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129A - 휴대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129A
KR20170135129A KR1020160066572A KR20160066572A KR20170135129A KR 20170135129 A KR20170135129 A KR 20170135129A KR 1020160066572 A KR1020160066572 A KR 1020160066572A KR 20160066572 A KR20160066572 A KR 20160066572A KR 20170135129 A KR20170135129 A KR 2017013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oving body
cutting
mo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050B1 (ko
Inventor
이근구
Original Assignee
이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구 filed Critical 이근구
Priority to KR102016006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절단 대상물의 하부에 놓인 지지체의 측단면에 일측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양측을 이동하며 상기 대상물의 절단 폭이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가압되도록 마련된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칼날이 상기 몸체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승강되며 절단 깊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 칼날수용체를 포함하여, 인쇄물의 가장리를 정해진 폭만큼 신속하고 균일하게 반복하여 절단할 수 있으면서도, 그 지지체에 인쇄물을 부착한 상태로 절단하더라도 지지체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파손된 부품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절단장치{Portabl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종이 또는 필름 등에 인쇄되어 아크릴이나 보드와 같은 지지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인쇄물의 가장리를 정해진 폭만큼 신속하고 균일하게 절단하면서도, 그 지지체에 인쇄물을 부착한 상태로 절단하더라도 지지체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파손된 부품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물은 문자 또는 도형을 이용해 특정 내용을 외부에 알리거나 홍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종이나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인쇄물의 경우에는 그 자체만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따라 벽체 또는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목재, 수지 또는 두꺼운 종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체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쇄물을 지지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쇄물의 가장자리가 지지체의 측단면에 돌출되었을 때는 물론 끝단의 길이가 일치되게 부착하였을 때에는 부착된 초기와는 달리 인쇄물의 가장자리가 점차 지지체로부터 들뜨게 되어 심미감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알림 및 홍보효과가 떨어지게 됨에 따라, 인쇄물의 가장자리가 지지체의 끝단면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절단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인쇄물을 절단하기 위해서, 인쇄물 위에 자를 놓은 상태로 인쇄물이 이동되지 않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칼날을 자의 일측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절단하였는데, 이와 같은 절단하는 과정에서 자 또는 인쇄물이 조금이라도 움직이게 되면 절단면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절단 시 칼날의 기울기를 너무 세워서 절단하는 경우에는 절단면이 매끄럽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565113호에는 대상체의 절단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를 따라 x축 및 y축으로 서로 교차하며 이동되게 설치되는 툴 지지유닛과, 툴 지지유닛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대상체를 커팅하는 커팅 툴로 구성된 휴대용 재단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휴대용 재단기는 매끄러운 절단면을 얻기 위해 가이드부재가 대상체의 절단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크기가 커져 휴대가 불편하고, 커팅 툴에 설치되는 절단부재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함에 따라 대상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대상체가 놓이는 바닥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017121호에는 절단 대상인 보드 위에 놓이는 지지판과, 지지판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안내레일과, 일측면에 칼이 고정 설치되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뭉치로 구성된 보드 커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보드 커터는 안내레일에 설치된 칼에서 칼날이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드가 놓이는 바닥면의 손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절단부재의 인출길이를 조절하기 불편하였고, 상기의 휴대용 재단기와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절단면을 얻기 위해 지지체 및 안내레일이 절단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565113호(2015.11.04.공고, 휴대용 재단기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 재단기 조립체) 한국등록특허 제1017121호(2011.02.25.공고, 보드 커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 또는 필름 등에 인쇄되어 아크릴이나 보드와 같은 지지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인쇄물의 가장자리를 설정된 폭만큼 신속하고 균일하게 절단하면서도, 그 지지체에 인쇄물을 부착한 상태로 절단하더라도 지지체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파손된 부품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 대상물의 하부에 놓인 지지체의 측단면에 일측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양측을 이동하며 상기 대상물의 절단 폭이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가압되도록 마련된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칼날이 상기 몸체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승강되며 절단 깊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 칼날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이동체가 수용되는 내면에 그 이동체가 일측으로 끼워져 그 끼워진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 내에 결합된 상기 이동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분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는 