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012A - 판재 직각연결구 - Google Patents

판재 직각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012A
KR20170131012A KR1020160062096A KR20160062096A KR20170131012A KR 20170131012 A KR20170131012 A KR 20170131012A KR 1020160062096 A KR1020160062096 A KR 1020160062096A KR 20160062096 A KR20160062096 A KR 20160062096A KR 20170131012 A KR20170131012 A KR 2017013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ngaging
supporting
coupling element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585B1 (ko
Inventor
박소희
전병문
Original Assignee
박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희 filed Critical 박소희
Priority to KR102016006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58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1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를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재의 서로 다른 두께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된 상태의 고정을 판재에 훼손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연결고정이 견고하게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 직각연결구{A partition connector}
본 발명은 판재를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재의 서로 다른 두께를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된 상태의 고정을 판재에 훼손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연결고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판재의 직각연결을 위하여는 직각연결을 위한 기역(ㄱ)이나 니은(ㄴ)형태로 각각의 직교하는 면을 갖는 연결부속을 사용하여 상기 직교하는 각각의 면에 판재를 고정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연결부속은 판재를 상기 연결부속에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을 위하여는 반드시 연결부속과 판재가 나사나 볼트 등으로 연결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 판재에 구멍이 형성됨으로 재사용할 경우에 사용의 제한이 발생되는 것이고 판재에 손상을 입히게 됨으로 재사용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역(ㄱ)이나 니은(ㄴ)형태로 이루어진 각각의 연결부속을 각각의 직교하는 면으로 이루어지면서 면과 면 사이에 판재를 끼임가능토록 하기 위한 끼임홈을 구비하여 판재를 각각 직각으로 끼임 연결토록 함으로서 별도의 나사나 볼트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도 결국 연결부속에 끼임되어진 판재가 끼임홈에 끼임된 것만으로는 고정력이 떨어져 결국에는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을 하게 됨으로 실질적으로 판재에 손상을 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끼임홈을 구비하는 연결부속은 끼임홈의 규격에 의하여 판재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연결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연결을 위하여는 끼임홈의 내공간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각각의 연결부속을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금형의 투자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연결부속에 서로 다른 두께의 판재연결이 직각으로 연결이 가능하면서 연결부속과의 연결고정시 판재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연결된 판재의 고정이 견고하게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립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이나 제조가 용이토록 한 것이고 누구나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측과 후방으로 각각 결합요소와 암 결합요소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결합요소와 맞물림결합되는 숫결합요소가 구비되는 상하 작동체와 후방 암결합요소와 맞물림결합되는 숫결합요소가 구비되는 전후작동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상하작동체와 전후작동체는 작동되는 방향에서 볼트로 조임고정이 가능하게 조임홀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조임홀은 본체의 상측와 후방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요소와 암 결합요소에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맞물림되는 상측와 후방으로 각각 형성되는 본체의 결합요소와 암 결합요소는 간격조절을 위하여 상하로 이동될 경우에 이동의 용이성과 견고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요철면으로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결합요소에는 조임홀을 위하여 보강살이 구비되어지고, 후방으로 형성되는 암 결합요소에는 조임홀을 별도로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암결합요소와 전후작동체의 숫결합요소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유격방지를 위하여 또는 슬라이드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이드레일과 레일돌기가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본체에 2개의 작동체가 상하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판재의 두게에 따른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작동체가 본체에서 상하 전후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방향에서 조임요소로 조임토록 함으로서 조절된 가격의 고정에 의하여 다양한 판재의 직각연결이 가능하게 되고 조립이나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일 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판재가 이격공간에 끼임된 상태에서 조임요소로 조임고정된 일 실시 예
도3은 본 발명의 분해조립상태의 일 실시 예
도4는 본 발명의 이격공간에 판재가 끼임된 상태의 외관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일 실시 예
