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711A -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711A
KR20170133711A KR1020160064843A KR20160064843A KR20170133711A KR 20170133711 A KR20170133711 A KR 20170133711A KR 1020160064843 A KR1020160064843 A KR 1020160064843A KR 20160064843 A KR20160064843 A KR 20160064843A KR 20170133711 A KR20170133711 A KR 2017013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greenhouse
vinyl
driving unit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102016006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711A/ko
Publication of KR2017013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04D13/106Snow remo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비닐커버부재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부재에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겨울철 눈이 비닐하우스 상부에 일정량 이상 적설 되었을 경우, 비닐커버부재가 이동되어 적재된 눈을 낙하시킴으로써, 적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동절기에도 안정적인 농작물 재배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Automatic snow removal device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겨울철 상기 비닐하우스(10) 상부에 눈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된 눈을 제설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에 있어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되, 전면 양단에 제1 삽입공(110, 110`)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전면에 다수개의 제2 삽입공(120)이 타공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클립(130)이 형성되는 활형골조부재(100);와, 봉(奉)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공(110, 110`)에 각각 삽입되어 구동부(M)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봉부재(200, 200`);와, 봉(奉)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되는 가이드봉부재(300);와,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단이 각각의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결합되되, 그 양단 중 한쪽 단(單)에 소정의 길이가 감겨져 있는 비닐커버부재(400);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비닐커버부재(400)가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계절과 관계없이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온실의 한 종류로써, 내부의 보온을 통해 농작물의 성장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반원형 형태로 만곡(彎曲) 형성되는 활형골조를 병렬 배치하고, 상기 활형골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활형골조에 수직방향으로 수평골조를 연결한 후, 상기 활형골조 및 수평골조의 외부에 비닐커버를 씌움으로써, 내부 공간의 온도손실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비닐하우스는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주로 경량의 골조에 비닐커버를 씌우는 구조로 간편하게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동절기에 폭설이 내려 눈이 쌓이게 되면 골조에 전달되는 하중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고, 쌓인 눈의 하중이 활형골조의 허용하중 이상이 되는 경우,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기 실용신안문헌 1의 “적설 방지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201호)”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1의 “적설 방지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는 반원형의 간살이 전·후 일정간격으로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간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바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뼈대를 이루며, 상기 간살과 지지바의 외부면에는 비닐 필름을 씌운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간살의 최상단은 내부방향으로 반원형을 이루며 절곡되어 비닐필름 위로 연속적인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에는 원통형의 드럼이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은 그 중심부와 연결된 회전축이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고, 드럼의 전·후에는 상기 드럼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겨울철 잇단 폭설시 비닐하우스 지붕에 눈이 계속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문헌 1은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드럼이 비닐하우스의 절곡홈에 쌓인 눈을 한꺼번에 밀어서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적설량이 많은 경우 구동부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제설작업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원통형 드럼으로 인하여, 하절기에 비닐하우스의 일광 투과율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원활한 농작물 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의 본래 목적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절곡홈에 쌓인 눈을 단방향으로 회전되며 밀어내는 원통형 드럼으로 인하여, 비닐하우스의 한쪽 측면에만 눈이 과도하게 쌓이게 되므로, 과도하게 쌓인 눈의 무게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지지대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비닐하우스와 별도로 적설 방지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를 추가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설치비용이 발생하여 소규모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2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비닐커버부재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부재에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겨울철 눈이 비닐하우스 상부에 일정량 이상 적설 되었을 경우, 비닐커버부재가 이동되어 적재된 눈을 낙하시킴으로써, 적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동절기에도 안정적인 농작물 재배를 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를 비닐하우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효율적으로 비닐하우스를 운영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봉부재가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비닐커버부재의 이동방향을 조작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상부로부터 낙하된 눈이 편중되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제설작업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는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겨울철 상기 비닐하우스(10) 상부에 눈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된 눈을 제설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에 있어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되, 전면 양단에 제1 삽입공(110, 110`)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전면에 다수개의 제2 삽입공(120)이 타공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클립(130)이 형성되는 활형골조부재(100);와, 봉(奉)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공(110, 110`)에 각각 삽입되어 구동부(M)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봉부재(200, 200`);와, 봉(奉)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되는 가이드봉부재(300);와,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단이 각각의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결합되되, 그 양단 중 한쪽 단(單)에 소정의 길이가 감겨져 있는 비닐커버부재(400);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비닐커버부재(400)가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상기 비닐하우스(10) 