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003A -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003A
KR20170134003A KR1020160065602A KR20160065602A KR20170134003A KR 20170134003 A KR20170134003 A KR 20170134003A KR 1020160065602 A KR1020160065602 A KR 1020160065602A KR 20160065602 A KR20160065602 A KR 20160065602A KR 20170134003 A KR20170134003 A KR 2017013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al
area
whitening
monitoring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527B1 (ko
Inventor
황성일
황영옥
전수경
성봉준
전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6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38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 G01N2021/174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either absorption-reflection or emission-fluoresc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녹음 백화현상의 조사 및 이를 통한 갯녹음 백화현상 지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광투과가 용이한 일정면적의 투명바닥을 가진 방수함 내부에 하부를 향해 조사되도록 위치한 자외선 광원, 자외선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자외선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위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지피에스 장치를 장착한 갯녹음 백화현상 조사장치 및 이를 통한 갯녹음 백화현상 조사방법을 제공하여 이를 토대로 갯녹음 백화현상 지도를 작성하여 갯녹음 백화현상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coral using UV irradi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바닥을 가진 방수함 내부에 자외선 광원, 자외선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자외선 광원과 디지털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위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지피에스 장치를 장착한 산호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온도 상승과 해양 산성화 등의 환경변화로 인해 인하여 바다가 사막화되는 갯녹음 현상이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 연안 전역과 메인 주에서 캐나다 뉴펀드랜드 섬에 이르기까지의 광범위한 해안에 걸쳐 갯녹음 현상이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992년 제주해역에서 갯녹음이 최초 보고된 이후, 경북 연안을 따라 동해안으로 확장되었고, 최근 남, 서해까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갯녹음은 연안 암반 지역에서 자라던 해조류가 사라지고 무절석회조류(無節石灰藻類)가 달라붙어 살다가 이마저 죽어 암반지역이 하얗게 변하고, 또한 산호초 지대의 산호가 죽으면서 산호의 석회지지체가 하얗게 변하여 탈락되는 현상이다. 갯녹음이 발생하면 해조류와 산호초 지대가 황폐화되고, 이를 먹고 사는 소라, 전복같은 조개류들이 없어지고, 해조류 숲, 산호초 지대에 산란하고 서식처로 삼던 많은 해양생물도 살지 못하게 된다.
갯녹음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지구 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과 해양 산성화 및 육지의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추정되고 있다.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다 속 서식환경의 변화는 산호말과 같은 석회질 탄산칼슘을 가진 홍조류의 번식을 확산시킨다. 이러한 석회질 조류는 인산을 함유한 육지의 오염물질 유출로 인해 바닷물 속의 석회가 농축, 석출되면서 더욱 번성하고, 이것이 바다 속에 퍼졌다가 죽으면서 암반지역을 하얗게 만든다.
또한, 해수온도의 상승 등에 의하여 산호에 공생하고 있던 심바이오디니움(Symbiodinium)이 산호 밖으로 방출되면서 산호폴립이 죽고, 폴립의 지지체였던 석회질만 남게되어 산호초가 하얗게 변하는 백화현상(coral bleaching)이 일어난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난 수십 년간 세계 약 20%의 산호초가 백화현상으로 없어졌다.
갯녹음 현상은 연안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어장을 황폐화시키며, 수산자원의 고갈에 의한 어업인 소득감소로 이어지며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다 사막화로 인한 종 다양성의 감소, 해양의 CO2 흡수 능력의 약화 등으로 인한 생태, 환경적인 문제들이 야기된다.
이러한 갯녹음, 백화현상을 억제하고 황폐화된 연안어장의 생태계를 회복시켜 어업인들의 소득을 증대 시키기 위하여 최근 수십년 동안 해중림 조성, 여러 종류의 인공어초 개발 등,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나, 본질적인 원인 분석 및 적절한 해결방법을 찾기 위하여는 갯녹음, 백화현상의 실태를 정확히 조사,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전 세계적으로 산호초 백화현상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많은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잠수부가 직접 연안의 해저면 상태를 관찰하는 것으로 정해진 넓이의 방형구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산호가 차지 면적, 개체수, 및 종 다양성을 파악하며, 갯녹음 실태를 확인한다. 또한 백화현상 진행에 따른 기준 색상표를 작성하여 해저면 색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백화현상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최근에는 초분광 항공영상 촬영 및 항공레이저 수심 측량을 통해 갯녹음 발생이 쉬운 해역을 조사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산호초를 포함하는 해저면에서 살아있는 산호와 죽어서 백화된 부분을 정확히 구분하기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산호는 해파리, 말미잘과 같은 자포동물로서, 낮에는 석회질의 외골격 속에 있다가 밤이 되면 독성이 있는 촉수를 펼쳐서 지나가는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지만 사냥을 통해서 얻는 영양분보다는 대부분 산호 속에서 사는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만든 영양분으로 살아간다. 산호의 내강 속에는 공생 조류가 살면서 산호가 필요로 하는 산소와 다른 영양성분을 제공하며, 산호에게서 이산화탄소와 다른 물질을 얻는다.
