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579A -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579A
KR20170135579A KR1020160067719A KR20160067719A KR20170135579A KR 20170135579 A KR20170135579 A KR 20170135579A KR 1020160067719 A KR1020160067719 A KR 1020160067719A KR 20160067719 A KR20160067719 A KR 20160067719A KR 20170135579 A KR20170135579 A KR 2017013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arm
lock pin
inner slide
fix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021B1 (ko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102016006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0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2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 B64F2700/62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일단에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착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MULTI-PURPOSE DRONE WITH SLIDE ARM}
본 발명은 슬라이드 암이 적용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다목적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이란 무인 비행체의 일종으로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 항공기를 의미한다.
드론은 최초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군사적 용도 외에도 민간 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화산 분화구의 촬영처럼 사람이 직접 촬영하기 어려운 장소를 촬영하거나 재난이나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 산불 진화 또는 농약 살포 등으로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드론의 경우 드론 중량 대비 구조적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비행 시의 드론 구조와, 운반이나 보관 시의 드론 구조에 차이가 없어 휴대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898호(발명의 명칭: 드론, 공고일: 2015년 10월 14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되어 비행 시와 휴대 시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구조로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킨 다목적 드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일단에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공 형상을 가지는 외측 슬라이드 암,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내측 슬라이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의 끝단에는 레버 방식의 잠금 클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과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은 슬라이딩됨에 따라 겹쳐질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을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암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되며 상기 잠금핀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잠금핀 베드 및 상기 잠금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핀 베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잠금핀을 상기 고정홀을 따라 승하강시키기 위한 잠금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잠금핀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을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잠금핀을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날개부, 및 상기 고정날개부에서 상기 잠금핀 베드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며 상기 잠금핀 스프링이 외주 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스프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잠금핀은 상기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고정 날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핀 스프링의 타단이 안착되기 위한 홈 형상의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잠금핀 베드는 상기 잠금핀의 스프링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잠금핀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잠금핀 해제부의 일측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가 축소되는 방향이고, 상기 잠금핀 해제부의 타측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가 확대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며 약제를 살포하기 위한 약제 살포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제 살포 모듈부는 내부에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약제 저장부, 상기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된 약제 살포부, 상기 약제 저장부에 저장된 약제를 상기 약제 살포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지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착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착지부 및 상기 제1 착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착지면과 접촉하여 착지시키기 위한 제2 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착지부에는 상기 약제 살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마운트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살포부는 상기 고정 마운트를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제 살포부는 상기 고정 마운트에 축 고정되며, 상기 고정 마운트는 상기 약제 살포부가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끝단에는 폴딩 프로펠러가 장착되며, 수직을 형성하는 인접한 내측 슬라이드 암 사이에 높이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경량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암과 함께 격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방식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편한 체결 및 해제를 통해 운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핀 베드가 잠금핀 해제부에 의해 한쪽이 열려있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잠금핀의 분리가 가능하여 필요 시 손쉽게 정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제 살포부를 접거나 펼치는 것은 운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 약제 살포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을 형성하는 인접한 내측 슬라이드 암 사이에 높이 차이가 존재함에 따라 폴딩 프로펠러 또한 위상차가 발생하여, 내측 슬라이드 암을 삽입 후 폴딩 프로펠러를 접더라도 인접한 폴딩 프로펠러 사이에 서로 겹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비행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비행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휴대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휴대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내측 슬라이드 암이 삽입되기 전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내측 슬라이드 암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에서 잠금핀이 작동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에서 잠금핀이 작동된 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 모듈부과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본체에 약제 저장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 약제 살포 모듈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부가 접힌 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부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프로펠러가 접히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비행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비행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10)은 메인 프레임(100), 슬라이드 암(200), 본체(110) 및 착지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력모터 8개로 구동되는 옥토콥터(octocop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프레임(100)은 다목적 드론(10)의 주요 골격 및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개별 프레임들의 조립이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내부에 공간부(101)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됨에 따라 경량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암(200)과 함께 격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암(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02)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수직을 이루도록 공간부(101)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과 슬라이드 암(200)은 개별적인 구성 요소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슬라이드 암(200)의 일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사각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 암(200)과 함께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공중에서 비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배터리 등과 같은 전력원이 구비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나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공간부(101)에 위치할 수 있다.
