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985A -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985A
KR20170134985A KR1020160066098A KR20160066098A KR20170134985A KR 20170134985 A KR20170134985 A KR 20170134985A KR 1020160066098 A KR1020160066098 A KR 1020160066098A KR 20160066098 A KR20160066098 A KR 20160066098A KR 20170134985 A KR20170134985 A KR 2017013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extract
oil
cosmetic composition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김기원
김현미
이도경
장서인
Original Assignee
(주)제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랩 filed Critical (주)제노랩
Priority to KR102016006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985A/ko
Publication of KR2017013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악어오일 자체보다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어 오일 중성 에멀젼은 안정성이 확립되어 부작용이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elasticity comprising crocodile oil-neutral emulsion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서 현재까지 여성들은 자신들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최선을 다해왔으며, 특히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미세한 잔주름을 주축으로 하는 노화의 증후는 여성들에게 매우 큰 고민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여성들의 고민으로 인하여 주름개선원료 및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료는 스킨케어 시장에서 큰 부분으로 자리잡았다. 피부 주름 발생은 크게 노화라는 이름으로 생기는 다양한 증후가 인체의 생리작용과 맞물려 외부로 표출되는 자연적인 노화와 최근 환경 오염 등으로 심각한 자외선, 자유라디칼, 공해 등으로 인하여 촉진되는 환경적인 노화로 나눌 수 있는데, 이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아데노신, 비타민C, 콜라겐 및 다양한 종류의 펩타이드(peptide)류, 프로안토시아니딘, 에피갈로카테킨(EGCG)등의 폴리페놀류와 우르솔산, 올레아놀산을 포함하는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s)류 등의 여러 물질들이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각종 식물 및 해양 생물에서 추출하고, 복합화한 다양한 성분들이 주름개선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다.
악어는 다양한 병원균과 미생물에 계속 노출되고, 심지어 다른 악어들과의 싸움으로 늘 깊은 상처를 가지고 살아가는 환경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어는 빠른 치유력을 나타냄을 발견한 과학자들은 이를 연구하였고, 인간의 면역체계와 달리 악어가 강력한 면역체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악어오일은 피부질환 및 암에 대한 치료효과가 다양한 나라의 민간요법으로 알려져 왔다. 아프리카에서는 악어오일을 피부발진과 상처치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악어오일은 상처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GF-β1과 Smad3의 발현량을 조절하여 상처형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Crocodile oil enhances cutaneous burn wound healing and reduces scar formation in rats.,Crocodile oil enhances cutaneous burn wound healing and reduces scar formation in rats. Li HL et al., Acad Emerg Med. 2012 Mar;19(3):265-73).
악어오일의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순수 악어오일 자체로는 피부침투가 어려운 바, 실제 피부에 적용하여 효능·효과를 나타내는데는 어려운 점이 있다.
악어오일 관련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512606호에 악어오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이 악어오일만을 이용할 때보다 주름개선 및 탄력개선에 증진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악어오일자체보다 우수한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 효과가 있다. 따라서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 제조과정에서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주름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안면 리프팅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피부 겉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피부 속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진피 치밀도 증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a) 75~8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유화제(emulsfier)와 악어오일(crocodile oil)을 150~250rpm으로 5~20분간 혼합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pre-emulsion)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75~85℃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에 75~85℃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2,500~3,500rpm으로 5~20분간 혼합 및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에멀젼을 포집하여 35~4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냉각된 에멀젼에 추가로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고, 150~250rpm으로 10~20분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10.0~98.0중량%의 정제수, 1.0~40.0중량%의 악어오일 및 1.0~50.0중량%의 유화제를 포함하며, pH 6.5±1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a)의 혼합 및 교반 과정에서 75℃ 미만이 되거나, 85℃를 초과하는 경우, 악어오일과 유화제 사이에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단계 (b)의 혼합 및 교반 과정에서 75℃ 미만이 되거나, 8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프리-에멀젼(pre-emulsion)과 물이 잘 혼합되지 않아 에멀젼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a) 및 (b)에서 혼합 및 교반은 직경 5~20㎝의 프리믹서(pre-mixer)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a)에서 교반 및 혼합 속도가 150rpm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 상의 수상이 완전하게 용해되지 않아 프리-에멀젼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50rpm을 초과할 경우에는 프리-에멀젼에 적정량의 악어오일이 분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단계 (a)에서 5분 미만으로 혼합 및 교반할 경우, 충분한 유화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이미 충분한 유화분산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유화 분산 효과를 얻기 어렵고, 제조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교반 및 교반 속도가 2,500rpm 미만일 경우,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프리-에멀젼과 물이 잘 분산되지 않아 에멀젼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3,500rpm을 초과할 경우, 형성된 에멀젼의 사이즈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단계 (b)에서 5분 미만으로 혼합 및 교반할 경우 충분한 유화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이미 충분한 유화분산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유화분산효과를 얻기 어렵고, 제조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제조된 에멀젼에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할 때의 온도가 35℃ 미만이거나 4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계(c)에서 제조된 에멀젼이 불안정해지고, 기능성 첨가제의 효능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단계(c)에서 제조된 에멀젼에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할 때에 150rpm 미만으로 혼합 교반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첨가물이 상기 단계 (c)에서 제조된 에멀젼에 완전 용해 및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50rpm을 초과하여 혼합 및 교반하는 경우에는 에멀젼과 기능성 첨가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제조된 에멀젼에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할 때에 혼합 및 교반하는 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에는 기능성 첨가물이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에 완전용해 및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2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미 충분한 용해 및 분산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분산효과를 얻기 어렵고, 제조공정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에 포함된 악어오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때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40.0중량%를 초과할 때에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생산된 에멀젼이 산화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에 포함된 유화제의 함량은 1.0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50.0중량%를 초과할 경우는 제조된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의 피부침투를 방해하고,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라우레스-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디메치콘,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세타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지방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유도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및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유도체, 아르간오일, 메도우폼씨드오일, 조조바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스쿠알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에칠헥사노인, 쉐어버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올, 폴리실리콘-11, 승마 추출물, 밤껍질 추출물, 복령 추출물, 지유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검은깨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동백꽃수, 연어알 추출물, 서리태 발효 추출물, 효모 또는 쌀 발효 여과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아데노신 및 니아신아마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냉각된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9.0 중량부의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냉각한 에멀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첨가제의 기능에 따른 효과가 미약하고, 9.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산화 및 변색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및 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3.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의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한 조성비로, 악어오일과 유화제를 pre-mixer에 투입하고, 온도 80℃를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200rpm으로 10분간 혼합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pre-emulsion)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프리-에멀젼(pre-emulsion)과 정제수를 하기 표 1에 따른 비율로 호모믹서(Homo-mixer)에 투입하여 3,000rpm으로 5분간 혼합 및 교반하여 에멀젼화 한 후, 포집기에 넣어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도 1).
성분 (단위 :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정제수 92.0 92.0 92.0
악어오일 3.0 3.0 3.0

