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288A -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288A
KR20170134288A KR1020170156835A KR20170156835A KR20170134288A KR 20170134288 A KR20170134288 A KR 20170134288A KR 1020170156835 A KR1020170156835 A KR 1020170156835A KR 20170156835 A KR20170156835 A KR 20170156835A KR 20170134288 A KR20170134288 A KR 20170134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unit
vehicle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5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288A/ko
Publication of KR20170134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를 감지하는 주행감지부; 상기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 및 상기 주행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상기 탑승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무인모드(Unmanned Mode)에 진입하여 상기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UTONOMOUS CAR}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자율주행 시 부하의 필요상황에 따라 전원을 단속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 주로 설치되는 정션블록은 각 부하용 소자, 즉 부하별로 사용되는 퓨즈와 릴레이들을 회로 사이에 조합하여 박스에 내장시킨 일종의 배전박스로서, 퓨즈와 릴레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원을 공급 및 분배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그밖에 내부에 탑재되는 각종 소자(퓨즈, 릴레이 등)들에 대한 수납 및 보호, 와이어 보호, 신속한 방열을 통한 작동 효율 유지 등의 기능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에 대한 다양한 편의 사양 추가와 고급화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정션블록의 보다 발전된 기능이 필요해짐에 따라 스마트 정션블록(Smart Junction Block, SJB)이 사용되는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정션블록은 종래의 정션블록에 반도체 소자를 탑재하여 제어기능을 통해 좀 더 능동적으로 부하를 제어하고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MCU(Micro Control Unit) 및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시동키를 분리하면 배터리에서 시동장치 및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부하장치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은 차단되지만, 즉각적인 시동을 위한 전류의 공급 및 기타 다른 컨트롤러 등과 같은 장치에는 배터리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이처럼 차량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에 소비되는 기본적인 전류를 암전류(Dark Current)라 한다. 이러한 암전류는 차량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나, 암전류가 크면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되므로 암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정션블록은 정상모드(Normal Mode), 슬립모드(Sleep Mode) 및 파워오프모드(Power-off Mode) 중 하나로 차량의 암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모드는 스마트 정션블록이 정상동작하고 있는 모드로써, 암전류 제어를 위해 연결된 모든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모드이다. 또한, 슬립모드는 스마트 정션블록이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저전력 모드로써, 암전류 자동 차단 기능이 실행되는 모드이다. 또한, 파워오프모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MCU 및 주변회로의 전원이 차단되고 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한편,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또는, 무인자동차)이 개발되어, 운전자의 조작 없이 차량 스스로 주행환경을 인식하여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량의 자율주행 시 일반적으로 암전류 제어는 연결된 모든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암전류 제어 모드를 정상모드로 동작시킨다. 즉, 모든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자율주행상태에서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부하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다시 말해, 실제 주행에 관련이 없으며 상시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부하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연료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5129호(공개일 : 2007.03.30.공개)인 "자동차용 전장유니트의 암전류 최소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무인 자율주행 시 부하의 필요상황에 따라 전원을 단속하여 암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무인 전원 제어 장치는,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를 감지하는 주행감지부; 상기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 및 상기 주행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상기 탑승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무인모드(Unmanned Mode)에 진입하여 상기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부하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는,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3부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모드 시, 상기 제3부하부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3부하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무인 전원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주행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탑승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주행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상기 탑승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각 상기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무인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부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부하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는,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3부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모드 시, 상기 제3부하부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3부하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무인 자율주행 시 부하의 필요상황에 따라 전원을 단속하여 암전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불필요한 소비 전원 감소를 통해 원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연을 감소시켜 친환경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는, 주행감지부(10), 탑승감지부(20), 제어부(30), 스위칭부(40) 및 부하부(5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는, 정상모드(Normal Mode), 슬립모드(Sleep Mode), 파워오프모드(Power-off Mode) 및 무인모드(Unmanned Mode)로 차량의 암전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모드는 스마트 정션블록(SJB : Smart Junction Block, 100)이 정상동작하고 있는 모드로써, 암전류 제어를 위해 연결된 모든 부하부(50)에 전원이 공급되는 모드이다. 또한, 슬립모드는 스마트 정션블록(100)이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저전력 모드로써, 암전류 자동 차단 기능이 실행되는 모드이다. 또한, 파워오프모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MCU 및 주변회로의 전원이 차단되고 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무인모드는 무인 자율주행 시 부하부(50)의 부하장치 중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와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로써,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부하장치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모드이다.