도6은 도2의 조임요소로 조임되기 이전의 일 실시 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a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면으로 노출면을 갖고 타측면으로는 2개의 작동체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의 본체(10)와 하나의 본체(1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2개의 작동체(20,30)는 상하 또는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2개의 작동체(20,30)로 구성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으로 노출면을 구비하고 대응되는 타측면으로는 상측으로 직립되는 결합요소(11)를 구비하고, 후방으로는 암결합요소(12)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요소(11)와 맞물림결합되는 맞물림결합요소(21)가 구비되는 상하 작동체(20)와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는 암결합요소(12)와 맞물림결합되는 숫결합요소(31)가 구비되는 전후작동체(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를 제조의 용이성과 원가절감을 위하여 본체(10)의 노출면의 대응되는 타측면에 형성되는 결합요소(11)는 상측으로 직립되게 돌출토록 하고, 후방 암결합요소(12)는 본체의 내측으로 내입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직립돌출되는 결합요소(11)의 전방으로는 판재를 고정토록 하는 지지면(14)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지지면(14)에 판재가 내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직립되게 돌출되는 결합요소(11)에 의하여 내측으로 판재가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요소(11)는 직립돌출되는 돌출부(11-1)의 좌우로 내입홈(11-2)을 구비토록 하여 상기 결합요소(11)에 결합되는 상하작동체(20)의 맞물림결합요소(21)의 결합이 긴밀하게 유지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요소(11)와 맞물림결합요소(21)는 서로 단턱면(11-3.21-1)을 구비토록 하여 밀착면을 크게 함으로서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합력을 증진토록 함은 물론 상하 슬라이드결합시 슬라이드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와 상하작동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면(14,22)에 의하여 지지되는 판재의 고정을 위한 조임요소(1)의 조임도 상하작동체(20)에는 조임홀(23)이 돌출토록 돌출부(24)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상하작동체(20)가 본체(10)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이격공간이 노출되지 않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된 암결합요소(12)에 결합되는 전후작동체(30)는 본체(10)의 암결합요소(12)에 결합토록 하기 위한 돌축(31)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돌축(31)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지면서 이격되어진 사이로는 조임홀(32)이 구비되어져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된 암결합요소(12)의 조임홀(13)과 연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본체(10)의 암 결합요소(12)에 구비되는 조임홀(13)은 암결합요소(12)의 보강을 위하여 중앙에 원형의 형태로 조임관(15)이 구비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조임관(15)을 중심으로 좌우로 암 결합요소가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암결합요소에 출입되는 돌축은 조임관의 외면과 밀착가능하면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전후작동체의 돌축(31)의 내측으로는 만곡면(31-1)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축(31)의 외측으로도 레일홈(31-2)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암결합요소(12)의 내벽으로도 레일홈(31-2)에 맞물리도록 레일(16)을 구비토록 하여 내벽의 보강은 물론 슬라이드의 용이성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견고성을 구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일홈과 레일에 의하여 암결합요소와 전후로 슬라이드될 경우에 용이한 슬라이드가 가능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합력을 증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하작동체(20)와 본체(10)의 각각의 지지면(14,22)에 의하여 판재가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판재와 직각으로 또 다른 판재를 연결할 경우에 전후 작동체(30)의 지지면(33)과 상하작동체(20)와 본체의 결합요소(11)와 맞물림결합요소(21)가 결합되어진 이면이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면(2)으로 활용되어지면서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판재를 직각으로 연결이 가능하면서도 연결된 상태에서의 견고한 고정도 조임홀을 통하여 조임요소로 조임고정토록 함으로서 판재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면(2)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체의 결합요소(11)의 돌출부는 보강벽(19)에서 상측으로 돌출토록 함으로서 보강벽(19)에 의하여 판재의 지지력이 증진토록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본체의 지지면(14)과 상하작동체의 지지면(22)은 물론 전후작동체의 지지면(33)은 모두 보강살(18,26,35)에 의한 내입골(17,25,34)이 구비토록 하여 저중량이면서도 판재의 고정을 위한 지지력을 우수하게 하는 것임은 물론 이러한 내입골(17,25,34)에 판재를 고정할 경우에 판재의 고정력을 증진토록 하기 위한 패킹(4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패킹(40)을 지지면(14,22,33)에 게재토록 할 경우에 내입골(17,25,34)에 패킹(40)의 고정이 가능한 돌부면(41)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고정력을 증진가능토록 하면서도 패킹(4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조임요소(1) 지지면(2)
본체(10) 결합요소(11)
돌출부(11-1) 내입홈(11-2)
단턱면(11-3) 암결합요소(12)
조임홀(13) 지지면(14)
조임관(15) 레일(16)
내입골(17) 보강살(18)
보강벽(19)
상하작동체(20) 맞물림결합요소(21)
단턱면(21-1) 지지면(22)
조임홀(23) 돌출부(24)
내입골(25) 보강살(26)
전후작동체(30) 돌축(31)
만곡면(31-1) 레일홈(31-2)
조임홀(32) 지지면(33)
내입골(34) 보강살(35)
패킹(40) 돌부면(41)

