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641A -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641A
KR20170133641A KR1020160064667A KR20160064667A KR20170133641A KR 20170133641 A KR20170133641 A KR 20170133641A KR 1020160064667 A KR1020160064667 A KR 1020160064667A KR 20160064667 A KR20160064667 A KR 20160064667A KR 20170133641 A KR20170133641 A KR 2017013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main tube
particles
concentration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춘근
김용구
봉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Priority to KR102016006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641A/ko
Publication of KR2017013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5Details of probe structures
    • G01N2001/2288Filte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메인 튜브와, 상기 메인 튜브의 소정 위치로부터 분기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 및 상기 메인 튜브를 통과한 입자를 모으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LLECTING PARTICLE}
본 발명은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오염물질 중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연속적으로 포집하는 것이 가능한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산업 폐기물 또는 일반 생활쓰레기 등의 소각 처리량의 증가 및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매연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 가스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황사와, 각종 미세먼지, 스모그 등으로 인해 도심지에서는 원활한 호흡조차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대기 중에 분포하는 먼지입자(이하, '입자'라고 함)가 태양광을 산란시켜 시야를 흐리기도 한다. 입자가 인체 내부에 그대로 흡입되면, 폐포까지 침투하여 각종 폐질환, 호흡기 질환 등도 유발할 수 있다.
입자는 자연물이나 인공의 합성물질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자는 그 크기가 다양하며 물리적 파쇄과정 등을 거쳐 그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입자의 분포상태를 파악하고 대기 오염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측정장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21639호 등에 이러한 장비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측정장비들은 입자를 검출하는 경우에 측정 오차가 커서 그 신뢰도가 크게 저하되거나, 측정시간이 길어 연속적으로 변동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측정장비들은 입자를 포집하는 필터의 탈착이 어렵고, 그 크기가 대형화되어 제품 양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도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21639호 (2000.04.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체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필터의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제품을 소형화하여 제품 양산이 용이한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는, 입자를 함유하는 유체가 이동하는 메인 튜브(10),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0), 상기 분기관(20)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30) 및 상기 메인 튜브(10)를 통과한 입자를 모으는 포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튜브(10)와 상기 분기관(20)은 직경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관(20)은,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입자를 함유하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유입관(21),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관(21)과 연결되는 제1 분기관(22), 상기 제1 분기관(22)과 연통된 제2 분기관(23)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분기관(23)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1 분기관(22)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계(25)와 펌프(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의 입구는 상기 메인 튜브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도 측정부(30)는 상기 제1 분기관(22)과 상기 제2 분기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광학 측정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4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42), 상기 하우징(4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튜브(10)와 연결되는 파이프 브라켓(41), 및 상기 하우징(42)의 내부에 수용되고, 중앙에 관통공(43-4)이 형성되어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홀더(43)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홀더(43)는 상기 하우징(4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43-6)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홀더(43)는, 양 측면에 가이드 홈(43-5)이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43-1), 상기 외측 프레임(43-1)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설치되도록 관통공(43-4)이 형성되는 내측 프레임(43-2), 상기 외측 프레임(43-1)과 상기 내측 프레임(43-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43-3) 및 상기 외측 프레임(4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튜브(10)의 입구측에는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히터부(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히터부(50)는 상기 메인 튜브(10)와 연결되는 내측관(51), 상기 내측관(5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실리콘 히터(52) 및 상기 실리콘 히터(52)를 감싸는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는 측정값의 신뢰성이 높고, 제품의 소형화 및 제작단가의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포집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선하여 필터의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튜브, 분기관 및 농도 측정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집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집부의 분해 사사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히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100)는 입자를 함유하는 유체가 이동하는 메인 튜브(10), 상기 메인 튜브(10)로부터 분기되어 합류하는 분기관(20), 상기 분기관(20)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30), 메인 튜브(10)를 통과한 입자를 모으는 포집부(40) 및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가열하는 히터부(50)를 포함한다.