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31Y1 -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31Y1
KR200437831Y1 KR2020060032395U KR20060032395U KR200437831Y1 KR 200437831 Y1 KR200437831 Y1 KR 200437831Y1 KR 2020060032395 U KR2020060032395 U KR 2020060032395U KR 20060032395 U KR20060032395 U KR 20060032395U KR 200437831 Y1 KR200437831 Y1 KR 20043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house
harrow
rope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혜진
Original Assignee
권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혜진 filed Critical 권혜진
Priority to KR2020060032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04D13/106Snow remo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천재지변(비바람, 눈)에 의해 쉽게 붕괴 되는데 특히, 폭설로 인한 피해는 상당한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재산상의 피해를 피하기 위하여는 사람이 직접 비닐하우스의 눈을 치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비닐하우스의 상단으로 열선을 내장하고, 쌓인 눈을 녹이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역시 폭설이 내리면 비닐하우스가 붕괴 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각각의 장치로 콘트롤하는 제어회로부; 로프가 감겨지는 회동축 과 이를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외곽 곡면부를 승하강 하면서 눈을 쓸어내리는 제설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폭설로 인한 비닐하우스가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는 천재지변에 의한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눈, 써레, 구동장치, 제설장치

Description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Automotive equipment to remove the snow on the vinyl hou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를 비닐하우스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일부확대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의 일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비닐하우스 10:구동장치
12:회동축 13:종동기어
14:구동기어 20:제설장치
21:써레 23가이드레일
24:로프 M:구동모터
LS1,LS2:리미트스위치 SR:눈감지센서
PCB:제어회로부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어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 감지센서에 의해 쌓이는 눈을 적설량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써레가 비닐하우스의 외주연을 따라 승,하강 하면서 쌓이는 눈을 하측으로 밀어 내리는 비닐하우스의 자동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절에 따라 많은 농작물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반원형의 파이프와 그 사이를 잇는 수평방향의 파이프가 서로 연결되는 골격구조의 외부에 비닐을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제작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구조가 단순한 만큼 내구성이나 지지력이 약해, 비바람이 몰아치거나, 눈이 많이 오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가 파손되거나 붕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눈이 많이 오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상측에 많은 눈이 쌓여, 그 하중으로 인해 비닐하우스를 붕괴시키므로 상당한 재산상의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의 비닐하우스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빗자루나 막대기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상측에 쌓인 눈을 쓸어 하측으로 떨어뜨려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번 사람이 직접 눈을 치워야 한다는 점에서 여간 불편하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최근에는 골격 상단으로 열선을 내장하고, 그 상단에 비 닐을 씌어 제작함으로써, 눈이 쌓이게 되면 열선이 작동하여 눈을 녹여 흘러내리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소수의 눈은 녹여 흘러내릴 수 있게 하지만, 많이 양의 눈이 한꺼번에 내리면 녹이지 못하고 그대로 쌓이게 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중에 의해 비닐하우스가 붕괴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 제설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외곽 외주연으로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 작동하여 제설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에 눈이 쌓여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과, 더 나아가서는 천재지변에 의한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각각의 장치로 콘트롤하는 제어회로부; 로프가 감겨지는 회동축 과 이를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외곽 곡면부를 승하강 하면서 눈을 쓸어내리는 제설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써레의 하부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써레의 상부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눈감지센서와 상기 두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인가받아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제어회로부가 더 구비되는 특징을 갖 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설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제설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레(21)를 작동시키는 모터(M)는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SR)의 신호를 인가받는 제어회로부(PCB)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하여 써레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눈을 제거하고, 써레(21)가 하부로 이동되면 리미트스위치(LS1)에 감지신호가 발생하여 제어회로부(PCB)로 신호를 인가하면 모터는 역회전을 하여 써레(2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되며, 상부 이동이 완료되어 리미트스위치(LS2)에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제어회로부(PCB)는 모터를 정지시킨다.
첨부 도면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를 비닐하우스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3는 도 2의 일부확대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설장치는 골격을 갖는 구조물에 비닐을 덮어 제작된 비닐하우스(1)에 길이방향 양끝단에 비닐하우스(1)의 곡면과 동일곡면을 갖는 가이드레일(23)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닐하우스(1)의 전,후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써레(21)를 가이드레일(23)에 지지하되, 원활한 승.하강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3)의 양끝단에 롤러(22)가 구비되어 진다.