상부에 적재되는 눈의 무게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500)가 구비되고,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부(M) 및 상기 인디케이터(500)와 연결되는 제어장치부(600)가 구비되어, 상기 인디게이터(500)에서 감지되는 눈의 무게가 상기 제어장치부(600)에 설정된 눈의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M)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에어컴프레서(미도시)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인디게이터(600)에 적재된 눈이 제거되도록 공기분사공(11)이 다수개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부(M)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인디게이터(600)에 적재된 눈이 제거되도록 제설플레이트(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부재(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부(M)에 의해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비닐커버부재(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돌기(30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비닐커버부재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부재에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겨울철 눈이 비닐하우스 상부에 일정량 이상 적설 되었을 경우, 비닐커버부재가 이동되어 적재된 눈을 낙하시킴으로써, 적설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동절기에도 안정적인 농작물 재배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를 비닐하우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효율적으로 비닐하우스를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봉부재가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비닐커버부재의 이동방향을 조작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상부로부터 낙하된 눈이 편중되어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제설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의 구성 중 활형골조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가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된 모습 및 인디케이터, 공기분사공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나타낸 구성요소간 전기적 연결의 모습을 보인 연결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가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된 모습 및 인디케이터, 제설플레이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나타낸 구성요소간 전기적 연결의 모습을 보인 연결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의 구성 중 이동가이드돌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는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크게 활형골조부재(100), 회전봉부재(200, 200`), 가이드봉부재(300) 및 비닐커버부재(400)로 구성된다.
먼저, 활형골조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활형골조부재(1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기본골격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제1 삽입공(110, 110`), 제2 삽입공(120) 및 연결클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삽입공(110, 110`)은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전면 양단에 각각 타공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회전봉부재(200, 200`)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2 삽입공(120)은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전면에 다수개 타공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가이드봉부재(300)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연결클립(130)은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하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일종의 연결자재로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골조(미도시)에 상기 연결클립(130)의 결착홈(131)을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가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회전봉부재(200, 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는 도 1 또는 도 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삽입공(110, 110`)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부(M)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는 후술할 비닐커버부재(400)의 양단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비닐커버부재(40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커버부재(400) 상부에 쌓이는 눈을 효과적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가이드봉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봉부재(300)는 도 1 또는 도 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삽입공(120)에 각각 삽입되어 다수개의 활형골조(100)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비닐커버부재(300)가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구동부(M)에 의해 상기 비닐커버부재(300)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이드봉부재(300)의 외측면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가이드돌기(301)가 다수개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비닐커버부재(400)가 상기 가이드봉부재(30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맞닿는 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비닐커버부재(400)가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이동가이드돌기(301)는 상기 비닐커버부재(300)와 맞닿는 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비닐커버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비닐커버부재(4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비닐커버부재(400)의 양단이 각각의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의 양단 중 한쪽 단(單)에 소정의 길이로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비닐커버부재(400)의 상부에 눈이 쌓여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비닐커버부재(400)의 상부에 쌓인 눈이 낙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비닐커버부재(400)는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고, 그 일실시예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상기 비닐하우스(10) 상부에 적재되는 눈의 무게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500)가 구비되고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부(M) 및 상기 인디케이터(500)와 연결되는 제어장치부(600)가 구비되어, 상기 인디게이터(500)에서 감지되는 눈의 무게가 상기 제어장치부(600)에 설정된 눈의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M)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에어컴프레서(C)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인디게이터(600)에 적재된 눈이 제거되도록 공기분사공(11)이 다수개 타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부(M)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인디게이터(600)에 적재된 눈이 제거되도록 제설플레이트(1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의 구동과정을 더 상세히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의 전면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양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삽입공(110, 110`)에 삽입된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를 상기 구동부(M)와 연결시키고, 상기 비닐커버부재(300)의 양단을 각각의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비닐커버부재(300)의 한쪽 단(單)을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소정의 길이만큼 말아놓는다(도 9의(a)).
