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020A -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020A
KR20170131020A KR1020160062126A KR20160062126A KR20170131020A KR 20170131020 A KR20170131020 A KR 20170131020A KR 1020160062126 A KR1020160062126 A KR 1020160062126A KR 20160062126 A KR20160062126 A KR 20160062126A KR 20170131020 A KR20170131020 A KR 2017013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drum
pressing roller
chamber
rubber pressing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939B1 (ko
Inventor
남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기공
Priority to KR102016006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03C1/1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챔버의 공간부 일측에서 챔버의 양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과, 챔버의 일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제1 스프라킷에 물리는 제1 피니언기어와, 챔버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챔버의 타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달라 붙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고무압착롤러와,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제2 스프라킷과 물려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있어 상기 챔버의 일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세퍼레이터{Magnetic Separator}
본 발명은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류의 기계 가공에 요구되는 폐윤활유에 포함된 금속 및 비금속성 분말의 슬러지를 분리하여 폐윤활유를 재사용하기 위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 방전, 호닝 등과 같은 기계가공은 금속을 절삭형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계가공시에는 그 가공 부위에서 필연적으로 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열 감소 및 냉각을 위해 윤활유 또는 냉각수 등의 연삭액을 연속적으로 가공 부위에 분사하여 공급하여야만 한다.
한편, 기계가공에 사용되고 난 연삭액에는 금속성(쇳가루) 또는 비금속성(숯돌가루)의 슬러지들이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연삭애의 재사용시에는 자석 및 분리기를 통하여 금속성 슬러지들을 연삭액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그넷 세퍼레이터는 탱크(1)로 유입된 폐윤활유(6)에 포함된 슬러지(7)를 회전하는 회전드럼(2)을 통하여 분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회전드럼(2) 내부에 설치된 자석(3)은 회전드럼(2)의 내부 모든 구역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회전드럼(2)과 함께 회전되는 관계로, 회전드럼(2)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7)를 회전드럼(2)으로부터 분리하는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자석(3)이 통째로 회전드럼(2)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마찰열 발생과 함께 제품 소모가 빨라져 부품의 교체 시기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상기 회전드럼(2)의 상부 방향에서 회전드럼(2)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7)를 압착하는 압착롤러(4)가 구성되어 있지만, 압착 세기를 조절할 수 없는 관계로, 회전드럼(2)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7)의 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에는 슬러지(7)에 포함된 기름 성분이나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기름 성분으로 인한 압착롤러(4)와 슬러지(7) 간의 미끄러짐 문제도 여전하다.
이처럼, 슬러지(7)에 포함된 기름이나 수분의 제거가 효율적이지 못한 관계로, 압착롤러(4)를 통과한 슬러지(7)는 잔존하는 기름 성분으로 인하여 그 응집력 정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아 회전드럼(2)의 표면에서 일부가 덩어리 채로 부착되어 그 주변의 미관까지 훼손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슬러지(7)에 포함된 기름이나 수분의 제거가 비효율적인 관계로, 폐윤활유(6)의 재활용율도 낮을 수밖에 없고, 이는 곧 윤활유(6)의 구매를 앞당기는 결과를 초래하여 정밀 기계 가공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까지 증가시키는 문제를 낳고 있다.
한편, 하기에 개시된 특허문헌들은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관한 기술로서, 상기의 기존 세퍼레이터의 문제점으로 제시된 자석 설치로 인한 슬러지의 분리 문제를 해소하는 진일보된 기술이다.
이러한 하기의 특허문헌들은 자석의 설치 패턴에 대한 자석의 설계 부분에 대하여 진일보된 기술이긴 하지만, 회전드럼의 상부 방향에서 회전드럼에 부착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롤러의 압착 세기를 제어하며 조절할 수 없는 관계로, 기존 세퍼레이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풀어야할 한계적 기술일 수밖에 없다.
즉, 회전드럼에 부착되는 슬러지의 량은 상황에 따라 다른 관계로, 상대적으로 슬러지의 량이 적을 경우에는 압착롤러의 압착력을 제어할 수 없어 압착롤러의 미끄러짐 현상이나, 슬러지에 포함된 기름이나 수분 성분의 제거율이 높지 않은 점이나, 슬러지의 엉김 현상들이 여전할 수밖에 없다.
