을 활발하게 하여 자율신경과 고혈압치료에 좋은 감마오리자놀(γ-oryzanol)이 함유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cereal and vegetable intake is encouraged because cereals and vegetables contain large amounts of dietary fiber that can not be supplemented by carnivorous diet. In addition to carbohydrates, brown rice contains vegetable protein, magnesium to prevent fat and heart disease, good calcium in bones, potassium that is necessary for prevention of hypertension, good iron to eliminate anemia, and rich minerals such as zinc for energy metabolism . In addition, brown rice is rich in vitamins such as vitamin B1, B2, B6, nicotinic acid, pantothenic acid, and folic acid. Rice eyes are a type of amino acid that increases cerebral blood flow, increases oxygen supply, (Gamma-oryzanol) which is good for autonomic nerve and hypertension treatment.

감마오리자놀(γ-oryzanol)은 쌀겨유, 미배아유에서 추출한 페르라산인 트리테르펜 알코올에스테르 시상하부를 자극하고 내분비계 및 자율신경계의 실조를 개선하는 것으로서, 주로 갱년기 장애, 자율신경실조증 치료약으로 사용되며, 또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로도 사용된다.Γ-oryzanol stimulates the hypothalamus, which is ferulic acid triterpene alcohol esters extracted from rice bran oil and ungerminated milk, and improves endocrin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dysfunction. It is mainly used for menopausal disorder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disorders It is also used as an antioxidant to prevent the food from deteriorating.

이처럼 현미가 인체에 매우 유익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백미에 비하여 현미가 현저하게 낮은 섭취율을 지니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도정 과정에서 왕겨만 벗겨낸 현미에 농약이 더 많이 잔류할 것이란 잘못된 선입관은 물론, 일반 밥솥에서는 제대로 조리가 되지 않는다는 불편함과 특히,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거칠어 입맛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 현미의 섭취를 제한하고 있다.Although the brown rice is ver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he brown rice has a significantly lower intake rate than that of white rice. This is because, in addition to the false prejudice that more rice paddies will remain in brown rice, It is inconvenient that it is not cooked properly, and in particular, it does not chew smoothly and does not fit the taste of mouth, restricting intake of brown rice.

한편, 이러한 현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결과, 현미의 싹을 발아시켜 밥을 지으면 조금만 씹어도 백미처럼 맛이 좋고 자체 정화작용으로 장내 소화효소가 활성화하며 영양소도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라 현미로부터 싹을 틔운 발아 현미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 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various studi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brown rice have found that when germinated brown rice seeds are germinated and cooked for a little time, the taste is as good as white rice, and the self-purification function activates intestinal digestive enzymes and does not destroy nutrients. As a result, interest in germinated brown rice, which has germinated from brown rice, is increasing day by day.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8505호 “발아 현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볍씨를 소금물에 침전시켜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볍씨를 섭씨 10℃ 내외의 물에서 10일간 침전시킨 후, 섭씨 55℃ 내외의 온도에서 5분간 온도 충격을 가해, 볍씨의 휴면상태를 타파하는 단계; 휴면상태를 타파한 볍씨의 물기를 뺀 후 섭씨 20∼30℃가 유지되면서 80∼95%의 습도가 항상 유지되는 발아실에서 7∼10시간 방치하여 0.2∼1.5㎜ 발아시키는 단계; 발아시킨 볍씨를 맑은 물에 최소한 1회 이상 세척하여 대사분비물을 제거하고 물을 빼는 단계; 자연적인 바람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져 약 45℃로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수분 함량이 17∼14%로 건조시켜 보관하는 단계; 필요한 량 만큼 통상의 현미가공 단계로 발아 현미를 도정하는 단계; 도정한 발아 현미를 백미와 임의의 비율로 혼합해 포장완성되는 단계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48505 entitled " Method of Manufacturing Germinated Brown Rice, " comprises the steps of precipitating rice seeds in brine and selecting them; Precipitating the selected rice seeds in water at about 10 ° C for 10 days and then applying a temperature impact for 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about 55 ° C to break the dormancy of rice seed; Leaving germicidal seeds that have absorbed the dormant state, leaving germination at a temperature of 20 to 30 ° C and maintaining humidity of 80 to 95% for 7 to 10 hours to germinate at 0.2 to 1.5 mm; Washing germinated rice seeds with clear water at least once to remove metabolic secretions and removing water; Drying and storing the moisture content in a drying chamber maintained at about 45 占 폚 at a temperature of 17 占 폚 to 14% sequentially from a natural wind; Cultur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in a usual amount of the brown rice processing step by a necessary amount; Wherein the germinated brown rice is mixed with white rice at an arbitrary ratio and then packaged to complete a germinated brown rice manufacturing method.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233호 “발아 현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확된 벼로부터 완숙미를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완숙미를 왕겨만 살짝 벗겨내어 현미로 도정하는 단계와; 도정된 현미를 13℃∼23 ℃의 온도로 유지되는 물이 채워진 침지용기에 넣고 공기를 불어 넣어 산소를 공급하면서 8∼10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와; 침지완료된 현미를 1∼3mm크기를 갖는 다수의 모눈이 형성된 다공판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널어주는 단계와; 상기 현미가 널어진 다공판의 위로부터는 물을 살포하고 아래로부터는 공기를 불어 넣어 산소를 공급하면서 21℃∼25℃의 온도, 82∼88%의 습도를 유지하면서 24∼60시간 동안 싹을 발아시키는 습식발아단계와; 상기 습식발아단계에서 싹이 0.2∼5.0mm의 크기로 자라면 별도의 트레이에 옮겨 담는 단계와; 별도의 트레이에 옮겨진 발아 현미를 수분함유율이 20∼30%인 상태에서 -45℃의 온도로 10∼12시간 동안 급속동결시키는 단계와; 급속동결된 발아 현미를 30℃∼60℃의 저온에서 480mmHg의 진공압으로 진공건조시키는 단계와; 진공건조된 발아 현미를 포장하여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5233, entitled " Process for producing germinated brown rice, " comprises a step of selecting mature from harvested rice; Peeling the picked mildew with only a small amount of rice hulls and turning it into brown rice; Placing the ground brown rice in a water immersed contain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3 to 23 DEG C and blowing air to immerse for 8 to 10 hours while supplying oxygen; Immersing the immersed brown rice so as to be evenly distributed on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grids having a size of 1 to 3 mm; The sprouts are germinated for 24 to 60 hours at a temperature of 21 ° C to 25 ° C and a humidity of 82 to 88% while supplying water by spraying water from above the perforated plates and blowing air from below to supply oxygen A wet germinating step; Transferring the buds to a separate tray if the buds grow in the size of 0.2 to 5.0 mm in the wet germination step; Rapidly frozen germinated brown rice transferred to a separate tray at a temperature of -45 DEG C for 10 to 12 hours in a state where the moisture content is 20 to 30%; Vacuum-drying rapidly frozen germinated brown rice at a low temperature of 30 ° C to 60 ° C with a vacuum pressure of 480 mmHg;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and packaging and drying the dried germinated brown rice.

상기 전자는 볍씨를 발아하고 발아된 볍씨를 도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후자는 발아된 현미를 저온에서 급속 동결하고 진공압으로 건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 점에서 양 자간에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는 발아 현미를 제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발아 과정을 살펴보면, 침지시간과 온도차이 외에는 특별한 기술적 차이가 없으므로 실질적인 발아 현미의 식감과 영양이 기존 방법에 비해 월등하다고 평가할 수가 없다.The former proposes a method of germinating rice seeds and germinated rice seeds, and the latter proposes a method of rapidly freezing germinated brown rice at a low temperature and drying it with vacuum pressure. However, the former and the latter can not be considered to be superior to conventional methods in terms of the germination and nutrition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since there is no particular technical difference except for the immersion time and temperature difference.

