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686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686A
KR20170133686A KR1020160064779A KR20160064779A KR20170133686A KR 20170133686 A KR20170133686 A KR 20170133686A KR 1020160064779 A KR1020160064779 A KR 1020160064779A KR 20160064779 A KR20160064779 A KR 20160064779A KR 20170133686 A KR20170133686 A KR 20170133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unit
waveguide
disposed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227B1 (ko
Inventor
이왕상
김지홍
정민교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2Details
    • H01Q19/04Means for collapsing H-antennas or Yagi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24Polarising devices; Polarisation filters 
    • H01Q15/242Polarisation converters
    • H01Q15/244Polarisation converters converting a linear polarised wave into a circular polaris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 H01Q19/3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centre-fed and substantially straight, e.g. Yagi antenna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 방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파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그리고 방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전파를 유도하는 도파부를 포함하고, 반사부, 방사부 및 도파부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야기 안테나를 이루고 있는 반사부, 방사부 및 도파부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지면서도 고이득 및 고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은 야기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야기 안테나 소자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원형 편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방송용 또는 통신용 안테나 장치로 다이폴(dipole) 안테나, 폴(pole) 안테나, 루프(loop) 안테나, 파라볼라(parabola) 안테나 또는 야기(yagi) 안테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송용 또는 통신용 안테나 장치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안테나는 오늘날 TV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일본의 야기 교수가 그의 제자와 함께 처음 개발하고 후에 우다 교수가 발전시킨 야기 안테나이다. 야기 안테나는 주로 초단파대의 송수신 및 TV 수신 등에 널리 이용되며, 안테나의 구성 소자가 모두 하나의 평면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야기 안테나는 무선 신호가 공급된 방사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로 인해 인접 소자인 반사기나 도파기에도 전파가 유도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고이득과 고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야기 안테나는 전계의 방향과 전파의 방향이 항상 일정한 평면 내에 있는 선형 편파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소 좁은 대역에서만 한정되어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전파를 멀리 전달할 수 있는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전파의 전달 환경에 따라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야기 안테나는 단일 급전에서 제작이 용이하고 안테나 튜닝이 쉬운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5090호 (등록일 2002. 09. 1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야기 안테나를 이루고 있는 반사부, 방사부 및 도파부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지면서도 고이득 및 고지향성을 가질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 상기 방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파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그리고 상기 방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파를 유도하는 도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파부는 복수의 도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복수의 도파기는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복수의 도파기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의 크기는 상기 도파기의 개수의 증가에 반비례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상기 지지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와 상기 도파부는 상기 방사부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야기 안테나를 이루고 있는 반사부, 방사부 및 도파부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지면서도 야기 안테나 고유의 특징인 고이득 및 고지향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안테나 튜닝이 쉬운 고지향성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접지 구조의 개선을 통해 야기 안테나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원형 편파를 용이하게 구현하고 효과적으로 원형 편파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고지향성의 원형 편파를 단일 급전에서 용이하게 제작 가능함에 따라 원형 편파를 응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축, y축, z축 상에 있는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축 방향에서 안테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z축 방향에서 안테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z축 방향에서 안테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축, y축, z축 상에 있는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y축 방향에서 안테나 장치를 바라본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z축 방향에서 안테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1)는 지지대(100), 방사부(200), 반사부(300) 및 도파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도체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사부(200), 반사부(300) 및 도파부(400)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축은 전파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파 진행 방향을 z축으로 가정할 수 있다.
방사부(200)는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방사부(200)는 여진 소자(220)를 포함하여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전파를 수신하고,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반사부(300)는 방사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파를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부(300)는 방사부(200)에서 방사된 전파를 반사시킬 수 있다.
도파부(400)는 방사부(2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전파를 유도할 수 있다. 도파부(400)는 방사부(200)를 중심으로 반사부(300)와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파의 방사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즉 도파부(400)는 방사부(200)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원형 편파 특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축은 전파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과 같이,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α°)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원형 편파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 편파(Circle Polarization)는 방사부(200)로부터 방사된 전파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내에서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편파(전파 진행 방향에 대한 전기장의 극성 방향)로서, 크기가 같고 위상이 90° 다른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를 조합시키면 그 합성 전계 벡터가 원 형상을 그리기 때문에 원형 편파라고 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1)에 전파가 도달하게 되면 방사부(200)의 길이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일어나고 방사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방사 신호는 반사부(300)와 도파부(400)에 유기되는데, 반사부(300)는 해당 신호를 반사시키고 도파부(400)는 해당 신호를 더욱 강하게 하기 때문에 도파부(400) 쪽으로 지향성을 갖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야기 안테나의 경우 방사부, 반사부 및 도파부가 동일면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선형 편파가 생성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는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가 회전각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원형 편파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는 60°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각 60°에 대응하는 원형 편파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형 편파 특성은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 사이의 간격, 반사부(300)와 방사부(200)가 이루는 회전각이나 도파부(400)와 방사부(200)가 이루는 회전각 등의 매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 사이의 간격, 반사부(300)와 방사부(200)가 이루는 회전각이나 도파부(400)와 방사부(200)가 이루는 회전각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안테나 장치(1)의 지향성과 이득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면 우측 원형 편파(RHCP, Right Hand Circular Polarization)가 형성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면 좌측 원형 편파(LHCP, Left Hand Circular Polarization)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측 원형 편파가 형성되면 우측 원형 편파 수신 특성이 향상되고 좌측 원형 편파가 형성되면 좌측 원형 편파 수신 특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도파부(40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편파 회전 방향을 가변시킴으로써 사용 목적에 맞는 원형 편파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z축 방향에서 안테나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파부(400)는 복수의 도파기(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도파기(420)는 방사부(200)의 타측에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3개의 도파기가 포함되는 안테나 장치(1) 즉 1개의 방사부(200), 1개의 반사부(300) 및 3개의 도파기(420)를 포함하는 5 엘리먼트 야기 안테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도파기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복수의 도파기(420)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부(300), 방사부(200), 도파기 1(420), 도파기 2(420) 및 도파기 3(420)의 순서대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복수의 도파기(420)가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면 우측 원형 편파가 형성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면 좌측 원형 편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부(300), 방사부(200) 및 복수의 도파기(420)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α1°~ α4°)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회전각(α1°~ α4°)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각의 크기는 도파기(420)의 개수의 증가에 반비례하게 정해질 수 있다. 즉 회전각의 크기를 작게 하여 배치할 경우 도파기의 개수를 증가시켜 배치함으로써 원형 편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회전각의 크기가 60°일 경우 1개의 도파기를 배치하였다면 회전각의 크기가 30°일 경우 3개의 도파기를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파기의 개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안테나 장치(1)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으며, HF 내지 UHF 등과 같이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안테나 장치
100: 지지대
200: 방사부
300: 반사부
400: 도파부
420: 도파기

