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919A -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 Google Patents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919A
KR20170128919A KR1020160059612A KR20160059612A KR20170128919A KR 20170128919 A KR20170128919 A KR 20170128919A KR 1020160059612 A KR1020160059612 A KR 1020160059612A KR 20160059612 A KR20160059612 A KR 20160059612A KR 20170128919 A KR20170128919 A KR 2017012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test
displayed
test content
poin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준범
오주석
이원영
이재식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6005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919A/en
Publication of KR2017012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valuating safety driving abilities for old-age drivers. The system accurately evaluates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old-age drivers by taking the cognitiv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old-age drivers into account and testing the old-age driver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environment,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riving ability judgment; can input an answer (response) in a simple manner through an input means provi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and accuracy of the reaction measurement for the old-age drivers with diseases; and can increas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riving ability judgment of the old-age drivers with diseases or without diseases by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old-age drivers and comprising physical function inspection contents for evaluating physical functions.

Description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an aged driver,

본 발명은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운전에 필수적으료 요구되는 신체 및 인지 기능을 실제 운전에 유사한 환경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운전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운전자 선별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이들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ssessing the safety driving performance of an elderly dr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lder driver's driving ability evalu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ing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efficiently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교통인프라가 확장되고, 자동차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 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차량 증가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운전면허는 필수적으로 취득하고 있는 자격증으로 인식되고 있다.As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has expanded and the automobile industry has developed, the number of vehicle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s a result of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driving licenses are recognized as qualifications acquired in the modern society.

특히 최근 들어 평균수명이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가 대두됨에 따라 교통사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일반 고령운전자인 비질환 고령운전자와, 뇌졸중 등의 뇌질환 병력이 있으나 운전 지속의사가 있는 고령운전자인 질환 고령운전자의 수량 또한 증가하였다.Especially in recent years, as the aging society ha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number of elderly drivers who are non-disease drivers who are general aged drivers belonging to high-risk traffic accidents and elderly drivers who have a history of cerebral diseases such as strokes,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고령운전자는 비고령 운전자들에 비교하여 신체 및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비고령 운전자에 비교하여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Generally, older drivers have lower body and cognitive functions compared to non-older drivers, which causes a significant increase in mortality rate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compared to non-aged drive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경찰청 산하 도로교통공단에서는 운전인지평가도구인 운전인지지각검사(CPA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를 이용하여 장애인 운전자나 또는 운전면허 취득/갱신 희망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의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oad traffic corporation under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using the CPA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which is a driving cognitive assessment tool, for the disabled driver or driver's license acquisition / Evaluation is carried out.

일반적으로 CPAD는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운전인지평가도구로, 거리지각능력(depth perception), 주의지속력(sustained attention test), 주의분할력(divided attention), 스트룹(stroop), 숫자외우기(digit span), 장의존성(field dependency), 선잇기 - 선잇기(trail making test A), 선잇기 - 문자잇기(trail making test B) 검사로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복합적인 인지적 기능이 반영되지 않은 단순한 자극과 반응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실제 운전능력과의 관련성이 떨어져 운전능력 평가의 효율성이 현저히 낮으며, 운전조작과 무관한 별도의 키보드를 이용한 단순 반응으로만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In general, CPAD is a driving perception evaluation tool that evaluates the driving ability of a person with brain damage impairment. It includes a depth perception, a sustained attention test, a divided attention, a stroop, There are 8 items in the test, such as digit span, field dependency, trail making test A, and trail making test B. However, This is because the system is composed of simple irritation and reaction that does not reflect the function, so it is not related to the actual driving 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driving ability evaluation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a simple reaction using a separate keyboard Therefo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are deteriorated.

국내등록특허 제10-1432067호(발명의 명칭 :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는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모의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조향핸들, 조향센서, 변속 레버, 변속 센서, 가속페달, 가속센서, 제동페달, 제동센서 등의 복잡하고 다양한 구성의 시뮬레이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하기 때문에 제조 및 운용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피평가자가 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장소로 이동하여야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한을 갖는다.[0004] In a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a driver who rides on a simulator to perform a simulated operation,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2067 The conventional art requires a complicated and various simulator such as a steering wheel, a steering sensor, a shift lever, a speed change sensor, an accelerator pedal, an acceleration sensor, a brake pedal and a braking sensor, At the same time, the evaluator has a restriction that evalu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evaluator moves to a place where the simulator is provided.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평가방법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나이 및 질병에 상관없는 전체 운전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운전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가 피검사자로 적용될 때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constructed so that the evaluation method is not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river but merely evaluates the physical driving ability of all the drivers irrespective of the age and the disease, When applied, problems arise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are poor.