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에서 분기한 분기관(20)은 메인 튜브(10)로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체에는 농도 측정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농도 측정부(30)는 입자가 함유된 유체가 유동하는 분기관(20)의 유로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입자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는 광학 측정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측정 모듈은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레이저광의 산란광을 검출하여 입자의 입경 및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입자의 부피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피농도는 입자를 측정하는 동안 유입되는 유체의 부피당 존재하는 입자의 입경과 개수를 토대로 산정된 입자의 부피를 의미한다. 한편 분기관(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포집부(40)는 메인튜브(10)를 통과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데, 포집된 입자는 시료 형태로 분리되어 질량을 측정할 수 있고, 질량을 토대로 입자의 질량 농도가 산출될 수 있다. 이 질량 농도는 농도 측정부(30)에서 측정된 부피농도를 보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농도 측정부(3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부피농도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 포집부(40)에서 포집한 입자의 질량농도의 데이터를 통계적인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귀분석(선형 또는 비선형 회귀분석을 포함한다) 등을 통해서 부피농도의 분포와 질량농도의 분포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추정할 수 있으며, 최소자승법, 직교 최소자승법 등으로 회귀식과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추론하고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인된 부피농도와 질량농도의 상관관계가 선형적으로 나타나고 비례관계가 확인되면, 일정한 보정 팩터를 산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측정된 입자의 농도를 매우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히터부(50)는 메인 튜브(10)의 상류부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유입되는 유체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히터부(50)가 작동하여 튜브 내의 습도를 낮추어 물 분자의 산란에 의한 광학 측정 모듈의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 측정 및 포집 장치(100)는 3개의 모듈(메인 튜브, 포집부, 히터부)로 분리되거나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 내지 6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 측정 및 포집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튜브, 분기관 및 농도 측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집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집부의 분해 사사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히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20)은 유입관(21), 제1 분기관(22) 및 제2 분기관(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입관(21)은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메인 튜브(1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관(21)의 입구(24)는 메인 튜브(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입관(21)의 형상과 설치 위치는 메인 튜브(10) 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메인 튜브(10)를 경유하는 입자상 물질과 동일한 농도를 갖는 일정유량을 분기관(20)으로 분기시키기 위함이다.
제1 분기관(22)은 유입관(21)과 연통되도록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에서 메인 튜브(10)의 외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또한 제1 분기관(22)의 일 단부에는 전술한 농도 측정부(30)가 연결된다.
농도 측정부(30)의 타측,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분기관(22)과 연결되지 않은 타측은 제2 분기관(23)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분기관(23)은 제1 분기관(22)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계(25)와 펌프(2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튜브(10)로 유입되는 유체는 포집부(40)로 이동이 가능한 정도의 소정 유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공간부에 위치한 유입관(21)으로도 일정 유량이 공급되며 이렇게 유입관(21)으로 공급된 소정의 유량은 농도 측정부(30)를 통과하면서 입자상 농도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유입관(21)의 단면적이 메인 튜브(10)의 단면적에 비해 작고 또 유입관(21)은 제1 분기관(22)과 제2 분기관(23)과 연통되어 있어, 제1 분기관(22)과 제2 분기관(23) 사이에 위치하는 농도 측정부(30)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유량계(25)와 펌프(26)를 상기 제2 분기관(23)의 소정 위치에 구비시키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 튜브(10)로부터 일정한 유량이 정확하게 농도 측정부(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2 분기관(23)의 소정 위치에 흡입식 펌프(26)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26)로부터 흡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확인하고 또 펌프(26)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량계(25)를 구비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펌프(26)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유입관(21), 제1 분기관(22) 및 제2 분기관(23)으로 이루어지는 분기관(20)은 펌프(26)의 고장을 방지하고 정밀한 제어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곡선부(유선형)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5를 참고하면서 포집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포집부(40)는 메인 튜브(10)와 연결되는 파이프 브라켓(41),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42), 필터(미도시)가 수납되는 필터 홀더(43) 및 손잡이(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 홀더(43)는 하우징(42)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45)를 잡고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필터 홀더(43)는 대략 사각형의 외측 프레임(43-1), 내부에 필터가 고정되는 관통공(43-4)이 형성되고, 외측 프레임(43-1)의 내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대략 원형의 내측 프레임(43-2) 및 외측 프레임(43-1)과 내측 프레임(43-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43-3)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43-3)은 90도 간격으로 4개 배치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홀더(43)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의 형상으로 설계된 것이다.
