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378A - 로봇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로봇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378A
KR20170132378A KR1020160062734A KR20160062734A KR20170132378A KR 20170132378 A KR20170132378 A KR 20170132378A KR 1020160062734 A KR1020160062734 A KR 1020160062734A KR 20160062734 A KR20160062734 A KR 20160062734A KR 20170132378 A KR20170132378 A KR 20170132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uman body
person
air conditioning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687B1 (ko
Inventor
김연섭
김동우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687B1/ko
Priority to CN201780003905.6A priority patent/CN108291736B/zh
Priority to US15/772,595 priority patent/US10704799B2/en
Priority to PCT/KR2017/005257 priority patent/WO2017204499A1/ko
Publication of KR2017013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0034
    • F24F11/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G06K9/00885
    • F24F2011/0035
    • F24F2011/006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2Mobile autonomous air conditioner, e.g.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을 인식하여 사람을 기준으로 냉,난방할 수 있고, 인식된 사람을 추적하면서 근접 냉,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선 호출명령에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호출한 곳을 능동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온풍을 발생시키는 공조부와, 공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공조부와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공조장치에 있어서, 특정 공간 중에 존재하는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인체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측으로 공조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를 제어하여,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측에 상기 공조부의 냉,온풍을 공급한다.

Description

로봇 공조장치{ROBOT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로봇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을 인식하여 사람을 기준으로 냉,난방할 수 있고, 인식된 사람을 추적하면서 근접 냉,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선 호출명령에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호출한 곳을 능동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는 로봇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와 같은 일정공간(이하, "실내"라 통칭함)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장치가 있다.
공조장치는, 압축기와 응측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증발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하거나, 또는 응축기에서 발생된 온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대부분이 실내의 어느 한 곳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실내의 어느 한 부분만 국부적으로 냉,난방하고자 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실내가 넓을 경우에는, 실내의 국부적인 냉,난방을 원하더라도, 부득이하게 실내 전체를 냉,난방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실내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냉,온풍의 토출 방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실내의 특정부분에 냉,온풍이 송풍되지 않거나, 냉,온풍의 송풍량이 현저하게 낮은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실내의 냉,난방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실내의 특정 부분을 국부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고, 실내의 냉,난방 사각지대를 효율좋게 냉,난방할 수 있는 공조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이동식 공조장치"가 있다. 이동식 공조장치는, 공조작동을 실행하는 공조부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냉,난방이 필요한 곳에 공조부를 이동시킨 후, 공조부를 실행시켜 냉,온풍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조작동이 필요한 곳을 국부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고, 아울러 냉,난방의 사각 지대를 효율좋게 냉,난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식 공조장치는, 경우에 따라, 실내 중 공조부하측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공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공조부하측을 향해 공조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기도 한다.
특히, 제어부는, 감지부를 통해 공조작동이 요구되는 실내의 공조부하를 감지한 다음, 이동부를 제어하여 감지된 공조부하측으로 공조부를 이동시키고, 공조부하측으로 이동된 공조부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공조작동이 요구되는 실내의 공조부하를 찾아 스스로 이동한 다음, 공조부하측에 냉,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공조부하측을 자동으로 냉,난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공조장치는, 공조부하를 감지한 후, 이를 기준으로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감지된 공조부하측과 실제로 냉,난방이 필요한 부분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실제로 냉,난방이 필요한 부분을 냉,난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실내 중, 냉,난방이 가장 필요한 부분은,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인데, 종래의 이동식 공조장치는, 공조부하를 기준으로 냉,난방하는 바, 공조부하가 높은 곳, 예를 들면, 창가 부분이나, 출입문 부분으로 이동한 후, 이들 부분을 냉,난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종래의 이동식 공조장치는, 불필요한 부분을 냉,난방하는 "작동오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람을 인식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람이 있는 부분을 능동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는 로봇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이 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냉,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제로 냉,난방이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냉,난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난방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로봇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을 따라다니면서 근접 냉,난방할 수 있는 로봇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을 따라다니면서 근접 냉,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로봇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의 체온 상태에 따라 냉,온풍의 온도와 풍량등을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람에게 최적의 냉,온풍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적의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는 