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056A - 액체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056A
KR20170128056A KR1020160151868A KR20160151868A KR20170128056A KR 20170128056 A KR20170128056 A KR 20170128056A KR 1020160151868 A KR1020160151868 A KR 1020160151868A KR 20160151868 A KR20160151868 A KR 20160151868A KR 20170128056 A KR20170128056 A KR 2017012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pace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distillation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459B1 (ko
Inventor
강기준
Original Assignee
베니트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니트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니트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42Regulation; Control
    • B01D3/4211Regulation; Control of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 구획관이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유입관과 연통하는 제1공간 및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으로 구분하고,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가 있으며, 제1배출부에는 액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분배장치{LIQUID SPLITTER}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분배장치는 석유정유, 석유화학 및 정밀화학과 유해가스 또는 유기물의 제거를 위하여 증류, 흡수, 냉각 원리를 한 세척탑 및 흡수탑 등에 사용되는 액체 분배장치이다.
현재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증류, 흡수 및 냉각을 위한 장치로 컬럼(Column)이 있는데 이는 기액 접촉을 통해 원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 및 투자비 절감을 위해 분리벽형 증류 컬럼이 사용되는데, 이는 2개 이상의 컬럼의 기능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구조로서 상부측의 액체를 하부 두 개의 분리구간으로 원하는 비율로 분배를 해주어야 하고, 이때 액체 분배장치에서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체 분배장치는 축의 회전운동을 통해 피더를 양 측으로 설정각도 회전하여 일정시간 머무르는 동안, 즉 양측 중 일측에 정지한 시간과 타측에 정지한 시간의 비율에 따라 액체를 공급하는 비율이 정해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피더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는 동안 액체의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맥동현상이 발생하고 패킹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축의 계속적인 회전운동으로 압축공기 소모량이 증가하고 내구성이 떨어져 일정기간 운전시 주요 부품을 교체해야 하며 상기 축이 좌우로 회전하여 설정시간 머무르는 동안 액체를 공급하며 분배 비율을 조정하는데 실제 시간비율과 분배비율에 차이가 발생하여 사전에 액체를 통해 그 차이를 항상 교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2349호(2010.08.20)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컬럼의 기능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분리벽형 증류탑에서 상부측의 액체를 하부 두 개 이상의 분리구간으로 원하는 비율로 액체의 공급을 위해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액체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입관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과상기 제1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과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분배하는 분배조절밸브와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과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과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몸체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 및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뚫어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몸체에 상,하부가 연속되게 단속적으로 복수 개를 뚫어 형성한다.
상기 밸브부재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2구획판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부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한 공간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입관이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외부에 설치된다.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되며 액체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부공간과 상부공간의 액체를 하부공간으로 배출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경계부분에 분배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과 상기 상부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과 상기 하부공간과 제2공간의 액체를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상부공간의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을 회전시키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장홀과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하도록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과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가 유입되어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과 제1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하되, 제1공간에 분배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조절밸브의 제1유량조절용 홀과 제2유량조절용 홀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므로, 하우징에 하나 이상 설치하여 많은 유량을 처리하기 위해 액체의 다량조절과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력손실은 적으면서 제1배출부과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비가 연속적으로 제어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분리벽형 증류탑의 외측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배조절밸브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배조절밸브에서 유량조절용 홀의 형상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분리벽형 증류탑의 내측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8 내지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체 분배장치는, 2개의 컬럼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분리벽형 증류탑(Dividing Wall Column, DWC)에 사용되는 액체 분배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형 증류탑(10)은 제1컬럼(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액체를 제1컬럼(11) 하부의 제2컬럼(13)에 공급하되 세로로 설치된 분리벽(15)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 또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원하는 비율로 분배해 주어야 하고, 이때 액체 분배장치(100)에서 액체의 공급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액체 분배장치(100)는 분리벽형 증류탑(10)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1컬럼(11)과 제2컬럼(13)을 구획하는 가로 분리벽(12)에는 제2컬럼(13)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침니(chimney)(14)가 설치된다. 가로분리벽은 침니 트레이라고도 한다.
침니 트레이(12)는 침니가 설치된 상측 분리벽과 액체분배장치로의 유입관이 연결되는 하측 분리벽의 2개의 계단구조로 되어 있어, 낙하되는 액체가 침니 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침니햇(chimney hat,16)를 따라 침니트레이의 상단부을 경유해 하측부에서부터 채워져 액체수면을 형성한다.