착지부(300)는 본체(110)의 측면이나 하부면에서 상기 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를 착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착지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드론(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제 살포 장치를 장착하거나 이외에도 감시, 구조, 배송 및 측량 등 원하는 임무장비를 장착함으로써 산업용, 농업용, 군사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휴대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휴대 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암(200)은 그 일단에 회전에 의한 양력을 생성하는 프로펠러(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되며 추력모터가 조립된 모터암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암(200)은 메인 프레임(100)의 모서리부(10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속이 빈 중공 형상을 가지는 외측 슬라이드 암(210)과,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암(200)이 슬라이딩 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운반이나 보관 등 휴대 시에는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전체 부피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내측 슬라이드 암(220)은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210)이 메인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체 부피 및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내측 슬라이드 암이 삽입되기 전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내측 슬라이드 암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끝단에는 레버 방식의 잠금 클램프(230)가 장착될 수 있다. 잠금 클램프(230)는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단면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킴으로서 내측 슬라이드 암(220)의 고정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며, 편심레버 방식을 적용하여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클램프(230)를 해제시킨 후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밀어 넣을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잠금 클램프(230)를 체결하여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드론(10)은 후술할 잠금핀(2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잠금 클램프(230)를 해제한 후 잠금핀(240)을 눌러주면 내측 슬라이드암의 이동이 가능해지며, 상기 잠금핀(240)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슬라이드암을 밀어넣은 후 상기 잠금 클램프(230)를 체결 고정하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방식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편한 체결 및 해제를 통해 운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에서 잠금핀이 작동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에서 잠금핀이 작동된 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외측 슬라이드 암(210)과 내측 슬라이딩 암(220)은 슬라이딩됨에 따라 겹쳐질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홀(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홀(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30)은 소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슬라이드 암(210)과 내측 슬라이드 암(220) 각각에 형성되고, 잠금핀(240)이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210)에 형성된 고정홀(30)과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에 형성된 고정홀(30)을 함께 관통할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암(200)은 내측 슬라이드 암(220)에 고정되며 잠금핀(240)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잠금핀 베드(250)와, 상기 잠금핀(240)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핀 베드(25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잠금핀(240)을 상기 고정홀(30)을 따라 승하강시키기 위한 잠금핀 스프링(260)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핀(240)에 외력을 가해 슬라이드 암(200)의 내부로 하강시키면, 내측 슬라이드 암(220)의 고정이 해제되어 외측 슬라이드 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잠금핀(24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잠금핀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30)을 따라 승강시켜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고정할 수 있다.
잠금핀(240)은 상기 고정홀(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외측 슬라이드 암(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부(241), 상기 고정돌부(241)에서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잠금핀(240)을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날개부(242), 상기 고정날개부(242)에서 상기 잠금핀 베드(250)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며 잠금핀 스프링(260)이 외주 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스프링 결합부(24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홀(30)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잠금핀(240)은 스프링 결합부(243)와 고정날개부(242)가 연결되는 부분에 잠금핀 스프링(260)의 타단이 안착되기 위한 움푹 파여진 홈 형상의 스프링 안착부(2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핀(240)의 반복적인 승하강 운동에도 잠금핀 스프링(260)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잠금핀 베드(25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잠금핀(240)의 스프링 결합부(243)가 삽입되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잠금핀 해제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핀 해제부(251)의 일측은 내측 슬라이드 암(220)의 길이가 축소되는 방향이고, 상기 잠금핀 해제부(251)의 타측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220)의 길이가 확대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잠금핀 베드(250)가 상기 잠금핀 