로봇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는, 냉,온풍을 발생시키는 공조부와, 상기 공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공조부와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공조장치에 있어서, 특정 공간 중에 존재하는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인체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측으로 상기 공조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측에 상기 공조부의 냉,온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체인식부는, 특정 공간을 촬상하여 상기 특정 공간의 사물과 사람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며, 촬상된 특정 공간의 이미지를 매트릭스 형태의 이미지셀(Image Cell)들로 나누는 적외선 이미지센서(Infrared Rays Image Sensor)와;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에서 입력된 특정 공간의 이미지셀들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을 처리하여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에서 입력된 인체의 적외선과 인체 주변의 적외선을 통해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를 통해 냉,난방 부하를 판단하며; 판단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공조부를 가변 제어하여, 사람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가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인체 온도 및 주변 온도별, 냉,난방 부하값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인체 온도 및 주변 온도에 대응하는 냉,난방 부하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냉,난방 부하에 의거하여 상기 공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인식한 사람이 적어도 두 명 이상일 경우, 상기 공조부가 냉방모드일 시에는, 인식한 사람들 중,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을 선택하여 인식하고, 상기 공조부가 난방모드일 시에는, 인식한 사람들 중,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을 선택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이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할 시에, 인식된 사람의 위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인식된 사람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봇 공조장치의 호출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호출부에 입력된 호출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의 호출명령신호와, 상기 위치정보 제공수단의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받을 수 있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호출명령신호가 무선 전송될 시에, 호출모드로 전환되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수단에서 제공받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측으로 상기 공조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는,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이며, 상기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를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호출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출부는, 사용자가 호출명령음성을 입력시킬 수 있는 마이크(Mike)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호출명령음성인지를 판단하여, 호출명령음성이면, 이에 대응하여 호출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에 의하면,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의 인체를 기준으로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실제로 냉,난방이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냉,난방할 수 있고, 이로써, 냉,난방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을 추적하면서 근접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사람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주변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 조건에 따라 냉,온풍의 온도와 풍량등을 능동적으로 가변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사람에게 항상 최적의 냉,온풍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적의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무선 호출명령에 따라 호출된 곳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호출명령한 곳을 능동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가 일정한 공간을 촬상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나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로봇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할 시에 원격제어 단말기에 표시되는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제 1실시예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로봇 공조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로봇 공조장치는, 공조부(10)와 이동부(20)와 전원공급부(30)와 제어부(40)를 구비한다.
공조부(10)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와 응측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송풍팬 및 냉매배관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압축기에서 냉매를 압축시킨 다음, 이를 순차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응축기에서 온기를 발생시키고, 증발기에서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응축기에서 발생된 온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증발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이동부(20)는, 구동륜과 조향륜, 그리고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조향륜을 제어하는 조향모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면서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특정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전원공급부(30)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조부(10)와 이동부(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공조부(10)와 이동부(20)가 구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전기가 소진될 경우, 도시하지 않은 충전 스테이션(Station)을 통해 전기가 충전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공조부(10)와 이동부(20)와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조부(10)를 제어하여 냉,온풍이 송풍되게 하고, 이동부(2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특정한 곳으로 이동시키며, 전원공급부(30)의 배터리 전원이 소진될 경우, 본원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충전 스테이션측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어부(40)와 공조부(10)와 이동부(20)와 전원공급부(3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는,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인체인식부(50)를 더 구비한다.
인체인식부(50)는, 실내를 촬상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Infrared Rays Image Sensor)(52)와, 적외선 이미지센서(5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마이콤(Micom)(54)을 구비한다.
