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075A -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075A
KR20170131075A KR1020160062248A KR20160062248A KR20170131075A KR 20170131075 A KR20170131075 A KR 20170131075A KR 1020160062248 A KR1020160062248 A KR 1020160062248A KR 20160062248 A KR20160062248 A KR 20160062248A KR 20170131075 A KR20170131075 A KR 20170131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supply pipe
temperature
grou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920B1 (ko
Inventor
엄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로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to KR102016006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9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valve at the water heating container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47J31/545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외부의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밸브; 상기 온수보일러에서 용수가 가열된 온수의 온도와 상기 그룹헤드 내에서 상기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바이패스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압력조절에 의해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추출할 수 있고, 에스프레소 뿐만 아니라 여과식인 드립식 커피를 재현할 수 있어 식음자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가 PID 제어를 통해 온수보일러 내의 제1히터와 그룹헤드 내의 제2히터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 내의 온수의 온도와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Group head heating system of espresso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및 업소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를 가열하여 온수가 공급되는 동안 손실되는 열을 복구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커피 음료는 크게 인스턴트 커피와 원두 커피로 구분된다
그리고, 원두 커피는 근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스프레소란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말하며,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여과법과 달임법, 우려내기, 가압추출법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여과법인 드립(Drip)식 커피와 가압추출법인 에스프레소 커피이다.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포타필터, porta filter)와 커피 원두에 온수를 제공하는 보일러 및 펌프로 구성되며, 종래의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용, 가정용 등 사용 목적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종래에 공지된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13-0024375호(2013.03.08.)에서는 필터 홀더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포터필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온수 및 스팀을 보유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온수 공급기와, 상기 필터 홀더 및 상기 온수 공급기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 공급기로부터 상기 포터필터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1온수라인과, 상기 보일러의 내부에서 상기 온수 공급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수 공급기 및 상기 물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된 냉수를 상기 보일러에 의해 열교환하여 상기 온수 공급기로 온수를 공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물 공급부에서 상기 열 교환기로 연결되어 상기 열 교환기 내에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라인과, 상기 열 교환기에서 상기 온수 공급기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열 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된 온수를 상기 온수 공급기에 항상 공급되도록 하는 제2온수라인을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일정한 온도에 일정한 압력으로 추출되는 커피만을 제공하였는데, 커피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커피 식음자들은 에스프레소 뿐만 아니라 여과식의 커피도 선호하게 되었으나, 여과식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일정한 온도에 일정한 압력으로 추출되기에 커피 본연에서 나오는 다양한 맛을 원하는 커피 식음자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열손실에 의해 온수 공급기 내에서의 온도보다 낮아져 양질의 커피를 추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의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압력조절에 의해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여과식인 드립식 커피를 재현하도록 해 식음자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가 PID 제어를 통해 온수보일러 내의 제1히터와 그룹헤드 내의 제2히터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 내의 온수가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동안 손실되는 열을 복구시켜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그룹헤드를 가열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외부의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밸브; 상기 온수보일러에서 용수가 가열된 온수의 온도와 상기 그룹헤드 내에서 상기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바이패스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상기 그룹헤드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온수공급관에서 분기되는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수용하는 배수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관에서 분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하여 온수의 일부를 상기 배수트레이로 유도하는 가변압용퇴수관과, 상기 가변압용퇴수관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제2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에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용수를 상기 온수보일러로 공급하는 용수공급펌프와, 상기 공급관에서 분기되는 회귀배관 상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내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용수를 다시 상기 물탱크로 회귀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압력조절에 의해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추출할 수 있고, 에스프레소 뿐만 아니라 여과식인 드립식 커피를 재현할 수 있어 식음자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제어부가 PID 제어를 통해 온수보일러 내의 제1히터와 그룹헤드 내의 제2히터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 내의 온수의 온도와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의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바이패스밸브를 2웨이로 구성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가변압용퇴수관을 온수공급관에서 분기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가변압용퇴수관 상에 제2바이패스밸브를 구성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가변압용퇴수관 상에 제2바이패스밸브를 2웨이로 구성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에스프레소 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요소로서는 커피 원두의 종류와 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 및 커피 원두를 분쇄한 입자의 크기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요소들 외에도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때의 온수의 온도 및 추출압력 역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온수의 온도 및 추출압력을 사용자 또는 식음자의 기호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0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온수보일러(110)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보일러(11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의 물탱크(WT)와 공급관(11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112)을 통해 상기 물탱크(WT)로부터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용수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물탱크(WT)에는 상기 온수보일러(110)로 공급되는 용수가 저장되며, 그 내부에는 수용되는 용수의 수위에 따라 외부에서 입수관(미도시)을 통해 인입되는 용수를 차단하는 부구밸브(11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보일러(110)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WT)로부터 공급받은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제1히터(114)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보일러(110)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에서 상기 제1히터(114)에 의해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1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센서(151)가 측정한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의 온도는 후술되는 제어부(160)로 전송된다.