외측 프레임(43-1)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43-5)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43-5)에는 하우징(42)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43-6)가 끼워져, 필터 홀더(43)가 가이드(43-6)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필터 홀더(43)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함으로써, 필터를 제거할 때, 충격을 감소시켜 필터로부터 유실되는 입자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입자의 질량 농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2)은 상부벽(42-1), 복수 개의 측벽(42-2, 42-3, 42-4) 및 하부벽(42-5)으로 구성되어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5)는 손잡이 패널(44)을 매개로 필터 홀더(43)에 고정된다. 하우징(42) 내 필터 홀더(43)의 하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위한 알루미늄 파이프(47)가 설치되고, 이 알루미늄 파이프(47)는 상부의 제1 중간 지지 패널(46)과 하부의 제2 중간 지지 패널(48)에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좌우가 흔들리지 않게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알루미늄 파이프(47)의 후단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솔레노이드 밸브, 워터 트랩 필터(WATER TRAP FILTER), 헤파(HEPA) 필터, 플로메터(FLOWMETER) 및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100)는 전체 구성을 제어하고 연산하는 제어부 및 농도 등을 표시하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히터부(50)는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저온)와 습도(고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로서, 메인 튜브(10)와 연결되는 내측관(51)과, 이 내측관(51)의 외측면에 감싸면서 설치되는 실리콘 히터(52) 및 이 실리콘 히터(52)를 감싸 보호하는 커버(53)를 포함한다. 여기서, 히터는 실리콘 히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히터부(50)의 부근에는 유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처리 장치로서, 히터부(5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외부의 입자를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걸러주는 복수 개의 필터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부재는 히터부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직경 10 마이크론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는 제1 필터 부재 및 히터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직경 2.5 마이크론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는 제2 필터 부재(예를 들면, 싸이클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100)는 메인 튜브(10)와 분기관(20)를 구비함으로써, 유체 내 입자의 농도 측정과 포집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동일 샘플을 대상으로 측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측정값의 신뢰성이 높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메인 펌프가 작동하면,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히터부(50)로 유입되고, 이때,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가 실리콘 히터(52)를 작동시킨다. 히터부(50)를 통과한 공기는 메인 튜브(10)로 유입되어 이동하고, 메인 튜브(10)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흡입식 펌프(26)에 의해 일정 유량이 분기관(20)으로 유입된다. 분기관(20)에서는 농도 측정부(30)가 광산란 방식을 이용하여 공기 중 입자의 부피 농도를 산출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한편 메인 튜브(10)로 공급 이동된 공기는 포집부(40)로 유입되어 일정 시간 동안 필터에 의해 입자가 포집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사용자는 손잡이(45)를 잡고 필터 홀더(43)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어 필터를 꺼낸 다음, 포집된 먼지의 질량을 이용하여 질량 농도를 산정한다. 제어부는 질량 농도를 기준으로 농도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입자의 부피 농도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자의 농도를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메인 튜브
20 : 분기관
21 : 유입관 22 : 제1 분기관
23 : 제2 분기관 24 : 입구
25 : 유량계 26 : 펌프
30 : 농도 측정부
40 : 포집부
41 : 파이프 브라켓 42 : 하우징
42-1 : 상부벽 42-2, 42-2, 42-3: 측벽
42-5 : 하부벽
43 : 필터 홀더
43-1 : 외측 프레임 43-2 : 내측 프레임
43-3 : 연결 프레임 43-4 : 관통공
43-5 : 가이드홈 43-6 : 가이드
44 : 손잡이 패널 45 : 손잡이
46 : 제1 중간 지지 패널 47 : 알루미늄 파이프
48 : 제2 중간 지지 패널
50 : 히터부
51 : 내측관 52 : 실리콘 히터
53 : 커버
100 : 입자 측정 및 포집 장치

Claims (7)

  1. 입자를 함유하는 유체가 이동하는 메인 튜브(10);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0);
    상기 분기관(20)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부(30); 및
