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471A -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471A
KR20170128471A KR1020177029255A KR20177029255A KR20170128471A KR 20170128471 A KR20170128471 A KR 20170128471A KR 1020177029255 A KR1020177029255 A KR 1020177029255A KR 20177029255 A KR20177029255 A KR 20177029255A KR 20170128471 A KR20170128471 A KR 2017012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information
information
app
intera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저우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 제1 조작은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 제1 요청은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트 정보를 포함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트 정보에 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를 획득한 이후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본 개시내용은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바일 인터넷 시대, 사물 및 그것의 기능은 변화되지 않았으므로, 또한 시대의 경험이 반복된다고 말할 수 있다. 사물은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을 때까지 몇 초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스플래시 스크린이다. 스플래시 스크린은, 시스템의 반응을 대기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APP를 시작하는데 요구되는 일부 정보의 취득을 대기하는 목적을 위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APP)이 충분한 기능 하에 시작되는데 공백의 몇 초가 걸리기 때문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몇 초는 스크린 세이버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스크린 세이버가 데모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컴퓨터에 있지 않을 수 있고, 스플래시 스크린은 사용자가 대기하고 스플래시 스크린을 수락해야 하도록, 사용자가 이러한 APP 프로그램을 시작하고자 할 때 나타나고,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는 제 때에 출현한다.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는 APP가 로딩될 때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짧은 고정 영상 기반 광고를 언급한다.
네트워크 비디오들의 시장 규모 및 미디어 가치의 개선과 함께, 더 많은 텔레비전 광고자들은 위치 조정을 시작하고 네트워크 비디오들의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에의 투자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신속한 트래픽 변화들 및 광고 재고 소화를 위해, 일부 비디오 웹사이트들은 또한 새로운 광고 다양성들을 계속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고 또한 기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다양성들의 플레잉 시간 길이들을 증가시킴으로써, 극히 나쁜 사용자 경험들을 야기한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법들은 이하와 같이 구현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단말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제1 조작이 취득되며,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제1 요청이 트리거되며,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되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플레이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이 취득되고, 제1 APP는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시작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서버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며, 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제1 요청이 수신되고;
제1 요청은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파싱되고;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APP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송신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이하의 동작들, 즉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동작 -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동작 -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서버를 더 제공하며,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이하의 동작들, 즉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하는 동작;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단말은 디스플레이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서버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제1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이하의 동작들, 즉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동작 -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동작 -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동작,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는 동작, 및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이하의 동작들, 즉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하는 동작,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말은 제1 조작을 취득하고 - 제1 조작은 제1 APP가 시작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고 -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개시내용의 응용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대응하는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효과 도해들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하드웨어 엔티티 도해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엔티티 도해이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법들은 도면들 및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더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은 단말에 적용된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101)에서, 제1 조작이 취득된다.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작은 사용자가 제1 APP를 시작하기 위해 단말을 트리거하도록 마우스,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클릭함으로써 단말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APP에 대응하는 다수의 APP 아이콘들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트리거하는 것일 수 있다. 대응적으로, 단말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조작을 취득한다.
여기서, 단말은 이동 단말 또는 비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비이동 단말은 데스크톱 컴퓨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영역이다.
여기서, 제1 APP는 비디오 APP, 내비게이션 APP, 전자 상거래 APP, 게임 APP, 채팅 APP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디오 APP는 유쿠, 텐센트 비디오 등일 수 있다. 제1 APP는 단말이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조작을 취득한 후에 제1 APP를 시작할 수 있도록, 단말에 사전 다운로딩되고 단말 상에 성공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제1 요청이 트리거된다.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요청이 트리거되는 동작은 이하와 같이 구현된다: 단말은 단말이 시작되기 위해 제1 APP를 대기하고 있을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이 제1 요청을 트리거할 때, 단말은 서버와의 연결을 설정했다. 여기서, 네트워크 연결은 단말과 서버 사이에 설정된다. 네트워크 연결은 유선 연결, 무선 연결 또는 유선 및 무선 혼합 네트워크 연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및 단말은 무선 연결 방식으로 무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연결 방식은 구체적으로 무선 충실도(Wireless-Fidelity)(WiFi) 연결 방식 또는 블루투스 연결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및 서버 각각에는 WiFi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이 제공된다. 단말은 자체의 WiFi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서버의 WiFi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는 영상, 비디오 광고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플레이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언급한다.