더구나 전자와 후자는 제조 시 필요한 구체적인 장치에 관련한 언급이 전혀 없으므로 제조성과 생산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since the former and the latter have no reference to a specific apparatu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등록특허공보 제10-0448505호Patent Registration No. 10-0448505 등록특허공보 제10-0495233호Patent Registration No. 10-0495233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현미의 휴면을 타파하는 발아 과정에서 침지와 발아를 반복 실시함에 따라 상시 청정상태를 유지시켜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각종 불순물과 잡내를 제거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며, 일련의 전 단계에서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함에 따라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특히, 유기농으로 재배된 벼만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영양소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취향에 따라 가정에서 재 발아시킬 수 있어 발아 현미가 지니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venting germination by continuously immersing and germinating in the germination process breaking the dormancy of brown rice, By using underground mineral water rich in natural minerals in a whole series of stages, it has excellent efficacy for prevention of adult disease, promotion of metabolism and skin disease and analgesic effect. Especi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erminated brown rice, which can maximize the efficacy of germinated brown rice by satisfying consumers' desire with superior nutrients and allowing them to be re-germinated at home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will be.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13∼1.15의 비중을 갖는 소금물이 담긴 염수선기, 또는 망체가 구비되고 불량미(5)와 완숙미(3)의 배출구(6,4)가 구분 형성된 그레이더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선별기(10)에 유기농 벼를 투입하여 길이 2.2㎜ 이상의 완숙미(3)를 선별하고, 도정기(15)를 통해 선별된 완숙미(3)의 왕겨를 벗겨내어 현미(1)를 준비하는 제1단계(S1); 상기 현미(1)를 회전 구조의 교반날개(21)가 바닥부에 설치된 세척기(20)에 투입하고, 상기 교반날개(21)가 침수되도록 세척기(20) 내에 수용된 지하 암반수로 6∼10회 세척하여 현미(1)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지하 암반수의 효능이 현미(1)에 침투되게 하는 제2단계(S2); 상기 현미(1)를 가열조(33)와 발아조(35)가 배관(P)과 밸브(V)에 의해 연결된 발아기(30)에 투입하고, 발아조(35) 내에 수용된 현미(1)를 27∼30℃ 지하 암반수에 1.5∼2시간 침지한 상태로 유지하는 1차발아단계(S3-1)와, 침지한 지하 암반수가 배출된 상태로 3.5∼4시간 숙성하는 2차발아단계(S3-2)를 번갈아가며 10∼12회에 걸쳐 40∼60시간 연속 반복 실시하면서 발아장(2)의 길이가 0.3∼0.5㎜가 되도록 발아시켜 발아 현미(1)를 제조한 다음, 지하 암반수로 6∼10회 세척하여 발아 현미(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지하 암반수의 효능이 발아 현미(1)에 침투되게 하는 제3단계(S3); 상기 발아 현미(1)를 건조기(40)에 투입하고, 20∼25℃의 공기를 50∼54시간 송풍시켜 수분함량이 12∼15%가 되도록 건조하는 제4단계(S4); 상기 건조된 발아 현미(1)를 질소 충진된 필름지에 포장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lander having a brine or group of brine containing a brine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13-1.15, Organic rice is put into a sorting machine 10 provided at any one of the stages 1 to 3 to select the mature rice seeds 3 having a length of 2.2 mm or more and to remove the rice husks of the mature rice leaves 3 selected through the rice pouring machine 15, (S1); The brown rice 1 is poured into the washing machine 2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ry structure and the washing vat 21 is washed six to ten times with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machine 20 so that the stirring vane 21 is submerged A second step (S2) of allowing the effect of the underground rock to penetrate the brown rice (1) while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1); The brown rice 1 is introduced into the gauze 30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33 and the germination tank 35 by the piping P and the valve V so that the brown rice 1 contained in the germination tank 35 (S3-1) in which the water is immersed in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at 27 to 30 DEG C for 1.5 to 2 hours and a second germination stage (S3- 1) in which the immersed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aged for 3.5 to 4 hours, 2) were alternately repeated for 10 to 12 times for 40 to 60 hours, and germinated brown rice (1) was produced by germination so that the length of germination field (2) was 0.3 to 0.5 mm, A third step (S3) in which the efficacy of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infiltrated into the germinated brown rice (1)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erminated brown rice (1) by washing 10 times. A fourth step (S4) of putt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nto the dryer (40) and blowing air at 20 to 25 캜 for 50 to 54 hours to dry the water to a moisture content of 12 to 15%; And a fifth step (S5) of packaging the dried germinated brown rice (1) in a nitrogen-filled film paper.

이때, 상기 제4단계(S4)에서, 건조기(40)를 통해 발아 현미(1)에 초기(0∼10시간)에는 20℃로 송풍하고, 중기(10∼45시간)에는 22∼23℃로 송풍하며, 말기(45∼54시간)에는 25℃로 송풍하여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가며 건조함으로써 발아 현미(1)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갈라짐이나 변색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fourth step S4,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blown through the dryer 40 at 20 ° C in the initial stage (0 to 10 hours) and at 22 to 23 ° C in the middle stage (10 to 45 hours) And air is blown at the end (45 to 54 hours) and th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by blowing air at 25 ° C. to dry the germinated brown rice (1), thereby preventing cracking or discoloration.

또한, 본 발명은 1.13∼1.15의 비중을 갖는 소금물이 담긴 염수선기, 또는 망체가 구비되고 불량미(5)와 완숙미(3)의 배출구(6,4)가 구분 형성된 그레이더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유기농 벼에서 2.2㎜ 이상의 완숙미(3)를 선별하는 선별기(10); 상기 선별된 완숙미(3)의 왕겨를 벗겨내어 현미(1)를 형성하는 도정기(15); 상기 현미(1)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바닥부에 회전 구조를 갖는 교반날개(21)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날개(21)가 침수되도록 지하 암반수가 수용되는 세척기(20); 상기 현미(1)를 발아시키기 위해 내부에 수용된 지하 암반수를 가열시켜 유지하도록 바닥에 히터(32)가 설치된 가열조(33)와, 상기 현미(1)를 수용하는 다공(31a)이 형성된 채반(31)이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상기 가열조(33)에 상호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관(P) 및 밸브(V)로 연결되는 발아조(35)가 구비되어 발아 현미(1)를 형성하는 발아기(30); 상기 발아 현미(1)를 건조시키기 위해 내부에 발아 현미(1)를 수용한 채반(31)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거치대(41)와, 거치대(41)상에 공기를 순환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로(42)와, 공기유로(42)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43)과, 송풍팬(43)과 연통되어 흡/배기 조절이 가능한 흡기덕트(45) 및 배기덕트(46)가 구비된 건조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rine line containing a brine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13 to 1.15 or a grader having a mesh and a discharge port (6, 4) of a bad rice (5) A selector (10) for selecting a mature taste (3) of 2.2 mm or more; A combiner (15) for taking out the rice husks of the selected mature rice (3) and forming a brown rice (1); A washing machine (20) provided with a stirring blade (21) having a rotating structure on the bottom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1), and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received to immerse the stirring blade (21); A heating tank 33 provided with a heater 32 on the bottom so as to heat and retain the underground rock water stored therein for germinating the brown rice 1 and a rice pot 31a containing the rice brown rice 1 31)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33) by at least one piping (P) and a valve (V) to form germinated brown rice (1) 30); (41) for stacking the pots (31) contain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therein in a multistage manner for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at least one air passage A blowing fan 43 for blowing air to the air passage 42 so as to circulate air and an intake duct 45 and an exhausting duct 46 communicating with the blowing fan 43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take / And a drying unit (40) for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이때, 상기 발아기(30)는 발아조(35) 내에 수용된 현미(1)를 27∼30℃ 지하 암반수에 1.5∼2시간 침지한 상태로 유지하고, 침지한 지하 암반수가 배출된 상태로 3.5∼4시간 숙성하는 과정을 번갈아가며 10∼12회에 걸쳐 40∼60시간 연속 반복 실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germicide 30 is maintained by immersing the brown rice 1 contained in the germination tank 35 in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at 27 to 30 DEG C for 1.5 to 2 hours, and in the state where the immersed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discharged, And the aging time is alternately repeated 10 to 12 times for 40 to 60 hours continuously.