반대측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의 측단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반대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체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된 되었을 때, 상기 칼날수용체의 하면에 돌출된 상기 칼날의 끝단이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이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이동체에 분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결합부와, 그 결합부가 상기 이동체에 긴밀하게 결합된 경우 상기 몸체의 일측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상측에 관통된 연통공으로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칼날수용체에 분해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와 칼날수용체의 결합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칼날에 의한 절단 깊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돌기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끼움홈이 마련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지지돌기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끼움홈이 마련된 안착가압지지부가 분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수용체는 그 하부에 상기 칼날이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칼날수용부와, 그 칼날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칼날이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자성체가 결합되게 형성된 칼날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이 시작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해당되는 외면에 그 칼날의 하측 끝단과 동일 선상으로 세로방향의 위치식별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위치에 따른 절단 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수용체의 외면에는 그 칼날수용체의 하단면이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돌출되는 길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절단장치는 종이 또는 필름 등에 인쇄되어 아크릴이나 보드와 같은 지지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인쇄물의 가장자리를 설정된 폭만큼 신속하고 균일하게 반복해서 절단할 수 있으면서도, 그 지지체에 인쇄물을 부착한 상태로 절단하더라도 지지체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파손된 부품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함몰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높이조절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날수용체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체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칼날수용체의 높이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절단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절단장치는 도 1 내지 3과 같이 지지체(S)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놓인 절단 대상물 즉, 인쇄물(S)의 가장자리를 설정된 폭 만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몸체(100), 이동체(200) 및 칼날수용체(300)로 구성되며, 이에 더해 이동체(200)의 이동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과, 칼날(311)을 통한 절단 인쇄물(P)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몸체(100)는 일측 하부가 지지체(S)의 측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측단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이동체(200)는 몸체(100) 내부의 양측을 이동하며 인쇄물(P)의 절단 폭이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하부에는 삽입홈(220)이 함몰 형성되며, 칼날수용체(300)는 인쇄물(P)을 절단하는 칼날(311)이 구비되어 몸체(100)의 하면에 그 칼날(311)의 하부 끝단이 돌출되도록 삽입홈(220)에 삽입홈(220)에 설치된다.
이때, 몸체(100)는 이동체(200)가 일측으로 끼워져 그 끼워진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되게 형성된 가이드부(110)와, 가이드부(110)의 일측으로 삽입 설치된 이동체(2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그 가이드부(110)의 일측에 분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부(120)와, 커버부(120)가 결합되는 반대측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지지체(S)의 측단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30)로 구성된다.
또한, 도 4a 및 4b와 같이 가이드부(110)에는 이동체(200)가 수용되는 내면에 그 이동체(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된 경우, 이동체(200)에도 가이드레일(111)과 대응되는 형상의 레일이동부(210)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11)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레일이동부(210)는 가이드부(110)에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라 할지라도, 가이드부(110)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체(2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체(200)가 가이드부(110)의 내면에 지지되는 면적을 줄여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가이드레일(111)이 가이드부(110)의 상측과 전·후방측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체(20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도 그 이동에 방해되지 않는 다수의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부(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이동체(200)가 이동한 위치에 따라 인쇄물(P)이 절단되는 폭을 식별할 수 있도록 수치안내부(1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동체(200)의 이동에 의한 칼날(311)의 이동 거리를 정확히 식별하기 위해서는 수치안내부(113)의 설정된 수치에서 그 수치 값을 확인할 수 있는 수치기준부(230)가 칼날(311)의 결합 위치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수치기준부(230)는 도 4a와 같이 이동체(200)가 지지부(130)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가이드부(110)의 상측에 지지되는 측면과 상면이 맞닿는 모서리 부분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달리 칼날(311)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이동체(200)의 상면에 선 또는 화살표 등으로 표시된 기준선일 수 있다.