단계(S103)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제1 요청을 송신한 후에,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선택 정보 등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것을 적어도 포함하며, 입력 정보는 검증 코드, 특정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 정보는 영상,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에, 방법은 이하의 방식들 중 어느 것을 더 포함한다.
제1 방식:
단말은 제1 APP가 나중의 시간에 재시작될 때 제1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하게 저장한다.
제2 방식: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것 또는 단말이 위치되는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가 제1 임계 값보다 더 낮은 것이 검출될 때, 단말은 서버에 제2 요청을 트리거하며, 제2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은 제1 APP가 나중의 시간에 재시작될 때 제2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하게 캐싱한다.
여기서,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는 영상, 비디오 광고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와 상이하다.
단계(S104)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플레이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105)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이 취득되고, 제1 APP는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시작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와의 인터랙션을 트리거할 때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한다. 단말은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적어도,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할 때이다.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와의 인터랙션이 트리거될 때 제2 조작이 취득되는 동작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동안, 음성 제어 정보가 단말의 음성 취득 장치를 통해 취득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가 적어도,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할 때이다. 단계들(S104 내지 S105)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을 수 있다: 단말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On a road"라고 명명된 노래의 첫번째 문장을 노래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팝업될 때, 사용자는 "It's the day when I have to depart"를 노래한 후에, 단말은 자체의 음성 취득 장치를 통해 "It's the day when I have to depart"와 관련되는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제1 APP를 시작한다.
다른 예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가 입력 정보 예컨대 검증 코드 또는 특정 문자를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할 때, 단계들(S104 내지 S105)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정보 예컨대 검증 코드 "ab2c" 또는 특정 문자 "星期一"를 입력하는 것을 요청하는 프롬프팅 정보는 단말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에 팝업될 때, 사용자는 인터랙션 방식으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대응하는 입력 박스에 "ab2c" 또는 "星期一"를 입력한 후에, 단말은 "ab2c" 또는 "星期一"과 관련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고, 제1 APP를 시작한다.
다른 예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가 영상 또는 문자의 선택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할 때, 단계들(S104 내지 S105)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을 수 있다: 다수의 영상들 또는 다수의 세트들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플로팅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팝업되고 사용자가 플로팅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영상들 또는 다수의 세트들의 문자들로부터 특정 요건과 일치하는 영상 또는 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요청하는 프롬프팅 정보는 단말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팝업될 때, 사용자는 인터랙션 방식으로 마우스,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플로팅 디스플레이 윈도우에서 특정 요건과 일치하는 영상 또는 문자를 선택한 후에, 단말은 영상 또는 문자와 관련되는 선택 정보를 취득하고, 제1 APP를 시작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조작을 취득하고,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트리거하고,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제2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은 단말에 적용된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201)에서, 제1 조작이 취득된다.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작은 사용자가 제1 APP를 시작하기 위해 단말을 트리거하도록 마우스,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클릭함으로써 단말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APP에 대응하는 다수의 APP 아이콘들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트리거하는 것일 수 있다. 대응적으로, 단말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조작을 취득한다.
단계(S202)에서, 제1 요청이 트리거된다.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요청이 트리거되는 동작은 이하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이 시작되기 위해 제1 APP를 대기하고 있을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송신한다.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는 영상, 비디오 광고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플레이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언급한다.
단계(S203)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위치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예컨대 좌측 상부 코너, 좌측 하부 코너, 우측 상부 코너, 우측 하부 코너 또는 중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제1 요청을 송신한 후에,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적어도,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선택 정보 등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입력 정보는 검증 코드, 특정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 정보는 영상,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파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예컨대 좌측 상부 코너, 좌측 하부 코너, 우측 상부 코너, 우측 하부 코너 또는 중심을 획득하기 위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파싱한다.
단계(S205)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 결정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실행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지정된 위치에서 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 결정,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표에 위치 결정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방향에 위치 결정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지정되고; 그 다음에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지정된 위치에서 플레이된다.