또한 산호에는 햇빛을 흡수하여 태양에너지를 공생 미세조류에게 전달할 수 있는 형광단백질을 가지고 있어서 야간에 산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살아있는 산호는 형광을 발하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산호초에서 산호가 살아있는 부분과 죽어서 석회질만으로 된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39678호에는 갯녹음 실태조사를 위한 암반, 비암반 면적 산출방법으로 조사가 수행될 곳의 과업대상지를 확인하고, 수치해도를 확인하면서 수치해도를 전산화 하여 구역도를 확정, 작성하며 해저지형 조사단계를 거치되, 이과정은 멀티빔 수심측량과정과 해저면영상탐사과정 및 천부지층탐사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해저질조사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어서 해저 지형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모델링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해저 암반 지역의 면적을 산출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갯녹음 실태조사에 필요한 해저 암반 차지 면적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34909호에는 자연암반을 이용한 연산호류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후온난화에 대응하여 어류의 산란장 및 서식장을 제공하는 한편 해양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산호 종의 보존과 장기적으로 산호류를 이용한 자원조성 효과 및 산호장 조성을 통한 수중관광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자연암반을 이용한 연산호류 조성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해저지형의 모델링을 통한 암반지역과 비암반지역을 구분하여 갯녹음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정할 뿐이고, 산호 종의 보존을 위하여 연산호류의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어서, 실제 해저면 중 활산호충의 점유면적과 비점유면적의 측정하여 산호를 모니터링하는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산호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의 본 발명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연안 지역의 산호의 사활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활산호지역과 사산호지역 간의 구분 가능한 차이를 기록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도를 작성하여 갯녹음 백화현상의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해저의 산호 모니터링 및 이를 통한 실태 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투과가 용이한 일정면적의 투명바닥을 가진 방수함 내부에 하부를 향해 조사되도록 위치한 자외선 광원, 자외선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자외선 광원과 디지털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위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지피에스 장치를 장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해저면에 부착하고 있는 산호의 사활 상태를 디지털 영상으로 대비되게 기록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갯녹음 백화현상의 실태 지도를 작성하여 갯녹음 백화현상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형광빛을 발하는 활산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호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한 조사용 선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수용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연안 바다 또는 산호초 지역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저면에 자외선 조사하고 그에 반응하여 형광을 발하는 활산호 및 해저생물을 감지하여 갯녹음 백화현상의 원인 규명 및 해결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산호가 자외선 조사에 반응하여 형광을 발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야간에 산호초의 아름다운 장관을 촬영 가능하다. 이렇게 자외선 조사 아래에서 산호의 발광은 살아있는 폴립에서만 가능하고, 석회 지지체만 남아 있는 죽은 산호부분과 생물체가 없는 암반지역이나 모래로 덮인 해저면은 자외선 조사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의 대비가 명확하게 표현된다는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해저면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형광을 발광하는 활산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산호초 중 살아 있는 부분이 청색에서 녹색 주변의 색상으로 발광한다. 산호초의 죽은 부분이나 모래 또는 암반 해저면, 석회조류 등은 발광하지 않아 검게 표시되므로 산호의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부분과 그 외 지역이 선명하게 대비된다.