특허문헌 001 등록실용신안 제20-0463969호 특허문헌 002 등록특허 제10-1093278호 특허문헌 003 등록특허 제10-0556528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의 정밀 기계 가공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폐윤활유나 폐냉각수에 포함된 슬러지(금속 및 비금속성 가루)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의 공간부 일측에서 챔버의 양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과, 챔버의 일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제1 스프라킷에 물리는 제1 피니언기어와, 챔버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챔버의 타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달라 붙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고무압착롤러와,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제2 스프라킷과 물려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챔버의 양 벽체 내측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양측 축과 연결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압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제어블록, 상기 제어블록에서부터 상기 고정블록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볼트,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제어블로의 이격 사이로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단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제어블록의 하부에 걸린 채 상기 스터드볼트를 수용하여 상기 제어블록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스터드볼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어블록의 높낮이를 제어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압과 함께 고무압착롤러의 슬러지 압착 압력을 조절 제어하는 압력바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회전드럼은, 그 내부에서 회전드럼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자석들이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의 표면으로 폐윤활유에 포함된 슬러지의 부착을 유도하되, 특정 구간에는 자석이 없는 빈 구역으로 형성되어 회전드럼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에 대한 자력 상실을 회전드럼의 원심력과 함께 유도하는 마그네팃 세퍼레이터에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는, 희토류 마그넷의 강력한 자기에너지와 고무롤러를 강제 구동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폐윤활유나 폐냉각수의 재활용 생산성 향상은 물론,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 제거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는, 폐윤활유나 폐냉각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에 포함된 기름이나 수분의 제거율이 탁월함에 따라 슬러지의 엉김력 저하와 함께 회전드럼의 원심력과 더불어 자력 상실 구간의 조합에 슬러지를 압착하는 고무압착롤러의 압착 제어를 더하여 줌에 따라 회전드럼으로부터의 슬러지 분리가 용이하며, 이로 인한 슬러지의 분리 주변이 말끔해지는 미관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는, 미관이 심플하며, 부품 간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고, 챔버의 상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챔버 내부에 위치한 구동 부품으로의 분진이나 먼저 유입을 차단하여 청결한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는, 고무압착롤러의 강제 구동 방식 설계로 인하여, 유성 액체 사용시 미끄럼 방지와 함께, 슬러지의 수분 제거율 80%이상 실현할 수 있음에 따라, 폐윤활유나 폐냉각수의 재활용율이 제고되어 금속 정밀 기계 가공 과정에서 소모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모식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그네틱 세퍼레터의 챔버 상부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챔버 내부 상태 파악을 위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챔버 내부 상태 파악을 위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챔버 내부 상태 파악을 위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정면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틱 세퍼레터의 챔버 내부에 설치된 회전드럼을 단독으로 도시한 정면 및 측면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챔버 내부에 설치된 고무압착롤러를 단독으로 도시한 정면 및 그 주변 부위의 구성품까지 연계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2와 3 및 도 8에 도시된 고무압착롤러의 압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 개시되는 폐윤활유(200)는 폐냉각수(200)로도 대체 가능함을 밝혀두는 것을 전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는, 챔버(100)로 구성되는바, 이러한 상기 챔버(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01)를 형성하기 위한 박스형의 벽체(W), 상기 벽체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103), 상기 벽체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가이드찬넬(104), 상기 벽체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110)의 구성품들로 그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개폐커버(103) 상에는 개폐 편리를 위해 손잡이(103a)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개폐커버(103)의 개폐 시에 개폐커버(103) 간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경첩(103b)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챔버(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구성품들의 경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0)의 박스형 벽체(W)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공간부(101)의 일부에는 금속의 기계 가공에 사용된 폐윤활유(200)를 확보하고 있으며, 상기 공간부(101)의 다른 일부인 벽체(W) 내부 전방쪽 부근으로 벽체(W) 외부에 구성된 모터(1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130), 상기 회전드럼보다 상부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전드럼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압착하는 고무압착롤러(150), 상기 고무압착롤러(150)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압착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의 회전드럼(130), 고무압착롤러(150), 제어부(170)는 배출가이드찬넬(104)이 위치된 박스형 벽체(W)의 내부 전방쪽에 구성된다.