또한, 상기 송풍팬(43)은 건조기(40)의 본체 상부측 중앙부에 설치되고, 흡입덕트(45)는 거치대(41) 상부측의 본체 측벽에 설치되며, 배기덕트(46)는 본체 상부측의 송풍팬(43)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43)이 회전하면 흡입덕트(45)가 개방되면서 외부공기가 본체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43)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유로(42)를 따라 거치대(41) 측으로 이동되면서 본체 내부의 공기순환에 의해 채반(31)에 수용된 발아 현미(1)가 건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wing fan 43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upper side of the dryer 40. The suction duct 45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bove the mount stand 41, When the blowing fan 43 is rotated, the suction duct 45 is opened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sucked air is sucked by the rotating force of the blowing fan 43 The germinated brown rice 1 housed in the sorter 31 is dried by the circulation of air in the main body while being moved toward the cradle 41 along the air flow path 42.

또한, 상기 배기덕트(46)는 건조기(40)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 습도감지센서 및 이에 연결된 제어기에 의해 습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개방작동되고, 일정치 이하이면 폐쇄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 46 is opened when the humidity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a humidity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dryer 40 and a controller connected thereto, .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46)는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일정시간을 따라 개방, 폐쇄작동이 반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 (4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repe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set by the controller.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미의 휴면을 타파하는 발아 과정에서 침지와 발아를 반복 실시함에 따라 상시 청정상태를 유지시켜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각종 불순물과 잡내를 제거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며, 일련의 전 단계에서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함에 따라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특히, 유기농으로 재배된 벼만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영양소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취향에 따라 가정에서 재 발아시킬 수 있어 발아 현미가 지니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edly immersing and germinating in the germination process that breaks down the brown rice dormancy, the germination is promoted by maintaining the clean state at all times, and the impurities are removed, By using underground minerals rich in natural minerals in the previous stage, it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on of adult disease, promotion of metabolism and skin disease and analgesic effect. Especially, But it can be re-germinated at home according to taste, so that the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순서 공정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단계의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단계의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단계의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4단계의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를 나타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ourth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illustration showing germinated brown rice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현미의 휴면을 타파하는 발아 과정에서 침지와 발아를 반복 실시함에 따라 상시 청정상태를 유지시켜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각종 불순물과 잡내를 제거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며, 일련의 전 단계에서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함에 따라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특히, 유기농으로 재배된 벼만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영양소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취향에 따라 가정에서 재 발아시킬 수 있어 발아 현미가 지니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현미를 준비하는 제1단계(S1), 현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단계(S2), 현미를 발아하는 제3단계(S3), 발아 현미를 건조하는 제4단계(S4), 발아 현미를 포장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germination of brown rice by repeatedly performing immersion and germination in a germination process, thereby promoting germination by maintaining a clean state at all times, improving various mouthfeel by removing various impurities and gum, By using underground mineral water rich in natural minerals, it has excellent efficacy for prevention of adult disease, promotion of metabolism and skin disease and analgesic effect. Especi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rminated brown rice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the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which can be re-germinated at home according to taste, A second step S2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a third step S3 for germinating brown rice, Comprises a fifth step of wrapping a first step 4 (S4), sprouted brown rice and drying the brown rice (S5).

상기 제1단계(S1)∼제5단계(S5)의 상세 설명은 아래와 같다.Details of the first step (S1) to the fifth step (S5) are as follows.

(1) 제1단계 - S1(1) Step 1 - S1

상기 제1단계(S1)는 유기농 벼 중에서 선별기(10)를 통해 완숙미(3)를 선별하고, 도정기(15)를 통해 선별된 완숙미(3)의 왕겨를 벗겨내어 현미(1)를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S1 is a step of selecting the mature rice seeds 3 from the organic rice seeds through the sorting machine 10 and peeling off the rice husks of the mature rice seeds 3 selected through the pouring machine 15 to prepare the brown rice 1 to be.

상기 유기농 벼는 각종 화학 비료나 농약 등의 합성물질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이나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만들어낸 자재를 사용한 농사법에 의해 재배된 것으로, 화학농법으로 재배된 벼보다 2배 이상의 영양소를 지니고 있다.The organic rice was cultivated by using agricultural materials using naturally produced organic materials or microorganisms without using any chemical materials such as chemic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Respectively.

이러한 유기농 벼는 논에서 직접 수확된 것이므로 각기 다른 크기와 중량을 지니고 있는 것은 물론, 쭉정이나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품화가 가능한 완숙미(길이 약 2.2mm 이상)만을 선별해서 도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유기농 벼로는 찹쌀, 흑찰, 동은, 잡곡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벼는 별도의 기능과 효능이 가미된 것으로, 이하 단계에서 모두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의 패턴과 성향을 고려하여 이용한다.These organic rice paddies are directly harvested from paddy fields, so they have different sizes and weights. They also contain chaff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erefore, only the mildness (over 2.2mm in length) that can be commercialized should be selected. Here, organic rice paddies can be selectively used among glutinous rice, obtusa, copper, and gravy. These rice plants have additional functions and efficacy, and they can be applied in the following steps, so they are used in consideration of patterns and tendencies of consumers.

먼저, 수확된 유기농 벼를 선별기(10)에 투입하여 완숙미 만을 선별해야 하는데, 이때 실시예로서 염수선기 또는 그레이더가 사용된다.First, the harvested organic rice is put into the sorter 10 to select only the mature rice. In this case, a brine or a grader is used as an example.

상기 염수선기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소금물(12)의 비중을 이용한 것으로, 선별기(10)로 사용되는 욕조 내에 계란이 떠오르는 약 1.13∼1.15의 비중을 지니도록 물과 소금을 혼합한 소금물(12)을 채운다. 그런 다음 상기 욕조 내에 유기농 벼를 투입하게 되면, 약 2.2mm 이하의 불량미(5)나 쭉정이 및 이물질은 소금물(12)의 상부로 떠오르게 되고, 완숙미(3)는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염수선기는 비교적 작업자의 일손이 증가시키는 단점은 있으나, 설비에 따른 초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The brine line use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rine 12 as shown in FIG. 2 (a), and the salt brine has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13 to 1.15 in which the egg floats in the bath used for the sorter 10, (12). Then, when the organic rice is introduced into the bath, the defective rice (5), chaff and foreign matter of about 2.2 mm or less float to the upper part of the brine (12), and the ripeness (3) sinks to the bottom. Althoug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uch a brine machine relatively increases workload of an oper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initial cost for the facility is low.

이와 다른 실시예인 그레이더는 망체를 이용한 것으로, 도 2의 (b)에서와 같이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완숙미만을 선별해준다. 즉, 선별기(10)로 사용되는 호퍼에 유기농 벼를 투입하게 되면, 내부에 약 2.2mm 크기를 지닌 스크류 타입의 망체로 이송되고, 망체가 회전하면서 불량미(5)나 쭉정이 및 이물질은 별도의 배출구(6)로 배출되고, 완숙미(3)는 다른 배출구(4)로 구분 배출되어진다. 이러한 그레이더는 설비에 따른 초기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은 있지만, 자동화로 인한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rade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uses a net, and automatically selects less than ripe under the mechanical operation as shown in FIG. 2 (b). That is, when the organic rice is fed into the hopper used as the sorter 10, the organic rice is transferred into a screw type net having a size of about 2.2 mm, and the net is rotated to separate the defective rice (5), chaff,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6), and the ripeness (3) is discharged to the other discharge port (4). Such a grader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initial cost due to the facility,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airflow due to automation.