갯녹음 백화현상의 위험 또는 관리 대상지역의 해저면을 도 1과 같이 수중촬영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면적을 파악하여 갯녹음 백화현상 실태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외선 조사와 형광 감지 및 촬영, 촬영지점의 위치정보를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수중 촬영 장치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는 광투과가 용이한 일정면적의 투명바닥(120)을 가진 방수함(100) 내부에 하부 즉, 해저면을 향해 조사되도록 위치한 자외선 광원(200), 상기 자외선 광원(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40), 상기 자외선 광원(200)에 의하여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210)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210)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위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GPS 장치(220),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온도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에 수온정보와 염분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온도계/염도계(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방수함(100)은 내부에 장착된 자외선 광원, 디지털 카메라, 온도계/염도계, 배터리, 및 지피에스 장치를 수중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처리되고 뚜껑(130)과의 이음새에도 방수실링(140, 150)으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장치들의 사이에 충전재(110)를 삽입하여 방수함 내에 장치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재(110)는 발포수지,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광원(200)은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산호의 형광을 보기 위한 자외선은 주로 315~400nm 파장의 UV-A를 이용하며, 특히 360~395nm 파장의 자외선이 주로 사용된다. 320nm이하의 파장은 수중 침투력이 낮고 산호를 비롯한 해저생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산호 및 해양 생물에 분포하는 녹색형광단백질(GFP, Green Fluorescent Protein)의 흡수 파장이 395nm 내외이므로 광원으로 360~395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장착한다.
상기 자외선 광원(200)으로부터 자외선이 해저면에 조사되고 이에 반응하여 발광하는 형광의 신호정보를 디지털 카메라(210)로 촬영 및 저장한다. 촬영된 신호정보와 함께 카메라에 장착된 지피에스(220)에 의한 위치정보가 디지털 카메라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산호의 생사분포로 갯녹음 백화현상의 분석에 이용된다.
디지털 카메라(210)에 의한 화상정보의 기록과 동시에 기록지점의 온도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수온정보와 염도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온도계/염도계(230)를 장착하여 갯녹음 백화현상의 지도작성 시 해수온도지도를 함께 작성할 수 있다. 산호의 백화현상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온도의 상승과 관련하여 해수온도 지도를 온도 기록지점의 갯녹음 백화현상의 진행정도와 함께 볼 수 있으므로 갯녹음 백화현상의 원인파악에 도움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방수함(100)의 뚜껑(130) 외부에는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외부에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를 두어 활용할 수 있다. 연결나사를 이용하여 조사용 선박의 측면 또는 다이버의 수중스쿠터에 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선박용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준비된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는 상부에 형성된 나사를 조사장치지지대(330)에 연결하고, 이를 다시 선박연결장치(340)에 연결하여 조사선박의 일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호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한 조사용 선박을 나타낸 사진이다.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는 조사선박의 전면, 후면, 측면, 또는 하부면의 어느 방향에도 장착할 수 있으나, 전면에 장착할 경우, 파고에 따라 너울에 의해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가 수면 상부로 올려 질 수 있고, 이 경우, 깨끗한 영상정보를 얻기 힘들다. 또한 후면에 장착할 경우, 조사선박의 진행에 따른 와류형성에 의하여 역시 깨끗한 영상정보를 얻기 힘든 단점이 있다.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조사선박 하부면 장착은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고, 기록된 정보를 회수하는 데에 용이하지 않다.
상기 선박연결장치(340)는 조사선박의 속도,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무게에 따라 조사선박의 한쪽 측면에 고정하거나, 조사선박의 중앙에, 또는 조사선박을 가로질러 조사선박의 타측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조사선박은 2~4노트의 속도로 이동하며 조사 및 기록하였다. 이때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후면에 방향타(300)를 부착하여 선박이동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후면 이하로 형성되는 와류에 의한 화상정보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깨끗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선명한 화상정보를 얻기 위하여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조사선박의 흘수선 아래 30cm이하로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가 잠기도록 하여 고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수중용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사선박을 이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지역이나, 해수의 탁도로 광투과가 좋지 않은 지역의 조사는 자외선을 이용한 잠수용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중에서 배터리 구동에 의해 프로펠러를 돌려 추진력을 얻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수중스쿠터(400)는 수중에서의 기동성을 주기 때문에 조사선박을 통한 조사와 유사한 효율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는 자외선 광원(200)의 성능에 따라 1~10m의 해저면 조사에 용이하며, 이보다 깊은 지역에서는 잠수부가 수중 스쿠터(400)에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장치(410, 420)를 이용하여 조사한다. 수중스쿠터와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연결은 도 7에서 보는 나사 고정 방법 이외에도 여타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조사지역을 선정한다(A).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 근해를 중심으로 갯녹음 백화현상이 보고된 이래, 남해와 동해에서 피해를 입는 것으로 알려졌고, 최근에는 서해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산호의 갯녹음 백화현상의 피해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는 보다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현장 조사가 이루어져 중, 장기적으로 구체적인 지도작성이 필요하다. 보다 단기적으로는 갯녹음 백화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실태파악, 갯녹음 백화현상이 우려되거나 취약한 위험지역의 경보발령을 위한 조사를 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양식장 주변과 양식장 예정지의 실태 조사에 이용할 수 있다.