유화제
세테아릴알코올 1.5 2.0 1.2
레시틴 0.5 1.0 0.5
세라마이드 0.2 0.3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0.5 1.0
폴리소르베이트 60 - - -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 0.8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 0.7 0.5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0.8 0.5 0.5
합계 100.0 100.0 100.0
실시예 4~6.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된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의 제조
하기 표 2에 개시한 조성비로, 악어오일과 유화제를 온도 80℃를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200rpm으로 10분간 혼합·교반하여 프리-에멀젼(pre-emulsion)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프리-에멀젼(pre-emulsion)과 정제수를 하기 표 2에 따른 비율로 호모믹서(Homo-mixer)에 투입하여 교반속도 3,000rpm으로 5분간 혼합·교반하여 에멀젼화 한 후, 포집기에 넣어 상온에서 40±5℃로 냉각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후 40±5℃에서 상기 에멀젼과 하기 표2 조성의 기능성 첨가제를 프리믹서(pre-mixer)에 투입하여 교반속도 200rpm으로 15분간 혼합하여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한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제조하였다(도 2).
구분 성분 (단위 : 중량%)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악어
오일
중성
에멀젼
정제수 92.0 92.0 92.0
악어오일 3.0 3.0 3.0



유화제
세테아릴알코올 1.5 2.0 1.2
레시틴 0.5 1.0 0.5
세라마이드 0.2 0.3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0.5 1.0
폴리소르베이트 60 - - -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0.5 0.8
펜타에리스틸테트라이소페아레이트 - 0.7 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0.8 - 0.5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합계 100.0 100.0 100.