상기 선별기(10)는 위 실시예들과 같은 염수선기 또는 그레이더가 사용되며, 또한 염수선기와 그레이더가 병행된 복합선별기를 이용할 수 도 있으며, 별도의 색체를 선별하는 장치를 이용할 수 도 있다.The separator 10 may be a brine or a grader as in the above embodiments, or may be a compound sorter in which a brine line and a grader are used in parallel, or a device for sorting a separate color may be used.

상기 선별기(10)를 통해 선별된 완숙미(3)를 도 3에서와 같이 도정기(15)에 투입하여 왕겨만을 벗겨냄으로써 현미(1)의 준비를 완성하게 된다.The mature taste 3 selected through the sorting device 10 is put into the dish 15 as shown in FIG. 3 to peel off only the rice hulls, thereby completing the preparation of the brown rice 1.

상기 도정기(15)는 도정하는 유기농 벼에 따라 나뉠 수가 있지만, 현미(1)로 도정하기 위해서는 씨눈과 미강을 도정하지 않는 것을 이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cutter 15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organic rice to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ice rice and the rice gruel in order to make it into the brown rice 1.

(2) 제2단계 - S2(2) Second step - S2

상기 제2단계(S2)는 위 제1단계(S1)의 현미(1)를 세척기(20)에 투입하고, 상기 교반날개(21)가 침수되도록 세척기(20) 내에 수용된 지하 암반수로 6∼10회 세척시켜 현미(1)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In the second step S2, the brown rice 1 in the first step S1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machine 20, and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machine 20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20, So that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1 is removed.

상기 제1단계(S1)에서 선별하고 도정된 현미(1)는 그 외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묻은 상태이므로 섭취가 가능하도록 깨끗하게 세척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세척기(20) 내에 현미(1)를 투입하고 교반날개(21)가 침수되도록 지하 암반수를 채워 세척하도록 구현한다.Since the brown rice 1 selected and picked up in the first step S1 is in a state where dust or foreign matter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thereof, it should be cleaned to be able to inges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brown rice 1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machine 20, and the washing machine 21 is filled with the submerged water so that the stirring vane 21 can be submerged.

상기 현미(1)의 세척 시 도 4의 (a)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세척하는 구조로 구현하여도 무방하지만, 도 4의 (b)에서와 같이 지하 암반수가 수용된 세척기(20) 내의 바닥부에 회전 구조를 갖는 교반날개(21)를 설치하여 그 교반날개(21)의 회전력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하는 구조로 구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경우에 따라 세척기(20)의 하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현미(1)에 산소를 공급하면서도 미세한 입자들을 암반수의 상층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when the brown rice 1 is cleaned,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orker manually cleans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20 as shown in FIG. 4 (b) It is preferable that the stirring vane 21 having a rotating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so as to be automatically clean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irring vane 21. In some cases,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 to supply oxygen to the brown rice 1, but the fine particles may be floated to the upper layer of the water.

상기 세척기(20)에 사용되는 지하 암반수는 지하 200mm 암반층에서 나온 암반수로서, 약 PH 6.5∼8.0의 알카리성을 지니며 천연 미네랄이 풍부한 기능성 물이다. 이러한 지하 암반수는 중금속 흡착, 인산염 흡착, 정균, 탈취, 방사능 분해 등의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과정에서 지하 암만수의 효능이 현미(1)에 침투하게 되므로,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현미(1)로 거듭나게 된다.The underground rocks used in the washing machine (20) are the minerals from the underground 200mm rock layer, and they are alkaline with pH 6.5 ~ 8.0 and are functional mineral rich in natural minerals. These underground rocks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heavy metal adsorption, phosphate adsorption, bacteriolysis, deodorization, and radioactive decomposi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washing using underground mineral water, the efficacy of the underground ammunition penetrates into the brown rice (1), so it is reborn as an excellent brown rice (1) for preventing adult disease, promoting metabolism, and skin disease and analgesic effect.

(3) 제3단계 - S3(3) Step 3 - S3

상기 제3단계(S3)는 위 제2단계(S2)를 거친 현미(1)를 발아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3) is a step of germinating the brown rice (1) through the second step (S2).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현미(1)를 발아기(30)에 투입하고, 40∼60시간 발아시켜 발아장(2)의 길이가 0.3∼0.5mm가 되도록 발아시킨다. 현미(1)는 크게 전분과 씨눈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씨눈에 발아장(2)이 자라도록 발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As shown in FIG. 5, the brown rice 1 is put into the germination part 30, germinated for 40 to 60 hours, and germinated so that the length of the germination field 2 is 0.3 to 0.5 mm. Brown rice (1) is largely formed of starch and cilium. This germination process should be germinated so that the germination field (2) grows.

기존에 현미(1)를 발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일정 온도의 물에 침지한 상태로 불림하고, 불림된 현미(1)를 소정의 온도와 시간에 방치(숙성)하는 과정을 거쳐 발아 하였다. 즉, 발아를 위해서는 최소 10시간에서 최대 96시간까지 침지와 방치를 해야 되는데, 이러한 기존에 발아 방법은 온도와 시간 및 주변 환경이 최적의 조건으로 갖추지 않으면 현미(1)의 발아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현미(1)가 동일한 물에 장시간 침지와 방치됨으로써 변질이나 부패가 발생되어 영양과 식감은 물론, 불량 현미(1)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germinating brown rice (1) has been germinated by immersing in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llowing the brown rice (1) to stan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ime (aging). In other words, in order to germinate, it is necessary to immerse and leave for at least 10 hours to a maximum of 96 hours. If the temperature, time and environment are not properly set, germination of brown rice (1) have. Furthermore, brown rice (1) was immersed and left in the same water for a long time, resulting in deterioration and corruption, and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bad brown rice (1) as well as nutrition and tex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상기 제3단계(S3)에서는 현미(1)를 27∼30℃ 지하 암반수에 1.5∼2시간 침지한 상태로 유지하는 1차발아단계(S3-1)와, 침지한 지하 암반수가 배출된 상태로 3.5∼4시간 숙성하는 2차발아단계(S3-2)를 연속 반복 실시하도록 구현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third step (S3)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germinating step (S3-1) of keeping the brown rice (1) immersed in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at 27 to 30 DEG C for 1.5 to 2 hours, And the second germination stage (S3-2) in which the immersed underground mineral water was aged for 3.5 to 4 hours was continuously performed.

상기 1차 발아 단계(S3-1)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현미(1)를 27∼30℃ 지하 암반수에 1.5∼2시간 동안 침지한 상태로 유지하여 수분을 공급하고, 2차발아단계(S3-2)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현미(1)가 침지된 지하 암반수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키고 3.5∼4시간 동안 방치(숙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1차발아단계(S3-1)와 2차발아단계(S3-2)를 번갈아가며 10∼12회에 걸쳐 40∼60시간 연속 반복 실시하면서 발아장(2)의 길이가 0.3∼0.5㎜가 되도록 발아시켜 발아 현미(1)를 제조한다.5, the brown rice 1 is immersed in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at 27 to 30 ° C for 1.5 to 2 hours to supply water, and in the second germination step S3 (S3) -2), as shown in FIG. 6,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immersed in brown rice (1) is completely drained to the outside and aged for 3.5 to 4 hours. The germination field 2 has a length of 0.3 to 0.5 mm, which is repeated 10 to 12 times for 40 to 60 hours, alternating between the first germination step (S3-1) and the second germination step (S3-2) To obtain germinated brown rice (1).

이처럼 현미(1)를 발아하는 과정에서 침지와 숙성을 반복 실시함에 따라 상시 청정상태를 유지시켜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각종 불순물과 잡내를 제거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of repeatedly immersing and aging in the process of germinating brown rice (1), the germination is promoted by maintaining the clean state at all times, and various impurities and gums can be removed to improve the texture.