상기 모터(110)의 동력을 상기 회전드럼(13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110)의 축에 연결되는 제1 피니언기어(120)가 상기 회전드럼(130)의 일측 축단에 형성된 제1 스프라킷(131)과 물리는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1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드럼(1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고무압착롤러(150)를 회전시킬 수 있는바, 이는 상기 회전드럼(130)의 타측 축단에 형성된 제2 스프라킷(132)이 상기 고무압착롤러(150)의 타측 축단에 형성된 제2 피니언기어(160)와 물리는 구조에 의해 상기 고무압착롤러(15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드럼(130)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다수의 자석(140)들이 원 형태로 정렬되어 고정되는바, 특정 구간에서는 상기 자석(140)들이 없는 빈 구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드럼(130)의 표면에는 도 9에서와 같이 폐윤활유(200)에 포함된 슬러지(300, 금속 및 비금속체 가루)들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지만, 자석(140)이 없는 빈 구역(ST)에서 회전드럼(130)의 원심력과 더불어 자력 상실로 인하여 슬러지(300)들이 자동적으로 떨어지면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140)은 희토류 마그넷 자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드럼(130)은 회전되지만,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서 원 형태로 정렬된 다수의 자석(140)들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석(140)의 고정은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40)을 고정하는 파이프(부호미표기)가 회전드럼(13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회전드럼(130)의 유연한 회전을 위해 회전드럼의 양측 축에는 베어링의 연결 구성까지 고려되며, 회전드럼(130)의 양측단에 제1,2 스프라킷(131,132)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무압착롤러(150)는 그 타측 축단에 구성된 제2 피니언기어(160)가 상기 회전드럼(130)의 제2 스프라킷(132)과 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특히, 도 2를 참고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130)의 일측 축과 상기 제2 피니언기어(160)의 축에 연결되는 제어부(170)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130)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70)는 챔버(100)의 박스형 벽체(W)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바, 박스형 벽체(W)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록(171), 상기 고정블록(171)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된 위치에 구성된 제어블록(172), 상기 제어블록에서부터 상기 고정블록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삽입된 스터드볼트(174), 상기 스터드볼트의 상단에 구성되어 회전 방식에 의해 상기 제어블록의 제어 거리를 조절하는 압력바(173), 상기 제어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상기 스터드볼트를 에워싸는 형태로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의 하단에 걸림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블록의 하부에 걸림되는 코일스프링(175)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고정블록(171)은 박스형 벽체(W)의 내부 양측단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견고히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고정블록(171)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블록(17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어블록(172)은 고무압착롤러(150)의 타측 축단 및 일측의 제2 피니언기어(160) 축단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압력바(73)는 상기 제어블록(172)의 상단에 위치되어 회전 시에는 상기 스터드볼트(174)를 조이는 역할로서 제어블록(172)의 고정블록(171) 이격 거리를 단축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 제어블록(172)의 이격 거리 단축 시에 상기 코일스프링(175)은 압축된다. 반대로 상기 압력바(73)의 회전 역 방향 회전 시에는 상기 스터드볼트(174)를 풀어주는 역할로서 제어블록(172)의 고정블록(171) 이격 거리를 늘리며, 상기 코일스프링(175)은 탄성에 의해 이완된다.
따라서, 제어부(170)의 압력바(175) 회전 조절에 따라 종국에는 제어블록(172)에 축이 연결된 고무압착롤러(150) 또한 상기 회전드럼(130)과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방식으로 고무압착롤러(150)의 슬러지 압착력을 조절하며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의 작동 관계를 후술하기로 한다.