해제부(251)에 의해 한쪽이 열려있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잠금핀(240)의 분리가 가능하여 필요 시 손쉽게 정비를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 모듈부과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10)은 본체(1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며 약제를 살포하기 위한 약제 살포 모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살포 모듈부(400)는 내부에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약제 저장부(410)와, 상기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421)이 장착된 약제 살포부(420)와, 상기 약제 저장부(410)에 저장된 약제를 상기 약제 살포부(420)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호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의 본체에 약제 저장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약제 저장부(410)의 상부에는 고리형 마운트(411)가 장착되며, 본체(110)에는 본체 하부 마운트(111)가 장착되는데, 상기 약제 저장부(410)를 상기 본체(110)의 하부 근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리형 마운트(411)의 고리 부분이 상기 본체 하부 마운트(111)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약제 저장부(410)를 상기 본체(1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제 저장부(410)를 본체(110)에 장착시킨 후 조립되어 있던 볼트를 완전 체결함으로써 상기 약제 저장부(4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 약제 살포 모듈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약제 살포 모듈부에서 살포대 형상의 약제 살포부(420)는 착지부(30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착지부(300)는 본체(110)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10)를 착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착지부(310)와, 상기 제1 착지부(3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착지면과 접촉하여 착지시키기 위한 제2 착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살포 모듈부(4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부(410)를 본체(110)에 장착시키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펌프와 약제 살포부(420)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430)를 조립하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21)이 장착된 약제 살포부(420)를 제1 착지부(3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약제 살포부(420)와 제1 착지부(310)의 결합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착지부(310)에는 약제 살포부(4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마운트(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 살포부(420)는 상기 고정 마운트(311)를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살포부(420)의 일단이 고정 마운트(311)에 끼움 결합되고, 고정핀(440)이 상기 약제 살포부(420)의 일단과 상기 고정 마운트(311)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핀(440)의 끝단이 핀 고정부(44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약제 살포부(420)는 상기 고정 마운트(311)에 축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핀(440)과 핀 고정부(441)는 통상적인 볼트 및 너트 구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부가 접힌 후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약제 살포부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약제 살포부(420)는 고정 마운트(311)에 축 고정되며, 상기 고정 마운트(311)는 상기 약제 살포부(420)가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살포부(420)는 고정 마운트(311)의 형상으로 인해 최대 90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방향으로 펼쳐지며, 운반 및 보관 시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질 수 있다.
약제 살포부(420)를 접거나 펼치는 것은 운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 약제 살포부(420)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에서 프로펠러가 접히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펠러(20)는 폴딩이 가능한 폴딩 프로펠러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14a를 참조하면, 내측 슬라이드 암(220)이 삽입되기 전에는 프로펠러(20)가 펼쳐진 상태로 있으며, 도 14b 및 도 14c를 참조하면, 내측 슬라이드 암(2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프로펠러(20)도 전체 크기 및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100)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여기서, 수직을 형성하는 인접한 내측 슬라이드 암(220) 사이에 높이 차이가 존재함에 따라 폴딩 프로펠러 또한 위상차가 발생하여, 내측 슬라이드 암(220)을 삽입 후 폴딩 프로펠러를 접더라도 인접한 폴딩 프로펠러 사이에 서로 겹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다목적 드론
20: 프로펠러
30: 고정홀
100: 메인 프레임
101: 공간부
102: 모서리부
110: 본체
111: 본체 하부 마운트
200: 슬라이드 암
210: 외측 슬라이드 암
220: 내측 슬라이드 암
230: 잠금 클램프
240: 잠금핀
241: 고정돌부
242: 고정날개부
243: 스프링 결합부
244: 스프링 안착부
250: 잠금핀 베드
251: 잠금핀 해제부
260: 잠금핀 스프링
300: 착지부
310: 제1 착지부
311: 고정 마운트
320: 제2 착지부
400: 약제 살포 모듈부
410: 약제 저장부
411: 고리형 마운트
420: 약제 살포부
421: 노즐
430: 연결 호스
440: 고정핀
441: 핀 고정부

Claims (15)

  1.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일단에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암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공 형상을 가지는 외측 슬라이드 암; 및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내측 슬라이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의 끝단에는 레버 방식의 잠금 클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과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은 슬라이딩됨에 따라 겹쳐질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을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암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되며 상기 잠금핀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잠금핀 베드; 및