Claims (8)

  1.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
    상기 방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파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그리고
    상기 방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파를 유도하는 도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도파부는,
    복수의 도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복수의 도파기는,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5. 제 4 항에서,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복수의 도파기는,
    미리 정해진 회전각만큼 순차적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6. 제 5 항에서,
    상기 회전각의 크기는,
    상기 도파기의 개수의 증가에 반비례하게 정해지는 안테나 장치.
  7. 제 1 항에서,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 상기 방사부 및 상기 도파부는 상기 지지대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8. 제 1 항에서,
    상기 반사부와 상기 도파부는 상기 방사부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KR1020160064779A 2016-05-26 2016-05-26 안테나 장치 KR10181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79A KR101813227B1 (ko) 2016-05-26 2016-05-26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79A KR101813227B1 (ko) 2016-05-26 2016-05-26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86A true KR20170133686A (ko) 2017-12-06
KR101813227B1 KR101813227B1 (ko) 2017-12-28

Family

ID=6092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779A KR101813227B1 (ko) 2016-05-26 2016-05-26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72B1 (ko) * 2018-05-16 2019-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원형 편파 안테나 장치
CN114361771A (zh) * 2022-01-12 2022-04-15 安徽大学 基于振子轴向旋转结构的圆极化三元八木-宇田天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1904B2 (ja) * 2008-05-27 2012-11-14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電磁結合給電可変アンテナ
KR101346137B1 (ko) * 2012-11-22 2013-12-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이버시티 모드와 지향성 모드로 변환 가능한 접이식 안테나 어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72B1 (ko) * 2018-05-16 2019-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원형 편파 안테나 장치
CN114361771A (zh) * 2022-01-12 2022-04-15 安徽大学 基于振子轴向旋转结构的圆极化三元八木-宇田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27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7274B2 (ja) 平面アンテナ及び関連する方法
US20190131710A1 (en) Wideband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O2014034490A1 (ja) アンテナ
JP7168752B2 (ja) スロット付きパッチアンテナ
US20100007573A1 (en) Multibeam antenna
JP6923490B2 (ja) アンテナ装置
JP2014143591A (ja) アレイアンテナ
Ta et al. Broadband electrically small circularly polarized directive antenna
US7893886B2 (en) Circularly polarized broadcast panel system and method using a parasitic dipole
KR101813227B1 (ko) 안테나 장치
Malhat et al. Planar reconfigurable plasma leaky-wave antenna with electronic beam-scanning for MIMO applications
EP2962362B1 (en)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KR101988172B1 (ko) 이중 원형 편파 안테나 장치
Mao et al. Design Approach to Azimuthal Null Frequency Scanning Circular Sector Patch Antenna under Triple-Mode Resonance
JP5565319B2 (ja) セクタアンテナ
JPH0324807B2 (ko)
Shafai et 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s
KR102020489B1 (ko) 안테나 장치
Emara et al. Metallo-dielectric millimeter-wave Huygens’ quarter-wave and half-wave plates
Wu et al. Wideband om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with offsetting slots and vertical strips
JP5752176B2 (ja) オムニアンテナ
EP2901525A1 (en) Omnidirectional circularly polarized waveguide antenna
JPH05226927A (ja) スロットアレーアンテナ
JP5787280B2 (ja) セクタアンテナ
RU2334314C1 (ru) Плоская антен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