챔버(100)의 벽체(W) 내 공간부(101)를 통하여 유입된 폐윤활유(200)에 포함된 슬러지(300)를 분리하기 위한 작동으로 모터(110)의 구동에 따라 제1 피니언기어(120)의 회전에 의해 제1 피니언기어(120)에 물리는 제1 스프라킷(131)에 의해 회전드럼(130)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드럼(130)은 폐윤활유(200)에 담기어지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폐윤활유(200)에 함유된 슬러지(300)가 회전드럼(130)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이러한 회전드럼(130) 표면으로 슬러지(300)의 부착은 회전드럼(130)의 내부에 설치 고정 상태에 있는 다수의 자석(140)에 이끌린 자력에 기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드럼(130)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300)는 회전드럼(130)의 상부에서 회전드럼(130)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고무압착롤러(150)의 압착에 의해 슬러지(300)에 포함된 수분을 짜내어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고무압착롤러(150)는 상기 회전드럼(130)의 타측 축단에 형성된 제2 스프라킷(132)과 물리는 제2 피니언기어(160)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피니언기어(160)는 상기 고무압착롤러(150)의 타측 축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고무압착롤러(150)는 상기 회전드럼(130)의 표면에 부착되는 슬러지(300)의 양에 따라 그 압착력을 조절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고무압착롤러(150)의 양측 부근에 구성된 제어부(17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고무압착롤러(150)의 일측 축단 및 상기 고무압착롤러(150)의 타측 축단에 형성된 제2 피니언기어(160)의 축단은, 상기 제어부(170)의 고정블록(171) 상에 위치한 제어블록(172)에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제어블록(172)의 상단에 구비된 압력바(173)를 회전시켜 돌리게 되면, 스터드볼트(174)가 상기 고정블록(171)에서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어블록(172)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고정블록(171)과의 이격 거리를 단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어블록(172)의 이격 거리 단축 과정에서 제어블록(172)과 고정블록(171)의 사이에 개시된 코일스프링(175)도 압축된다.
이처럼, 제어블록(172)의 이격 거리 단축으로 인하여 상기 제어블록(172)에 양측 축단이 연결된 고무압착롤러(150)의 위치도 변경되는데, 이러한 고무압착롤러(150)의 위치는 회전드럼(130)과의 이격 거리가 더 단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고무압착롤러(150)는 회전드럼(130)과의 이격 거리가 더욱 단축된 상태로 슬러지(150)를 압착하는 관계로 슬러지(150)에 포함된 수분의 제거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밖에 없으며, 폐윤활유(200)의 기름 성분으로 인한 미끄러짐과 같은 문제도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고무압착롤러(150)는 회전드럼(130)의 표면에 부착되는 슬러지의 양 정도에 따라 제어부(170)의 작동 조절로 압착 조절이 가능하고, 이러한 고무압착롤러(150)의 압착 조절 제어로 인하여 슬러지(300)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름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기름 성분으로 고무압착롤러(150)의 미끄러지는 문제도 방지된다.
이때, 슬러지(300)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름 성분의 제거는 거의 80% 수준에 육박하게 되며, 고무압착롤러(150)의 압착을 통과한 슬러지(300)는 대부분의 수분이나 기름 성분이 제거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슬러지의 개별 입자 간에 대한 응집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회전드럼(130)의 원심력과 더불어 자석(140)이 없는 빈 구간(ST)에서의 자력 상실로 인하여 슬러지는 회전드럼(130)의 표면에서부터 분리되면서 낙하되어 배출가이드찬넬(10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슬러지가 분리된 폐윤활유(200)는 다시 금속의 기계 가공에 재활용되면서 사용화될 수 있다.
