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846A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846A
KR20170133846A KR1020160065149A KR20160065149A KR20170133846A KR 20170133846 A KR20170133846 A KR 20170133846A KR 1020160065149 A KR1020160065149 A KR 1020160065149A KR 20160065149 A KR20160065149 A KR 20160065149A KR 20170133846 A KR20170133846 A KR 2017013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ous
bulb
case
bulbs
dimensio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722B1 (ko
Inventor
조재영
Original Assignee
조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영 filed Critical 조재영
Priority to KR102016006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6Arrangements on packages concerning bar-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 상기 얻어진 3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해당 구근류가 재치될 음각의 수납홈이 형성된 구근류고정대; 상기 구근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구근류고정대의 외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CASE FOR BULBS AND TUBER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TECHNIC}
본 발명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하고자 하는 구근류의 실제 형상과 치수에 부합하여 원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구근류의 진위를 확인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여 부가가치를 높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양삼은 야생인삼의 인위적 파종에 의한 반야생 또는 반재배 인삼의 통칭으로서 구근류와는 차별되며, 인삼 보다는 고가에 유통 되고 있다.
이러한 산양삼의 유통은 생 산양삼, 건조 산양삼, 건조 분말 산양삼 형태로 유통되고 있으나, 생 산양삼은 유통기한이 짧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소비자들은 건조 분말 산양삼은 가공 중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배인삼이 첨가가 되어도 과학적으로 분별이 어려워 소비자에게 신뢰가 낮은 이유로 유통이 활발히 되고 있지 않다.
반면 건조 산양삼은 산양삼의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유통기한이 길고 효능에 있어서도 생 산양삼과 차이가 없는 편이지만, 포장방법이 전통적인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여 단조롭고, 뿐만 아니라 건조 산양삼의 잔뿌리 손상이 심하여 산양삼과 재배인삼의 차이가 명확하게 확인될 수 없는 문제 등으로 인해 산업화에 한계가 있어 농가소득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산양삼을 포함한 각종 구근류 예로, 더덕, 인삼, 도라지 등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하 산양삼을 포함한 구근류로 확대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하고자 하는 구근류의 실제 형상과 치수에 부합하여 원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구근류의 진위를 확인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여 부가가치를 높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구근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 상기 얻어진 3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해당 구근류가 재치될 음각의 수납홈이 형성된 구근류고정대; 상기 구근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구근류고정대의 외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케이스의 커버부재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고정대 혹은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구근류 혹은 케이스의 진위를 확인해 줄 수 있는 식별코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이고, 휴대용 단말기의 리더기를 통해 스캔하면, 서버로부터 해당 구근류 혹은 케이스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받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고정대의 수납홈은,
상기 구근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에서 획득한 3차원 이미지 중 해당 구근류의 머리와 잔뿌리를 제외한 몸통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해당 구근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하고자 하는 구근류의 실제 형상과 치수에 부합하여 원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구근류의 진위를 확인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여 부가가치가 높고, 더욱이 다양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구근류에 대한 맞춤형 케이스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고정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격돌기와 공기관로가 형성된 구근류고정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근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 상기 얻어진 3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해당 구근류가 재치될 음각의 수납홈이 형성된 구근류고정대; 상기 구근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구근류고정대의 외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구근류의 고유한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구근류의 형상이 음각화된 수납홈(10)이 형성된 구근류고정대(100)에 구근류(300)를 재치하고, 그 외측에 커버부재(200)를 덮어 구근류를 실제 형상과 치수에 부합하여 원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근류고정대(100)는 하부고정대(110)와 상부고정대(120)로 구성되고, 수납홈(10)은 하부수납홈(11)과 상부수납홈(12)으로 구성된다.
하부수납홈(11)은 하부고정대(110)에 형성되고, 상부수납홈(12)은 상부고정대(120)에 형성되어 구근류(300)가 수납된다.
그리고 커버부재(200)는 하부커버(210)와 상부커버(220)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커버(210)는 구근류고정대(10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이며, 상부커버(220)는 하부커버(210)의 상측을 덮는 덮개의 기능이다.
이러한 구근류고정대(100)중 적어도 상기 수납홈(10)을 포함한 일부 혹은 전부분은 삼차원(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에 수납되어질 구근류의 삼차원 이미지를 얻어야 하며, 이와 같이 얻어진 삼차원 이미지 정보는 삼차원 프린팅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어 공지의 방법에 따라 프로세싱과정을 거쳐 입체적인 제품으로 얻어지게 된다.
이때, 삼차원 프린팅 소재가 되는 물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친환경적 측면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되, 예를 들어, PLA(polylactides), 지방족 폴리에스터, PCL(polycaprolactone), PGA(polyglycolides)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LA(polylactides)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LA와 PGA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물질들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PLA와 PGA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분자량 약 13,000인 폴리(락티드-코-글리코리드)(50:50), 분자량 약 33,000인 폴리(락티드-코-글리코리드)(50:50), 분자량 약 52,000인 폴리(락티드-코-글리코리드)(50:50), 분자량 약 20,000인 폴리(락티드-코-글리코리드)(75:25)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0)은 재치되어질 구근류의 원형을 입체적으로 음각화한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구근류는 원형을 유지한 채 그대로 수납홈(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질 수 있다.
또한, 구근류의 삼차원 이미지를 얻어 해당 구근류에 맞는 음각화된 수납홈(10)을 형성하게 되므로, 구근류 고유의 형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각적 효과가 강하고, 소비자에게 고급스런 이미지의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홈(10)은 바람직하게는 구근류고정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고정대(110)와 상부고정대(120)가 접하는 각 면에 수평면이 되도록 혹은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수납홈(10)은 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에 형성될 경우 진열대 상에서 복층으로 전시하더라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케이스 내부의 구근류제품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상기 수납홈(10)에 재치되어진 구근류(30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구근류고정대(100)의 외부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부재(200)가 제공된다. 이 커버부재(200)는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구근류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어져야 하므로, 수납홈(10)의 상부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커버부재(200)의 상부커버(22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구근류(300)를 확인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근류(300)를 수납하는 구근류고정대(100) 역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수납된 구근류(300)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로, 상부고정대(120)를 투명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근류고정대(100)의 수납홈(10)은 구근류(300)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에서 획득한 3차원 이미지 중 해당 구근류(300)의 머리와 잔뿌리를 제외한 몸통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수납홈(10)은 구근류(300)의 몸통에만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근류(300)을 수납하되, 구근류(300)의 손상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부분이면,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러한 수납홈(10)에 수납되는 구근류(300)는 수납시 잔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홈(10)은 해당 구근류(300)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홈(10)은 수납되는 해당 구근류(300)의 손상을 방지 및 최소화시킴은 물론, 공기 혹은 냉기의 흐름을 보장할 수 있어 신선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보존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0)의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근류를 내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기 위한 이격돌기(20)가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격돌기(20)의 형성으로 인해 내부 공기 혹은 냉기의 흐름을 보장할 수 있어 신선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보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구근류고정대(100)에는 내부에 공기관로(30)를 형성함으로써, 수납홈의 내부와 연통되어지도록 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격돌기(20) 내지 공기관로(30)는 삼차원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근류고정대(100) 혹은 커버부재(200)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구근류(300) 혹은 구근류케이스의 진위를 확인해 줄 수 있는 식별코드(40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코드(400)는 다양한 형식의 2차원 혹은 3차원 코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리더기를 통해 스캔하면, 서버(500)로부터 해당 구근류(300) 혹은 구근류케이스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600)를 통해 받아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보로는 고객에게 구근류의 재배자, 농장이름 내지 주소, 재배연수, 재배조건, 수확시기, 등급 등의 정보, 내지 구근류케이스의 제조자, 주소, 제조일자 등의 정보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고객이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해당 구근류의 효능과 섭취방법 및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혹은 동영상 정보를 통해 홈페이지로부터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수납홈 20: 이격돌기
30: 공기관로 100: 구근류고정대
200: 커버부재 300: 산양삼
400: 식별코드 500: 서버
600: 휴대용 단말기

