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817A -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817A
KR20170130817A KR1020160061498A KR20160061498A KR20170130817A KR 20170130817 A KR20170130817 A KR 20170130817A KR 1020160061498 A KR1020160061498 A KR 1020160061498A KR 20160061498 A KR20160061498 A KR 20160061498A KR 20170130817 A KR20170130817 A KR 20170130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operating
geo
communication environme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석
정유식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6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817A/ko
Publication of KR2017013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하의 실시예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지웨이브 신호가 웨이크업(Wake up) 신호인 경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Operation Method Of Dual Structure Network Device And Device Of Thereof}
이하의 실시예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기반 인프라가 구축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말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들을 기획/설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단말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선택과 전원 공급이다.
현재, 배터리 타입의 단말들은 전원 소모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저전력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예를 들어, Z-Wave, ZigBee, BLE), 이 프로토콜에서는 2Mbps 이상의 스루풋(Throughput)을 얻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높은 스루풋이 필요한 단말을 만들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현재로서는 와이파이(Wi-Fi) 이외에는 없는 상황이며 이는 저전력 프로토콜 대비 높은 전력 소모로 이어진다.
한편, 와이파이 단말을 저전력화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사용해야 하는데, 슬립 모드로 사용자는 중 외부의 트리거를 할 방법이 마땅히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저전력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과 와이파이의 이중 구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와이파이와 지웨이브(Z-wave)의 이중 네트워크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터리 효율이 높은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세하게는, 높은 스루풋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들은 지웨이브를 활용하여 통신하고, 높은 스루풋이 필요한 경우에는 와이파이를 웨이크업(Wake up)하여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웨이브 신호가 웨이크업(Wake up) 신호인 경우, 상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된 상기 지웨이브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허브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기준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통해 기준 크기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와이파이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크기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또는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종료하고 상기 지웨이브 통신 환경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도어캠 단말인 경우, 상기 도어캠 단말에서 촬영하는 영상 내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고,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웨이브 신호가 웨이크업(Wake up) 신호인 경우, 상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와이파이와 지웨이브(Z-wave)의 이중 네트워크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터리 효율이 높은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높은 스루풋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들은 지웨이브를 활용하여 통신하고, 높은 스루풋이 필요한 경우에는 와이파이를 웨이크업(Wake up)하여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동작 시간 중 대부분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말의 배터리 동작 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하나의 네트워크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단말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지웨이브와 와이파이 대역의 주파수 대역의 차이가 크므로,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이중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륵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이 웨이크업 요청에 의해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이 설정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이 스트리밍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110)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와이파이 통신과 다른 제 2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통신 환경으로 동작한다. 상기 제2 통신은 저전력 통신 방식으로서 지웨이브 통신 일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허브와 접속할 수 있다. 허브는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지웨이브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동안, 네트워크 장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일정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제어 명령 등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을 가지는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일정 크기 이하의 데이터는 일정 크기 이하의 전송률(data rate)을 요구하는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지웨이브 통신으로 동작하는 것은 슬립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지웨이브 통신은 저전력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전원의 소비가 적은 통신 방법이다.
단계(120)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지웨이브 신호는 앞서 설명한 제어 명령 등의 일정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지웨이브 신호가 네트워크 장치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Wake up)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인 경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 와이파이 접속을 위한 AP를 미리 등록할 수 있고, 해당 AP의 SSID 및 패스워드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AP로 접속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될 때, 혹은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된 이후라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와이파이 접속을 위한 AP가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는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시키라는 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는 일정 크기 이상의 전송률을 요구하는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준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영상, 오디오 등의 미디어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기준 크기는 일정 기준 이상의 스루풋을 획득하기 위한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슬립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와 접속을 유지하면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슬립 모드로 대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일례로 도어캠(Door cam.)이 제공될 수 있다. 도어캠은 지웨이브 통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통신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실시간 스트리밍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에 실시간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신호는 서버를 거쳐 허브로 전달되고, 허브는 지웨이브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웨이크업과 동시에 서버와 연결되고, 서버는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것을 확인한 뒤 네트워크 장치로 스트리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서버로 영상을 전송(스트리밍)한다. 