적외선 이미지센서(52)는,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적외선 이미지센서(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특정 공간을 촬상한 다음, 촬상된 실내 이미지를 매트릭스 형태의 이미지셀(Image Cell)(52a)들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마이콤(54)은, 적외선 분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적외선 이미지센서(52)로부터 매트릭스 형태의 실내 이미지셀(52a)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실내 이미지셀(52a)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52a)를 처리하여 사람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실내 이미지셀(52a)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52a)의 분포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체분포"에 해당되는지를 비교 판단한다. 특히,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52a)의 분포 형상이, 인체의 형상을 갖는 "기준인체분포"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
비교 판단 결과, "기준인체분포"에 포함되면, 마이콤(54)은, 실내 중의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한편, 마이콤(54)은, 사람의 인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는 적외선 수신부(도시하지 않음)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을 통해, 사람이 있는 방향과 거리 등의 사람위치정보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사람위치정보를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에서 사람의 인체가 인식되고, 사람이 있는 곳의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이동부(20)를 제어하여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를 사람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람이 있는 곳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공조부(10)를 제어하여 사람이 있는 곳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한다. 따라서, 실내 중,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을 국부적으로 냉,난방하고, 이를 통해,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의 쾌적성을 높인다.
한편,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에서 입력된 인체의 적외선과 주변의 적외선을 통해,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를 인식하는데, 이러한 온도 인식을 통해,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의 "냉,난방 부하"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냉,난방 부하"에 따라 공조부(10)의 압축기와 팽창밸브와 송풍팬을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하고, 이를 통해, 사람이 있는 공간에 최적 온도의 공기가 송풍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냉,난방 부하"에 따라 공조부(10)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하는데, 이러한 가변 제어를 통해, 사람이 있는 공간에 최적의 온도와 최적의 풍량을 갖는 공기가 송풍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사람에게 최적 온도의 공기가 제공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최적의 쾌적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인체의 적외선과 주변의 적외선을 온도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인체 온도 및 주변 온도별", "냉,난방 부하"값들을 메모리부(42)에 미리 다양하게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에서 인체의 적외선과 주변의 적외선이 입력되면,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인체 온도와 주변 온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인체 온도와 주변 온도에 대응하는 "냉,난방 부하"를 메모리부(42)에서 검출하며, 검출된 "냉,난방 부하"에 따라 공조부(10)를 제어한다.
메모리부(42)에 저장된 "인체 온도 및 주변 온도별", "냉,난방 부하"값은, 여러 번의 시험결과를 통해 얻어진 시험 데이터로서, 다양하게 내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는, 사람을 인식하는 인체인식부(50)의 마이콤(54)이, 제어부(40)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제어부(40)가 마이콤(54)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외선 이미지센서(52)에서 촬상한 매트릭스 형태의 실내 이미지셀(52a)들은, 제어부(40)로 직접 입력되며, 제어부(40)는, 입력된 실내 이미지셀(52a)들을 통해, 실내 중의 사람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가, 적외선 이미지센서(52)에서 입력된 실내 이미지셀(52a)들을 통해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명의 사람이 동시에 인식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0)는, 현재의 모드 상태가 "냉방모드"일 시에는, 여러 명의 사람 중,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이 선택되면, 제어부(40)는 선택된 사람을 기준으로 이동부(20)와 공조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을 기준으로 이동부(20)를 제어하여,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측으로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를 이동시키고, 아울러,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에 맞춰 공조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을 기준으로 냉방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는 반대로, 현재의 모드 상태가 "난방모드"일 시에는, 제어부(40)가 여러 명의 사람 중,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이 선택되면, 제어부(40)는 선택된 사람을 기준으로 이동부(20)와 공조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을 기준으로 이동부(20)를 제어하여, 체온이 가장낮은 사람측으로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를 이동시키고, 아울러,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에 맞춰 공조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을 기준으로 난방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인체인식부(50)의 적외선 이미지센서(52)는, 사람을 인식한 후에도 인식한 사람을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촬상한다.