이어서, 눈이 내리게 되면, 상기 비닐커버부재(400) 및 인디게이터(500)에 눈이 쌓이게 되고,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인디케이터(500)에 쌓이는 눈의 무게가 상기 제어장치부(600)에 설정한 눈의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부(600)는 연결된 상기 구동부(40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부(600)의 신호에 따른 상기 구동부(400)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비닐커버부재(400)가 회전되어 상기 비닐커버부재(4000)의 상부에 쌓인 눈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도 9의 (b), (c)).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10: 비닐하우스 11: 공기분사공
12: 제설플레이트
100: 활형골조부재 110, 110`: 제1 삽입공
120: 제2 삽입공 130: 연결클립
131: 결착홈
200, 200`: 회전봉부재
300: 가이드봉부재 301: 이동가이드돌기
400: 비닐커버부재
500: 인디케이터
600: 제어장치부
C: 에어컴프레서
M: 구동부

Claims (5)

  1.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겨울철 상기 비닐하우스(10) 상부에 눈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된 눈을 제설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에 있어서,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되, 전면 양단에 제1 삽입공(110, 110`)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전면에 다수개의 제2 삽입공(120)이 타공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클립(130)이 형성되는 활형골조부재(100);
    봉(奉)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공(110, 110`)에 각각 삽입되어 구동부(M)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봉부재(200, 200`);
    봉(奉)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삽입공(120)에 삽입되는 가이드봉부재(300);
    상기 활형골조부재(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 양단이 각각의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결합되되, 그 양단 중 한쪽 단(單)에 소정의 길이가 감겨져 있는 비닐커버부재(400);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비닐커버부재(400)가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상기 비닐하우스(10) 상부에 적재되는 눈의 무게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500)가 구비되고,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부(M) 및 상기 인디케이터(500)와 연결되는 제어장치부(600)가 구비되어,
    상기 인디게이터(500)에서 감지되는 눈의 무게가 상기 제어장치부(600)에 설정된 눈의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M)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에어컴프레서(C)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인디게이터(600)에 적재된 눈이 제거되도록 공기분사공(11)이 다수개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
  4.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부(M)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M)의 작동여부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인디게이터(600)에 적재된 눈이 제거되도록 제설플레이트(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부재(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부(M)에 의해 상기 회전봉부재(200, 2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비닐커버부재(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돌기(30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1).
KR1020160064843A 2016-05-26 2016-05-26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KR20170133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43A KR20170133711A (ko) 2016-05-26 2016-05-26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843A KR20170133711A (ko) 2016-05-26 2016-05-26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11A true KR20170133711A (ko) 2017-12-06

Family

ID=6092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843A KR20170133711A (ko) 2016-05-26 2016-05-26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7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591A (zh) * 2019-06-27 2019-08-16 黑龙江鸿盛农业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温室振动除雪装置及带振动除雪装置的温室
CN110984492A (zh) * 2020-01-03 2020-04-10 徐州蔬客达农业科技有限公司 大棚除雪机
CN114271132A (zh) * 2021-12-21 2022-04-05 浙江极智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农业大棚支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591A (zh) * 2019-06-27 2019-08-16 黑龙江鸿盛农业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温室振动除雪装置及带振动除雪装置的温室
CN110984492A (zh) * 2020-01-03 2020-04-10 徐州蔬客达农业科技有限公司 大棚除雪机
CN114271132A (zh) * 2021-12-21 2022-04-05 浙江极智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农业大棚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3711A (ko) 비닐하우스용 자동제설장치
ES2611280T3 (es) Unidad interior y acondicionador de aire
KR200437831Y1 (ko)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KR102337873B1 (ko) 빅데이터 수집을 위한 레일 이용형 작물 생육 측정장치
CN100551229C (zh) 用于连栋温室的自动软屋顶打开系统
KR101623563B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0969563B1 (ko) 농업용 가림막의 설치 높이 조정장치
NL1021953C2 (nl) Werkwijze en stelsel voor het ontvochtigen van lucht in een kas.
KR102168250B1 (ko) 하우스의 농작물 자동 건조 제어 시스템
US6618869B1 (en) Apparatus for placing and removing solar pool cover
KR20120123961A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KR200423353Y1 (ko) 비닐하우스용 적설 방지장치
CN201160404Y (zh) 温室大棚
CN203837111U (zh) 风管式空调机
KR20180002318A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CN110741880A (zh) 一种温室大棚及其在黑木耳种植中的应用
CN105766479A (zh) 折叠微型温室
KR101229105B1 (ko) 다항목 센서 일체형 데이터 수집 장치
KR101230010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환기시스템
KR100955503B1 (ko) 시설물용 제설막대
KR200430201Y1 (ko) 적설 방지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
KR101515213B1 (ko) 지붕용 제설 장치 및 시스템
KR101277265B1 (ko) 보온덮개 자동개폐시스템
KR101886691B1 (ko) 보온용 에어팩이 설치된 비닐하우스
KR20210147659A (ko) 비닐하우스용 농작물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