    상기 메인 튜브(10)를 통과한 입자를 모으는 포집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튜브(10)와 상기 분기관(20)은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은,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입자를 함유하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유입관(21);
    상기 메인 튜브(10)의 소정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관(21)과 연결되는 제1 분기관(22);
    상기 제1 분기관(22)과 연통된 제2 분기관(23)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분기관(23)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1 분기관(22)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계(25)와 펌프(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측정부(30)는 상기 제1 분기관(22)과 상기 제2 분기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는 광학 측정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4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42);
    상기 하우징(4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튜브(10)와 연결되는 파이프 브라켓(41); 및
    상기 하우징(42)의 내부에 수용되고, 중앙에 관통공(43-4)이 형성되어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홀더(43)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홀더(43)는 상기 하우징(4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43-6)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43)는,
    양 측면에 가이드 홈(43-5)이 형성되는 외측 프레임(43-1);
    상기 외측 프레임(43-1)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설치되도록 관통공(43-4)이 형성되는 내측 프레임(43-2);
    상기 외측 프레임(43-1)과 상기 내측 프레임(43-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프레임(43-3); 및
    상기 외측 프레임(4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튜브(10)의 입구측에는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히터부(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히터부(50)는 상기 메인 튜브(10)와 연결되는 내측관(51), 상기 내측관(5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실리콘 히터(52) 및 상기 실리콘 히터(52)를 감싸는 커버(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장치.


















KR1020160064667A 2016-05-26 2016-05-26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KR20170133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67A KR20170133641A (ko) 2016-05-26 2016-05-26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67A KR20170133641A (ko) 2016-05-26 2016-05-26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41A true KR20170133641A (ko) 2017-12-06

Family

ID=6092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667A KR20170133641A (ko) 2016-05-26 2016-05-26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6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48204T3 (es) Monitorización de exposición a aerosoles
KR101721190B1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CN101506638B (zh) 具有闭合采样电路的侧流气体采样系统
KR102002967B1 (ko) 흡인노즐에 단면적 조절장치가 부착된 배기가스 연속 등속 채취 장치와 이를 결합한 배기가스 미세먼지 연속자동측정 시스템
KR20110139737A (ko) 레이저 회절 장치용의 흡입기 어댑터와 입도 분포 측정 방법
US20110009762A1 (en) Portable pneumotachograph for measuring components of an expiration volume and method therefor
KR101678175B1 (ko) 중금속 시료 포집이 동시 가능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KR101504753B1 (ko) 방독면 필터 테스트 장치
US11598723B2 (en) NDIR sensor, sampling method and system for breath analysis
CN105353396B (zh) 闭环式部分积分快速测量氡析出率的方法
CN101201315A (zh) 探针
CN201926618U (zh) 一种高湿度低浓度烟气污染物光学测量探头系统
CN105929443A (zh) 主动任意调节氡析出率及有效衰变常数的标准装置及方法
WO2016105555A1 (en) Portable airborne particle counting systems and methods
CN102419304A (zh) 一种高湿度低浓度烟气污染物光学测量探头系统
CN208469496U (zh) 车辆及其用于检测空气质量的车用传感器组件
KR20170054636A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CN109975224A (zh) 气体拍摄检测系统
KR20170133641A (ko) 입자상 물질 포집 및 측정 장치
CN110466306A (zh) 用于检测空气质量的车用传感器组件、车辆及其应用
CN116008143B (zh) 一种基于二级振荡天平总尘和呼尘同步监测仪
CN109031468B (zh) 同步测量n2o、ch4和co2通量的涡动相关法装置
WO2012127794A1 (ja) 窒素酸化物濃度測定装置
CN106596446A (zh) 一种手持式原位热湿法烟道气体检测仪
CN108120659A (zh) 一种具有自归零校准的粒子浓度检测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