즉 1)실제 운전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운전 능력 평가가 이루어지되,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2)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신체 및 인지 특성에 따른 적합한 검사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안전운전능력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cost by evaluating the driving ability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2) Disease and non-disease It is urgent to study safety driving ability evaluation method which can improve accuracy and reliabilit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evaluating the recognition and physical function of an aged driver by accurately performing test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real environment while taking cognitiv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aged driver into account And to provide an aged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apable of remarkably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ir driving ability judg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종이 및 펜 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수단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swers (responses) in a simple manner through input means rather than paper and pen, And to provide an aged driver safe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riving ability of an elderly driv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aged driver safe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apable of further enhancing the driver's driving 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선택된 답변뿐만 아니라 해당 답변을 입력할 때까지의 반응시간까지 활용하여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derly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evaluating driving ability by generating driving ability evaluation data by utilizing not only selected answers but also reaction times until the answers are input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인지기능 테스트 및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피점검자로부터 입력된 반응데이터에 따라 운전능력을 평가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인 평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들;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받은 평가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지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문항이 전시되는 검사컨텐츠인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신체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을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evaluating safety driving performance of an elderly driv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lderly driver of a disease or a nondisruptive disease is capable of performing driving: performing a cognitive function test and a body functional test, Clients installed with an evaluation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evaluating the operational capability according to input reaction data and transmitting it to the outside; Input means connected to the clients to receive commands from a user;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evaluation applications and transmits evaluation resul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ients, wherein the evaluation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client, and the body function check contents for each of the predetermined categories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client when performing the body functional tes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수단은 특정방향, 버튼, 핸들,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의 문항들은 `성격` 카테고리 및 `불안`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성격` 카테고리는 `분노`, `불안`,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상기 `불안` 카테고리는 `운전조절`, `사고유연성`, `안전감`, `주의산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는 분류된 소카테고리에 관련된 문항들을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includes a specific direction, a button, a handle, a brake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and the items of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a `personality` category and an` anxiety` category, Is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including at least one of `anger`,` anxiety` and `type`, and the `anxiety` category is classified into` driving control`, `thinking flexibility`,` safety feeling ` , And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 preferably displays items related to the categorized sub-categor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의 긴급브레이크 및 핸들 조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명도대비 민감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동체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방향 인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신호등의 신호에 대한 반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운전 중 기억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function test content includes: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an emergency brake and a steering wheel manipulation of a testee; second body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brightness sensitivity of the testee; A fif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response of the subject to the signal of the traffic light of the subject, and a four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response of the subject to the signal of the traffic light of the subject, And a six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memory during driving.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원 또는 다면체로 전시되는 자극제시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에게 브레이크 페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에 매칭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자극제시점을 표시하되,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대응되는 페달키가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되면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과 다른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횡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및 패턴으로 이동하는 타겟점과, 피검사자의 핸들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추적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타겟점 및 상기 추적점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include irritant agent time points displayed in a circle or a polyhedron, and the first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may be displayed on the test subject in any one of colors matched to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When the pedal key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stimuli of the current sequence is input from the subject, the stimulant point of the next sequence is removed, and the stimuli point of the next sequence is display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stimuli point of the current sequence Wherein the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s further include a target point moving in a predetermined speed and pattern in a later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tracking point moving in accordance with a handle rotation direction of the examinee, Wherein the evaluation application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ody function check content Each group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deviation of the target point and the tracking poin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검정색상의 바탕화면과, 상기 바탕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는 응시점과, 상기 응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상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자극개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전시하는 응시점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될 때 현재 순서의 응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include a black screen, a gazing point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desktop, and a stimulation start point displayed on one of upper, And the second body function test content may display a gazing point of the next order after removing the gazing point of the current order when inputting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gazing point to be displayed from the subjec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일측이 개구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응시점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로 개구부가 향하도록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은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되 서로 다른 방향의 이동경로선들 중 어느 하나에 랜덤으로 표시하며, 현재 순서의 응시점보다 하향되도록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body function test contents may include a circling point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from the subject to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next reference point in the next sequence, which is randomly displayed in any one of the movement path lin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o display the next reference point so as to be lower than the current reference poin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화살표 형상의 자극선들과, 상기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막대형상의 유인선들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낮은 숫자로부터 높은 숫자의 방향의 상기 자극선들의 화살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may simultaneously display on the screen the arrow-shaped stimulus lines in which numbers ar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the stick-shaped attractors in which the numbers are displayed in the order, And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arrow direction of the magnetic pole lines in the direction of a high number from the numb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직진`, `브레이크`, `좌회전`, `우회전`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는 신호등을 표시하고, 상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면 피검사자로부터 표시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고, 상기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운전 시 주변환경을 촬영한 이미지인 참고사진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한 후 상기 참고사진의 기억에 관련된 문항을 포함하는 질문사진들을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body function test contents may display a signal lamp for lighting any one of `straight`,` break`, `left` and` right` signals, and if any one of the signals is displayed The sixth body function test content includes a question mark indicat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driving for a preset time and a question related to the memory of the reference picture, It is desirable to display the question photographs.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evaluate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the aged driver by performing test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environment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gnitiv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drive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운전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swer (reaction) can be input in a simple manner through the input means provi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and accuracy of the reaction measurement for the sick driv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body function test contents are used for evaluating the phys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d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river,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of the disease and non- hav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답변뿐만 아니라 해당 답변을 입력할 때까지의 반응시간까지 활용하여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elected answer but also the reaction time until the answer is input can be used to generate the driving ability evaluation data, so that the driving ability can be more accurately evalu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운전능력 평가와 훈련을 통해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사고로 인한 사회비용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운전능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부족한 인지 및 신체기능에 대한 세밀한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부족한 기능에 대한 훈련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social expenses due to unnecessary accidents by judging the driving ability through accurate and objective driving ability evaluation and training of the elderly driver of diseases and non-disea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cognition and physical function, so that training on deficient functions can be in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입력수단 중 인지기능 평가테스트에 적용되는 키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신체기능 테스트에 적용되는 핸들형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인지기능 테스트에 활용되는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문항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에 적용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극제시점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대비민감도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동체시력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방향탐지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선택반응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기억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의 참고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검사컨텐츠의 질문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applied to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est among the input means shown in FIG. 1, and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type input device applied to a body function test.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s used in a cognitive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the items of Figure 3;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est contents applied to an emergency brake reaction and a lateral tracking test in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timulus agent timings in FIG. 5; FIG.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in a contrast sensitivity test of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in a body vision test during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inspection contents of FIG. 8; FIG.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est contents provided in a direction detection test of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in a selection reaction test among the body functional tests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ference photograph of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during a memory test among the body functional tests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question photograph of the inspection content of FIG. 1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an elderly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교통사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일반 고령운전자인 비질환 고령운전자와, 뇌졸중 등의 뇌질환 병력이 있으나 운전 지속의사가 있는 고령운전자인 질환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 운전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The elderly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shown in Fig. 1 is a system in which the elderly driver who is a general aged driver belonging to a high-risk traffic accident and the elderly driver who has a history of cerebral diseases such as stroke And body driving ability.