기능성
첨가제
디메치콘 0.5 0.3 0.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0.5 0.5
1,2-헥산디올 0.5 1.0 0.5
승마 추출물 - 0.2 0.1
배 추출물 - - 0.1
지유 추출물 - - 0.1
상황버섯 추출물 - - 0.1
블루베리 추출물 - - 0.1
병풀 추출물 - - 0.1
차가버섯 추출물 - - 0.1
기능성 첨가제 합계 2.0 2.0 2.0
실험예 1. 눈가 주름 측정 실험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조건에서 건강한 만 25~55세의 여성 23명(평균연령 46.30세)을 선정하여, 시험대상자가 실시예 3을 사용하기 전에 3D 피부 촬영 장치(Primo premium)을 이용하여 눈가 주름을 촬영하였다. 이후, 시험대상자에게 실시예 3을 2주, 4주간 사용하게 하고, 3D 피부 촬영 장치(Primo premium)을 이용하여 동일 부위의 눈가주름을 촬영하였다. 저장된 이미지의 피부 Ra(Average Roughness) 값을 분석하였다. Ra 값이 작아질수록 피부표면 높이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므로,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Ra값 변화
Ra
0주 2주 4주
17.34±3.85 15.86±3.80 15.88±3.37
상기 표 3 및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사용 2주 및 4주 후, Ra 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안면리프팅 변화측정 실험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조건에서 건강한 만 25~55세의 여성 23명(평균연령 46.30세)을 선정하여, 실시예 3을 사용하기 전에 시험대상자의 피부모습을 등고선으로 표현해 주는 기기 F-ray를 사용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Image-pro plus로 분석하였다. 이후 시험 대상자에게 실시예 3을 2주, 4주간 사용하게 하고, F-ray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그 이미지를 Image-pro plus로 분석하였다. 안면 리프팅 효과는 광대뼈 근처에 형성된 원을 기준으로 원 가운데에서 세 번째 등고선까지 직선과 두 번째 등고선에 접선을 그어 두 직선의 각도가 작아짐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광대뼈 등고선의 각도 변화
광대뼈 등고선의 각도차이
0주 2주 4주
32.08±7.24 31.16±6.73 30.44±6.87
상기 표 4 및 도 4에 기재된 결과에서 등고선의 각도가 작아짐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안면리프팅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겉탄력 측정 실험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건강한 만 25~55세의 여성 23명(평균연령 46.30세)을 선정하여, 실시예 3을 사용하기 전에 Cutometer CM580을 사용하여 시험대상자의 볼 부위를 측정하고, 이후 시험대상자에게 실시예 3을 2주, 4주간 사용하게 하고, 시험대상자의 볼 부위를 Cutometer CM58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utometer CM580은 probe 내부에 음압을 가해 피부가 잡아 당겨지는 정도와 복원되는 정도의 차이를 R0~R9의 지수로 표시되며, R2 값은 총체적인 탄성도로 피부 겉탄력의 정도를 나타내며, 1에 가까운 값일수록 피부의 겉탄력이 더욱 탄력적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피부 겉탄력의 변화
R2(피부 겉탄력 정도)
0주 2주 4주
0.58±0.04 0.63±0.04 0.70±0.05
표 5 및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R2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겉탄력 증진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피부속탄력 측정 실험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조건에서 건강한 만 25~55세의 여성 23명(평균연령 46.30세)을 선정하여 실시예 3을 사용하기 전에 Cutometer CM580을 사용하여 시험대상자의 볼 부위를 측정하고, 이후 시험대상자에게 실시예 3을 2주, 4주간 사용하게 하고, 시험대상자의 볼 부위를 Cutometer CM58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utometer CM580은 probe 내부에 음압을 가해 피부가 잡아 당겨지는 정도와 복원되는 정도의 차이를 R0~R9의 지수로 표시되며, R5는 피부 속 탄력의 정도를 나타내며, 값이 증가할수록 피부의 속탄력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피부 속탄력의 변화
R5(피부 속탄력 정도)
0주 2주 4주
0.62±0.11 0.67±0.11 0.71±0.11
표 6 및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R5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속탄력 증진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진피 치밀도 측정 실험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조건에서 건강한 만 25~55세의 여성 23명(평균연령 46.30세)을 선정하여, 시험대상자가 실시예 3을 사용하기 전에 초음파 촬영장치인 DUB-skin scanner를 사용하여 왼쪽 눈가 부위를 측정하고, 이후 시험대상자에게 실시예 3을 2주, 4주간 사용하게 하고, 시험대상자의 왼쪽 눈가 부위를 DUB-skin scann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표는 피부 치밀도를 의미하는 intensity(%)로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에 따른 피부 진피 치밀도의 변화
피부 치밀도(%)
0주 2주 4주
15.87±3.97 17.83±4.22 19.75±4.22
표 7 및 도 7에 개시한 바와 같이, 피부치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악어오일 중성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진피의 치밀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5에서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주름을 감소시키고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순수 악어오일에 비하여 효과적인 피부주름 감소 및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가짐을 예상할 수 있다.