조사 지역이 선정되면 조사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선박용 또는 잠수용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제작, 준비한다(B). 조사하려는 지역의 규모에 따라 방형구를 선정하여 샘플조사를 하거나 조사 지역을 조사단위로 구획하여 단위별로 수행한다.
조사지역이 선정되면 실태 조사에 착수한다(C). 선박용 또는 잠수용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의 자외선 조사기로 해저면을 조사 및 촬영한다. 선박용은 자외선 광원의 성능에 따라 수심 1~10m의 지역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깊은 지역 또는 해수의 탁도가 높아 자외선이나 형광의 투과가 좋지 않은 곳에서는 잠수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수용 자외선을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할 경우, 선박용과 마찬가지로 수심 1~10m을 이동하며 조사한다. 조사는 활산호 등에 의한 발광의 선명도를 위하여 일몰 무렵이나 야간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사 단계(C)에서 기록된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토대로 갯녹음 백화현상 지도를 작성한다. 자외선이 조사된 산호는 녹색에서 청자색의 형광을 발하는데, 이를 생물학적 신호로 합산하여 단위 면적당 발광면적으로 환산한다. 어둡게 처리되는 비발광 면적은 생물학적 신호가 없는 암반, 또는 해저면이거나 갯녹음 백화현상으로 죽은 산호가 차지하는 면적이다. 단위면적당 발광면적의 비율(갯녹음 백화현상 지수)을 계산함으로써 갯녹음 백화현상의 유무 및 진행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조사 지역 평가를 수행한다(D).
Figure pat00001
상기 갯녹음 백화현상 지수로 방형구별 또는 조사단위별 갯녹음 백화현상 단계를 평가한다.
각 방형구 또는 조사단위의 지수를 위치정보에 따라 배열하여 갯녹음 백화현상 지도를 작성한다(E). 조사 지역의 지도를 작성하면서 지역 내의 해수 온도, 해수 내 석회분 농도 및 오염도 등의 기타 정보를 대입하여 조사 지역의 해수 정보 지도를 함께 작성하여 갯녹음 백화현상의 원인 파악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조사지역의 해수 온도 지도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 온도 상승에 따른 갯녹음 백화현상 모니터링에 도움이 된다. 또한 갯녹음 백화현상이 나타났거나 진행 중인 지역을 중심으로 해중림 조성 사업, 인공어초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효율적으로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근 바다 황폐화의 심각한 현상으로 보고되고 있는 갯녹음 백화현상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활산호지역과 사산호지역 간의 구분 가능한 차이를 기록하고 이를 위치정보와 함께 기록하여 이를 바탕으로 산호 모니터링 지도를 작성함으로써 갯녹음 백화현상의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이 가능하다.
100 : 방수함 110 : 충전재
120 : 투명 바닥판 130 : 뚜껑
140 : 방수실링1 150 : 방수실링2
200 : 자외선 광원 210 : 형광 감지 디지털카메라
220 : 지피에스 장치 230 : 온도계/염도계
240 : 배터리
300 : 방향타 310a : 방향타고정힌지1
310b : 방향타고정힌지2 320a : 방향타고정핀1
320b : 방향타고정핀2 330 : 조사장치지지대
340 : 선박연결장치 350 : 고정나사1
360 : 조사선
400 : 수중 스쿠터 410 : 수중스쿠터연결장치
420 : 고정나사2

Claims (1)

1) 조사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수중스쿠터 하부면에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면적의 바닥부와 측벽을 갖고, 개폐가능한 뚜껑이 수밀상태로 이루어지고, 바닥부에는 방수처리가 이루어지고 광투과가 용이한 일정면적의 투명바닥이 형성된 방수함; 방수함 내부바닥에는 하부를 향해 조사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광원과, 조사된 빛에 반응하는 형광을 감지하여 화상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GPS 장치가 전원 공급용 배터리와 연결되며, 내측에는 수온과 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갖는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여 준비하는 단계;
2) 조사 대상지역을 잠수부가 이동하면서 수중스쿠터에 연결된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산호 모니터링 장치로 해저면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단계;
3) 2)단계에서 기록된 영상정보와 위치정보를 토대로 형광을 발하는 산호의 발광면적을 다음 식에 따라 갯녹음 백화현상 지수로 환산하여 조사지역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갯녹음 백화현상 지수 = (발광 면적 / 단위 면적) X 100
4) 조사지역의 갯녹음 백화현상 지수를 위치 정보에 따라 배열하여 갯녹음 백화 현상 지도를 작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이용한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65602A 2016-05-27 2016-05-27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KR10181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602A KR101811527B1 (ko) 2016-05-27 2016-05-27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602A KR101811527B1 (ko) 2016-05-27 2016-05-27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003A true KR20170134003A (ko) 2017-12-06
KR101811527B1 KR101811527B1 (ko) 2017-12-20

Family