    상기 잠금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핀 베드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잠금핀을 상기 고정홀을 따라 승하강시키기 위한 잠금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을 상기 외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에서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잠금핀을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날개부; 및
    상기 고정날개부에서 상기 잠금핀 베드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며 상기 잠금핀 스프링이 외주 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스프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상기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고정 날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핀 스프링의 타단이 안착되기 위한 홈 형상의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 베드는,
    상기 잠금핀의 스프링 결합부가 삽입되며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잠금핀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 해제부의 일측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가 축소되는 방향이고, 상기 잠금핀 해제부의 타측은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길이가 확대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며 약제를 살포하기 위한 약제 살포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살포 모듈부는,
    내부에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약제 저장부;
    상기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된 약제 살포부; 및
    상기 약제 저장부에 저장된 약제를 상기 약제 살포부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착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제1 착지부; 및
    상기 제1 착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착지면과 접촉하여 착지시키기 위한 제2 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지부에는 상기 약제 살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마운트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살포부는 상기 고정 마운트를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살포부는 상기 고정 마운트에 축 고정되며, 상기 고정 마운트는 상기 약제 살포부가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일방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슬라이드 암의 끝단에는 폴딩 프로펠러가 장착되며, 수직을 형성하는 인접한 내측 슬라이드 암 사이에 높이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KR1020160067719A 2016-05-31 2016-05-31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KR10186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719A KR101860021B1 (ko) 2016-05-31 2016-05-31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719A KR101860021B1 (ko) 2016-05-31 2016-05-31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79A true KR20170135579A (ko) 2017-12-08
KR101860021B1 KR101860021B1 (ko) 2018-05-21

Family

ID=6091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719A KR101860021B1 (ko) 2016-05-31 2016-05-31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021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7222A (zh) * 2017-12-22 2018-05-29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防振动农用无人机及其使用方法
KR101863157B1 (ko) * 2018-02-06 2018-06-07 (주)테크맥스텔레콤 휴대용 가방으로 운반 가능한 접이식 무인 비행체
CN108184803A (zh) * 2018-02-08 2018-06-22 塔里木大学 一种航空植保无人机棉田低空喷洒缩节胺的方法
CN109229351A (zh) * 2018-09-11 2019-01-18 林荣东 一种利用附加旋翼重感自持衡的四旋翼无人机
CN109484638A (zh) * 2018-12-24 2019-03-19 西安达纳森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y型交错式无人机机臂折叠件
KR101968577B1 (ko) 2019-01-30 2019-04-16 대한민국 산림재해용 다목적 드론
CN109878731A (zh) * 2019-03-31 2019-06-14 拓攻(南京)机器人有限公司 一种植保无人机
KR102071466B1 (ko) 2019-05-24 2020-01-30 남현우 소화용 모듈 및 이 소화용 모듈이 탑재된 소방 드론
KR102133688B1 (ko) * 2020-02-14 2020-07-14 하상균 부양력 증가 및 빛기둥 생성 가능한 드론
CN111661333A (zh) * 2020-06-22 2020-09-15 四川飞防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精量播种无人机
CN112166911A (zh) * 2020-10-15 2021-01-05 安阳工学院 一种快速病虫害精准检测施药系统和方法
WO2021074986A1 (ja) * 2019-10-16 2021-04-22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
CN112722324A (zh) * 2021-01-19 2021-04-3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垂直起降电动飞机测试平台
KR20210114122A (ko) * 2020-03-10 2021-09-23 (주)이지시스템 멀티콥터형 무인비행장치
CN114432611A (zh) * 2020-11-02 2022-05-06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载荷可快速更换的多功能消防无人机
CN114435732A (zh) * 2021-12-23 2022-05-06 中科智控(沭阳)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机械手投放设备
KR20220058138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스엠소프트 아암연결수단이 구비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173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스엠소프트 송풍방식을 이용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172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스엠소프트 아암 폴딩 고정이 가능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785A (ko) * 2020-10-30 2022-05-10 (주)에스엠소프트 배터리 착탈이 용이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772A (ko) * 2020-10-30 2022-05-10 (주)에스엠소프트 프로펠러가 3개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WO2022220345A1 (ko) * 2021-04-15 2022-10-20 서광석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22B1 (ko) * 2021-06-16 2023-06-02 (주)한국헬리콥터 드론의 폴딩암