챔버(100) 공간부(101)
개폐커버(103) 배출가이드찬넬(104)
모터(110)
제1 피니언기어(120) 회전드럼(130)
제1,2 스프라킷(131, 132) 자석(140)
고무압착롤러(150) 제2 피니언기어(160)
제어부(170) 고정블록(171)
제어블록(172) 압력바(173)
스터드볼트(174) 코일스프링(175)
벽체(W), 손잡이(103a), 경첩(103b), 윤활유(200), 슬러지(300)

Claims (3)

  1. 챔버의 공간부 일측에서 챔버의 양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과, 챔버의 일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제1 스프라킷에 물리는 제1 피니언기어와, 챔버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챔버의 타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달라 붙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고무압착롤러와,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제2 스프라킷과 물려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측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챔버의 양 벽체 내측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양측 축과 연결되어 상기 고무압착롤러의 압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제어블록;
    상기 제어블록에서부터 상기 고정블록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스터드볼트;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제어블로의 이격 사이로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의 상단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제어블록의 하부에 걸린 채 상기 스터드볼트를 수용하여 상기 제어블록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스터드볼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어블록의 높낮이를 제어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압과 함께 고무압착롤러의 슬러지 압착 압력을 조절 제어하는 압력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그 내부에서 회전드럼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자석들이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의 표면으로 폐윤활유에 포함된 슬러지의 부착을 유도하되, 특정 구간에는 자석이 없는 빈 구역으로 형성되어 회전드럼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에 대한 자력 상실을 회전드럼의 원심력과 함께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팃 세퍼레이터.
KR1020160062126A 2016-05-20 2016-05-20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KR10186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26A KR101866939B1 (ko) 2016-05-20 2016-05-20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26A KR101866939B1 (ko) 2016-05-20 2016-05-20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20A true KR20170131020A (ko) 2017-11-29
KR101866939B1 KR101866939B1 (ko) 2018-06-12

Family

ID=6081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26A KR101866939B1 (ko) 2016-05-20 2016-05-20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63U (ko) 2022-08-18 2024-02-27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28B1 (ko) 2005-12-01 2006-03-06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2중 마그네틱롤러형 세퍼레이터
KR101093278B1 (ko) 2010-04-12 2011-12-14 강수동 자석 칩 분리기
KR101137604B1 (ko) * 2011-04-12 2012-05-30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계면전기현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KR200463969Y1 (ko) 2012-03-21 2012-12-04 강수동 마그네틱 칩 분리기
KR20140063981A (ko) * 2012-11-19 2014-05-28 강수동 연삭액 칩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28B1 (ko) 2005-12-01 2006-03-06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2중 마그네틱롤러형 세퍼레이터
KR101093278B1 (ko) 2010-04-12 2011-12-14 강수동 자석 칩 분리기
KR101137604B1 (ko) * 2011-04-12 2012-05-30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계면전기현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KR200463969Y1 (ko) 2012-03-21 2012-12-04 강수동 마그네틱 칩 분리기
KR20140063981A (ko) * 2012-11-19 2014-05-28 강수동 연삭액 칩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939B1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640051T3 (pl) Separator ciał stałych-cieczy
US6832691B2 (en) Magnetic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KR101866939B1 (ko) 마그네틱 세퍼레이터
CN202876956U (zh) 脱油机
CN103230949A (zh) 轧后乳化液磁性预处理装置
CN202808556U (zh) 离心式污泥脱水装置
CN105057093B (zh) 一种强磁电磁中心除铁器
CN211677981U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设备
KR101426613B1 (ko) 연삭액 칩 분리장치
CN207856388U (zh) 压力冲击自旋转油气分离器
JPS6323962Y2 (ko)
CN214021365U (zh) 一种用于油液处理的磁性分离器
CN108014919A (zh) 一种磁性分离器与纸带过滤一体机
CN209078503U (zh) 一种滚筒式除锈装置
RU96504U1 (ru) Установк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поля
CN212523457U (zh) 一种冶金废气处理装置
CN110340083B (zh) 一种管道清理机构
CN204017965U (zh) 一种振动破碎机
CN205815915U (zh) 一种甘蔗辊式除铁器
CN210304154U (zh) 一种多功能离心机
CN210549346U (zh) 对辊式干法造粒机轴承快速拆装工具
CN206082679U (zh) 一种粉碎机自动清理装置
CN211914153U (zh) 一种水利工程固废处理设备
CN216320400U (zh) 一种去除废润滑油中杂质的过滤旋流分离装置
CN205201322U (zh) 一种2Cr13无心磨床的铁屑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