상기 온수보일러(110)에는 생성된 온수를 배출할 수 있는 온수배출관(117)이 연결되는데, 상기 온수배출관(117) 상에는 온수배출밸브(115)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적인 개폐에 따라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물탱크(WT)에 수용된 용수는 상기 공급관(112)에 구비되는 용수공급펌프(116)에 의해 상기 온수보일러(110)로 공급되며, 상기 공급관(112)에는 상기 공급관(112)과 분기되는 회귀배관(118)이 구비되며, 상기 회귀배관(118)은 상기 공급관(112)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다시 물탱크(WT)로 회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귀배관(118) 상에는 릴리프밸브(190)가 구비되는데 상기 릴리프밸브(190)는 상기 공급관(112)의 내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용수를 다시 상기 물탱크(WT)로 회귀시켜 상기 공급관(112)의 내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온수보일러(110)와 온수공급관(132)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를 공급받는 그룹헤드(130)가 구비되고, 상기 그룹헤드(130)에는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포타필터(120)가 탈부착되며, 상기 포타필터(120)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는 추출구(122)가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룹헤드(130)는 상기 온수보일러(110)와 온수공급관(132)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132)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120)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한다. 상기 그룹헤드(130)의 내부에는 제2히터(134)가 구비되며, 상기 제2히터(134)는 상기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를 식음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재가열하여 식음자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온도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그룹헤드(130) 내에는 상기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1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센서(152)가 측정한 온도는 제어부(16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의 온도 및 상기 그룹헤드(130)를 통해 상기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와 제1센서(151) 및 제2센서(152)가 측정한 온도를 비교하여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와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히터(114) 및 제2히터(134)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60)가 PID 제어를 통해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의 온도와 상기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설정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그룹헤드(130)로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를 공급하는 상기 온수공급관(132) 상에는 바이패스밸브(140)가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밸브(1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온수공급관(132)으로 공급되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바이패스밸브(140)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60)가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공급관(132) 상에는 상기 온수공급관(132)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1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보일러(110)와 상기 그룹헤드(130)에는 센서부(150)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의 온도와 상기 그룹헤드(130) 내에서 상기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에는 제1센서(151)가 구비되고 상기 그룹헤드(130) 내에는 제2센서(1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센서(151)와 상기 제2센서(152)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는 상기 제어부(16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51) 및 제2센서(152)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한 후 상기 센서부(150)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히터(114) 및 제2히터(134)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룹헤드(130)의 하부에는 배수트레이(170)가 위치하며, 상기 배수트레이(170)로는 상기 온수공급관(132)에서 분기되는 잔수배출관(172)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가 수용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공급관(132)에서 가변압용퇴수관(174)이 분기되는데, 상기 가변압용퇴수관(174)은 상기 그룹헤드(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내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그룹헤드(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트레이(170)로 배출한다.
상기 가변압용퇴수관(174) 상에는 제2바이패스밸브(18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18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그룹헤드(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180) 역시 그 동작은 상기 제어부(160)가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밸브(140) 및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180)는 상기 제어부(160)가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60)가 아닌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바이패스밸브(180)의 위치는 상기 온수공급관(132)과 상기 가변압용퇴수관(174) 상에 어디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탱크(WT)에 수용된 용수는 용수공급펌프(116)의 구동에 의해 공급관(112)을 통해 온수보일러(11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관(112)에는 회귀배관(18)이 분기되며, 상기 공급관(112)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설정 압력이상으로 공급되면 상기 회귀배관(118) 상에 구비되는 릴리프밸브(190)가 개방되어 상기 공급관(112)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일부를 다시 물탱크(WT)로 회귀시켜 상기 공급관(112)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로 공급된 용수는 제1히터(114)에 의해 가열되면서 온수로 생성되며, 생성된 온수는 온수공급관(132)을 통해 상기 그룹헤드(130)를 거쳐 커피분말이 수용된 포터필터(120)로 공급된다.
이때 온수는 상기 온수보일러(110)에서 생성된 압력에 의해 고압으로 공급되는데, 온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잔수배출관(172) 및 가변압용퇴수관(174)을 온수공급관(134)에서 분기시켜 미리 설정된 압력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압력으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바이패스밸브(140) 및 제2바이패스밸브(180)가 개방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배수트레이(170)로 배수하여 온수공급관(132) 내의 압력이 조절된다.