스트리밍이 종료되면, 네트워크 장치는 서버와의 연결을 끊고, 와이파이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슬립 상태는 AP와 연결은 되어 있으나, 슬립 상태로 대기 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도어캠에서 촬영하는 영상 내에서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PIR 센서 등을 이용),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통신 환경을 변경하여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캠이 웨이크업되어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통해 도어캠의 스트리밍 영상을 지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캠을 통해 촬영된 영상 및 방문자 사진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예에서, 도어캠은 도어캠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앱(App)이 지정될 수 있으며, 해당 스마트폰 앱은 홈 네트워크 서버(이하, 서버)를 통해 도어캠과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201)에서, 스마트폰 앱은 서버로 도어캠에 대한 제어 요청을 전송하고, 단계(202)에서 서버는 도어캠이 연결된 허브(Hub)로 해당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폰 앱과 서버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어, 단계(203)에서 허브는 해당 제어 요청에 대한 지웨이브 신호를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도어캠은 지웨이브 신호로 수신된 제어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 접속이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캠은 제어 요청에 대응하여 기준 이상 크기의 데이터의 통신이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혹은, 실시예에 따라, 도어캠은 제어 요청에 대응하여 기준 이상 크기의 전송률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01)에서 전송된 제어 요청은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에 대한 요청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203)에서 허브로부터 도어캠으로 전송되는 제어 요청은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일 수 있다. 단계(204)에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도어캠은 와이파이 접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도어캠은 와이파이 접속이 필요한 경우, 지웨이브 통신 환경을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변경하도록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로 접속할 수 있다. 도어캠은 웨이크업 신호에 반응하여 웨이크업 됨과 동시에 서버와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어캠은 웨이크업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AP를 통하여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AP와 서버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공중망 또는 사설망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캠은 제어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 요청 응답을 제어 요청이 수신된 경로의 반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요청에 대한 응답은 통신 환경 변경 등에 대한 정보, 또는 도어캠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6) 및 단계(207)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요청이 도어캠의 실시간 영상에 대한 요청인 경우, 서버에서는 도어캠과의 연결을 확인하여 도어캠으로 실시간 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도어캠에서 촬영하는 영상 스트리밍을 실시간으로 서버를 통해 스마트폰 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어캠의 실시간 영상은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계(208)에서, 도어캠에서 미디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종료되면, 도어캠은 와이파이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접속을 해제하고 지웨이브 허브로 접속함으로써 다시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와의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209)에서, 도어캠은 허브로 제어 요청 응답을 전송하고, 단계(210)에서 허브는 해당 제어 요청 응답을 서버로 전송하며, 단계(211)에서 서버는 수신된 제어 요청 응답을 스마트폰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요청 응답은 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의 종료에 대한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이중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륵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이중 네트워크 모듈(320, 330)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CPU(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크기보다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은 기본적인 제어 메시지는 지웨이브 모듈(330)에서 처리되며, 높은 스루풋이 요구되는 기준 크기 이상의 제어 메시지, 미디어 데이터 등은 와이파이 모듈(32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인 CPU(310)는 와이파이 모듈(320)과 지웨이브 모듈(330)이 목적에 맞게 사용되도록 네트워크 상황을 레포트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가 지웨이브 환경에서 처리 가능한지 와이파이 환경에서 처리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 와이파이 모듈(320)과 지웨이브 모듈(33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이 웨이크업 요청에 의해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401)에서 도어캠 뷰어, 예를 들어 스마트폰 앱 등에서 도어캠 뷰어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요청에 대응하여 도어캠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홈 IoT 서버(이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서버는 웨이크업 요청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서 도어캠으로 전송되는 웨이크업 요청은 지웨이브 신호일 수 있다. 단계(403)에서 도어캠은, 웨이크업 요청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요청의 수신 여부에 대한 응답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도어캠은 웨이크업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변경하기 위해 와이파이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P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상태가 변경된 도어캠은, 웨이크업 상태 정보를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티피케이션 리포트(Notification Report)를 통해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데, 웨이크업 상태와 슬립 모드 상태에 대한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406)에서 도어캠은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에 접속하게 됨으로써, 영상 플랫폼의 사용을 위해 서버 인증을 요청하고, 단계(407)에서 영상 플랫폼은 서버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408)에서 도어캠 뷰어는 영상 플랫폼으로 도어캠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단계(409)에서 영상 플랫폼은 단말 리스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플랫폼으로의 인증이 완료되면, 단계(410)에서 도어캠은 서버와 설정을 동기화하기 위해 영상 플랫폼으로 설정 복원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411)에서 영상 플랫폼은 설정 복원 요청에 대한 응답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신된 응답에 따라 설정 복원을 수행하고, 현재의 도어캠의 설정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재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이 설정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단계(501)에서, 도어캠 뷰어는 도어캠에 대한 설정 변경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2)에서 서버는 설정 변경 요청을 영상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단계(503)에서 영상 플랫폼은 설정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캠의 설정 변경 요청에 대해서 변경 값을 영상 플랫폼이 저장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서버는, 설정 변경 요청 응답을 수신하면 도어캠으로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캠은 지웨이브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고, 지웨이브 통신 허브를 통해 웨이크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도어캠은 웨이크업 요청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계(506)에서 웨이크업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로 접속하고, 와이파이를 통해 영상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도어캠은 웨이크업 상태에 대해서 보고할 수 있다.