단계(S206)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207)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이 취득되고, 제1 APP는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시작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 단말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파싱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그 다음, 단말은 지정된 위치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다음, 단말은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제3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은 단말에 적용된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301)에서, 제1 조작이 취득된다.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작은 사용자가 제1 APP를 시작하기 위해 단말을 트리거하도록 마우스,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클릭함으로써 단말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제1 APP에 대응하는 다수의 APP 아이콘들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트리거하는 것일 수 있다. 대응적으로, 단말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조작을 취득한다.
단계(S302)에서, 제1 요청이 트리거된다.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요청이 트리거되는 동작은 이하와 같이 구현된다: 단말은 단말이 시작되기 위해 제1 APP를 대기하고 있을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송신한다.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일 수 있고,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는 영상, 비디오 광고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플레이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언급한다.
단계(S303)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제1 요청을 송신한 후에,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적어도,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선택 정보 등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 정보는 검증 코드, 특정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 정보는 영상,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플레이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305)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이 취득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와의 인터랙션을 트리거할 때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한다.
단계(S306)에서,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가 검출되어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검출 결과가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 것을 표현하도록 구성될 때, 프로세스는 후속 단계(S307)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처리 흐름은 종료된다.
단계(S307)에서, 검출 결과가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 것을 표현하도록 구성될 때, 제1 APP가 시작된다.
일 예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적어도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도록 프롬프팅하는 것을 포함할 때, 단계들(S304 내지 S307)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을 수 있다: 단말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프로세스에서, "On a road"라고 명명된 노래의 첫번째 문장을 노래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위한 프롬프팅 정보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팝업될 때, 단말과의 인터랙션의 프로세스에서의 사용자의 음성 제어 정보는 단말의 음성 취득 장치를 통해 취득되고; 그 다음, 단말은 취득된 음성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 즉 단말은 음성 제어 정보가 "On a road"라고 명명된 노래의 첫번째 문장에 대해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 즉 음성 제어 정보가 "It's the day when I have to depart"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가 음성 제어 정보가 "It's the day when I have to depart"임을 나타낼 때, 제1 APP가 시작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1 조작을 취득하며,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서버에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트리거한다. 그 다음, 단말은 서버로부터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그 다음, 단말은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며,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단말은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 것을 검출 결과가 표현하도록 구성될 때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제4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은 서버에 적용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들(S401 내지 S402)에서, 제1 요청이 수신되고, 제1 요청은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파싱된다.
여기서, 제1 요청은 단말이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해 서버에게 요청하는 것을 표현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제1 요청은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해, 단말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그 다음에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한다.
여기서, 제1 APP는 비디오 APP, 내비게이션 APP, 전자 상거래 APP, 게임 APP, 채팅 APP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디오 APP는 유쿠, 텐센트 비디오 등일 수 있다. 제1 APP의 APP 식별자는 적어도 APP 타입 및 APP 명칭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가 제1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서버는 단말과 연결을 설정했다. 여기서, 네트워크 연결은 서버와 단말 사이에 설정되고, 네트워크 연결은 유선 연결, 무선 연결 또는 유선 및 무선 혼합 네트워크 연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및 단말은 무선 연결을 무선 연결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연결 방식은 구체적으로 WiFi 연결 방식 또는 블루투스 연결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및 단말 각각에는 WiFi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이 제공되고, 서버는 자체의 WiFi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단말의 WiFi 모듈(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단계(S403)에서,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APP 식별자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서버는 APP 식별자에 따라 사전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발견한다. 여기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일 수 있고,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는 영상, 비디오 광고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단말이 제1 APP를 시작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을 때의 시간 기간 동안 플레이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언급한다.
광고자는 서버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전에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예컨대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 재료)를 서버의 자체의 광고 전달 시스템에 업로딩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광고 전달 시스템은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 상에 자격 검사를 수행하고, 그것을 성공적인 검사 후에 멀티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실제 응용에서, 서버는 단말이 시작되기 위해 APP 식별자에 대응하는 APP를 대기하고 있을 때의 시간 기간 동안 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특정 APP 식별자에 대응하는, 일대일 대응을 갖는 단말 측의 멀티미디어 정보 및 APP 식별자들을 저장한다.