Claims (11)

  1. 일측면으로 노출면이 구비되고 대응되는 타측면으로는 상측으로 직립되는 지지면과 결합요소를 구비하고, 후방으로는 암결합요소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결합요소와 상하승강되게 맞물림결합되는 맞물림결합요소와 지지면이 구비되는 상하 작동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는 암결합요소에서 전후로 이동되게 맞물림결합되는 지지면과 숫결합요소가 구비되는 전후작동체로 이루어지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직립돌출되는 결합요소의 전방으로는 판재 고정을 위한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에 판재가 내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직립되게 돌출되는 결합요소에 의하여 내측으로 판재가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직립돌출되는 결합요소는 직립돌출되는 돌출부의 좌우로 내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요소와 맞물림 결합되는 상하작동체의 맞물림결합요소는 서로 단턱면을 구비토록 하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하작동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판재의 고정을 위한 조임요소의 조임은 상하작동체에는 조임홀이 돌출토록 돌출부로 구비토록 하여 상하작동체가 본체와 맞물림결합된 상태에서 이격공간이 노출되지 않게 되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된 암결합요소에 결합되는 전후작동체는 본체의 암결합요소에 결합토록 하기 위한 돌축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돌축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어지면서 이격되어진 사이로는 조임홀이 구비되어져 본체의 후방에 구비된 암결합요소의 조임홀과 연통되어지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암 결합요소에 구비되는 조임홀은 암결합요소의 보강을 위하여 중앙에 조임관이 구비되고, 상기 조임관을 중심으로 좌우로 구비된 암 결합요소에 출입되는 돌축은 조임관의 외면과 밀착가능하면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내측으로는 만곡면으로 구비되어지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축의 외측으로도 레일홈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암결합요소의 내벽으로도 레일홈에 맞물리도록 레일을 구비토록 하여 내벽의 보강은 물론 슬라이드의 용이성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견고성을 구비하게 되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체와 본체의 각각의 지지면에 의하여 판재가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판재와 직각으로 또 다른 판재를 연결할 경우에 전후 작동체의 지지면과 상하작동체와 본체의 결합요소와 맞물림결합요소가 결합되어진 이면이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면(2)으로 활용되어지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체의 결합요소의 돌출부는 보강벽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보강벽에 의하여 판재의 지지력이 증진토록 되는
  10. 제1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지지면과 상하작동체의 지지면은 물론 전후작동체의 지지면은 모두 보강살에 의한 내입골이 구비토록 하여 저중량이면서도 판재의 고정을 위한 지지력을 우수하게 하고 상기 내입골에 판재를 고정할 경우에 판재의 고정력을 증진토록 하기 위한 패킹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에는 내입골에 고정이 가능한 돌부면을 구비토록 하여 고정력을 증진과 패킹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KR1020160062096A 2016-05-20 2016-05-20 판재 직각연결구 KR10187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96A KR101872585B1 (ko) 2016-05-20 2016-05-20 판재 직각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96A KR101872585B1 (ko) 2016-05-20 2016-05-20 판재 직각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12A true KR20170131012A (ko) 2017-11-29
KR101872585B1 KR101872585B1 (ko) 2018-06-28

Family

ID=6081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96A KR101872585B1 (ko) 2016-05-20 2016-05-20 판재 직각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494A (zh) * 2020-04-30 2020-08-14 合肥余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组装式家具定位安装工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76Y1 (ko) * 1992-09-08 1995-09-13 박연종 클램프
JP2002039440A (ja) * 2000-07-26 2002-02-06 Komatsu Ltd クランプ装置
KR200358105Y1 (ko) * 2004-05-11 2004-08-05 김강득 유리판 고정구
KR20130019059A (ko) * 2011-08-16 2013-02-26 이옥순 발판과 작업대의 고정장치
KR101282647B1 (ko) * 2012-01-30 2013-07-12 상보산업 주식회사 집게형 고정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76Y1 (ko) * 1992-09-08 1995-09-13 박연종 클램프
JP2002039440A (ja) * 2000-07-26 2002-02-06 Komatsu Ltd クランプ装置
KR200358105Y1 (ko) * 2004-05-11 2004-08-05 김강득 유리판 고정구
KR20130019059A (ko) * 2011-08-16 2013-02-26 이옥순 발판과 작업대의 고정장치
KR101282647B1 (ko) * 2012-01-30 2013-07-12 상보산업 주식회사 집게형 고정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494A (zh) * 2020-04-30 2020-08-14 合肥余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组装式家具定位安装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585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5915A1 (en) Furniture bracket
JP6393723B2 (ja) 連結装置
US20150082729A1 (en) Panel Fastener
CN105952737A (zh) 板材互锁结构
US3632146A (en) Panel joining structures
KR101702459B1 (ko)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20160031434A (ko)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KR20170131012A (ko) 판재 직각연결구
US9229495B2 (en) Support-retaining structure for interface card
CN213358959U (zh) 一种建筑房屋框架梁
JP5574316B2 (ja) 組立式収納家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連結具
KR20190116627A (ko) 조립식 칸막이
KR101722021B1 (ko) 시스템 거푸집
JP2014173347A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この建築用パネルと横架材との連結構造体
US20160053478A1 (en) Interlocking Clip System
JP5137077B2 (ja) 部材連結構造及びこれを適用したパネルシステム
CN218762193U (zh) 一种快装件及快装支架
KR101471353B1 (ko) 장례용 관
JP5679868B2 (ja) パネル同士の連結構造
AU780875B2 (en) Panel connector system
US10626904B2 (en) Aluminum-extruded frame curve module structure
KR100648482B1 (ko) 전시용 구조물
JP6521657B2 (ja) 間仕切パネルの組立方法
JP6882887B2 (ja) 板材の取付構造及び板材の取付方法
KR20190133413A (ko) 거푸집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