주행감지부(10)는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한다. 즉, 주행감지부(10)는 차량이 수동 운전 모드에서 자율주행 모드로 변경되어 자동 운전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탑승감지부(20)는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한다. 즉, 탑승감지부(20)는 차량 내 좌석에 각각 설치되어 모든 좌석의 무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승감지부(20)로서 SBR(Seat Belt Reminder) 센서를 통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주행감지부(10) 및 탑승감지부(20)는 캔 통신으로 스마트 정션블록(10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정션블록(100)은 주지된 바와 같이 퓨즈, 릴레이 등과 같은 부품들이 다수 개 모여 설치되어 전원분배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션블록(100)에는 주행감지부(10) 및 탑승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가 구비된다. 하지만 이는 일례이며 제어부(30)는 스마트 정션블록(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마트 정선블록(100)에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스위칭부(4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스위칭부(40)는 배터리(60)와 부하부(5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부하부(50)에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이때, 배터리(60)는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를 의미한다.
스위칭부(40)는 예를들어,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래칭릴레이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래칭릴레이소자는 일단 한번 온 상태로 스위칭되면 새로운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반대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 후에는 새로운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래칭릴레이소자는 배터리(60)의 전원을 부하부(50)로 공급 및 차단한 후, 제어부(30)로부터 새로운 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의 공급 및 차단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또한, 스위칭부(40)는 부하부(50)가 다수 개일 경우, 그에 대응하여 다수 개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부(50)는 배터리(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장치를 포함하며, 부하장치의 특성에 따라 부하부(50)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부하부(50)는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51),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52)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3부하부(53)로 그룹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정상모드, 슬립모드, 파워오프모드 및 무인모드 중 하나로 암전류 제어를 수행할 경우, 모드에 따라 부하부(50)의 그룹별로 대응되는 스위칭부(40)를 온/오프시켜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부하부(50)는 예를 들어, 그 유형에 따라 크게 램프부하, 바디전장부하, 멀티미디어부하, 웨이크업(Wake up)부하로 분류할 수 있다. 램프부하는 차량의 실내등, 글로브 박스 램프 및 풋램프 등을 포함하고, 바디전장부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을 위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운전자세를 기억하기 위한 IMS(Integrated Memory System) 및 에어컨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부하는 CD플레이어, 라디오 및 내비게이션 등을 포함하고, 웨이크업부하는 바디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RF 수신기 및 차량의 도난방지 시스템과 같은 시큐리티 인디케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스위칭부(4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0)는 주행감지부(10) 및 탑승감지부(2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결과에 따라 스위칭부(40)를 온/오프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30)는 주행감지부(10)의 감지결과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탑승감지부(20)의 감지결과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무인모드에 진입하여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50)에만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무인모드 시, 제어부(30)는 스위칭부(40)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제1부하부(51) 및 제2부하부(52)에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하고,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제3부하부(53)에 대응되는 스위칭부(40)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배터리(6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주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웨이크업부하에는 배터리(60)의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그 외의 부하의 전원은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30)가 정상모드(Normal Mode)로 암전류 제어를 수행한다(S10).
즉, 스마트 정션블록(SJB : Smart Junction Block, 100)을 정상동작시켜, 전류 제어를 위해 연결된 모든 부하부(50)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차량 내 모든 좌석이 무인 상태인지 판단한다(S20).
이때, 제어부(30)는 주행감지부(10)로부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차량의 자율주행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주행감지부(10)는 차량이 수동 운전 모드에서 자율주행 모드로 변경되어 자동 운전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탑승감지부(20)로부터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차량 내의 모든 좌석이 무인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탑승감지부(20)는 차량 내 좌석에 각각 설치되어 모든 좌석의 무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차량 내 모든 좌석이 무인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가 무인모드(Unmannde Mode)에 진입하여 암전류 제어를 수행한다(S30).