단계(S404)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송신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한 후에, 서버는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단말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말에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선택 정보 등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것을 적어도 포함한다. 입력 정보는 검증 코드, 특정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 정보는 영상,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위치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예컨대 좌측 상부 코너, 좌측 하부 코너, 우측 상부 코너, 우측 하부 코너 또는 중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이하를 더 포함한다: 서버는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트리거되는 제2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요청은 APP에 따라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파싱되고;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APP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고;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단말에 송신되며,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일 수 있다.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정보는 영상, 비디오 광고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와 상이하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르면, 서버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하고,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고, 제1 APP가 시작되기 위해 대기될 때의 시간 기간 동안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단말이 플레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제5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은 단말 및 서버에 적용된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의 구현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501)에서, 단말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조작을 취득한다.
단계(S502)에서, 단말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트리거한다.
단계(S503)에서, 서버는 제1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S504)에서, 서버는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한다.
단계(S505)에서, 서버는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S506)에서, 서버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507)에서, 단말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508)에서, 단말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509)에서, 단말은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실시예에서, 서버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을 확장하기 위해 단계(S506)에서 단말에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한다.
실시예의 단계들(S508 내지 S509)에서, 단말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가 달성되고, 사용자 경험들이 개선된다.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에 관한 상세들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를 언급할 수 있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에 관한 상세들은 제4 실시예를 언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5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르면, 기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와 비교하여, 서버는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을 확장하기 위해 단말에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한다. 더욱이, 단말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가 달성되고, 사용자 경험들이 개선된다.
제6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단말은 취득 모듈(601), 제1 송신 모듈(602), 제1 수신 모듈(603), 디스플레이 모듈(604) 및 실행 모듈(605)을 포함한다.
취득 모듈(601)은 제1 조작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1 조작은 제1 APP를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송신 모듈(602)은 제1 요청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제1 수신 모듈(603)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604)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실행 모듈(605)은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단말은 제1 파싱 모듈(606) 및 위치 결정 모듈(607)을 더 포함한다.
제1 파싱 모듈(606)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결정 모듈(607)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지정된 위치에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지정된 위치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모듈(605)은 검출 유닛(6051) 및 시작 유닛(6052)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6051)은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시작 유닛(6052)은 제2 조작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 것을 검출 결과가 표현하도록 구성될 때, 제1 APP를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는,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및 선택 정보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것을 적어도 포함한다.
대응적으로, 실행 모듈(605)은 사전 설정 인터랙션 전략에 따른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동안 단말의 음성 취득 장치를 통해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저장 모듈(608)을 더 포함한다.
저장 모듈(608)은 제1 APP가 나중의 시간에 재시작될 때 제1 멀티미디어 정보 내의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하게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송신 모듈(602)은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것 또는 단말이 위치되는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가 제1 임계 값보다 더 낮은 것이 검출될 때, 제2 요청을 트리거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제1 수신 모듈(603)은 제2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저장 모듈(608)은 제1 APP가 나중의 시간에 재시작될 때 제2 멀티미디어 정보 내의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하게 캐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실제 응용 동안, 실행 모듈(605)에 포함되는 검출 유닛(6051) 및 시작 유닛(6052)뿐만 아니라, 취득 모듈(601), 실행 모듈(605), 제1 파싱 모듈(606), 위치 결정 모듈(607)의 특정 구조들의 전부는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특정 구조는 처리 기능을 갖는 전자 구성요소, 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 Unit)(MC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또는 프로그램가능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또는 전자 구성요소들의 세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고, 실행가능 코드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버스를 통해 저장 매체와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특정 모듈의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때,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실행가능 코드를 실행한다.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매체의 일부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모듈(608)의 특정 구조는 메모리에 대응할 수 있다.
취득 모듈(601), 실행 모듈(605), 제1 파싱 모듈(606) 및 위치 결정 모듈(607)은 동일한 프로세서에 대응적으로 통합되거나, 상이한 프로세서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취득 모듈(601), 실행 모듈(605), 제1 파싱 모듈(606) 및 위치 결정 모듈(607)이 동일한 프로세서에 대응적으로 통합될 때, 프로세서는 취득 모듈(601), 실행 모듈(605), 제1 파싱 모듈(606) 및 위치 결정 모듈(607)의 대응하는 기능들을 시간 분할 방식으로 처리한다.