이때, 상기 써레(21)의 상단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편(21a)(21b)이 구비되되, 한쪽 연결편(21a)에는 로프(24)가 연결되고, 다른 연결편(21b)에는 압축스 프링(S)에 의해 지지바(30)에 형성된 연결편(31)과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바(30)는 비닐하우스(1)의 골조에 고정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닐하우스(1)의 정면상 측방에는 브라켓(11)에 의해 회동축(12)이 지지되고, 상기 회동축(12)의 일측은 종동기어(13)가 구비되어 모터(M)의 구동기어(14)와 맞물려진 상태에서 모터(M)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동축(12)이 정.역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12)에는 상기 써레(21)의 연결편(21a)과 연결된 로프(24)가 연결되어 회동축(12)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기고 풀리도록 이루어진다.
즉, 모터(M)의 정회전에 의해 회동축(12)이 정회전하면 로프(24)가 회동축(12)에 감기게되고, 이때, 써레(21)가 가이드레일(23)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일정위치까지 하강하면 모터(M)가 역회전하여 회동축(12) 역시 역회전 되어 로프(24)가 풀리게 되고, 써레(21)는 압축스프링(S)의 압축력에 의해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가 가이드레일(23)의 양 끝단에는 써레(21)의 승, 하강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LS1)(LS2)가 구비되어 진다.
또한, 비닐하우스(1)의 단부에는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SR)가 구비된다.
상기의 리미트스위치(LS1)(LS2)와 눈감지센서(SR), 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PCB)가 구성되어 진다.
또한, 눈 감지센서(SR)의 작동은 눈 적설판(40)에 일정량의 눈이 쌓이면 작동이 이루어진다.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설장치의 일실시 예시도로서, 상기 써레(21)의 연결편(21a)(21b)에 외줄의 로프(24)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24)를 회동축(12)과 지지바(30)의 롤러(31')에 연동되게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모터(M)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동축(12)이 정.역회전할 때, 써레(21)가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제설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눈이 내리게 되면 눈 적설판(40)에 눈이 쌓이게 되고 일정량이 쌓이면 눈적설판(40) 눈 감지센서(SR)를 작동케 됨과 동시에 이 신호가 제어회로부(PCB)로 보내어진다.
이때, 제어회로부(PCB)는 각각의 모터(M)에 신호를 보내어 모터(M)를 작동시킨다.
그리면 모터(M)의 작동에 의해 회동축(12)이 회전하면서 로프(24)를 감게되고, 로프(24)에 고정된 써레(21)는 가이드레일(23)을 따라 하강하면서 비닐하우스(1)에 쌓인 아래로 쓸어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써레(21)는 압축스프링(S)에 압축력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써레(21)가 비닐하우스(1)의 곡면을 따라 일정위치까지 하강하면 리미트스위치(LS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회로부(PCB)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회로부(PCB)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 모터(M)를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모터(M)가 역회전 되면 회전축(12)의 로프(24)가 풀리게 되고, 써레(21)는 압축스프링(S)의 압축력에 의해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천천히 상승하여 원위치 되는 것이다.
상기 써레(21)가 원위치 되면 리미트스위치(LS2)가 이를 감지하여 다시 제어회로부(PCB)으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부(PCB)의 조작에 따라, 써레(21)가 원위치 되면 리미트스위치(LS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회로부(PCB)로 신호를 보내면, 제어회로부(PCB)에서 다시 모터(M)를 정회전 시켜 써레(21)를 다시 하강시켜 눈을 치우는 등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비닐하우스(1)에 쌓이는 눈을 자동으로 치울 수 있으므로 쌓이는 눈에 의해 비닐하우스(1)가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써레(21)가 하강하여 원상복귀하기 위해서는 압축스프링(S)의 압축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이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즉, 써레(21)의 연결편(21a)(21b)에 로프(24)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24)를 회전축(12)과 롤러(31')에 연동 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설장치는 비닐하우스 뿐만아니라, 가축용 축사등 여러 분야의 건축물에 적용하여 쌓이는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감지센서에서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여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제설장치를 승,하강 작동케하여 비닐하우스에 쌓인 눈을 쓸어내리도록 하므 로써,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더 나아가서는 천재지변에 의한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5)

  1. 적설되는 눈의 양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SR) 및 상기 눈감지센서(SR)의 신호를 인가받아 각각의 장치를 콘트롤하는 제어회로부(PCB)와; 비닐하우스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눈을 쓸어내리는 제설장치(20) 및 상기 제설장치(2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0)로 이루어진 비닐하우스의 자동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설장치(20)는 비닐하우스(1)의 양 끝단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23)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3) 사이로 상협하광의 써레(21)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가이드레일(23)은 비닐하우스(1)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써레(21)의 상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편(21a)(21b)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편(21b)에는 비닐하우스(1)에 설치된 연결편(31)과 스프링(S)에 의해 끼워져 결합 되며,