또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클라이언트(3-1), ..., (3-N)들과, 클라이언트(3-1), ..., (3-N)들 각각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7)들과, 클라이언트(3-1), ..., (3-N)들 각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제작된 검사컨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테스트 시 입력수단(7)을 통해 입력되는 반응데이터를 기 설정된 답안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능력 평가결과데이터를 검출하며 운전능력 평가결과데이터를 후술되는 관리서버(9)로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이하 평가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5)들과, 클라이언트(3-1), ..., (3-N)들의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로부터 전송받은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서버(9)와, 이들 연결대상(3-1), ..., (3-N), (5), (9)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derly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is provided for each of the clients 3-1, ..., (3-N) and the clients 3-1, ..., Input means 7 for receiving commands from a user and clients 3-1, ..., and 3-N connected to the clients 3-1 to 3-N, The test data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the reaction data inputted through the input means 7 during the test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answer data to detect the operation ability evaluation result data and the operation ability evaluation result data is sent to the management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valuation application) 5 f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valuation application program) 9 to an evaluation application 5 for storing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data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9, And a communication network 10 for providing a data movement path between the connection targets 3-1, ..., 3-N, 5,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평가 어플리케이션(5)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검사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며, 입력된 답안데이트를 기반으로 운전능력 평가결과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테스트 수행 및 평가결과 데이터 검출은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관리서버(9) 또는 클라이언트(3-1), ..., (3-N)들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displays test contents by itself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performs a test, and detects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data based on the inputted answer data. Such test execution and evaluation result data dete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9 or the clients 3-1, ..., 3-N itself without being performed i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Of course.

통신망(10)은 연결대상(3-1), ..., (3-N), (5), (9)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와이파이(Wi-fi), 3G/4G/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0 provides a data movement path between the connection targets 3-1, ..., 3-N, 5 and 9, and more specifically, a wide area network (WA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red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 4G / 5G and LTE.

관리서버(9)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업데이트 등을 관리 및 제어한다.The management server 9 manages and controls data and program updates of the evaluation applications 5 and the like.

또한 관리서버(9)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활용되는 검사컨텐츠를 관리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9 manages the inspection content used i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또한 관리서버(9)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들로부터 전송받은 클라이언트(3-1), ..., (3-N)들의 답안데이터 및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저장한다.Also, the management server 9 stores the answer data and the operation ability evaluation data of the clients 3-1, ..., and (3-N) transmitted from the evaluation applications 5.

클라이언트(3-1), ..., (3-N)들은 질환 고령운전자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가 소지하거나 또는 평가현장에 설치되어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탑,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lients 3-1, ..., and 3-N are digital terminals that are equipped with the disease-aged driver and the non-disease-elderly driver or are installed at the evaluation site to support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 desktop,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blet PC, a notebook, and a smart phone.

또한 클라이언트(3-1), ..., (3-N)들 각각은 검사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과,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7)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검사콘텐츠를 통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Each of the clients 3-1, ..., and 3-N is connected to a display means such as a monitor on which the inspection content is displayed and an input means 7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user, So that the test can be performed.

이때 본 발명의 테스트는 1)인지기능 평가 테스트와, 2)신체기능 테스트로 구분되고, 인지기능 평가 테스트에는 후술되는 도 2의 (a)의 키보드 입력장치(71)가 사용되고, 신체기능 테스트에는 후술되는 도 3의 (b)의 핸들형 입력장치(73)가 사용된다.The t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1)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est and 2) a body function test. In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est, the keyboard input device 71 of FIG. 2 (a) A handle-type input device 73 of Fig. 3 (b) to be described later is used.

도 2의 (a)는 도 1의 입력수단 중 인지기능 평가테스트에 적용되는 키보드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신체기능 테스트에 적용되는 핸들형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input device applied to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est among input means shown in FIG. 1, and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type input device applied to a body function test.

도 2의 (a)의 키보드 입력장치(71)는 인지기능 평가 테스트 및 신체기능 평가테스트에 사용되며, 사용자(질환 고령운전자 또는 비질환 고령운전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The keyboard input device 71 shown in FIG. 2A is used for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est and a body function evaluation test, and is a device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a disease-elderly driver or a non-disease-elderly driver).

또한 키보드 입력장치(71)는 공지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를 포함한다.Further, the keyboard input device 71 includes a direction key that indicates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well known.

핸들형 입력장치(73)는 신체기능 평가 테스트 시 사용되며, 실제 운전과 유사한 환경에서 자극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The handle-type input device 73 is used in a body function evaluation test, and is a device for receiving a driver's response to a stimulu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actual operation.

또한 핸들형 입력장치(73)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731) 및 페달부(733)로 이루어지고, 핸들부(731)는 사용자로부터 조향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핸들(7311)과, 핸들(73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Yes` 및 `No`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7313), (7315)들로 이루어진다.2 (b), the handle-type input device 73 includes a handle portion 731 and a pedal portion 733, and the handle portion 731 is configured to receive steering data from a user A handle 7311 and buttons 7313 and 7315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7311 for receiving `Yes` and` No` from the user.