그리고 마이콤(54)은,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인식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인식된 사람의 체온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제어부(40)는, 인식된 사람의 체온 및 위치정보가 인체인식부(5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면, 제공된 정보에 따라 공조부(10)와 이동부(20)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이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할 경우, 인식된 사람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부(20)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가, 인식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가, 인식한 특정 사람을 따라다니면서 근접 냉,난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의 체온 정보와 주변 온도 정보가 실시간으로 변화될 경우, 변화된 온도 정보에 대응하여 공조부(10)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조부(10)가, 인식한 특정 사람의 체온 변화와 주변 온도 변화에 맞춰 능동적으로 가변되면서、인식한 사람과 주변환경의 변화에 맞춰 항상 최적의 상태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인식한 사람에게 항상 최적의 쾌적한 공기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는, 디스플레이부(6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6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며, 로봇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와 일련의 작동과정을 표시한다. 특히, 인식한 사람의 체온정보, 주변의 온도 정보, 현재 송풍되고 있는 공기의 풍량과 온도 및, 배터리 충전량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로봇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인체인식부(50)의 적외선 이미지센서(52)는 실내의 이미지를 촬상한다(S103).
이때, 적외선 이미지센서(52)는, 촬상된 실내의 이미지를 매트릭스 형태의 이미지셀(52a)들로 나누고, 나눠진 매트릭스 형태의 실내 이미지셀(52a)들을 마이콤(54)에 입력시킨다.
마이콤(54)은, 적외선 이미지센서(52)로부터 실내 이미지셀(52a)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실내 이미지셀(52a)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52a)을 처리하여,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52a)이 사람의 인체인지를 판단한다(S105).
판단 결과, 사람의 인체이면, 마이콤(54)은, 실내 중의 사람을 인식한다(S107). 이때, 마이콤(54)은, 인식한 사람이 여러 명일 경우, "냉방모드" 시에는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을 선택하여 인식하고, "난방모드" 시에는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을 선택하여 인식한다.
한편, 마이콤(54)은, 사람의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한 사람으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통해서 사람이 있는 방향과 거리 등의 위치정보를 측정한다(S109).
그리고 사람의 인식과 사람의 위치정보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40)는, 인식한 사람의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부(20)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를 인식한 사람측으로 이동시킨다(S111).
그리고 사람측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40)는, 공조부(10)를 제어하여 인식한 사람이 있는 곳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한다(S113).
그러면, 실내 중,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이 국부적으로 냉,난방되고, 이를 통해, 실내의 특정부분이 있는 사람에게 냉,온풍이 집중적으로 송풍되면서 쾌적성을 높여준다.
한편, 제어부(40)는, 공조부(10)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인체인식부(50)로부터 입력된 인체의 적외선과 주변의 적외선을 통해,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를 인식하는데, 이러한 온도인식을 통해,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의 "냉,난방 부하"를 판별한다(S115).
그리고 판별된 "냉,난방 부하"에 따라 공조부(10)를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하고, 이를 통해, 사람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한다(S117). 그러면, 사람측에 최적의 온도와 최적의 풍량을 갖는 냉,온풍이 공급되면서 쾌적성을 극대화시킨다.
다시, 도 1과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인식한 사람측을 냉,난방하는 과정에서, 인체인식부(50)는 인식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계속 인식하는데, 이때, 인식한 사람이 이동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S119).
이때의 판단은,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사람의 이미지셀(52a)이 위치 이동하였지의 여부에 근거한다.
판단 결과, 인식한 사람이 이동하였으면, 인체인식부(50)는 이동한 사람의 적외선 정보를 통해서 이동한 사람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S121), 측정된 위치정보를 제어부(40)에 실시간으로 입력시킨다.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로부터 사람의 이동과, 그에 따른 이동 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이동부(20)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를 인식한 사람측으로 이동시킨다(S123).
그러면,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는, 인식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근접 냉,난방한다(S125). 그 결과, 사람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주변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 제 2실시예 ]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2실시예의 로봇 공조장치는,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인체인식부(50)를 구비하되, 상기 인체인식부(50)는, 카메라(55)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55)는, 씨씨디(CCD) 카메라, 또는 씨모스(CMOS)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며, 실내의 특정 공간을 촬영한 다음, 촬영된 실내 영상데이터를 마이콤(54)에 제공한다.