또한, 상기 제3단계(S3)는 발아된 현미(1)를 지하 암반수로 6∼10회 세척시켜 현미(1)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S3-1)를 더 거치도록 한다. 이 세척단계(S3-1)에서는 현미(1)를 발아하면서 발생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지하 암반수의 효능이 현미(1)에 침투되게 하는 것으로, 상술된 제2단계(S2)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즉, 발아된 현미(1)의 상태에 따라 이 과정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나, 보다 향상된 품질과 효능을 위해서 또한 무엇보다 지하 암반수가 지닌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현미(1)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세척단계(S3-1)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hird step S3,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washed with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for 6 to 10 times to further remove a foreign substance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rown rice 1 (S3-1) . In the washing step S3-1,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by germinating the brown rice 1 are removed, and the effect of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infiltrated into the brown rice 1. The same process as the second step S2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Let's go. In other words, owing to the con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1), this process can be omitted. However, for the better quality and efficacy,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the diseases of the underground rocks and promote the metabolism,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cleaning step S3-1 in order to regenerate the cleaning liquid 1 into the cleaning liquid.

(4) 제4단계 - S4(4) Step 4 - S4

상기 제4단계(S4)는 위 제3단계(S3)를 거쳐 발아된 발아 현미(1)를 건조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4 is a step of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germinated through the third step S3.

상기 제4단계(S4)에서는 발아 현미(1)를 건조기(40)에 투입하고, 20∼25℃의 공기를 50∼54시간 송풍시켜 수분함량이 12∼15%가 되도록 건조한다. 발아 현미(1)는 장시간 지하 암반수에 침지되어 불림된 상태이므로 부패를 억제하기 위해 건조과정을 거쳐야 한다.In the fourth step S4,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put into a dryer 40, air is blown at 20 to 25 ° C for 50 to 54 hours, and the water content is dried to be 12 to 15%.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soaked in underground rock for a long time and must be dried to suppress the decay.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발아 현미(1)를 건조기(40)에 투입하여 수분함량이 12∼15%가 되도록 건조한다. 이때, 건조 시에는 건조온도를 서서히 증가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령 초기(0∼10시간)에는 20℃로 송풍하고, 중기(10∼45시간)에는 22∼23℃로 송풍하며, 말기(45∼54시간)에는 25℃로 송풍하도록 실시한다. 이와 같이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가며 발아 현미(1)를 건조함에 따라 발아 현미(1)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갈라짐이나 변색(반점)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For this, as shown in FIG. 7,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put into a dryer (40) and dried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12 to 1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gradually increase the dry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drying. For example, air is blown at 20 ° C in the early stage (0 to 10 hours), at 22 to 23 ° C in the middle stage (10 to 45 hours) 54 hours). As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dried with the temperature gradually raised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ing or discoloration (spots) in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5) 제5단계 - S5(5) Step 5 - S5

상기 제5단계(S5)는 위 제4단계(S4)를 거쳐 건조된 발아 현미(1)를 포장하는 단계이다.The fifth step S5 is a step of packaging the dried germinated brown rice 1 through the fourth step S4.

상기 제5단계(S5)에서는 제4단계(S4)를 거쳐 건조된 발아 현미(1)를 필름지에 질소를 충진 포장하여 완성한다. 위 제4단계(S4)에 의한 발아 현미(1)는 도 9에서와 같이 자체 윤기가 흐르고 발아장(2)의 길이가 우수하다. 이러한 발아 현미(1)는 0.5∼1.0㎏의 단위로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발아 현미(1)는 직사광선이 차단되도록 필름지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질소를 충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fifth step (S5), the germinated brown rice (1) dried through the fourth step (S4) is filled with nitrogen to complete the film. As shown in FIG. 9, the germinated brown rice 1 according to the fourth step S4 has its own glaze and the length of the germination field 2 is excellent. Such germinated brown rice (1) is packaged in units of 0.5 to 1.0 kg and is provided to consumer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packed in a film so as to block direct sunlight, and it is preferable to fill nitrogen to prevent impa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단계(S1)∼제5단계(S5)를 거쳐 제조된 발아 현미(1)는 소비자가 구매한 다음, 가정에서 재차 발아를 수행할 수가 있다. 즉, 기존에 방법으로 제조된 발아 현미는 화학농법에 의해 재배된 벼를 이용함은 물론, 일련의 제조과정을 단축하기 일환으로 고온의 열풍으로 건조함에 따라 발아 현미의 세포가 죽게 되므로 더 이상의 발아를 수행할 수가 없었다. 이는 결국, 세포의 활성도가 현저히 낮아 영양을 구성하는 물질도 감소할 수 밖에 없는 결과를 반증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발아 현미(1)는 유기농법에 의해 재배된 벼를 이용함은 물론, 냉풍으로 건조함에 따라 발아 현미(1)의 세포가 90% 이상 살아있으므로 세포가 구성하는 영양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매우 유용한 제조 방법임을 반증하는 것이다.The germinated brown rice (1) manufactured through the first step (S1) to the fifth step (S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rminated again in the home after it is purchased by the consumer. That is, the germinated brown rice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uses rice grown by the chemical agriculture method, as well as shortening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and the germinated brown rice cells are killed by drying with hot hot air, I could not do it. This, in turn, indicates that the activity of the cells is so low that the nutrient constituents are also reduced. On the other hand, germinated brown r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rice grown by organic farming method, as well as 90% of cells of germinated brown rice (1) Which is a very useful preparation metho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설명으로서, 상기 제3단계(S3)를 수행하는 발아기(3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크게 가열조(33)와 발아조(3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gauze 30 performing the third step (S3) may be roughly divided into a heating tank 33, And a germination tank (35).

상기 가열조(33)는 그 내부에 수용된 지하 암반수를 가열시켜 유지하도록 바닥에 히터(3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발아조(35)는 현미(1)를 수용하는 다공(31a)이 형성된 채반(31)이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열조(33)와 발아조(35)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관(P)과 밸브(V)로 연결 구성한다.The heating tank (33) is constituted by a heater (32) installed on the bottom so as to heat and maintain the underground rock water contained in the heating tank (33). The germination tank 35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roughs 31 each having perforations 31a for receiving the brown rice 1 therein so that the heating tank 33 and the germination tank 35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P) and the valve (V).

상기 발아기(30)는 도 6에서와 같이 현미(1)의 씨눈에 발아장(2)이 자라도록 발아시키는 것으로, 1차발아단계(S3-1)와 2차발아단계(S3-2)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6, the germination part 30 is ger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germination field 2 grows on the seeds of the brown rice 1, and the germination part 30 is divided into a first germination step S3-1 and a second germination step S3-2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at once.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채반(31)은 현미(1)를 수용하는 판으로서, 일면에 현미(1)가 통과하지 않는 크기로 다수의 다공(31a)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공(31a)은 발아와 건조를 극대화 시켜주고, 공정의 단축을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가열조(33)는 지하 암반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지닌 박스형으로서,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를 구비하고 내부 하면에는 지하 암반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유지하는 히터(32)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아조(35)는 가열조(33)처럼 공간과 도어를 구비하고, 내부 측면에는 채반(31)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거치대(36)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열조(33)와 발아조(35)는 상호 연통하면서 외부로 연결되는 배관(P)과 밸브(V)가 연결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sorter 31 is a plate for receiving the brown rice 1, and a plurality of pores 31a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orter 31 so that the brown rice 1 does not pass through. The perforations 31a maximize germination and drying, and contribute to shortening the process. The heating tank 33 is box-shaped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underground rock water. The heating tank 33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oor at its upper portion and a heater 32 for heating and maintaining the underground rock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germination tank 35 is provided with a space and a door like the heating tank 33, and the inner side surface thereof has a holder 36 for stacking the goblets 31 in multiple stages. Here, the heating tank 33 and the germination tank 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P) and a valve (V) connected to each other.