도어캠이 영상 플랫폼에 접속이 완료됨에 따라, 단계(508)에서 도어캠은 영상 플랫폼으로 서버 인증을 요청하고, 단계(509)에서 여상 플랫폼은 서버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510)에서 도어캠은 영상 플랫폼으로 도어캠 뷰어에서 요청한 설정 변경에 대응하여 설정 복원을 요청할 수 있으며, 단계(511)에서 영상 플랫폼은 설정 복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설정 변경 값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캠은 설정 값을 동기화할 수 있다.
단계(512)에서 도어캠은, 설정 복원 응답을 수신이 종료되면 와이파이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와이파이 접속을 해제하고,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캠이 스트리밍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하는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단계(601)에서 도어캠 뷰어에서 도어캠 뷰어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요청에 대응하여 도어캠에 대한 웨이크업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서버는 웨이크업 요청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서 도어캠으로 전송되는 웨이크업 요청은 지웨이브 신호일 수 있다. 단계(603)에서 도어캠은, 웨이크업 요청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요청의 수신 여부에 대한 응답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 도어캠은 웨이크업 요청에 대응하여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변경하기 위해 와이파이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웨이크업 요청에 의해 도어캠은 영상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상태가 변경된 도어캠은, 웨이크업 상태 정보를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티피케이션 리포트(Notification Report)를 통해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데, 웨이크업 상태와 슬립 모드 상태에 대한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606)에서 도어캠은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에 접속하게 됨으로써, 영상 플랫폼의 사용을 위해 서버 인증을 요청하고, 단계(406)에서 영상 플랫폼은 서버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8)에서 도어캠 뷰어는 영상 플랫폼으로 도어캠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단계(609)에서 영상 플랫폼은 단말 리스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플랫폼으로의 인증이 완료되면, 단계(610)에서 도어캠은 서버와 설정을 동기화하기 위해 영상 플랫폼으로 설정 복원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611)에서 영상 플랫폼은 설정 복원 요청에 대한 응답을 도어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신된 응답에 따라 설정 복원을 수행하고, 현재의 도어캠의 설정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재설정할 수 있다.
단계(612)에서 도어캠 뷰어는, 영상 플랫폼으로 단말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고, 단계(613)에서 영상 플랫폼은 도어캠으로 단말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614)에서 단말은 단말 스트리밍 요청에 대한 응답을 영상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단말 스트리밍 요청을 수신하면, 단계(615)에서 영상 플랫폼과의 컨트롤 채널을 연결하고, 단계(616)에서 스트리밍 채널을 연결하며, 단계(617)에서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핸드셰이크(Handshake) 작업을 진행하고, 단말 스트리밍에 대한 RTSP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618)에서 도어캠 뷰어는 영상 플랫폼으로 단말 스트리밍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단계(619)에서 도어캠 뷰어는 영상 플랫폼과의 접속을 통해 컨트롤 채널을 연결하고, 단계(620)에서 스트리밍 채널을 연결하여, 단계(621)에서 영상 플랫폼은 단말 스트리밍에 대해 RTSP 데이터를 도어캠 뷰어로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종료 시, 단계(622) 및 단계(623)에서 도어캠과 도어캠 뷰어는 바이패스(Bypass) 규격을 사용하여 어라이브 체크(Alivecheck)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단계(624)에서 도어캠은 스트리밍 종료를 확인하여 와이파이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티피케이션 리포트를 사용하여 서버로 슬립 모드로 전환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700)는 메모리(71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700)는 메모리(71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720)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 통신 환경으로 동작한다.