마이콤(54)은,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카메라(55)로부터 제공된 실내 영상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사람의 인체를 인식함과 아울러 인식된 사람이 있는 방향과 거리 등의 사람위치정보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사람위치정보를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영상 분석 프로그램과, 이를 통한 사람의 인식과 거리 및 방향측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에서 사람의 인체가 인식되고, 사람이 있는 곳의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이동부(20)를 제어하여 로봇 공조장치의 본체를 사람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람이 있는 곳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공조부(10)를 제어하여 사람이 있는 곳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한다. 따라서, 실내 중,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을 국부적으로 냉,난방하고, 이를 통해, 사람이 있는 공간부분의 쾌적성을 높인다.
이동부(20)와 공조부(10)의 제어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2실시예의 로봇 공조장치는, 카메라(55)의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사람의 인체정보를 인식하는 구조이므로, 사람의 인식 정밀도를 더욱 높여준다. 특히,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인식 정밀도를 더욱 높여준다.
따라서, 사물과 사람의 구별이 명확하고, 아울러, 사람이 있는 곳을 보다 정밀하게 추적 및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이 있는 곳에 보다 효과적으로 근접하면서 냉,난방할 수 있다.
[ 제 3실시예 ]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3실시예의 로봇 공조장치는, 원격제어 단말기(70)를 더 구비한다.
원격제어 단말기(70)는, 무선 통신수단(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용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장치 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70)는, "로봇 공조제어 응용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로봇 공조제어 응용프로그램"은,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이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한 후 다운로드 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원격제어 단말기(70)는,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70a)에 온,오프 선택부(72)와, 호출부(74)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온,오프 선택부(72)는, 온(ON) 선택 터치스크린부(72a)와, 오프(OFF) 선택 터치스크린부(72b)들을 갖추고 있고, 이들 온,오프 선택 터치스크린부(72a, 72b)들을 각각 터치함에 따라 "온(ON) 신호"와 "오프(OFF) 신호"를 무선 송출하며, 이러한 "온,오프 신호"에 따라 로봇 공조장치가 온(ON), 오프(OFF)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원격지에서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켜거나 또는 끌 수 있게 한다.
호출부(74)는,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74a)를 갖추고 있으며, 이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74a)를 터치함에 따라 "호출명령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원격지에서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호출하여 자신의 근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호출부(74)는, 호출음성입력수단(74b), 즉, 마이크(Mike)(74b)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74b)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호출명령음성", 예를 들면, "이리와" 등과 같은 "호출명령음성"을 말하면, 말한 "호출명령음성"을 전기신호로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으로도 본 발명의 로봇 공조장치를 호출하여 자신의 근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호출부(74)는, 마이크(74b)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호출명령음성"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호출명령음성"이면, 이에 대응하여 "호출모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 3실시예의 로봇 공조장치는, 실내의 특정한 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비콘 센서(Beacon Sensor)(80)들을 더 포함한다.
비콘 센서(80)들은, 원격제어 단말기(70)의 위치 확인을 위해 설치되는 무선 통신 센서들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이 실내의 특정부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비콘 센서(80)들은, 무선 AP 또는 블루투스 비콘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 단말기(70)와 무선 통신하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에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제공한다.
한편, 원격제어 단말기(70)의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비콘 센서(80)들로부터 "비콘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콘 신호"를 통해, 원격제어 단말기(7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특히, "X,Y,Z"와 같은 3차원 좌표로 산출하고, 산출된 원격제어 단말기(70)의 "3차원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원격제어 단말기(70)의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비콘 센서(80)의 "비콘 신호"를 근거로 원격제어 단말기(70)의 위치를 3차원으로 추적하는 3차원 위치정보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원격제어 단말기(70)의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호출부(74)를 통해, 로봇 공조장치를 호출할 경우에만,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74a)를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74b)를 통해 "호출명령음성"를 입력시킬 경우에만, "호출모드신호"를 출력하면서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를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 3실시예의 로봇 공조장치는, 제어부(40)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40)는, 무선 통신부(44)를 갖추고 있다.