또한 페달부(733)는 브레이크 페달(7331) 및 엑셀레이터 페달(7333)로 이루어진다.The pedal portion 733 includes a brake pedal 7331 and an accelerator pedal 733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질환 고령운전자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가 차량 운전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1)인지기능 테스트 및 2)신체기능 테스트의 2가지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인지 및 신체기능 테스트 시 키보드 입력장치(71)을, 신체기능 테스트 시 핸들형 입력수단(73)을 이용하여 피평가자가 실제 운전과 비슷한 환경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for evaluating the safety dr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method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elderly driver and the elderly driver are able to drive the vehicle by 1) cognitive function test and 2) The keyboard input device 71 is used for the recognition and the body function test while the handler type input means 73 is used for the body function test so that the evaluator can perform the simple and quick test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operation .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사용자로부터 1)인지기능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또는 2)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선택에 따라 인지기능 테스트 또는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receives from the user 1) whether to perform the cognitive function test or 2) to perform the body function test, and performs the cognitive function test or the body function test according to the input selection.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인지기능 테스트에 활용될 검사컨텐츠인 인지기능 검사컨텐츠와, 신체기능 테스트에 활용될 신체기능 검사컨텐츠가 기 제작되어 저장된다. 이때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만약 사용자가 인지기능 테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만약 사용자가 신체기능 테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prepares and stores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s, which are test contents to be used i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and the body function test contents, which will be used in the body function test.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the cognitive function test,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displays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 on the monitor of the client, and if the user selects the cognitive function test, displays the body function test content on the monitor of the client .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기 설정된 평가시간(t)동안 테스트를 수행하며, 평가시간(t)이 경과하면 테스트를 종료한다.Further,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performs the test for the predetermined evaluation time t, and terminates the test when the evaluation time t elapses.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테스트 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반응데이터를 임시저장하며, 테스트가 종료되면 입력된 반응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답안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능력 평과결과 데이터를 검출한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temporarily stores the reaction data inputted through the input means at the time of testing. When the test is finished,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compares the inputted reaction data with predetermined answer data to detect the operation capacity evaluation result data.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검출된 운전능력 평과결과 데이터 및 반응데이터를 관리서버(9)로 전송한다.The evaluation application 5 also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capability evaluation result data and reaction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9.

도 3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인지기능 테스트에 활용되는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문항들의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s used in a cognitive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tems of FIG. 3.

인지기능 검사컨텐츠(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지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문항들이 전시되는 문항란(211)과, 문항란(211)에 전시되는 문항에 대한 반응을 입력받기 위한 반응입력란(213)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 210 includes an item field 211 in which a plurality of items for examining a cognitive function are displayed, a response field 211 for receiving a response to the item displayed in the item field 211, And an input field 213.

또한 문항란(213)에 적용되는 문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는 `성격`(2131) 및 `불안`(2136)으로 분류되고, 다시 `성격` 카테고리(2131)는 `분노`(2132), `불안`(2133), `타입`(2134) 등의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태도` 카테고리(2135)는 `운전조절`(2136), `사고유연성`(2137), `안전감`(2138), `주의산만`(2139) 등의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된다.As shown in FIG. 4, the items applied to the question column 213 are largely classified into `personality` (2131) and `anxiety` (2136), and` personality` category (2131) 2133), `Anxiety` (2133), `Type` (2134), and `Attitude` category (2135) are classified into `Driving Adjustment` (2136), `Thinking Flexibility` (2137) Safety sense "(2138), and" attention distraction "(2139).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지기능 테스트 시 사용되는 문항들이 도 3과 4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문항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평가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tems used i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are illustrated as shown in FIGS. 3 and 4. However,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tents Of course, can be applied.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운전에 필요한 신체기능을 테스트함과 동시에 고령운전자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이 운전을 지속하고자 할 때 필요한 신체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performs a body function test to test the body functions necessary for driving and to test the body functions required when they want to continue the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driver.

이때 신체기능 테스트는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와, `대비민감도(명도대비) 테스트`, `동체시력 테스트`, `방향탐지 테스트`, `선택반응 테스트`, `기억과제 테스트`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body function tests are divided into `emergency brake response and lateral tracking test`,` contrast sensitivity (brightness) test`, `body vision test`,` direction detection test`, `selective reaction test`, .

-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 Emergency brake response and lateral tracking test

도 5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긴급브레이크 반응 및 횡적 추적 테스트에 적용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est contents applied to an emergency brake reaction and a lateral tracking test in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도 5의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의해 신체기능 테스트, 상세하게로는 긴급 브레이크 반응 테스트와, 횡적 추적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이다.The first body function check content 220 in FIG. 5 is check content provid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to perform a body function test, more specifically, an emergency brake reaction test and a lateral tracking test simultaneously.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자극제시점(221)들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테스트 시간동안 기 설정된 위치에 점등된다. 이때 `A` 색상의 자극제시점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을 유도하며, `B` 색상의 자극제시점은 엑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을 유도한다.The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s 220 are turned on at predetermined positions during predetermined test time periods of stimulus agent time points 221 formed in different colors. In this case, the stimulus point of `A` color induces the pressure of the brake pedal, and the stimulus point of` B` color induces the pressure of the accelerator pedal.

또한 자극제시점(221)은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기 설정된 횟수(N)로 점등된다. 이때 주기(T)는 120초이며, 횟수(N)는 12번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irritative agent time point 221 is turned on at a preset number of times N for a predetermined period T. [ At this time, the period T is 120 seconds, and the number N is preferably 12 times.

또한 자극제시점(221)은 점등 시 기 설정된 점등시간 동안 점등되며, 대응되는 페달이 가압되는 경우 소등된 후 4,000 ~ 10,000ms의 간격으로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이 점등된다.In addition, the stimulus time point 221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lighting time at the time of lighting, and when the corresponding pedal is depressed, the stimulation time point of the next step is turned on at an interval of 4,000 to 10,000 ms after being turned off.

도 6은 도 5의 자극제시점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timulus agent timings in FIG. 5;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극제시점(221)들은 `A` 또는 `B` 색상으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이때 위치는 동일한 위치를 중앙으로 하는 소직경(222) 및 대직경(223)의 원호 상에 표시된다.As shown in FIG. 6, each stimulus point of view 221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in the color of `A` or` B`. At this time, the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arcs of the small diameter 222 and the large diameter 223 which center the same position.