즉, 제어부(30)는 주행감지부(10)의 감지결과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탑승감지부(20)의 감지결과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무인모드에 진입하여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50)에만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부하부(50)는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51),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52)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3부하부(53)로 그룹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인모드 시, 제어부(30)는 주행에 필요한 제1부하부(51) 및 상시전원이 필요한 제2부하부(52)에 대응되는 스위칭부(40)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제1부하부(51) 및 제2부하부(52)에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하고,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제3부하부(53)에 대응되는 스위칭부(40)는 오프 구동시켜 배터리(6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40)는 스마트 정선블록(100)에 구비되어,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암전류의 공급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40)는 배터리(60)와 부하부(50) 사이에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부하부(50)에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이때, 배터리(60)는 차량의 전원공급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위칭부(40)는 부하부(50)가 다수 개일 경우, 그에 대응하여 다수 개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정상모드, 슬립모드, 파워오프모드 및 무인모드 중 하나로 암전류 제어를 수행할 경우, 모드에 따라 부하부(50)의 그룹별로 대응되는 스위칭부(40)를 온/오프시켜 배터리(60)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반면, S20 단계에서 제어부(30)가 차량이 자율주행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차량 내의 모든 좌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석에서 탑승 여부가 감지된 경우에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무인모드의 해제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때, 해제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가 S30 단계로 회귀하여 계속 무인모드로 암전류 제어를 수행하고, 해제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로직을 종료하고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제조건으로는 주행감지부(10) 또는 탑승감지부(20)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어, 제어부(30)가 운전자가 탑승하거나 자율주행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무인 자율주행 시 부하의 필요상황에 따라 전원을 단속하여 암전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불필요한 소비 전원 감소를 통해 원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연을 감소시켜 친환경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주행감지부 20 : 탑승감지부
30 : 제어부 40 : 스위칭부
50 : 부하부 51, 52, 53 : 제1, 2 ,3 부하부
60 : 배터리 100 : 스마트 정션 블록(SJB)

Claims (2)

  1.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를 감지하는 주행감지부;
    상기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부; 및
    상기 주행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상기 탑승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무인모드(Unmanned Mode)에 진입하여 상기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부하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는,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3부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모드 시, 상기 제3부하부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3부하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2. 제어부가 주행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자율주행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탑승감지부로부터 상기 차량 내 각 좌석의 탑승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주행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이고, 상기 탑승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결과 각 상기 각 좌석이 모두 무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무인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무인모드 시 구동되는 부하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부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부하부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는, 주행에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1부하부; 상시전원이 필요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2부하부;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제3부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모드 시, 상기 제3부하부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제3부하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170156835A 2017-11-22 2017-11-22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4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35A KR20170134288A (ko) 2017-11-22 2017-11-22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35A KR20170134288A (ko) 2017-11-22 2017-11-22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660A Division KR101820137B1 (ko) 2016-05-09 2016-05-09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288A true KR20170134288A (ko) 2017-12-06

Family

ID=6092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835A KR20170134288A (ko) 2017-11-22 2017-11-22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571A (zh) * 2021-06-30 2021-09-1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无人驾驶供电系统、供电控制方法、动力域控制器及车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571A (zh) * 2021-06-30 2021-09-1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无人驾驶供电系统、供电控制方法、动力域控制器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137B1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US9452720B2 (en) Telematics master of power
US20100244560A1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5019571B2 (ja)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US8078331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KR101405757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의 종료 모드 제어 방법
KR20100116447A (ko) 차량의 암전류 차단장치 및 방법
JP2007237768A (ja) 電源管理装置および電源管理システム
CN112208467B (zh) 车载网络系统
KR20170134288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2124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4289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479347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電源制御装置
US9908490B2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06335253A (ja) 負荷制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制御プログラム
KR20170131334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2125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1337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1336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1335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32704A (ko) 자율주행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001484A1 (en) Automotive battery over-discharge prevention device
JP2007237875A (ja) バッテリー上がり防止装置
JP6171966B2 (ja) 車載給電システム
JP2003226208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