제1 송신 모듈(602)의 특정 구조는 유선 및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 구체적으로 예컨대 송신 안테나 또는 케이블 송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송신 인터페이스이다.
제1 수신 모듈(603)의 특정 구조는 유선 및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들, 구체적으로 예컨대 트위스트 페어 인터페이스, 광섬유 인터페이스 또는 수신 안테나와 같은 다양한 케이블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수신 인터페이스이다. 특정 구현 프로세스에서, 제1 송신 모듈(602) 및 제1 수신 모듈(603)은 동일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기존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상 송신 및 수신 기능들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6 실시예의 단말은 실시예들 1 내지 3의 방법들을 위해 특정 구현 하드웨어를 제공하고, 실시예들 1 내지 3에서 임의의 기술적 해결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제7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서버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제2 수신 모듈(701), 제2 파싱 모듈(702), 결정 모듈(703) 및 제2 송신 모듈(704)을 포함한다.
제2 수신 모듈(701)은 제1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파싱 모듈(702)은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모듈(703)은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송신 모듈(704)은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한다.
실제 응용 동안, 제2 파싱 모듈(702) 및 결정 모듈(703)의 특정 구조들은 둘 다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특정 구조는 처리 기능을 갖는 전자 구성요소, 예컨대 CPU, MCU, DSP 또는 PLC, 또는 전자 구성요소들의 세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며, 실행가능 코드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버스를 통해 저장 매체와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특정 모듈의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때,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실행가능 코드를 실행한다.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매체의 일부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파싱 모듈(702) 및 결정 모듈(703)은 동일한 프로세서에 대응적으로 통합되거나, 상이한 프로세서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파싱 모듈(702) 및 결정 모듈(703)이 동일한 프로세서에 대응적으로 통합될 때, 프로세서는 제2 파싱 모듈(702) 및 결정 모듈(703)의 대응하는 기능들을 시간 분할 방식으로 처리한다.
제2 수신 모듈(701)의 특정 구조는 유선 및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들, 구체적으로 예컨대 트위스트 페어 인터페이스, 광섬유 인터페이스 또는 수신 안테나와 같은 다양한 케이블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수신 인터페이스이다.
제2 송신 모듈(704)의 특정 구조는 유선 및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 구체적으로 예컨대 송신 안테나 또는 케이블 송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송신 인터페이스이다. 특정 구현 프로세스에서, 제2 수신 모듈(701) 및 제2 송신 모듈(704)은 동일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기존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상 송신 및 수신 기능들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7 실시예의 서버는 제4 실시예의 방법을 위해 특정 구현 하드웨어를 제공하고, 제4 실시예에서 임의의 기술적 해결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제8 실시예
실시예는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 내의 임의의 장치 실시예를 기초하여 특정 하드웨어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프로세서(802), 저장 매체(804)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801)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02), 저장 매체(804) 및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801)는 버스(803)를 통해 모두 연결된다. 프로세서(802)는 처리 기능을 갖는 전자 구성요소, 예컨대 MCU, CPU, DSP 또는 PLC일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는 저장 매체(804)에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하드웨어가 단말일 때, 프로세서(802)는 적어도 이하의 기능들, 즉
제1 조작을 취득하는 기능 - 제1 조작은 제1 APP가 시작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기능 -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실행한다.
하드웨어가 서버일 때, 프로세서(802)는 적어도 이하의 기능들, 즉
제1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하는 기능;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 및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실행한다.
제9 실시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서버(901) 및 단말들(902)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버(9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902)과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및 무선 혼합 네트워크일 수 있다. 시스템은 제5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0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한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단말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51) 및 디스플레이(5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이하의 동작들, 즉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동작 - 제1 조작은 제1 APP가 시작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동작 -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디스플레이(52)를 통해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1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서버를 제공한다. 서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이하의 동작들, 즉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요청을 파싱하는 동작;
APP 식별자에 따라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대응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상술한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응용 시나리오
본 개시내용의 응용 예에서, 광고자는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를 전달하기 위해 스플래시 스크린 H5 재료를 서버의 광고 전달 시스템에 업로딩한다. 그 다음, 서버 내의 광고 전달 시스템은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 상에 자격 검사를 수행하고, APP가 성공적인 검사 후에 시작될 때의 시간 기간 내에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을 대기한다. 본 개시내용의 응용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에 대응하는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효과 도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응용 예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단계 1에서, 단말의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기를 원할 때, 제1 조작은 단말이 제1 조작을 취득한 후에 비디오 APP를 시작할 준비를 하게 하도록 트리거된다.