무선 통신부(44)는, 원격제어 단말기(70)와 무선 통신수단(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통해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44)는, 원격제어 단말기(70)로부터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가 무선 송출되면, 무선 송출된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제어부(40)는, 무선 통신부(44)로부터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의거하여 로봇 공조장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원격지의 원격제어 단말기(70)를 통해서도 로봇 공조장치를 켜거나 또는 끌 수 있게 한다.
한편, 무선 통신부(44)는, 원격제어 단말기(70)로부터 "호출명령신호"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가 무선 송출되면, 무선 송출된 "호출명령신호"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출명령신호"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를 제어부(40)에 입력시킨다.
제어부(40)는, 무선 통신부(44)로부터 "호출명령신호"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호출명령신호"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로봇 공조장치를 제어한다.
특히, 로봇 공조장치의 이동부(20)를 제어하여,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 로봇 공조장치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원격제어 단말기(70)를 소지한 사람측으로 로봇 공조장치를 이동시킨다.
이로써, 원격제어 단말기(70)를 소지한 사람측에 냉,온풍을 송풍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원격제어 단말기(70)를 소지한 사람측을 냉,난방한다.
결과적으로, 로봇 공조장치는, 원격제어 단말기(70)를 통해 호출할 수 있으며, 호출된 곳으로 이동하면서 호출한 곳을 능동적으로 냉,난방한다.
한편, 로봇 공조장치의 제어부(40)는, 인체인식부(50)에 의한 "인체인식모드" 제어보다 원격제어 단말기(70)의 호출에 의한 "호출모드" 제어가 우선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인체인식부(50)가 인식한 사람측부분을 냉,난방하고 있는 중이더라도,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부터 "호출명령신호"가 입력되면, "호출모드"로 우선 제어되면서 "호출명령신호"가 송출된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 먼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원격제어 단말기(70)의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인체인식명령 터치스크린부(76)를 더 포함한다.
인체인식명령 터치스크린부(76)는, 로봇 공조장치를 "호출모드"에서 "인체인식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면, "인체인식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인체인식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로봇 공조장치측으로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로봇 공조장치의 제어부(40)는, 원격제어 단말기(70)로부터 "인체인식명령신호"가 무선 송출되면, 무선 송출된 "인체인식명령신호"에 따라 "인체인식모드"로 전환되면서 "인체인식모드"에 의거하여 로봇 공조장치를 제어한다.
특히, 로봇 공조장치가 인체인식부(50)가 인식한 사람측부분을 이동할 수 있게 제어하고, 이를 통해, 인체인식부(50)가 인식한 사람을 기준으로 냉,난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의 무선 통신부(44)는, 현재 제어되고 있는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를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 무선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사람의 체온정보, 주변의 온도정보, 현재 송풍되고 있는 공기의 풍량과 온도, 배터리 충전량 및, 현재의 모드정보 등을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 무선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원격제어 단말기(70)도 현재 제어되고 있는 로봇 공조장치(20) 제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원격제어 단말기(70)는, 로봇 공조장치 본체의 무선 통신부(44)로부터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가 무선 송출되면, 무선 송출된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를 수신한 원격제어 단말기(70)는,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를 액정디스플레이부(70a)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체온정보, 주변의 온도정보, 현재 송풍되고 있는 공기의 풍량과 온도, 배터리 충전량 및, 현재의 모드정보 등을 특정 심볼과 문자로 표시한다.