즉 사용자는 자극제시점(221)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면, 표시된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가압하고, 만약 사용자가 표시된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대응되는 페달을 밟으면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이 기 설정된 색상 및 위치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주기(T) 동안 기 설정된 횟수(N)의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That is, if any one of the stimulus points 221 is displayed, the user presses the brake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displayed stimulus point. If the user presses the pedal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displayed stimulus point, The user can perform the test of the predetermined number N during the period T by displaying the viewpoint at the predetermined color and position.

다시, 도 5로 돌아가 횡적 추적 테스트를 살펴보면,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타겟점(227) 및 추적점(225)이 표시된다. 이때 타겟점(227)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횡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및 패턴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추적점(225)은 핸들형 입력수단(73)의 핸들부(731)의 핸드(731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Referring back to FIG. 5 and looking at the lateral tracking test, the first body part 220 displays a target point 227 and a tracking point 225. At this time, the target point 227 continuously mov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speed and pattern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tracking point 225 is continuously moved in the hand 7311 of the handle portion 731 of the handle- As shown in Fig.

또한 타겟점(227)은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이동한다.The target point 227 also mov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 [

또한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타겟점(227) 및 추적점(225)의 편차를 측정한다. 이때 편차는 1초에 5회(0.2초에 1회) 단위로 측정한다. The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 220 also measures the deviation of the target point 227 and the tracking point 225. The deviation is measured in units of 5 times per second (once every 0.2 seconds).

즉 본 발명의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는 자극제시점(221)들의 점등 및 소등을 통해 사용자의 페달 반응속도를 검출함과 동시에 타겟점(227) 및 추적점(225)의 편차를 통해 사용자의 핸들 반응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테스트의 반응데이터(편차)를 통해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body function check contents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edal reaction speed of the user through turning on and off the stimulus agent time points 221, and det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oint 227 and the tracking point 225 The steering wheel reaction speed of the user can be detected, and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can generate the driving ability result data through the reaction data (deviation) of the test.

- 대비민감도 테스트(명도대비 테스트)- Contrast sensitivity test (brightness contrast test)

도 7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대비민감도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in a contrast sensitivity test of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도 7의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30)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의해 신체기능 테스트, 상세하게로는 대비민감도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이다.The second body function test content 230 in FIG. 7 is the test content provid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in the body function test, specifically, the contrast sensitivity test.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30)는 검정색상의 바탕화면(231)과, 바탕화면(231)의 중앙에 표시되는 십자가 형상의 응시점(233)과, 응시점(233)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상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원 형상의 자극개시점(235)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body function test contents 230 includes a black screen 231, a cross-shaped gaze point 233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desktop screen 231, an arc-shaped reference point 233 on the gaze point 233, And a circular stimulating start point 235 displayed on one of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또한 자극개시점(235)은 응시점(233)을 기준으로 표시되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방향키의 조작을 유도한다.Also, the stimulation start point 235 induces the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key from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reference point 233.

또한 자극개시점(235)은 자극마다 다양한 명도로 표시된다.Also, the stimulation start point 235 is displayed with various brightness levels for each stimulus.

또한 자극개시점(235)들은 4,000 ~ 10,000ms의 간격으로 표시된다.The stimulation start points 235 are displayed at intervals of 4,000 to 10,000 ms.

또한 자극개시점(235)들은 점등 시 3,000ms 동안 표시된다.Also, the stimulation start points 235 are displayed for 3,000 ms at the time of lighting.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30)를 통해 자극개시점(235)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반응속도를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 evaluation application 5 measures the reaction speed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timulation start point 235 through the second body function check contents 230 and is able to generate the operation ability result data using the measured reaction speed .

- 동체시력 테스트- Fuselage vision test

도 8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동체시력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검사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during a body vision test during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and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inspection contents of FIG.

도 8의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는 평가 어플리케이션(5)에 의해 신체기능 테스트, 상세하게로는 동체시력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이다.The third body function test content 240 in FIG. 8 is the test content provided in the body function test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specifically, in the body vision test.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는 일측이 개구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표시되되 사용자에게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 입력을 유도하는 응시점(241)을 포함한다. 즉 응시점(241)은 개구부가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되는 응시점(241)의 개구부의 방향에 따라 핸들(7311)을 회전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third body function examination contents 240 includes a gaze point 241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being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nd guiding a direction key inpu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toward the opening to the user. That is, the gaze point 241 is displayed such that the opening is directed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and input the handle 7311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gaze point 241 to be displayed.

또한 응시점(241)들 각각의 표시시간은 3,000ms이고, 응시점(241)들의 간격은 500 ~ 5,000ms 중 랜덤으로 이루어진다.Also, the display time of each of the gazing points 241 is 3,000 ms, and the interval of the gazing points 241 is randomly selected from 500 to 5,000 ms.

또한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에 의한 동체시력 테스트는 100,000ms 동안 수행된다.Also, the body vision test by the third body function test contents 240 is performed for 100,000 ms.

또한 응시점(241)들은 표시순서에 따라 직경이 증가하도록 표시된다. 즉 응시점(241)들 중 첫 번째로 표시되는 응시점의 직경이 가장 작으며, 마지막에 표시되는 응시점의 직경이 가장 크게 표시된다.Further, the gazing points 241 are displayed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according to the display order. That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among the reference points 241 is the smallest, and the diameter of the last reference point is the largest.