단계 2에서, 단말은 비디오 APP를 시작할 때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1 요청을 트리거하기 위해 광고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SDK)를 시작한다.
단계 3에서, 광고 SDK는 서버의 광고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 정보는, 광고 공간 및 스플래시 스크린 H5 재료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비디오 APP가 나중에 다시 시작될 때 광고 SDK가 스플래시 스크린 H5 재료를 직접 플레이할 수 있도록, 광고 SDK는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위한 제2 요청을 트리거하는 방식으로 로컬 비디오 APP에서 스플래시 스크린 H5 재료를 프리로딩하기 위해 시작된다는 점 또는 단말이 위치되는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가 제1 임계 값보다 더 낮다는 점이 여기서 주목되어야 한다.
단계 4에서, 스플래시 스크린 H5 재료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마이크로폰 기능을 호출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사운딩 레코딩 기능이 인에이블되는지의 여부를 프롬프팅한다.
단계 5에서, 사용자가 사운드 레코딩 기능을 허용할 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는 다음 페이지에 진입하며, 즉 사용자는 프롬프팅 문자에 따라 노래 버튼 및 노래를 누르도록 프롬프팅된다.
단계 6에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래 버튼을 누른 후에, 스플래시 스크린 H5 재료는 사운드 레코딩 및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단계 7에서, 단말은 레코딩된 사운드들의 웨이브밴드를 준비된 텍스트의 음성 웨이브밴드와 비교하고, 이들 웨이브밴드들이 서로 유사하면, 사용자는 프롬프팅 텍스트에 따라 정확히 노래하는 것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올바른 가사들을 노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후속 단계(8)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실행된다.
여기서, 단계 7에서, 웨이브밴드들이 서로 유사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프롬프팅 텍스트에 따라 정확히 노래하지 않는 것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잘못된 가사들을 노래하는 것이 결정되고, 그 다음에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는 다음 페이지에 진입한다. 즉, 사용자는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못된 가사들을 노래하도록 프롬프팅되고 다시 노래하도록 요청받는다.
단계 8에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올바른 가사들을 노래할 때, 높은 점수들에 대한 즉각적인 축하들 및 비디오에의 환영이 주어지고, 스플래시 스크린 H5 광고는 음성 제어 인터랙션 후에 비디오 APP의 홈 페이지에 진입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개략적이고, 예를 들어, 유닛들의 분할은 로직 기능 분할만이고, 다른 분할 방식들은 실제 구현 동안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들 또는 구성요소들은 다른 시스템으로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성들은 생략되어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구현되는, 장치 또는 유닛들의 간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이고 기계적이거나 다른 형태들을 채택할 수 있다.
개별 부분들로 설명되는 상술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 디스플레이되는 부분들은 물리 유닛들일 수 있거나 물리 유닛들이 아닐 수 있고, 즉 동일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한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배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 요건에 따라 실시예들의 해결법들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은 또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유닛들은 또한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술한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상술한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그램이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인식해야 하고;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들 예컨대 이동 저장 장치,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본 개시내용의 통합된 유닛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종래 기술에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법들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컴퓨터 장치(PC,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들 예컨대 이동 저장 장치,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현 모드만이고 본 개시내용의 보호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분명한 임의의 변형들 및 대체들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보호의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의 범위를 받을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은 제1 조작을 취득하고 - 제1 조작은 제1 APP가 시작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고 - 제1 요청은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을 요청하도록 구성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랙션 형태인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후에 제1 APP를 시작한다. 따라서,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들의 타입들이 확장되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추가되어 스플래시 스크린 광고 홍보 심화 효과를 달성하고 사용자 경험들을 개선한다.