따라서, 로봇 공조장치 본체에서 이격된 원격지에서도 로봇 공조장치의 제어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의 인체를 기준으로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실제로 냉,난방이 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냉,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냉,난방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을 추적하면서 근접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사람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주변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난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 조건에 따라 냉,온풍의 온도와 풍량등을 능동적으로 가변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사람에게 항상 최적의 냉,온풍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적의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단말기(70)를 통한 사용자의 무선 호출명령에 따라 호출된 곳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호출명령한 곳을 능동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부 20: 이동부
30: 전원공급부 40: 제어부
42: 메모리부 44: 무선 통신부
50: 인체인식부
52: 적외선 이미지센서(Infrared Rays Image Sensor)
52a: 이미지셀(Image Cell) 54: 마이콤(Micom)
55: 카메라(Camera) 60: 디스플레이부
70: 원격제어 단말기 70a: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
72: 온,오프 선택부 72a: 온(ON) 선택 터치스크린부
72b: 오프(OFF) 선택 터치스크린부 74: 호출부
74a: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 74b: 마이크(Mike)
76: 인체인식명령 터치스크린부 80: 비콘 센서(Beacon Sensor)

Claims (16)

  1. 냉,온풍을 발생시키는 공조부(10)와, 상기 공조부(1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20)와, 상기 공조부(10)와 이동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로봇 공조장치에 있어서,
    특정 공간 중에 존재하는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인체인식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측으로 상기 공조부(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측에 상기 공조부(10)의 냉,온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인식부(50)는,
    특정 공간을 촬상하여 상기 특정 공간의 사물과 사람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며, 촬상된 특정 공간의 이미지를 매트릭스 형태의 이미지셀(Image Cell)(52a)들로 나누는 적외선 이미지센서(Infrared Rays Image Sensor)(52)와;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52)에서 입력된 특정 공간의 이미지셀(52a)들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52a)을 처리하여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는 상기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52)에서 입력된 인체의 적외선과 인체 주변의 적외선을 통해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체온과 주변의 온도를 통해 냉,난방 부하를 판단하며;
    판단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상기 공조부(10)를 가변 제어하여, 사람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가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인체 온도 및 주변 온도별, 냉,난방 부하값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인체 온도 및 주변 온도에 대응하는 냉,난방 부하를 상기 메모리부(42)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냉,난방 부하에 의거하여 상기 공조부(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인식한 사람이 적어도 두 명 이상일 경우,
    상기 공조부(10)가 냉방모드일 시에는, 인식한 사람들 중, 체온이 가장 높은 사람을 선택하여 인식하고,
    상기 공조부(10)가 난방모드일 시에는, 인식한 사람들 중, 체온이 가장 낮은 사람을 선택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체인식부(50)에서 인식된 사람이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할 시에, 인식된 사람의 위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인식된 사람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부(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인식부(50)는,
    특정 공간을 촬영하여 특정 공간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5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카메라(55)로부터 제공된 특정 공간의 영상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사람의 인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측으로 상기 공조부(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공조장치의 호출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호출부(74)를 구비하며, 상기 호출부(74)에 입력된 호출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70)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의 호출명령신호와, 상기 위치정보 제공수단의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를 무선 전송받을 수 있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로부터 호출명령신호가 무선 전송될 시에, 호출모드로 전환되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수단에서 제공받은 원격제어 단말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 상기 공조부(1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70a)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부(74)는, 상기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70a)에 표시된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74a)이며, 상기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74a)를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호출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74)는,
    사용자가 호출명령음성을 입력시킬 수 있는 마이크(Mike)(74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상기 마이크(74b)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호출명령음성인지를 판단하여, 호출명령음성이면, 이에 대응하여 호출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온(ON) 선택 터치스크린부(72a)와, 오프(OFF) 선택 터치스크린부(72b)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 선택 터치스크린부(72a, 72b)들을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온(ON) 신호와 오프(OFF) 신호를 각각 무선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에서 무선 전송받은 온(ON) 신호 또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공조장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인체인식명령 터치스크린부(7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체인식명령 터치스크린부(76)를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인체인식명령신호를 무선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에서 무선 전송받은 인체인식명령신호에 따라 인체인식모드로 전환되면서 상기 인체인식부(50)가 인식한 사람측으로 상기 이동부(20)를 제어하여, 인식한 사람측으로 상기 공조부(1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현재 제어되고 있는 상기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측으로 무선 송출하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 무선 송출된 상기 로봇 공조장치 제어정보를 수신받아 액정디스플레이부(70a)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로봇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시에,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의 터치식 액정디스플레이부(70a)에 상기 호출명령 터치스크린부(74a)와, 온,오프 선택 터치스크린부(72a, 72b)들과, 인체인식명령 터치스크린부(76)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5.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수단은,
    상기 특정 공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에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비콘 센서(Beacon Sensor)(80)들과;
    상기 비콘 센서(80)들로부터 무선 전송된 비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의 현재 위치를 X,Y,Z의 3차원 좌표로 산출하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의 3차원 위치정보 인식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16.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70)는,
    스마트 폰이며, 무선 인터넷,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로봇 공조장치의 제어부(40)와 서로 무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조장치.