더불어, 도 5와 같이 지지부(130)에는 커버부(120)의 반대측 즉, 지지부(130)가 형성된 측으로 이동된 이동체(200)가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된 되었을 때, 칼날수용체(300)의 하면에 돌출된 칼날(311)의 끝단이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용홈(131)이 이동체(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도 5와 같이 커버부(120)에는 칼날(311)에 의한 절단이 시작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이동체(200)가 이동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외면에 그 칼날(311)의 하측 끝단 위치와 동일 선상으로 세로방향의 위치식별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식별부(121)는 커버부(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달리 커버부(120)의 내면과 마주하는 이동체(200)의 일측 외면 또는 그 커버부(120)의 반대측에서 상기 가이드부(110)와 마주하는 이동체(200)의 타측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거나, 커버부(120) 및 이동체(20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칼날수용체(300)는 그 하부에 인쇄물(P)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311)이 삽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칼날수용부(310)와, 그 칼날수용부(310)에 삽입된 칼날(311)이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자성체(321)가 결합되게 형성된 칼날고정부(320)가 구비되며, 이러한 칼날수용체(300)의 외면에는 그 칼날수용체(300)의 하면이 이동체(200)의 하부에 돌출되는 길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수치표시부(340)와, 칼날수용체(300)의 승강을 안내함과 동시에 원활한 이동을 위해 칼날수용체(300) 외측면에는 상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부(3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정수단(400)은 가이드부(110) 내부에 결합된 이동체(200)가 설정된 폭만큼 인쇄물(P)을 절단하고자 이동되었을 때 그 이동체(200)가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400)을 결합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10)의 전방측에는 이동체(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이동체(200)에는 고정수단(400)의 끝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수단(400)을 이루는 체결부(410)는 결합공(112)에 끼워져 결합홈(240)에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가압지지부(420)는 체결부(4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체결부(410)가 결합홈(240)에 긴밀하게 결합된 경우 가이드부(110)의 전방측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홈(240)과 체결부(410)는 나선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 다음으로, 높이조절수단(500)은 이동체(200)의 상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연통공(250)으로 끼워지는 끼움부(520)와, 칼날수용체(300)의 상측에 형성된 높이조절공(330)에 분해 결합 가능하도록 끼움부(52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510)와, 가이드부(110)의 상측에서 정·역방향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결합부(510)와 높이조절공(330)의 결합 정도가 조절되어 칼날수용체(300)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칼날(311)에 의한 절단 깊이가 가변되도록 끼움부(52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조절부(530)로 구성된다.
이때, 높이조절수단(500)을 구성하는 끼움부에는 고정된 높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그 회전에 따라 칼날수용체(300)가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하기 위해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지지돌기(521)가 형성되고, 이동체(200)에는 도 6과 같이 그 상측에 지지돌기(521)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끼움홈(261)이 형성된 안착부(260) 및 그 안착부(260)에 분해 결합되며 결합시 지지돌기(521)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끼움홈(271)이 형성된 안착고정부(270)가 마련된다.
여기서, 안착고정부(270)는 이동체(200)의 상측에 분해 결합되는 것이므로, 지지돌기(521)를 제1끼움홈(261) 및 제2끼움홈(271)에 끼워 결합하거나 분해하기 위해서는 지지돌기(521)가 제2끼움홈(271)에 끼워져 지지되는 면적을 제1끼움홈(261)에 끼워져 지지되는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체(200)의 상측에는 안착고정부(270)의 양측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안내홈(280)이 형성되고, 안착부(260)와 안착고정부(270)가 마주하여 밀착되는 면 또는 안착고정부(27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그 안착부(260)와 안착고정부(270)가 마주하는 면이 밀착되었을 때 그 밀착된 반대측에서 이동체(200)와 안착고정부(270)가 밀착 지지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정홈(291) 및 이 고정홈(29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돌기(29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홈(291)은 안착고정부(270)가 고정안내홈(28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안착부(260)에 밀착되었을 때 그 밀착된 반대측에서 안착고정부(270)와 밀착되는 이동체(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고정돌기(292)는 이동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29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안착고정부(270)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절단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물(P)은 일정 크기로 재단되어 벽체 또는 철재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지지체(S)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데, 이러한 인쇄물(P) 뒷면에는 접착시트가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이후, 인쇄물(P)의 가장자리가 지지체(S)의 끝단면에서 설정된 폭만큼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8의 (a)와 같이 가압지지부(420)가 가이드부(110)의 전방측 외면에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체(200)를 커버부(120)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이동체(200)가 이동되는 거리는 칼날(311)의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기준선(230)과 가이드부(110)에 