Claims (8)

  1.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a) 75~8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유화제(emulsfier)와 악어오일(crocodile oil)을 150~250rpm으로 5~20분간 혼합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pre-emulsion)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75~85℃의 프리-에멀젼(pre-emulsion)에 75~85℃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2,500~3,500rpm으로 5~20분간 혼합 및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에멀젼을 포집하여 35~45℃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냉각된 에멀젼에 추가로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고, 150~250rpm으로 10~20분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은 10.0~98.0중량%의 정제수, 1.0~40.0중량%의 악어오일 및 1.0~50.0중량%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9.0 중량부의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유화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라우레스-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디메치콘,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세타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지방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이의 유도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및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유도체, 아르간 오일, 메도우폼씨드 오일, 조조바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스쿠알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에틸헥사노인, 쉐어버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올, 폴리실리콘-11, 승마 추출물, 밤껍질 추출물, 복령 추출물, 지유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검은깨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동백꽃수, 연어알 추출물, 서리태발효 추출물, 효모 또는 쌀 발효 여과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상황버섯 추출물, 배 추출물, 병풀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아데노신 및 니아신아마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및 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66098A 2016-05-30 2016-05-30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4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098A KR20170134985A (ko) 2016-05-30 2016-05-30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098A KR20170134985A (ko) 2016-05-30 2016-05-30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985A true KR20170134985A (ko) 2017-12-08

Family

ID=6091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098A KR20170134985A (ko) 2016-05-30 2016-05-30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98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436A (zh) * 2018-02-05 2018-05-18 瞿晓霈 蓝铜胜肽抗衰保湿精华霜
CN108158885A (zh) * 2018-02-02 2018-06-15 深圳市大鳄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修复妊娠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619007A (zh) * 2018-06-29 2018-10-09 广西浙缘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油茶籽油面霜
CN108707502A (zh) * 2018-04-23 2018-10-26 周华锋 一种鳄鱼油的制备方法及应用
CN114886790A (zh) * 2022-04-20 2022-08-12 叶春兰 一种抗皱抗衰精华乳
CN115813811A (zh) * 2022-11-14 2023-03-21 李恭瑞 一种含鳄鱼油精华的眼部护理乳液
KR102549572B1 (ko) * 2022-07-29 2023-07-11 (주)코스파니엘 씨앗오일과 연어정소단백질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885A (zh) * 2018-02-02 2018-06-15 深圳市大鳄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修复妊娠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042436A (zh) * 2018-02-05 2018-05-18 瞿晓霈 蓝铜胜肽抗衰保湿精华霜
CN108042436B (zh) * 2018-02-05 2020-09-04 广州御妆化妆品有限公司 蓝铜胜肽抗衰保湿精华霜
CN108707502A (zh) * 2018-04-23 2018-10-26 周华锋 一种鳄鱼油的制备方法及应用
CN108707502B (zh) * 2018-04-23 2021-06-18 湖北鳄宝生物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鳄鱼油的制备方法及应用
CN108619007A (zh) * 2018-06-29 2018-10-09 广西浙缘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油茶籽油面霜
CN114886790A (zh) * 2022-04-20 2022-08-12 叶春兰 一种抗皱抗衰精华乳
CN114886790B (zh) * 2022-04-20 2024-04-16 黑龙江省宇鑫投资有限公司 一种抗皱抗衰精华乳
KR102549572B1 (ko) * 2022-07-29 2023-07-11 (주)코스파니엘 씨앗오일과 연어정소단백질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813811A (zh) * 2022-11-14 2023-03-21 李恭瑞 一种含鳄鱼油精华的眼部护理乳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4985A (ko) 악어오일 중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969444B (zh) 一种去黑眼圈、抗皱紧肤修护眼霜及其制备方法
CN106580762B (zh) 具有抚纹抗皱功效的护肤品组合物、眼霜及其制备方法
CN111166683A (zh) 一种富勒烯抗衰抗氧化美容护肤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9453043A (zh) 一种稳定性良好的纳米乳液
KR100839588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7753332B (zh) 一种多效油膏
CN109771338A (zh) 一种婴幼儿护臀膏及其制备工艺
CN109125146B (zh) 一种灵芝多糖与丁香油的组合物
CN106667804A (zh) 一种含有鸸鹋油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499281A (zh) 一种稳定悬浮体系及其制备方法和化妆品
CN108785141A (zh) 一种美容液、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309897A (zh) 一种芦荟保湿乳液及其制作方法
CN106389168B (zh) 具有美白祛斑功效带正电荷的水包油纳米乳霜及制备方法
CN107151275A (zh) 茶多糖提取物及其在皮肤外用剂中的应用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9157470A (zh) 一种祛痘除印美白护肤霜及其制备方法
CN113876612B (zh) 一种含有增加皮肤胶原密度脂质体的面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960462A (zh) 一种美乳纳米脂质囊泡及其制备方法
CN110755278A (zh) 一种面膜及其制备方法
WO2016166091A1 (de) Naturstoffkombination enthaltend mindestens eine glycyrrhetinsäure und mindestens ein guggulsteron sowie verwendung derselben für kosmetische anwendungen
KR102296492B1 (ko)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제조방법
CN107375034A (zh) 一种抗皮肤老化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085428B1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