실시예에서, 지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허브와 접속할 수 있다. 허브는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지웨이브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동안, 네트워크 장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일정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제어 명령 등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을 가지는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지웨이브 통신으로 동작하는 것은 슬립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지웨이브 통신은 저전력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전원의 소비가 적은 통신 방법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며, 지웨이브 신호가 네트워크 장치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인 경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웨이브 신호는 앞서 설명한 제어 명령 등의 일정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예를 들어, 영상 스트리밍에 대한 요청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 와이파이 접속을 위한 AP를 미리 등록할 수 있고, 해당 AP의 SSID 및 패스워드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AP로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웨이크업 됨과 동시에,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여 서버와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는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시키라는 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준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영상, 오디오 등의 미디어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기준 크기는 일정 기준 이상의 스루풋을 획득하기 위한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다시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와 접속을 해제하고 다시 지웨이브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허브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와의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일례로 도어캠(Door cam.)이 제공될 수 있다. 도어캠은 지웨이브 통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통신 환경을 변경할 수 있고, 단말로 도어캠의 영상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캠에서 촬영하는 영상 내에서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PIR 센서 등을 이용),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통신 환경을 변경하여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통해 도어캠의 촬영 영상을 지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AP와 접속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AP와 접속을 유지하면서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슬립모드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장치의 웨이크업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가 네트워크 장치의 웨이크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와이파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웨이브 신호 전송 요청을 상기 AP 또는 허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P 또는 허브가 상기 지웨이브 신호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지웨이브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어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거나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AP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일례로 도어캠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어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거나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AP로 접속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지웨이브 신호에 반응하여 웨이크업 됨과 동시에 홈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P는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 될 때, 혹은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된 이후라도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와이파이 접속을 위한 AP가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상기 AP로의 접속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AP는 허브를 포함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웨이크업 신호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지웨이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 및 사진을 수신(스트리밍)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및 사진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움직임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사진을 수신 받아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 할 수 있다.
스트리밍이 종료되면,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와이파이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슬립 상태는 AP와 연결은 되어 있으나, 슬립 상태로 대기 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1)

  1.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웨이브 신호가 웨이크업(Wake up) 신호인 경우, 상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지웨이브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허브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된 상기 지웨이브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허브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기준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라는 명령인,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실시간 스트리밍 요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로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통해 기준 크기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와이파이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크기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또는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슬립 모드로 대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도어캠 단말인 경우,
    상기 도어캠 단말에서 촬영하는 영상 내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웨이브(Z-wave)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고,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웨이브 신호가 웨이크업(Wake up) 신호인 경우, 상기 지웨이브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지웨이브 통신 환경에서 미리 정해진 크기 이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웨이브 신호는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지웨이브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허브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네트워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기준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라는 명령인,
    네트워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SS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AP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통해 기준 크기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와이파이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준 크기 이상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또는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에서 슬립 모드로 대기하는,
    네트워크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도어캠 단말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도어캠 단말에서 촬영하는 영상 내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
  22.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웨이크업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웨이크업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 받아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웨이브 신호 전송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웨이브 신호 전송 요청하는 단계는,
    AP 또는 허브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웨이브 신호 전송 요청하는 단계를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지웨이브 신호를 트리거로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AP로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지웨이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이 이루어 지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요청 신호는,
    기준 크기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라는 명령인,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실시간 스트리밍 요청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지웨이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동작 방법.
  29.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움직임에 대한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되어 상기 와이파이 통신 환경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AP로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영상 또는 사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061498A 2016-05-19 2016-05-19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30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498A KR20170130817A (ko) 2016-05-19 2016-05-19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498A KR20170130817A (ko) 2016-05-19 2016-05-19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17A true KR20170130817A (ko) 2017-11-29

Family

ID=6081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498A KR20170130817A (ko) 2016-05-19 2016-05-19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8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642A1 (en) * 2018-09-06 2020-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thereof
WO2021071037A1 (en) * 2019-10-08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642A1 (en) * 2018-09-06 2020-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thereof
US11438816B2 (en) 2018-09-06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thereof
US11800419B2 (en) 2018-09-0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thereof
WO2021071037A1 (en) * 2019-10-08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06830B2 (en) 2019-10-08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5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EP3036650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electronic device
US994927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5323824B (zh) 辅助wifi设备入网的电子设备、wifi设备及方法
EP2757738B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arrier means storing comunication control program
JP2017507614A (ja) 高周波可視光通信信号を復号するための画像センサー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8179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NF termination management
CN112291703A (zh) 建立用于交换测距信息的通信的系统和方法
EP3713246B1 (en) Multimedia processing apparatus, multimedia processing server, and methods applied thereto
WO2017185653A1 (zh) 解决同频干扰的方法和装置
KR20170130817A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38913A (ko) 컴퓨팅 장치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시스템 온 모듈(DSoM)
KR102186552B1 (ko) 통신 모듈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8561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9019159A1 (zh) 一种控制可操控设备的方法及装置
US1026443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10313585B2 (en) Surveillance method and apparatus
EP3198831B1 (en) Variable interval for periodic fix requests of multiple clients
EP3172891B1 (en) Reliable transfer of data from an image capturing device to a remote data storage
CN103856577A (zh) 管理网关接入
CN113115416A (zh) 一种门铃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7135055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EP3896552A1 (en)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 image processing apparatus, power-saving control method, and carrier means
KR102193743B1 (ko)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카메라,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CN106170022B (zh) 一种分布式多媒体传感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