또한 응시점(241)들은 표시순서에 따라 이전 응시점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표시된다. 즉 응시점(241)들 중 첫 번째로 표시되는 응시점은 화면상에서 가장 상부에 표시되되 마지막에 표시되는 응시점은 화면상에서 가장 하부에 표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gazing points 241 are displayed to be arranged below the previous gazing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order. That is, the first gazing point among the gazing points 241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the last gazing point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또한 응시점(241)들은 기 설정된 이동경로선(243), (244), (245)들 중 어느 하나에 랜덤으로 배치된다. 이때 이동경로선(243), (244), (245)들은 일단부가 화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실점(247)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aze points 241 are randomly arranged in any one of predetermined travel path lines 243, 244, At this time, the movement path lines 243, 244, and 245 are connected to the vanishing point 247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and the other end portions are linearly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40)를 통해 응시점(241)에 대한 사용자의 핸들 회전방향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입력된 회전방향 및 측정된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The evaluation application 5 receives the direction of the user's steering whee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gazing point 241 through the third body function inspection contents 240 and measures the reaction time and measures the input rotation direction and the measured reaction time To generate operational capability result data.

- 방향탐지 테스트- Direction detection test

도 10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방향탐지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est contents provided in a direction detection test of a body function tes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는 기 설정된 범위(원) 이내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의 수량은 서로 동일한 수량(N1)으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며, 내부에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255)들이 각각 표시된다.The four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50 include a plurality of stimulation lines 251 and lead wires 253 display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ircle). At this time, the numbers of the stimulating lines 251 and the attracting lines 253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ame quantity N1, and the numbers 255 indicating order are respectively displayed.

자극선(251)들은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화살표 방향에 따른 방향키를 입력받도록 유도한다. The magnetic pole lines 251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 indicating a direction, and guide the user to input a direction key in accordance with the arrow direction.

또한 유인선(253)들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ttracting lines 253 are formed into a rod shape.

즉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의 숫자(255)의 순서에 따라 반응을 하되, 순서에 따른 자극선(251)들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방향키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react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timulus lines 251 and the number 255 of the attracting lines 253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nputs the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arrow direction of the stimulation lines 251 according to the order So that the test can be performed.

다시 말하면,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는 동체시력 테스트를 총 4회 실시하되, 테스트가 지속될수록 난이도를 높여 수행한다. 이때 난이도는 자극선(251)들 및 유인선(253)들의 수량을 증가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our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50 performs the fusional visual acuity test four times in total, while increasing the degree of difficulty as the test continues. The degree of difficulty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timulating lines 251 and the attracting lines 253.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의 테스트 수행 시 경과시간을 측정하며, 사용자로부터 오답이 입력되는 경우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반응을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measures the elapsed time in the test execution of the fourth body part function test contents 250, and when an incorrect answer is input from the user,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returns to the beginning and receives the response.

또한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50)는 테스트가 완료되면 측정된 경과시간을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application 5 generates the operational capability result data by using the elapsed time measured when the test of the four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50 is completed.

- 선택반응 테스트- Selective Reaction Test

도 11은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선택반응 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in a selection reaction test among the body functional tests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FIG.

도 11의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60)는 `직진`(2611), `브레이크`(2612), `좌회전`(2613), `우회전`(2614)의 4개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는 신호등(261)을 포함한다.The fif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60 in FIG. 11 is configured to turn on any one of the four signals of `straight forward` 2611,` break` 2612, `left turn` 2613, and` right turn` 2614 And a signal lamp 261.

신호등(261)은 `직진`(2611), `브레이크`(2612), `좌회전`(2613), `우회전`(2614)의 4개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며, 사용자에게 신호에 따른 핸들 회전 및 페달 가압을 입력받도록 유도한다.The signal lamp 261 lights any one of four signals `straight` 2611,` brake` 2612, `left` 2613 and` right` 2614, Rotation and pedal pressurization.

또한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60)는 신호등(261)의 4개의 신호(2611), (2612), (2613), (2614)가 모두 점등되도록 한 후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신호만을 점등하여 자극을 주며, 이러한 자극을 12회 랜덤으로 반복한다.In addition, the fifth body function test contents 260 may cause all four signals 2611, 2612, 2613, and 2614 of the signal lamp 261 to be lit, and then, in this state, And these stimuli are repeated 12 times randomly.

또한 신호등(261)은 4,000 ~ 10,000ms 간격으로 랜덤하게 자극을 제시한다. 이때 하나의 자극은 3,000ms 동안 이루어진다.Also, the traffic light 261 randomly presents a stimulus at intervals of 4,000 to 10,000 ms. At this time, one stimulus is performed for 3,000 ms.

즉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신호등(261)의 신호에 따라 핸들(7311)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페달(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7331), (7333)을 가압하여 자극에 반응한다.That is, the user reacts to the stimulus by rotating the handle 7311 or pressing the pedal (brake or accelerator) 7331 or 7333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ignal lamp 261 displayed on the screen.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60)의 테스트 수행 시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측정된 반응시간 및 입력된 반응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The evaluation application 5 measures the reaction time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test of the fifth body function test contents 260, and generates the operation ability result data by using the measured reaction time and the inputted reaction data.

- 기억테스트- memory test

도 12는 도 1의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신체기능 테스트 중 기억테스트 시 제공되는 검사컨텐츠의 참고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검사컨텐츠의 질문사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ference photograph of inspection contents provided during a memory test among physical function tests performed by the evaluation application of FIG. 1, and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question photograph of inspection contents of FIG. 12;

도 12와 13의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70)는 운전장면에 대응되는 참고사진(271)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각 참고사진(271)의 전시시간은 10초이고, 참고사진(271)들의 수량은 1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ix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70 of FIGS. 12 and 13 displays reference pictures 271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cenes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display time of each reference picture 271 is 10 seconds, and the number of reference pictures 271 is preferably 10.