형성된 수치안내부(113)를 통해 절단하고자 하는 폭만큼 정확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체(200)가 가이드부(110) 내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폭만큼 이동된 이후에는 도 8의 (b)와 같이 체결부(410)와 결합홈(240)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가압지지부(420)를 회전시키고, 가압지지부(420)가 가이드부(110)의 전방측 외면에 지지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할 때까지 회전시키면 이동체(200)는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9의 (a) 및 (b)와 같이 조절부(530)를 회전시켜 칼날수용홈(131)에 결합된 칼날(311)이 인쇄물(P)의 높이만큼 가이드부(110)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조절하면, 인쇄물(P)이 부착된 지지체(S)의 표면은 손상시키지 않은 채 인쇄물(P)만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칼날(311)이 가이드부(110)의 하면에 돌출되는 길이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절부(530)를 통해 칼날수용체(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칼날(311)의 끝단이 가이드부(11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지점을 기준 위치로 하고, 이후 칼날수용체(300)의 외면에 형성된 수치표시부(340)를 통해 이동체(200)의 하단면에 돌출되는 길이를 확인하게 되면, 인쇄물(P)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칼날(311)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체(200)와 고정수단(400)을 통해 절단 폭을 조절하고, 칼날수용체(300)와 높이조절수단(500)을 통해 절단깊이를 조절하고 나면, 가이드부(110)의 하면이 인쇄물(P) 및 지지체(S)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 이후 지지부(130)를 지지체(S)의 측단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이드부(110)를 인쇄물(P) 측으로 가압하며 이동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인쇄물(P)의 가장자리가 설정된 폭만큼 매끄럽게 절단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네 측단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인쇄물(P)의 가장자리가 모두 균일한 폭으로 절단된다.
이때, 칼날수용체(300)의 하측으로 결합된 칼날(311)은 자성체(321)의 자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칼날(311)을 교체하기 위해 강제로 잡아 당기지 않는 이상 절단 작업간 임의로 칼날(311)이 빠지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크기로 재단된 다수의 지지체(S)에 각가 부착된 인쇄물(P)의 가장자리를 동일한 폭과 깊이로 반복해서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지지부(130)를 지지체(S)의 측단면에 밀착시킨상태에서 몸체(100)를 인쇄물(P)측으로 가압하며 그 지지체(S)의 측단면을 따라 이동하면 되므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절단 작업이 가능하다.
더불어, 절단 작업 도중 인쇄물(P)의 일부분만을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120)에 형성된 위치식별부(121)를 통해 절단 시작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일치시킨 상태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해, 절단 작업을 완료 한 이후에는 이동체(200)를 커버부(120)의 반대측 끝까지 이동시켜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높이조절수단(500)을 통해 칼날수용체(300)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가이드부(110)의 하면에 돌출된 칼날(311)이 지지부(130)에 형성된 수용홈(131)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통해 이동체(200)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면 휴대하는 동안에도 칼날(311)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거나 기타 다른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후 동일한 높이의 인쇄물(P)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에도 이동체(200)의 이동을 통한 절단 폭만을 조절하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지지체(S)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인쇄물(P)의 가장자리를 설정된 폭만큼 신속하고 균일하게 반복해서 절단할 수 있으면서도, 그 지지체(S)에 인쇄물(P)을 부착한 상태로 절단하더라도 지지체(S)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파손된 부품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몸체 110 : 가이드부
111 : 가이드레일 112 : 결합공
113 : 수치안내부 120 : 커버부
121 : 위치식별부 130 : 지지부
131 : 수용홈
200 : 이동체 210 : 레일이동부
220 : 삽입홈 230 : 수치기준부
240 : 결합홈 250 : 연통공
260 : 안착부 261 : 제1끼움홈
270 : 안착고정부 271 : 제2끼움홈
280 : 고정안내홈 291 : 고정홈
292 : 고정돌기
300 : 칼날수용체 310 : 칼날수용부
311 : 칼날 320 : 칼날고정부
321 : 자성체 330 : 높이조절공
340 : 수치표시부 350 : 슬라이딩부
400 : 고정수단 410 : 체결부
420 : 가압지지부
500 : 높이조절수단 510 : 결합부
520 : 끼움부 521 : 지지돌기
530 : 조절부
P : 인쇄물 S : 지지체

Claims (10)

  1. 절단 대상물(P)의 하부에 놓인 지지체(S)의 측단면에 일측 하부가 밀착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의 양측을 이동하며 상기 대상물(P)의 절단폭이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외면에 가압되도록 마련된 고정수단(400)에 결합되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이동체(200);
    상기 대상물(P)을 절단하는 칼날(311)이 상기 몸체(100)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체(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20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500)에 의해 승강되며 절단 깊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 칼날수용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이동체(200)가 일측으로 끼워져 그 끼워진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되게 형성된 가이드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10) 내에 설치된 상기 이동체(2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110)의 일측에 분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커버부(120)와, 상기 가이드부(110)의 타측 하면에 하향되게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S)의 측단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에는 상기 커버부(120)의 