Claims (4)

  1. 구근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 상기 얻어진 3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해당 구근류가 재치될 음각의 수납홈이 형성된 구근류고정대; 상기 구근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구근류고정대의 외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고정대 혹은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구근류 혹은 케이스의 진위를 확인해 줄 수 있는 식별코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QR코드이고, 휴대용 단말기의 리더기를 통해 스캔하면, 서버로부터 해당 구근류 혹은 케이스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받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고정대의 수납홈은,
    상기 구근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단계에서 획득한 3차원 이미지 중 해당 구근류의 머리와 잔뿌리를 제외한 몸통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KR1020160065149A 2016-05-26 2016-05-26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KR10195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49A KR101955722B1 (ko) 2016-05-26 2016-05-26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49A KR101955722B1 (ko) 2016-05-26 2016-05-26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846A true KR20170133846A (ko) 2017-12-06
KR101955722B1 KR101955722B1 (ko) 2019-06-24

Family

ID=6092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149A KR101955722B1 (ko) 2016-05-26 2016-05-26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78Y1 (ko) * 2006-01-05 2006-03-27 김대웅 식품포장용 포장박스
KR20120064662A (ko) * 2012-05-04 2012-06-19 김경중 정보기록부를 구비하는 포대포장봉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78Y1 (ko) * 2006-01-05 2006-03-27 김대웅 식품포장용 포장박스
KR20120064662A (ko) * 2012-05-04 2012-06-19 김경중 정보기록부를 구비하는 포대포장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722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5876B2 (en) Floral display box
US20160242579A1 (en) Apparatus for creating decorative floral arrangements incorporating cut flowers with stems taken from living plants
RU2019119074A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101955722B1 (ko)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구근류케이스
US9149934B2 (en) Connector for multiple potted plants
ECSP088336A (es) Contenedor para transporte con propiedades mejoradas de ventilación para flores
US96099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memorabilia
KR101774214B1 (ko) 택배용 포장부재를 이용한 화분 포장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화분 택배용 포장부재
CN204473591U (zh) 一种便于快递运输的植物包装盒
Yamada et al. Relationships between floral morphology and pollinator fauna in insular and main island populations of Hosta longipes (L iliaceae)
US20150223404A1 (en) Modular Plant Container System
US20130057665A1 (en) Method for making variabl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ut) flowers and/or ornamental plants accurately identifiable and visible for consumers; as well as a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performing such method
US8006418B2 (en) Pattern display implement and container with screen part
KR20170016614A (ko) 에그박스
JP2016220818A (ja) 模型が配置されたポールハンガー
US6029936A (en) Decorative fishbowl stand
JP3215034U (ja) 生花用ケース
Nii et al. Assessment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corolla and two-dimensional shapes of petals using fourier descriptor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Eustoma grandiflorum
US8631951B1 (en) Corncob holder field
JP2020074727A (ja) 保形フレーム
JP2009247313A (ja) 固形培地付き植栽容器及び植栽容器付き植物
Golembiewski A salutogenic retrofit.
US692832A (en) Aquarium-jardiniere.
CN102462261A (zh) 羽绒循环飘逸流转展示台
KR200285386Y1 (ko) 물을 공급하는 이동식 생화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