KR1020160062734A 2016-05-23 2016-05-23 로봇 공조장치 KR10241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734A KR102413687B1 (ko) 2016-05-23 2016-05-23 로봇 공조장치
CN201780003905.6A CN108291736B (zh) 2016-05-23 2017-05-19 可移动空气调节装置
US15/772,595 US10704799B2 (en) 2016-05-23 2017-05-19 Moveable air conditioner
PCT/KR2017/005257 WO2017204499A1 (ko) 2016-05-23 2017-05-19 이동형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734A KR102413687B1 (ko) 2016-05-23 2016-05-23 로봇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78A true KR20170132378A (ko) 2017-12-04
KR102413687B1 KR102413687B1 (ko) 2022-06-28

Family

ID=6092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734A KR102413687B1 (ko) 2016-05-23 2016-05-23 로봇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285A1 (ko) * 2018-01-11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20200069948A (ko) * 2018-12-07 2020-06-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흐름 제어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200087030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2245627B1 (ko) * 2021-03-26 2021-04-29 주식회사 지안파크 가변형 벤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800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99296A (ko) * 2008-03-17 2009-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원감지장치와 이를 갖는 가전기기 및 그 열원감지방법
JP2015164844A (ja) * 2013-05-17 2015-09-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装置、湿度算出方法、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800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99296A (ko) * 2008-03-17 2009-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원감지장치와 이를 갖는 가전기기 및 그 열원감지방법
JP2015164844A (ja) * 2013-05-17 2015-09-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装置、湿度算出方法、および、制御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285A1 (ko) * 2018-01-11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20190085776A (ko) * 2018-01-11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실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US11333373B2 (en) 2018-01-11 2022-05-1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robo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069948A (ko) * 2018-12-07 2020-06-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흐름 제어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20200087030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2245627B1 (ko) * 2021-03-26 2021-04-29 주식회사 지안파크 가변형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687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1736B (zh) 可移动空气调节装置
CN107013978B (zh) 空调室内机及其送风方法
KR102413687B1 (ko) 로봇 공조장치
CN107525237B (zh) 一种智能空调器控制方法及智能空调器
CN101191652B (zh) 空调器和控制该空调器的气流的方法
CN104501359B (zh) 空调器控制方法和系统
US9213342B2 (en) Wireless control of a heating or cooling unit
KR20140031081A (ko) 공기 조화기
CN112161384B (zh) 空调新风控制方法、系统及空调器
CN105485852B (zh) 基于体表温度的空调控制方法及装置
US20220170659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ir conditioner, and machine learning device
US9625170B2 (en) Efficient combination of ambient air and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
KR20160087565A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332376A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7969143B (zh) 判定支援装置、判定支援方法以及记录介质
KR102462249B1 (ko) 이동형 공조장치
CN108332350A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337958B1 (ko) 이동형 공조장치
JP2014016173A (ja) 空気調和機
KR20150117404A (ko) 공기조화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981851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8007572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725609B (zh) 一种智能空调系统
KR2020013670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6645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