또한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70)는 10초 동안 참고사진(271)의 전시가 완료되면, 해당 참고사진(271)에 대한 질문사진(273)들을 전시한다. 이때 하나의 참고사진(271)에 대한 질문사진(273)들은 5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질문사진(273)은 기 설정된 질문텍스트(2731)와, 질문텍스트(2731)에 대응되는 이미지(2733)와, 답변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란(2735)을 포함한다.When the display of the reference photograph 271 is completed for 10 seconds, the sixth physical function examination contents 270 displays the question photographs 273 for the reference photograph 27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five question pictures 273 for one reference picture 271 are five, and the question picture 273 includes a predetermined question text 2731, an image 2733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text 2731, And a check box 2735 for receiving an answer.

이때 도 12와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고사진(271) 및 질문사진(273)이 이미지로 대체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참고사진(271) 및 질문사진(273)에는 실제 촬영된 사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and 13, the reference photograph 271 and the question photograph 273 are replaced with an image. However, the reference photograph 271 and the question photograph 273 are provided with photographs .

또한 질문사진(273)들의 간격은 5,000ms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 질문사진(273)의 전시시간은 3,000ms인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s of the question photographs 273 are 5,000 ms, and the display time of each question photograph 273 is preferably 3,000 ms.

즉 사용자는 전시되는 참고사진(271)을 설정시간동안 열람한 이후 해당 참고사진(271)에 대한 질문사진(273)이 전시되면,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선택하여 입력한다.That is, when the user views the displayed reference picture 271 for the set time and displays the question picture 273 for the reference picture 271, the user selects and inputs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평가 어플리케이션(5)은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트(270)의 테스트 수행 시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측정된 반응시간 및 입력된 반응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능력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The evaluation application 5 measures the reaction time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test of the sixth body function check content 270, and generates the operation ability result data using the measured reaction time and the inputted reaction data.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적 특성을 감안함과 동시에 실제 환경에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들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1 for evaluating the safety dr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driv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tests the recognition and phys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driver by performing test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environment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gnitiv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river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capable of driving.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실제 운전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입력수단(7)을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답변(반응)을 입력할 수 있어 질환 고령운전자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반응측정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evaluating the safety driving performance of the elderly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n answer (response) in a simple manner through the input means 7 for provi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actual driving environment, Convenience and accuracy of response measurements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신체기능 검사컨텐츠(220), (230), (240), (250), (260), (270)들이 고령운전자의 신체적특성을 감안하여 이들의 신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The system for evaluating safe driver's driving abilit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ody function test contents 220, 230, 240, 250, 260, and 270 determin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driver So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driving ability of the aged driver can be improved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선택된 답변뿐만 아니라 해당 답변을 입력할 때까지의 반응시간까지 활용하여 운전능력 평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lderly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valuate the driving ability more precisely by generating the driving ability evaluation data by utilizing not only the selected answer but also the response time until the answer is inputted.

또한 본 발명의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1)은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운전능력 평가와 훈련을 통해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사고로 인한 사회비용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운전능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부족한 인지 및 신체기능에 대한 세밀한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부족한 기능에 대한 훈련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evaluating safe driver's driving 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1) can determine the driver's ability through accurate and objective driving ability assessment and training of the elderly driver with diseases and non-disease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social expenses due to unnecessary accidents , It is possible to provide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when it is judged that the driving ability is im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training on the lacking function.

1: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3-1, ..., 3-N:클라이언트들
5:평가 어플리케이션 7:입력수단 9:관리서버
10:통신망 71:키보드 입력수단
73:핸들형 입력수단 210:인지기능 검사컨텐츠
220: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30: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40: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50: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60: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270: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1: Senior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3-1, ..., 3-N:
5: evaluation application 7: input means 9: management server
10: communication network 71: keyboard input means
73: Handle type input means 210: Cognitive function check content
220: first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230: second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240: Third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50: 4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60: fif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270: six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Claims (8)