Claims (17)

  1.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조작은 제1 애플리케이션(APP)을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에 대해 요청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이후에 상기 제1 APP를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지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결정(positioning)을 실행하고, 상기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한 이후에,
    상기 제2 조작이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작이 상기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 것을 표현하도록 상기 검출 결과가 구성될 때, 상기 제1 APP를 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는,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및 선택 정보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것을 적어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에 따른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동안, 단말에서의 음성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다음의 방식들:
    제1 방식:
    상기 제1 APP가 나중 시간에 재시작될 때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 저장하는 단계;
    제2 방식: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있다고 또는 상기 단말이 위치되는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가 제1 임계값보다 더 낮다고 검출될 때, 제2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 상기 제2 요청은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에 대해 요청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1 APP가 나중 시간에 재시작될 때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제2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 캐싱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7.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애플리케이션(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을 파싱하는 단계;
    상기 APP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9. 단말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동작 - 상기 제1 조작은 제1 애플리케이션(APP)을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동작 -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에 대해 요청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이후에 상기 제1 APP를 시작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파싱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지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상기 제2 조작이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조작이 상기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을 충족시키는 것을 표현하도록 상기 검출 결과가 구성될 때, 상기 제1 APP를 시작하는 동작
    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는, 음성 제어 정보, 입력 정보 및 선택 정보 중 임의의 것의 조합을 취득하기 위해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에 따라 인터랙션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 것을 적어도 포함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상기 사전 설정된 인터랙션 전략에 따른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 동안, 단말에서의 음성 취득 장치를 통해 상기 음성 제어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APP가 나중 시간에 재시작될 때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상기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있다고 또는 상기 단말이 위치되는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가 제1 임계값보다 더 낮다고 검출될 때, 제2 요청을 트리거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요청은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2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에 대해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APP가 나중 시간에 재시작될 때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제2 요청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제2 멀티미디어 정보를 로컬 캐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15. 서버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제1 애플리케이션(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을 파싱하는 동작;
    상기 APP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16.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상기 단말은 디스플레이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제1 조작을 취득하는 동작 - 상기 제1 조작은 제1 애플리케이션(APP)을 시작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됨 -, 제1 요청을 트리거하는 동작 - 상기 제1 요청은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의 취득에 대해 요청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는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상기 인터랙션 형태의 프롬프팅 정보에 대한 제2 조작을 취득하고, 조작 결과가 획득된 이후에 상기 제1 APP를 시작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제1 APP의 APP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을 파싱하는 동작, 상기 APP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1 APP와 연관되는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시스템.
  17. 제1항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177029255A 2015-07-17 2016-04-22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20170128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24690.8A CN106358059B (zh) 2015-07-17 2015-07-17 一种多媒体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CN201510424690.8 2015-07-17
PCT/CN2016/080078 WO2017012380A1 (zh) 2015-07-17 2016-04-22 一种多媒体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471A true KR20170128471A (ko) 2017-11-22

Family

ID=5783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255A KR20170128471A (ko) 2015-07-17 2016-04-22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57959B2 (ko)
JP (1) JP6665200B2 (ko)
KR (1) KR20170128471A (ko)
CN (1) CN106358059B (ko)
WO (1) WO2017012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8059B (zh) 2015-07-17 2020-04-0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CN106886466A (zh) * 2017-01-20 2017-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343221B (zh) * 2017-08-14 2020-01-03 彭君毅 一种在线多媒体互动系统及方法
CN108769790B (zh) * 2018-06-29 2019-11-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控制终端的方法和装置