    상기 구동장치(10)는 회동축(12)의 양 끝단에 종동기어(13)가 구비되어 모터(M)의 구동기어(14)와 연동 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12)에는 로프(24)가 감겨지고 로프(24) 끝단은 상기 연결편(21a)에 결합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자동제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12)이 정.회전되면서 로프(24)를 감아 써레(21)가 비닐하우스(1)의 곡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모터(M)의 역회전에 따라 회동축(12)이 역.회전되면서 로프(24)가 풀림과 동시에 압축스프링(S)의 압축력에 의해 써레(21)가 비닐하우스(1)의 곡면을 따라 원상복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자동제설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60032395U 2006-12-22 2006-12-22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KR20043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95U KR200437831Y1 (ko) 2006-12-22 2006-12-22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95U KR200437831Y1 (ko) 2006-12-22 2006-12-22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31Y1 true KR200437831Y1 (ko) 2008-01-02

Family

ID=4134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95U KR200437831Y1 (ko) 2006-12-22 2006-12-22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31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48B1 (ko) * 2008-07-08 2009-05-27 광주광역시 남구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
KR101086578B1 (ko) * 2011-04-28 2011-11-23 전영준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111500B1 (ko) * 2010-11-04 2012-02-22 조순걸 자동제설기능이 구비된 비닐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제설방법
KR101152344B1 (ko) 2010-01-26 2012-06-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의 적설방지장치
KR101302221B1 (ko) * 2011-12-26 2013-08-3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지붕 제설장치
KR101305859B1 (ko) 2012-06-04 2013-09-06 김윤화 비닐 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KR101722338B1 (ko) * 2015-11-04 2017-03-3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원예 합성수지 필름 교환시스템
KR20170121678A (ko) * 2016-04-25 2017-11-02 이문상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N110122196A (zh) * 2019-06-01 2019-08-16 平泉市瀑河源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调节光照的烘干大棚
KR102077939B1 (ko) * 2018-09-17 2020-04-07 이문상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N111436305A (zh) * 2020-03-16 2020-07-24 山东华宇工学院 一种农业温室大棚骨架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48B1 (ko) * 2008-07-08 2009-05-27 광주광역시 남구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
KR101152344B1 (ko) 2010-01-26 2012-06-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의 적설방지장치
KR101111500B1 (ko) * 2010-11-04 2012-02-22 조순걸 자동제설기능이 구비된 비닐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제설방법
KR101086578B1 (ko) * 2011-04-28 2011-11-23 전영준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302221B1 (ko) * 2011-12-26 2013-08-3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지붕 제설장치
KR101305859B1 (ko) 2012-06-04 2013-09-06 김윤화 비닐 하우스용 다목적 관리기
KR101722338B1 (ko) * 2015-11-04 2017-03-3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원예 합성수지 필름 교환시스템
KR20170121678A (ko) * 2016-04-25 2017-11-02 이문상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890523B1 (ko) 2016-04-25 2018-08-21 이문상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2077939B1 (ko) * 2018-09-17 2020-04-07 이문상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N110122196A (zh) * 2019-06-01 2019-08-16 平泉市瀑河源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调节光照的烘干大棚
CN110122196B (zh) * 2019-06-01 2021-05-04 平泉市瀑河源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调节光照的烘干大棚
CN111436305A (zh) * 2020-03-16 2020-07-24 山东华宇工学院 一种农业温室大棚骨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831Y1 (ko)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장치
AU2015363282B2 (en) Pergola cover
KR101918343B1 (ko)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US8347935B2 (en) Rigid retractable patio or window awning and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CN103119232B (zh) 可收展的帐篷架
US8511000B2 (en) Inline rotating rain gutter
CN106388724A (zh) 玻璃幕墙清洗机器人
CN105350869A (zh) 多功能窗户
EP1916354A1 (en) Sweeper arrangement for sweeping a roof gutter
CN106703665A (zh) 一种纱窗用遮雨卷帘
CN111021643B (zh) 斜屋顶除雪设备
KR102386421B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CN111534984A (zh) 智能晾衣装置及其衣架伸缩机构
CN204392972U (zh) 一种遮阳式育苗大棚
KR200338831Y1 (ko)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N104521622A (zh) 一种遮阳式育苗大棚系统
KR101152344B1 (ko) 비닐하우스의 적설방지장치
JPWO2008146485A1 (ja) 構造物
CN111734249A (zh) 一种冬天无人时能自动开窗透气的窗户及使用方法
CN206469422U (zh) 一种屋面通风器
KR102614699B1 (ko)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CN213418669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帐篷
CN215054673U (zh) 一种屋顶自动除雪装置
CN110700656B (zh) 一种露天停车位自动遮阳棚
CN214882431U (zh) 一种智能晾衣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