반대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체(200)가 상기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 밀착된 되었을 때, 상기 칼날수용체(300)의 하면에 돌출된 상기 칼날(311)의 끝단이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이동체(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함몰된 수용홈(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이동체(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결합공(112)에 끼워져 상기 이동체(200)에 분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410)와, 그 체결부(410)가 상기 이동체(200)에 긴밀하게 결합된 경우 상기 몸체(100)의 일측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410)의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지지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500)은 상기 이동체(200)의 상측에 관통된 연통공(250)으로 끼워지는 끼움부(520)와, 상기 칼날수용체(300)에 분해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부(52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510)와, 상기 몸체(100)부의 상측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510)와 칼날수용체(300)의 결합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칼날(311)에 의한 절단 깊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끼움부(52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조절부(5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52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지지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20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돌기(521)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끼움홈(261)이 마련된 안착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60)에는 상기 지지돌기(521)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끼움홈(271)이 마련된 안착고정부(270)가 분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수용체(300)는 그 하부에 상기 칼날(311)이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칼날수용부(310)와, 그 칼날수용부(310)에 삽입된 상기 칼날(311)이 자력(磁力)에 의해 고정되도록 자성체(321)가 결합되게 형성된 칼날고정부(3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0)의 이동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부(120)의 외면, 상기 커버부(120)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기 이동체(200)의 일측 외면 또는 그 커버부(120)의 반대측에서 상기 가이드부(110)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체(200)의 타측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칼날(311)에 의해 절단이 시작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그 칼날(311)의 하측 끝단과 동일 선상으로 세로방향의 위치식별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체(200)의 이동 위치에 따른 절단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안내부(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수용체(300)의 외면에는 그 칼날수용체(300)의 하단면이 상기 이동체(200)의 하부에 돌출되는 길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표시부(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단장치.
KR1020160066572A 2016-05-30 2016-05-30 휴대용 절단장치 KR10184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72A KR101848050B1 (ko) 2016-05-30 2016-05-30 휴대용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72A KR101848050B1 (ko) 2016-05-30 2016-05-30 휴대용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29A true KR20170135129A (ko) 2017-12-08
KR101848050B1 KR101848050B1 (ko) 2018-04-11

Family

ID=6091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72A KR101848050B1 (ko) 2016-05-30 2016-05-30 휴대용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209B1 (ko) * 2014-03-06 2014-06-19 (주)광건엔지니어링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050B1 (ko)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7904B2 (ja) 紙裁断機
US4798112A (en) Head assembly for mat cutting machine
JPH06262586A (ja) 紙截断機
EP3071366B1 (en) Method for automatic sharpening of a blade
US5904084A (en) Cutting apparatus
CA2502755C (en) Hand application tool for laying sealant spacer strip on glass or like material
CN210551787U (zh) 一种膜片切割装置
KR101848050B1 (ko) 휴대용 절단장치
US5697276A (en) Food slicing guide
US4443942A (en) Tool for trimming lapping edge portions of sheet material
WO2006078949A1 (en) Multidimensional trimmer
WO2008103566A1 (en) Tile marking and/or cutting device
US20120247298A1 (en) Cutting apparatus and holding member for holding object to be cut
US3799417A (en) Tape dispenser attachment
KR100536014B1 (ko) 화일 및 앨범속지 펀칭장치 및 제조방법
US20130152755A1 (en) Holding sheet and cutting apparatus
JP6908804B2 (ja) ローラーカッター
US20180035547A1 (en) Tool for cutting the isthmuses of printed circuit boards
DE50005502D1 (de) Zeichengerät
KR20100005992A (ko) 바닥 긁힘 및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춘 절단용 자
JPH0755476B2 (ja) 弾性シート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2005138222A (ja) 刃物研ぎ器
JP6357613B1 (ja) 刃物研ぎ器
US20130104716A1 (en) Holding sheet and cutt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GB2128530A (en) A punch for piercing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