위 실시는, 도 5에서와 같이 가열조(33)에 지하 암반수를 공급하고, 약 27∼30℃로 가열시켜 유지한다. 그리고 채반(31)에 세척된 현미(1)를 수용한 다음 발아조(35)에 거치대(36)상에 모두 적층하고, 연통 밸브(V)를 개방시켜 가열조(33)를 통해 가열된 지하 암반수를 발아조(35)에 공급 및 순환시켜 1.5∼2시간 동안 침지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33 and heated and maintained at about 27 to 30 占 폚. Then, the washed brown rice 1 is received in the tray 31, and then all of the brown rice 1 is stacked on the holding table 36 in the germination tank 35. Then, the communication valve V is opened, The number of the pieces is supplied to the germination tank 35 and circulated to immerse for 1.5 to 2 hours.

그런 다음, 연통 밸브(V)를 폐쇄하고 발아조(35)에 연결설치된 외부 밸브(V)를 개방시켜 지하 암반수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고, 3.5∼4시간 방치(숙성)하는 과정을 번갈아가며 10∼12회에 걸쳐 40∼60시간 연속 반복 실시하면 발아 현미(1)의 발아장(2)의 길이가 0.3∼0.5mm로 자라게 된다. 이처럼 현미(1)를 발아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현미(1)를 이동이나 전환하지 않고도 침지와 숙성을 반복할 수가 있어 공수를 절감할 수가 있다.Subsequently, the communication valve V is closed, the external valve V connected to the germination tank 35 is opened to completely discharge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process of leaving it for 3.5 to 4 hours (aging) is alternately performed 10 The length of the germination field 2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increased to 0.3 to 0.5 mm. Thus, in the process of germinating brown rice (1),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immersion and aging without moving or changing the brown rice (1) at each stage, thereby reducing airflow.

상기 가열조(33)와 발아조(35)는 설치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또한 지상과 지하에 상호 교차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P) 사이에는 별도의 펌프를 부착할 수도 있으며 밸브(V)는 솔레노이드로 장착시켜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개폐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제조와 비용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구조로 구비한다.The shape of the heating tank 33 and the germination tank 35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and their positions may b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on the ground and underground. Further, a separate pump may be attached between the pipe P and the valve V may be mounted by a solenoid and be opened / closed by an electric control. In any cas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most efficient structure in view of manufacturing and cost.

한편, 상기 제4단계(S4)를 수행하는 건조기(40)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건조기(40)의 내부에 발아 현미(1)를 수용한 채반(31)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거치대(41)와, 거치대(41)상에 공기를 순환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로(42)와, 공기유로(42)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43)과, 송풍팬(43)과 연통되어 흡/배기 조절이 가능한 덕트(45)(4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7 and 8, the dryer 40 for carrying out the fourth step S4 includes a drying unit 40, a drying unit 40 for drying the drying unit 40, a drying unit 40 for drying the drying unit 40, (41), at least one air passage (42) for circulating air on the mounting table (41), a blowing fan (43) for blowing air to the air passage (42) And ducts (45) and (46) capable of adjusting the intake / exhaust.

상기 건조기(40)는 발아 현미(1)의 수분함량이 12∼15%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으로, 소정의 공간을 지닌 박스형으로 본체 상에 거치대(41)와 유로(42) 및 송풍팬(43) 그리고 덕트(45)(46)를 구비한 것이다.The dryer 40 is constructed to dry the germinated brown rice 1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12 to 15%. The dryer 4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 box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ducts (45) and (46).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거치대(41)는 본체의 내부에 발아기(30)의 채반(31)을 거치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되고, 공기유로(42)는 거치대(41)의 주변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 송풍팬(43)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공기유로(42)와 함께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덕트(45)(46)에 연통되며, 덕트(45)(46)는 힌지 작동되는 조절판에 의해 흡입공기량을 조절하는 흡입덕트(45)와 배기공기량을 조절하는 배기덕트(46)로 구분 구비된다. 즉, 현미(1)가 수용된 채반(31)을 거치대(41)에 적층하고 20∼25℃의 공기를 50∼54시간 송풍시키도록 설정한다. 이어서 설정이 완료되면, 송풍팬(43)이 작동하여 흡기덕트(45)로부터 공기(외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공기유로(42)에 송풍시켜 채반(31)에 수용된 현미(1)를 건조한다.More specifically, the cradle 41 is formed so as to have a size capable of mounting a tray 31 of the goggles 30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air flow path 42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cradle 41, . The ventilation fan 43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ducts 45 and 46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ir passage 42. The ducts 45 and 46 are hinge- A suction duct 45 for adjusting the amount of intake air by the throttle plate, and an exhaust duct 46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exhaust air. That is, the pot 31 containing the brown rice 1 is stacked on the table 41, and the air of 20 to 25 캜 is blown for 50 to 54 hours.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air blowing fan 43 operates to suck air (outside air) from the intake duct 45 and blow the sucked air into the air flow path 42 to remove the brown rice 1 contained in the sorter 31, Lt; / RTI >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팬(43)은 건조기(40)의 본체 상부측 중앙부에 설치되고, 흡입덕트(45)는 거치대(41) 상부측의 본체 측벽에 설치되며, 배기덕트(46)는 본체 상부측의 송풍팬(43) 주변에 설치되도록 한다.7 and 8, the blowing fan 43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upper side of the dryer 40, the suction duct 45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bove the mount stand 41, 46 are provided around the blowing fan 43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송풍팬(43)이 회전하면 흡입덕트(45)가 개방되면서 외부공기가 본체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43)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유로(42)를 따라 거치대(41) 측으로 이동되며, 본체 내부의 이러한 공기순환에 의해 채반(31)에 수용된 발아 현미(1)가 건조된다. 그리고,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발아 현미(1)의 수분은 배기덕트(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덕트(46)는 흡입덕트(45) 처럼 송풍팬(43)의 회전과 함께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 내부에 습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개방작동되고, 일정치 이하이면 폐쇄작동되도록 구현되며, 이는 일정시간을 설정하여 개방, 폐쇄작동이 반복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blowing fan 43 rotates, the suction duct 45 is opened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The sucked air is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43 along the air passage 42, And the germinated brown rice 1 contained in the teaspoon 31 is dried by this air circulation inside the main body. The moisture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1 generated during dry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46. At this time, the exhaust duct 46 is not open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43 like the suction duct 45, but is opened to operate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main body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 Which can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repeated by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이를 위해 건조기(40)의 본체 내부에는 습도감지센서(미도시됨)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와 배기덕트(46)에 연결되어 상호 작동시키는 제어기(미도시됨)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배기덕트(46)가 개방되기 위한 본체 내부의 습도는 20∼30%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 내부의 습도가 30% 이상이면 그 습도에 의해 액상의 물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물이 건조 중인 발아 현미(1)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To this end, a humidity sensor (not shown) should b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dryer 40, and a controll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humidity sensor and the exhaust duct 46 for mutual operation should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humidity inside the main body for opening the exhaust duct 46 is preferably set to 20 to 30%. This is because, if the humidity inside the main body is 30% or more, liquid water can be formed due to the humidity, and the wat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erminated brown rice 1 which is being dried.

또한, 제어기는 배기덕트(46)가 개방, 폐쇄작동되는 일정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정시간은 2∼4시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위 습도에서와 마찬가지로 4시간 이상 폐쇄상태로 건조를 하게 되면 그 습도에 의해 액상의 물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물이 건조 중인 발아 현미(1)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Further, the controller can be set to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exhaust duct 46 is opened and closed.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ferably set to 2 to 4 hours. This is because, as in the case of the above humidity, if the drying is performed in the closed state for more than 4 hours, liquid water can be formed due to the humidity, and the water can be contacted with the germinated brown rice 1 which is being dried.

이러한 상기 습도 및 시간의 설정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건조기(40)의 크기, 발아 현미(1)의 상태, 주위 환경 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The setting of the humidity and time is not fixed, bu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yer 40, the state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1,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like.