ID=6092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602A KR101811527B1 (ko) 2016-05-27 2016-05-27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6203A (zh) * 2022-07-15 2022-10-14 广东海洋大学 一种珊瑚生态可视化分析方法、系统、设备、介质及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328B1 (ko) 2021-02-05 2021-06-10 창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292849B1 (ko) 2021-05-27 2021-08-25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천연해조장 3차원 수중 공간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587665B1 (ko) 2021-05-27 2023-10-12 이인영 바다숲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2399078B1 (ko) 2021-10-01 2022-05-18 지마텍 주식회사 인공어초 어장 및 해조장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KR102487955B1 (ko) 2021-12-20 2023-01-13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천연 해조장 및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21B1 (ko) 2007-06-04 2008-08-11 (주)비엔티솔루션 인공어초 및 바다목장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5527653B2 (ja) * 2009-12-18 2014-06-18 鹿島建設株式会社 サンゴ移植方法、サンゴ移植基盤、サンゴ移植ブロック、並びにサンゴ礁造成方法
KR101339678B1 (ko) * 2013-08-14 2013-12-10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갯녹음 실태조사를 위한 암반,비암반 면적 산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6203A (zh) * 2022-07-15 2022-10-14 广东海洋大学 一种珊瑚生态可视化分析方法、系统、设备、介质及终端
CN115186203B (zh) * 2022-07-15 2024-02-02 广东海洋大学 一种珊瑚生态可视化分析方法、系统、设备、介质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527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27B1 (ko) 산호 개체군의 모니터링 방법
Priede Deep-sea fishes: biology, diversity, ecology and fisheries
Tait et al. Elements of marine ecology
Herring The biology of the deep ocean
Fanelli et al. Cold‐water coral Madrepora oculata in the eastern Ligurian Sea (NW Mediterranean): Historical and recent findings
Mapes et al. Early taphonomy and significance of naturally submerged Nautilus shells from the New Caledonia region
Wong et al. Local densities and habitat preferenc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spotted handfish (Brachionichthys hirsutus): Large scale field trial of GPS parameterised underwater visual census and diver attached camera
Dipper Elements of marine ecology
zu Ermgassen et al. European native oyster habitat restoration monitoring handbook
Jamieson Landers: baited cameras and traps
Babcock et al. Towards an integrated study of the Gladstone marine system
KR102261328B1 (ko) 인공어초단지 및 해조 바다목장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Neat et al. Visual evidence of reduced seafloor conditions and indications of a cold-seep ecosystem from the Hatton–Rockall basin (NE Atlantic)
KR102082542B1 (ko) 해저지형 촬영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촬영방법
Johnsen et al. Shedding light on light in the ocean
Levin et al. Exploration and discovery of methane seeps and associated communities in the California Borderland
Kingon Mapping, classification, and spatial variation of hardbottom habitats in the northeastern Gulf of Mexico
Auster et al. Beaked whale foraging areas inferred by gouges in the seafloor
Dando et al. The history of the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influence of the publication on marine research
Vandermeulen Nearshore habitat mapping in Atlantic Canada: Early results with high frequency side-scan sonar, drop and towed cameras
Armstrong et al. Large-scale mapping and characterization of deep reef habitats in the US Caribbean
Frizzell In-Situ Preservation of Deep-Sea Shipwrecks: Understanding Biological Interactions and Environmental Impacts
Galgani et al. Monitoring and assessment guidelines for marine litter in Mediterranean MPAs. Technical report of the Interreg/MED/AMARE project.
Filbee-Dexter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enthic habitats within the sambro ledges ecologically and biologically significant area
Phillips et al. Measured distribution of water turbidity in Gulf St Vinc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