CN111240564B (zh) 2020-01-06 2022-03-0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素材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240635A (zh) * 2020-01-08 2020-06-05 北京松果电子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511909B (zh) * 2020-11-30 2023-04-11 当趣网络科技(杭州)有限公司 开机推送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CN113554475B (zh) * 2021-09-17 2021-12-21 网易传媒科技(北京)有限公司 多媒体信息处理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CN115361589B (zh) * 2022-07-05 2023-11-2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页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7135A (en) * 1989-10-16 1991-04-24 Logica Uk Ltd Speaker recognition
JPH06259090A (ja) * 1993-03-09 1994-09-16 Nec Corp 音声対話システム
US7743092B2 (en) * 1999-11-12 2010-06-22 Wood Lawson A Method for recognizing and distributing music
US8805715B1 (en) * 1999-12-29 2014-08-12 Carl Meyer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essages including internet splash pages
KR20000036999A (ko) * 2000-04-04 2000-07-05 안영경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FI20002161A (fi) * 2000-09-29 2002-03-30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elodian tunnistamiseksi
JP2002183579A (ja) * 2000-12-12 2002-06-28 Ntt Advertising Inc 音声操作型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音声操作型広告配信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JP2002318955A (ja) * 2001-04-19 2002-10-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入力型広告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とユーザ端末、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4252956A (ja) * 2003-01-31 2004-09-09 Fujitsu Ltd 情報配信装置と情報配信方法
US20130097302A9 (en) * 2003-10-01 2013-04-18 Robert Khedouri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US20070088801A1 (en) * 2005-10-17 2007-04-19 Zohar Levkovitz Device,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targeted advertisements using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DE602006005830D1 (de) * 2006-11-30 2009-04-30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Interaktives Spracherkennungssystem
US20110191174A1 (en) 2008-07-30 2011-08-04 Eovendo ApS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US20100030641A1 (en) * 2008-07-30 2010-02-04 Eovendo ApS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JP5873257B2 (ja) * 2011-05-25 2016-03-01 有限会社メイキング 広告配信システム
KR101851089B1 (ko) * 2011-09-18 2018-04-20 터치튠즈 뮤직 코포레이션 가라오케 및/또는 포토 부스 특징들을 갖는 디지털 주크박스 디바이스, 및 연관된 방법들
US20140019253A1 (en) * 2012-07-10 2014-01-16 Richard Ricasata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interactive advertising content with a lock screen
US9269277B2 (en) * 2012-07-25 2016-02-23 Bradley Wilson Leflore Vocal / instrument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same
US20140052770A1 (en) * 2012-08-14 2014-02-20 Packetvide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 using a dynamic playlist
US20140108144A1 (en) * 2012-10-16 2014-04-17 Yaho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voice input in display advertisements
KR101335390B1 (ko) 2012-11-19 2013-12-03 황두호 대기화면을 이용한 광고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15468B1 (ko) * 2013-04-30 2013-10-04 (주)버즈빌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모듈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14940A (zh) * 2013-08-02 2013-11-27 南京邮电大学 一种互动型网络视频广告播放系统与方法
JP5616503B1 (ja) * 2013-08-30 2014-10-29 ヤフー株式会社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WO2015037186A1 (ja) * 2013-09-13 2015-03-1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広告データ提供方法
JP6173182B2 (ja) * 2013-11-18 2017-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広告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4615432B (zh) * 2015-02-10 2020-06-16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闪屏信息处理方法及客户端
CN106358059B (zh) 2015-07-17 2020-04-0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57959B2 (en) 2021-10-26
JP6665200B2 (ja) 2020-03-13
US20170330238A1 (en) 2017-11-16
JP2018517195A (ja) 2018-06-28
CN106358059B (zh) 2020-04-07
CN106358059A (zh) 2017-01-25
WO2017012380A1 (zh)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8471A (ko)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10594814B2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5635764B (zh) 视频直播中播放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99006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control, breakaway judging apparatus and video/audio processing apparatus
WO2015058623A1 (zh) 一种多媒体数据共享方法和系统、及电子设备
WO2016155446A1 (zh) 信息展示方法、信道管理平台及终端
US10078847B2 (en) Distribution device and distribution method
US20130332860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843635B (zh) 信息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30336618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ausing an action to be performed on a user device
US10082928B2 (en) Providing content to a user based on amount of user contribution
CN109032491A (zh) 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102573725B1 (ko) 콘텐트 프리로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584887B1 (ko)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 서비스의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7140226A1 (zh) 视频处理方法及其设备
KR101510144B1 (ko) 배경 화면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27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30325619A1 (en) Saving electronic coupons for future use
CN113825022B (zh) 一种播放控制状态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50100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rand awareness before dismissing a video advertisement
CN114095745A (zh) 直播互动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1427635B (zh) 一种第三方信息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309230B (zh) 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883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JP606894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