상기 현미(1)의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재차 송풍팬(43)에 의해 순환되거나 배기덕트(46)로 배출된다. 여기서 현미(1)의 설정 수분함유량에 따라 흡기덕트(45)와 배기덕트(46)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The moisture-containing ai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brown rice 1 is circulated again by the air blowing fan 43 or discharged to the exhaust duct 46. Here, the intake duct 45 and the exhaust duct 46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 water content of the brown rice 1.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발아 현미(1)는 발아장(2)의 길이가 0.3∼0.5mm를 지니며 불순물과 잡내가 없고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우수한 식감을 지님과 함께 재발아가 가능하다.The germinated brown rice (1) produced through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ermination field (2) having a length of 0.3 to 0.5 mm and is free from impurities and natural minerals It is possible to recreate with good texture and good taste.

또한, 발아 현미(1)는 장내 노폐물, 콜레스테롤, 중금속, 농약 등을 흡착 체외로 배출시키는 능력이 탁월하고 고혈압, 당뇨, 비만, 변비 등 성인병 예방효과가 뛰어나고, 발아 현미(1) 100g당 감마오리자놀(γ-oryzanol)이 9mg 함유되어 있어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켜 준다.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정상화로 노화방지, 호로몬 분비조절, 두통, 권통, 피로, 식욕부진 해소하며 각종 비타민의 함유로 당분을 에너지로 바꾸는 보조효소 역할과 기억력 향상, 체액산성화 및 혈액 산독화 현상 예방한다.In addition, the germinated brown rice (1) has excellent ability of discharging the waste products of the intestines, cholestero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to the outside of the adsorbent, and is excellent in prevention of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obesity, constipation, (γ-oryzanol) contains 9mg and improves memory and concentration. And it normalizes the func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o prevent aging, regulate hormone secretion, relieve headache, cramps, fatigue, loss of appetite and improve the memory and coenzyme function of converting sugar into energy with various vitamins. do.

무엇보다 아라비녹실란의 증대로 면역력을 증가시켜 백혈병, 암, B형간염, 류머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고질병을 치료할 수 있고, 페룰라산, 토코트리에놀, 비타민E 등의 항산화제로 노화, 암, 당뇨, 류머티즘을 일으키는 유해산소 제거작용, 황산화력이 강해 기미 주근깨 생성 억제, 피부미용 효과에 탁월하다. 또한 소비자가 구매한 다음, 가정에서 재차 발아를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전술한 발아 현미의 효능을 극대화 시킬 수가 있다.Above all, it increases the immunity by the increase of arabinoxylan to treat the diseases such as leukemia, cancer, hepatitis B and rheumatoid arthritis. It is antioxidant such as ferulasan, tocotrienol and vitamin E and causes aging, cancer, diabetes and rheumatism. Oxygen scavenging activity, strong sulfation power, inhibits spiny freckle formation, and is excellent in skin care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germination can be performed again at home after the consumer purchases the germinated brown rice, the above-described effect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can be maxim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미의 휴면을 타파하는 발아 과정에서 침지와 발아를 반복 실시함에 따라 상시 청정상태를 유지시켜 발아를 촉진하는 것은 물론, 각종 불순물과 잡내를 제거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며, 일련의 전 단계에서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지하 암반수를 이용함에 따라 성인병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피부질환 및 진통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특히, 유기농으로 재배된 벼만을 이용하여 보다 우수한 영양소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도 취향에 따라 가정에서 재 발아시킬 수 있어 발아 현미가 지니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mersion and germination are repetitively performed in the germination process that breaks the brown rice dormancy, the germination is promoted by maintaining the clean state at all times, and various impurities and gums are removed to improve the texture, By using underground minerals rich in natural minerals in the previous stage, it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on of adult disease, promotion of metabolism and skin disease and analgesic effect. Especially, But it can be re-germinated at home according to taste, so that the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can be maximiz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clarified.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현미 3 : 완숙미
4, 6 : 배출구 5 : 불량비
10 : 선별기 15 : 도정기
20 : 세척기 21 : 교반날개
30 : 발아기 31 : 채반
32 : 히터 33 : 가열조
35 : 발아조 40 : 건조기
41 : 거치대 42 : 공기유로
43 : 송풍팬 45 : 흡기덕트
46 : 배기덕트
1: brown rice 3: mature
4, 6: Outlet 5: Bad ratio
10: selector 15:
20: washer 21: stirring wing
30: germination 31: teaspoon
32: heater 33: heating tank
35: germination tank 40: dryer
41: cradle 42: air passage
43: blowing fan 45: intake duct
46: exhaust duct

Claims (7)