상기 온수보일러(110)와 상기 그룹헤드(130) 내에는 각각 제1센서(151)와 제2센서(152)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의 온도와 그룹헤드(130)를 통해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제1센서(151) 및 제2센서(152)가 측정한 온도 정보와 사정자가 설정한 온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1센서(151) 및 제2센서(152)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PID 제어를 통해 온도보일러(110) 내의 제1히터(114)와 그룹헤드(130) 내의 제2히터(134)를 동작시켜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를 상기 포터필터(120)로 공급한다.
따라서, 포터필터(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압력조절에 의해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추출할 수 있고, 에스프레소 뿐만 아니라 여과식인 드립식 커피를 재현할 수 있어 식음자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160)가 PID 제어를 통해 온수보일러(110) 내의 제1히터(114)와 그룹헤드(130) 내의 제2히터(134)를 동작시켜 온수보일러(110) 내의 온수의 온도와 포터필터(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온수보일러
112 : 공급관 114 : 제1히터
116 : 용수공급펌프 118 : 회귀배관
120 : 포타필터 122 : 추출구
130 : 그룹헤드 132 : 온수공급관
134 : 제2히터 140 : 바이패스밸브
150 : 센서부 160 : 제어부
170 : 배수트레이 172 : 잔수배출관
174 : 가변압용퇴수관 180 : 제2바이패스밸브
190 : 릴리프밸브

Claims (4)

  1.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외부의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밸브;
    상기 온수보일러에서 용수가 가열된 온수의 온도와 상기 그룹헤드 내에서 상기 포터필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바이패스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히터 및 제2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룹헤드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온수공급관에서 분기되는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수용하는 배수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3.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관에서 분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하여 온수의 일부를 상기 배수트레이로 유도하는 가변압용퇴수관과,
    상기 가변압용퇴수관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제2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용수를 상기 온수보일러로 공급하는 용수공급펌프와,
    상기 공급관에서 분기되는 회귀배관 상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내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용수를 다시 상기 물탱크로 회귀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를 더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KR1020160062248A 2016-05-20 2016-05-20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KR10190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48A KR101900920B1 (ko) 2016-05-20 2016-05-20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48A KR101900920B1 (ko) 2016-05-20 2016-05-20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75A true KR20170131075A (ko) 2017-11-29
KR101900920B1 KR101900920B1 (ko) 2018-11-08

Family

ID=6081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248A KR101900920B1 (ko) 2016-05-20 2016-05-20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69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후로웰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CN110833330A (zh) * 2018-08-16 2020-02-25 Cup&Cino咖啡系统销售有限两合公司 用于制备热饮品的咖啡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1466A (zh) * 2019-08-01 2019-11-19 杭州为我健康新零售科技有限公司 饮料机温控系统
KR102579591B1 (ko) * 2021-10-06 2023-09-18 오비오주식회사 드립커피 머신을 위한 급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41B1 (ko) * 2002-09-18 2004-12-23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7283B1 (ko) * 2013-04-05 2014-06-13 엄용회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69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후로웰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CN110833330A (zh) * 2018-08-16 2020-02-25 Cup&Cino咖啡系统销售有限两合公司 用于制备热饮品的咖啡机
EP3610763B1 (de) 2018-08-16 2021-04-07 CUP&CINO Kaffeesystem-Vertrieb GmbH & Co. KG Kaffee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heissgeträ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920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283B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KR101839026B1 (ko)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 및 머신
KR101900920B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 가열 시스템
KR101392410B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AU2008202438B2 (en) Espresso machine
AU2018232564B2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from a capsule with prewetting
CN108125564B (zh) 一种咖啡机
JP2013508056A5 (ko)
JP2005509477A (ja) コーヒーマシン
JP6593723B1 (ja) 電気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070510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070509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161569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KR100619157B1 (ko) 녹차 메이커
KR20200009097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커피머신 관리 시스템
KR101665307B1 (ko) 지적장애인용 커피 머신
CN215127359U (zh) 一种饱和式咖啡机冲煮头
TW201330809A (zh) 以礦泉水萃取咖啡或茶葉之方法及裝置
JP7401777B2 (ja) 成分抽出式飲料製造装置
RU2775729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капсулы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м смачиванием
DE102014011209A1 (de) Kaffeemaschine zum Zubereiten von Kaffee
KR20240033913A (ko) 커피 머신
KR20220108993A (ko) 추출단계별 수온조절 기능이 있는 자동 커피 드립 장치
KR101297554B1 (ko) 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