KR102419724B1 (ko) 2021-12-24 2022-07-13 주식회사 숨비 암프레임 보강기능이 구비된 멀티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04575C (en) * 2013-03-14 2022-02-01 Aeryon Labs Inc. Folding propellers system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7222A (zh) * 2017-12-22 2018-05-29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防振动农用无人机及其使用方法
KR101863157B1 (ko) * 2018-02-06 2018-06-07 (주)테크맥스텔레콤 휴대용 가방으로 운반 가능한 접이식 무인 비행체
CN108184803A (zh) * 2018-02-08 2018-06-22 塔里木大学 一种航空植保无人机棉田低空喷洒缩节胺的方法
CN109229351A (zh) * 2018-09-11 2019-01-18 林荣东 一种利用附加旋翼重感自持衡的四旋翼无人机
CN109484638B (zh) * 2018-12-24 2024-04-30 西安达纳森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y型交错式无人机机臂折叠件
CN109484638A (zh) * 2018-12-24 2019-03-19 西安达纳森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y型交错式无人机机臂折叠件
KR101968577B1 (ko) 2019-01-30 2019-04-16 대한민국 산림재해용 다목적 드론
CN109878731A (zh) * 2019-03-31 2019-06-14 拓攻(南京)机器人有限公司 一种植保无人机
WO2020200008A1 (zh) * 2019-03-31 2020-10-08 拓攻(南京)机器人有限公司 一种植保无人机
CN109878731B (zh) * 2019-03-31 2024-04-30 拓攻(南京)机器人有限公司 一种植保无人机
KR102071466B1 (ko) 2019-05-24 2020-01-30 남현우 소화용 모듈 및 이 소화용 모듈이 탑재된 소방 드론
WO2021074986A1 (ja) * 2019-10-16 2021-04-22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
CN114450223A (zh) * 2019-10-16 2022-05-06 株式会社爱隆未来 飞行体
KR102133688B1 (ko) * 2020-02-14 2020-07-14 하상균 부양력 증가 및 빛기둥 생성 가능한 드론
KR20210114122A (ko) * 2020-03-10 2021-09-23 (주)이지시스템 멀티콥터형 무인비행장치
CN111661333A (zh) * 2020-06-22 2020-09-15 四川飞防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精量播种无人机
CN112166911B (zh) * 2020-10-15 2022-05-24 安阳工学院 一种快速病虫害精准检测施药系统和方法
CN112166911A (zh) * 2020-10-15 2021-01-05 安阳工学院 一种快速病虫害精准检测施药系统和方法
KR20220058785A (ko) * 2020-10-30 2022-05-10 (주)에스엠소프트 배터리 착탈이 용이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173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스엠소프트 송풍방식을 이용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172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스엠소프트 아암 폴딩 고정이 가능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772A (ko) * 2020-10-30 2022-05-10 (주)에스엠소프트 프로펠러가 3개의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KR20220058138A (ko) * 2020-10-30 2022-05-09 (주)에스엠소프트 아암연결수단이 구비된 농업용 무인 항공살포기
CN114432611B (zh) * 2020-11-02 2023-01-20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载荷可快速更换的多功能消防无人机
CN114432611A (zh) * 2020-11-02 2022-05-06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载荷可快速更换的多功能消防无人机
CN112722324A (zh) * 2021-01-19 2021-04-3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垂直起降电动飞机测试平台
CN112722324B (zh) * 2021-01-19 2022-12-2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垂直起降电动飞机测试平台
WO2022220345A1 (ko) * 2021-04-15 2022-10-20 서광석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CN114435732B (zh) * 2021-12-23 2024-04-26 中科智控(沭阳)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机械手投放设备
CN114435732A (zh) * 2021-12-23 2022-05-06 中科智控(沭阳)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机械手投放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021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021B1 (ko)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KR101679716B1 (ko) 무인비행체
US9573683B2 (en) Collapsible multi-rotor UAV
US20210339861A1 (en) Airframe
US10899441B1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US9914538B2 (en) Rotor shrouding apparatus, supporting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ame
US10399703B2 (en) Articulated support for unmanned aircraft system
KR101865462B1 (ko) 농약 살포용 드론
US10696385B2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JP7285847B2 (ja) 無人航空機
US5575438A (en) Unmanned VTOL ground surveillance vehicle
KR101456035B1 (ko)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US10137047B1 (en) Automated pilotless air ambulance
CN107618651B (zh) 一种多旋翼无人机机臂遥控收放装置
US10549850B1 (en) Portable multithruster unmanned aircraft
US20100140415A1 (en)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 airframe structure
CN105059528A (zh) 一种可折叠式无人机
CN211308947U (zh) 一种机翼可伸缩折叠式农保无人机
EP3564119B1 (en)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4009931A1 (en) Parachute device
US2022022748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lding landing gear
KR20170121613A (ko) 다목적용 탑재체 장착이 용이한 드론
KR102162848B1 (ko)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US20230191437A1 (en) Discharge Apparatus for Air Vehicle
CN210191813U (zh) 一种可折叠旋翼的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