1.13∼1.15의 비중을 갖는 소금물이 담긴 염수선기, 또는 망체가 구비되고 불량미(5)와 완숙미(3)의 배출구(6,4)가 구분 형성된 그레이더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선별기(10)에 유기농 벼를 투입하여 길이 2.2㎜ 이상의 완숙미(3)를 선별하고, 도정기(15)를 통해 선별된 완숙미(3)의 왕겨를 벗겨내어 현미(1)를 준비하는 제1단계(S1);
상기 현미(1)를 회전 구조의 교반날개(21)가 바닥부에 설치된 세척기(20)에 투입하고, 상기 교반날개(21)가 침수되도록 세척기(20) 내에 수용된 지하 암반수로 6∼10회 세척하여 현미(1)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지하 암반수의 효능이 현미(1)에 침투되게 하는 제2단계(S2);
상기 현미(1)를 가열조(33)와 발아조(35)가 배관(P)과 밸브(V)에 의해 연결된 발아기(30)에 투입하고, 발아조(35) 내에 수용된 현미(1)를 27∼30℃ 지하 암반수에 1.5∼2시간 침지한 상태로 유지하는 1차발아단계(S3-1)와, 침지한 지하 암반수가 배출된 상태로 3.5∼4시간 숙성하는 2차발아단계(S3-2)를 번갈아가며 10∼12회에 걸쳐 40∼60시간 연속 반복 실시하면서 발아장(2)의 길이가 0.3∼0.5㎜가 되도록 발아시켜 발아 현미(1)를 제조한 다음, 지하 암반수로 6∼10회 세척하여 발아 현미(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지하 암반수의 효능이 발아 현미(1)에 침투되게 하는 제3단계(S3);
상기 발아 현미(1)를 건조기(40)에 투입하고, 20∼25℃의 공기를 50∼54시간 송풍시켜 수분함량이 12∼15%가 되도록 건조하는 제4단계(S4);
상기 건조된 발아 현미(1)를 질소 충진된 필름지에 포장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10) provided with any of saline or saline containing salt water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13 to 1.15 and provided with a mesh and a grader formed by dividing the defective rice (5) and the discharge mouths (6, 4) A first step S1 of picking up the mature rice seeds 3 having a length of 2.2 mm or more by pouring rice and stripping the rice husks of the mature rice seeds 3 selected through the pouring machine 15 to prepare the brown rice 1;
The brown rice 1 is poured into the washing machine 2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ry structure and the washing vat 21 is washed six to ten times with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machine 20 so that the stirring vane 21 is submerged A second step (S2) of allowing the effect of the underground rock to penetrate the brown rice (1) while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1);
The brown rice 1 is introduced into the gauze 30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33 and the germination tank 35 by the piping P and the valve V so that the brown rice 1 contained in the germination tank 35 (S3-1) in which the water is immersed in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at 27 to 30 DEG C for 1.5 to 2 hours and a second germination stage (S3- 1) in which the immersed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aged for 3.5 to 4 hours, 2) were alternately repeated for 10 to 12 times for 40 to 60 hours, and germinated brown rice (1) was produced by germination so that the length of germination field (2) was 0.3 to 0.5 mm, A third step (S3) in which the efficacy of the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infiltrated into the germinated brown rice (1) whil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erminated brown rice (1) by washing 10 times.
A fourth step (S4) of putt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nto the dryer (40) and blowing air at 20 to 25 캜 for 50 to 54 hours to dry the water to a moisture content of 12 to 15%;
And a fifth step (S5) of packaging the dried germinated brown rice (1) in a nitrogen-filled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에서, 건조기(40)를 통해 발아 현미(1)에 초기(0∼10시간)에는 20℃로 송풍하고, 중기(10∼45시간)에는 22∼23℃로 송풍하며, 말기(45∼54시간)에는 25℃로 송풍하여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가며 건조함으로써 발아 현미(1)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갈라짐이나 변색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urth step S4, air is blown to the germinated brown rice 1 through the dryer 40 at 20 ° C in the early stage (0 to 10 hours) and at 22 to 23 ° C in the middle stage (10 to 45 hours) , And the germinated brown rice (1) is dried in the last stage (45 to 54 hours) by blowing it to 25 캜 and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to prevent cracking or discoloration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1.13∼1.15의 비중을 갖는 소금물이 담긴 염수선기, 또는 망체가 구비되고 불량미(5)와 완숙미(3)의 배출구(6,4)가 구분 형성된 그레이더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유기농 벼에서 2.2㎜ 이상의 완숙미(3)를 선별하는 선별기(10);
상기 선별된 완숙미(3)의 왕겨를 벗겨내어 현미(1)를 형성하는 도정기(15);
상기 현미(1)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바닥부에 회전 구조를 갖는 교반날개(21)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날개(21)가 침수되도록 지하 암반수가 수용되는 세척기(20);
상기 현미(1)를 발아시키기 위해 내부에 수용된 지하 암반수를 가열시켜 유지하도록 바닥에 히터(32)가 설치된 가열조(33)와, 상기 현미(1)를 수용하는 다공(31a)이 형성된 채반(31)이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어 상기 가열조(33)에 상호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관(P) 및 밸브(V)로 연결되는 발아조(35)가 구비되어 발아 현미(1)를 형성하는 발아기(30);
상기 발아 현미(1)를 건조시키기 위해 내부에 발아 현미(1)를 수용한 채반(31)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거치대(41)와, 거치대(41)상에 공기를 순환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로(42)와, 공기유로(42)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43)과, 송풍팬(43)과 연통되어 흡/배기 조절이 가능한 흡기덕트(45) 및 배기덕트(46)가 구비된 건조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장치.
And a grader having a saline solution containing a brine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13-1.15 or a network and a discharge port (6,4) of a bad rice (5) and a mature rice (3) A selector (10) for sorting out the liquid (3);
A combiner (15) for taking out the rice husks of the selected mature rice (3) and forming a brown rice (1);
A washing machine (20) provided with a stirring blade (21) having a rotating structure on the bottom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1), and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is received to immerse the stirring blade (21);
A heating tank 33 provided with a heater 32 on the bottom so as to heat and retain the underground rock water stored therein for germinating the brown rice 1 and a rice pot 31a containing the rice brown rice 1 31)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connected to the heating tank (33) by at least one piping (P) and a valve (V) to form germinated brown rice (1) 30);
(41) for stacking the pots (31) contain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therein in a multistage manner for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at least one air passage A blowing fan 43 for blowing air to the air passage 42 so as to circulate air and an intake duct 45 and an exhausting duct 46 communicating with the blowing fan 43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take / And a drying unit (40) for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기(30)는 발아조(35) 내에 수용된 현미(1)를 27∼30℃ 지하 암반수에 1.5∼2시간 침지한 상태로 유지하고, 침지한 지하 암반수가 배출된 상태로 3.5∼4시간 숙성하는 과정을 번갈아가며 10∼12회에 걸쳐 40∼60시간 연속 반복 실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germicide 30 is maintained by immersing the brown rice 1 contained in the germination tank 35 in an underground mineral water at 27 to 30 DEG C for 1.5 to 2 hours and aging at 3.5 to 4 hours And repeating the process for 10 to 12 times continuously for 40 to 60 hours.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43)은 건조기(40)의 본체 상부측 중앙부에 설치되고, 흡입덕트(45)는 거치대(41) 상부측의 본체 측벽에 설치되며, 배기덕트(46)는 본체 상부측의 송풍팬(43)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43)이 회전하면 흡입덕트(45)가 개방되면서 외부공기가 본체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43)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유로(42)를 따라 거치대(41) 측으로 이동되면서 본체 내부의 공기순환에 의해 채반(31)에 수용된 발아 현미(1)가 건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blowing fan 43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ryer 40. The suction duct 45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 table 41, Is installed around the fan (43)
When the blowing fan 43 rotates, the suction duct 45 is opened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The sucked air is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43 along the air passage 42, And the germinated brown rice (1) housed in the teaspoon (31) is dried by air circulation in the main body while drying the germinated brown rice (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46)는 건조기(40)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 습도감지센서 및 이에 연결된 제어기에 의해 습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개방작동되고, 일정치 이하이면 폐쇄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xhaust duct 46 is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the humidity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a humidity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dryer 40 and a controller connected theret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erminated brown r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46)는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일정시간을 따라 개방, 폐쇄작동이 반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xhaust duct (46) is configured to repe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set by the controller.
KR1020160067627A 2016-05-31 2016-05-31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KR101910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27A KR101910241B1 (en) 2016-05-31 2016-05-31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27A KR101910241B1 (en) 2016-05-31 2016-05-31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31A true KR20170136131A (en) 2017-12-11
KR101910241B1 KR101910241B1 (en) 2018-10-22

Family

ID=6094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627A KR101910241B1 (en) 2016-05-31 2016-05-31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2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495A (en) * 2001-11-28 2003-06-02 삼서농업협동조합 Manufactural method of the germinate-unpolished rice
KR100472704B1 (en) * 2004-05-24 2005-03-14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A derice for germinating unmilled r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70227B1 (en) * 2010-01-29 2010-07-16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Method manufacture of five cut germination rice
KR20130026630A (en) * 2011-09-06 2013-03-14 이선우 The development method of fuctional food materials using germinated brown r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495A (en) * 2001-11-28 2003-06-02 삼서농업협동조합 Manufactural method of the germinate-unpolished rice
KR100472704B1 (en) * 2004-05-24 2005-03-14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A derice for germinating unmilled r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70227B1 (en) * 2010-01-29 2010-07-16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Method manufacture of five cut germination rice
KR20130026630A (en) * 2011-09-06 2013-03-14 이선우 The development method of fuctional food materials using germinated brown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241B1 (en)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00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d mass production of green whole grain
CN101283754B (en) Production method of active germinated unpolished rice and its products
CN103657769A (en) Method for processing health care milled rice with embryo
CN102835630B (en) One kind is rich in gamma aminobutyric acid sprouted unpolished rice production method
CN104624282A (en) Processing method for nutritional rice
CN105010681B (en) A kind of black tartary buckwheat embryo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750167B (en) Composite nutrient powder of zinc-rich germinated brown rice and production technology thereof
CN111644221A (en) Production process of high-quality germ rice
CN106717273A (en) A kind of accelerating germination of rice seed method
EP3459360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aste with a high content of nutrients from germinated grain
CN108378297A (en) A method of the brown rice deep processing of edible quality can be improved
KR100787218B1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vegetable food in sheet form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therefor.
CN101642214B (en) Complete equipment for preparing germinating plant seeds
CN108668557A (en) It is a kind of to utilize method of germination corn enrichment lutein and products thereof and application
KR101419912B1 (en) Processing equipment of uncleaned rice
KR101910241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germination-rice
CN107455666A (en) A kind of processing method of shelf-stable nutrient rice
KR20130014786A (en) Manufacture apparatus of unpolished rice
CN106938207B (en) Antibacterial and antitoxic germinated edible brown ric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KR100679848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prouting the grain having phellinus linteus compositions
CN215913225U (en) Pre-ripening device for germinating whole grains and germinating equipment thereof
CN103976289B (en) A kind of sprouted unpolished rice Optimizing manufacture technique
CN106900507A (en) The breeding method of selenium-rich bag manufacture-yellow bean sprouts
CN204994554U (en) Fresh brown rice apparatus for producing that sprouts
CN113367280A (en) Pre-cooking device for germinated whole grains, germination equipme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