질환 및 비질환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인지기능 테스트 및 신체기능 테스트를 수행함과 동시에 피점검자로부터 입력된 반응데이터에 따라 운전능력을 평가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응용프로그램인 평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들;
상기 클라이언트들에게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받은 평가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지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문항이 전시되는 검사컨텐츠인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신체기능 테스트 수행 시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들을 해당 클라이언트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A system for evaluating the safety driving performance of an aged dri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ging driver is capable of driving or not,
Clients for which an evalu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which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performing a cognitive function test and a body function test and for evaluating the operation ability according to reaction data input from a subject, and sending the result to the outside;
Input means connected to the clients to receive commands from a user;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evaluation applications and transmitting evaluation result data transmitted from the clients,
The evaluation application displays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 which is the test content on which the predetermined item is displayed whe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is performed, on the monitor of the corresponding client, and displays the body function test contents for each of the predetermined categories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of the client.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특정방향, 버튼, 핸들,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의 문항들은 `성격` 카테고리 및 `불안`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성격` 카테고리는 `분노`, `불안`,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상기 `불안` 카테고리는 `운전조절`, `사고유연성`, `안전감`, `주의산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상기 인지기능 검사컨텐츠는 분류된 소카테고리에 관련된 문항들을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means includes a specific direction, a button, a handle, a brake pedal and an accelerator pedal,
The items of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s are classified into a `personality` category and an` anxiety` category, and the `personality` category is classified into small categories including at least one of` anger`, `anxiety`, and` , And the `anxiety` category is classified into a small category including at least one of` driving control`, `thinking flexibility`,` safety feeling`, and `distraction`,
Wherei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content displays questions related to the categorized sub-category.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의 긴급브레이크 및 핸들 조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명도대비 민감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동체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방향 인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신호등의 신호에 대한 반응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와, 피검사자의 운전 중 기억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A first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subject's emergency break and handle manipulation, a second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sensitivity of the subject to lightness, and a third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subject's visual acuity A fif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response of the subject to the signal of the traffic light of the examinee, and a fif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for testing the memory of the subject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function test content and the at least one function test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unction test content and the function test content.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원 또는 다면체로 전시되는 자극제시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피검사자에게 브레이크 페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에 매칭된 색상들 중 어느 하나로 자극제시점을 표시하되,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의 색상에 대응되는 페달키가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되면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자극제시점을 현재 순서의 자극제시점과 다른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횡방향으로 기 설정된 속도 및 패턴으로 이동하는 타겟점과, 피검사자의 핸들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추적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타겟점 및 상기 추적점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s include prompts displayed in a circle or a polyhedron,
Wherein the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 indicates a stimulant point of time by any one of colors matched to a pressure of the brake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to the examinee and if the pedal key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stimulant point of the current sequence is input from the subject, And the stimulation time point of the next step is display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stimulation point of the current sequence,
Wherein the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 further includes a target point moving in a predetermined speed and pattern in a later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tracking point moving in accordance with a handle rotation direction of the examinee,
Wherein the evaluation application calculates a deviation between the target point and the tracking point at a predetermined period through the first body function test content.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검정색상의 바탕화면과, 상기 바탕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는 응시점과, 상기 응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상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자극개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전시하는 응시점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될 때 현재 순서의 응시점을 제거한 후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is displayed on a black background screen, a gaze point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desktop, and an arc on the basis of the gaze point Including the stimulation opening,
Wherein the second body function te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next step when the examinee inputs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xaminee point to be displayed, system.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일측이 개구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응시점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로 개구부가 향하도록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은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전시하되 서로 다른 방향의 이동경로선들 중 어느 하나에 랜덤으로 표시하며, 현재 순서의 응시점보다 하향되도록 다음 순서의 응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Claim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hird body function examination content is displayed in such a way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one of left and right sides,
A candidate point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next time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examinee to the opening is input and displayed randomly in any one of the movement path lin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poi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화살표 형상의 자극선들과, 상기 순서에 따른 숫자가 표시되는 막대형상의 유인선들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피검사자로부터 낮은 숫자로부터 높은 숫자의 방향의 상기 자극선들의 화살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our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Shaped stimulus lines in which numbers in the predetermined order are displayed and bar-shaped attractors in which numbers in the above order are displayed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of an arrow of the magnetic pole lines in a direction of a high number from a low number to an examinee is inputted.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직진`, `브레이크`, `좌회전`, `우회전`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는 신호등을 표시하고, 상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면 피검사자로부터 표시된 신호에 대응되는 방향키를 입력받고,
상기 제6 신체기능 검사컨텐츠는
운전 시 주변환경을 촬영한 이미지인 참고사진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한 후 상기 참고사진의 기억에 관련된 문항을 포함하는 질문사진들을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운전자 안전운전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f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A signal lamp for illuminating any of the signals of `straight`,` break`, `left` and` right` is displayed. When one of the signals is displayed,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signal is input from the subject,
The sixth physical function test content
And displays a question photograph including an item related to the memory of the reference picture after displaying a reference picture, which i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the time of driv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KR1020160059612A 2016-05-16 2016-05-16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KR201701289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12A KR20170128919A (en) 2016-05-16 2016-05-16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12A KR20170128919A (en) 2016-05-16 2016-05-16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19A true KR20170128919A (en) 2017-11-24

Family

ID=6081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12A KR20170128919A (en) 2016-05-16 2016-05-16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91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869B1 (en) 2019-02-12 2020-06-23 장성철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response
WO2020130406A1 (en) * 2018-12-20 202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bm operation simu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operation capability of tbm device using same
RU2740244C1 (en) * 2020-06-11 2021-0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ЕЙРОКОМ-ЭЛЕКТРОНТРАНС" Psychophysiological method for assessing operator's preparedness for emergency actions
JP2021189318A (en) *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セガ Driving simulator program, driving simulator method, and driving simul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06A1 (en) * 2018-12-20 202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bm operation simu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operation capability of tbm device using same
KR102123869B1 (en) 2019-02-12 2020-06-23 장성철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response
JP2021189318A (en) *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セガ Driving simulator program, driving simulator method, and driving simulator
RU2740244C1 (en) * 2020-06-11 2021-0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ЕЙРОКОМ-ЭЛЕКТРОНТРАНС" Psychophysiological method for assessing operator's preparedness for emergency a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tes et al. Surrogate distraction measurement techniques: The lane change test
Xu et al. The alleviation of perceptual blindness during driving in urban areas guided by saccades recommendation
Cantin et al. Mental workload when driving in a simulator: Effects of age and driving complexity
Sirkin et al. Toward measurement of situation awareness in autonomous vehicles
KR20170128919A (en)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Morrell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vibrotactile seat to improve spatial awareness while driving
BR112016022178A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Kim et al. Route guidance modality for elder driver navigation
Engström et al. Comparison between visual and tactile signal detection tasks applied to the safety assessment of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Kim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driver distraction part 1: based on simulator experiments
JP6086515B1 (en) Driving skill evaluation device, server device, driving skill evaluation system, program, and driving skill evaluation method
KR100911356B1 (en)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JP2017205191A (en) Identification/reactio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identification/reaction functions of subject, and program for executing/controlling measurement of identification/reaction functions of subject
Monsaingeon et al. Earcons to reduce mode confusions in partially automated vehic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ethod
JPH1165418A (en) Driving simulator and driving simulation method
JP5674034B2 (en) Driving aptitude diagnosis device
KR20190025164A (en) A method for evaluating driving ability using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Castro Visual demands and driving
JP3917944B2 (en) Fatigue degree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9028732A (en)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by analyzing mood from voice or the like
KR20180127578A (en)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evaluating driving ability of examinee
Hwang et al. A validation study on a subjective driving workload prediction tool
JPH07195961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RU2545428C1 (en) Method for determining path of involuntary visual image attention offset
Zhai et al. A study of how drivers’ subjective workload and driving performance change under varying levels of automation and critical situ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