한편, 액체분배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액체가 낙하되거나, 액체분배장치로의 배출구가 막힐 경우, 액체수면이 상승하는데, 침니를 범람해 제2컬럼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침니 트레이의 유입관(111) 연결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침니 트레이의 상단부에 오버플로우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벽은 제1컬럼과 제2컬럼을 관통시키며, 오버플로우 벽의 높이는 침니 높이보다는 낮고, 제2컬럼 내의 분리벽(15) 상부 공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벽의 형상은 평판, 원통, 사각통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분배장치(100)는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유입관(111)과 연통되는 제1공간(115)과 제1공간(115)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12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113)과 제1공간(115)을 상부공간(117) 및 하부공간(119)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123)이 설치된다.
제2구획판(123)에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119)으로 분배하는 분배조절밸브(130)가 설치되며, 하우징(110) 하부에는 하부공간(119)과 제2공간(121)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151)가 구비된다.
유입관(111)은 일단이 분리벽형 증류탑(10)의 제1컬럼(11) 하부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10)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제1컬럼(11)에 공급된 액체를 액체 분배장치(1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유입관(111)은 침니 트레이(Chimney)(12)의 바닥면 보다는 조금 높은 위치에서 일단이 연결되어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분리벽 바닥면에 가라앉고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가 공급되게 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유입관(111)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입관(111)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입관(111)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은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은 하우징(110) 내부에 소정 높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제1구획판(113)에 의해 제1공간(115)과 제2공간(12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구획되고, 제1공간(115)은 제1공간(115)에 가로로 설치된 제2구획판(123)에 의해 상부공간(117)과 하부공간(119)으로 구획된다.
도 2에서 제1구획판(113)은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115)과 제2공간(121)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하지만, 제1구획판(113)의 단면 형상이 Y자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 제3공간의 세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제1구획판(113)의 단면 형상이 X자나 +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 제2공간, 제3공간, 제4공간의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제1구획판(113)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서 하우징(110)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공간(115)은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가 유입되면 우선 분배할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공간이다. 제2공간(121)은 제1공간(115)의 상부공간(117)에서 초과(overflow)한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간이다.
제1공간(115)과 제2공간(121)의 액체분배 비율은 제1구획판(113)의 높이 및 분배조절밸브의 개폐율로 조절 가능하며, 제1공간(115)에서 상부공간(117)과 하부공간(119)의 공간 비율은 제2구획판(123)의 설치위치로 조절 가능하다.
분배조절밸브(130)는 제1공간(115)의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119)으로 배출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제1구획판(113)을 오버플로우할 액체의 양을 조절하게 되어 제1공간(115) 하부와 제2공간(121) 하부로 배출되는 액체 양의 비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분배조절밸브(130)는 제2구획판(123)에 설치된다.
분배조절밸브(130)는 고정몸체(131), 회전몸체(141), 밸브부재(147)를 포함한다.
고정몸체(131)는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구획판(123)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31)는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133)이 형성되며, 제1연통홀(133)과 연통되게 상부공간(117) 및 하부공간(119)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은 고정몸체(131)의 상,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몸체(141)는 고정몸체(131)의 제1연통홀(1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몸체(141)는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143)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제2연통홀(143)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한 쌍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회전몸체(141)의 상,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31)에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은 고정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장홀(a)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b), 고정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c), 복수의 사각홀(d), 복수의 타원형(e)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몸체(141)에 형성되는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마찬가지로 회전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장홀(a)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b), 회전몸체(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c), 복수의 사각홀(d), 복수의 타원형 홀(e)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 중 하나를 선택하고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5의 (e)에 도시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타원 홀을 유량조절용 홀 형상으로 채용하는 경우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연통되는 부분의 면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액체의 공급 비율을 더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141)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143) 및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은 회전몸체(141)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뚫어 일체로 형성하거나, 회전몸체(141)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단속적으로 복수 개를 뚫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속적으로는'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을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시 끊어지는 부분이 있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c),(d),(e) 형상이 해당한다. 단속적으로 끊어지는 부분이 있도록 회전몸체(141)에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을 형성하면 분배조절밸브(13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밸브부재(147)가 작동하여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에 대한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의 오픈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밸브부재(147)는 회전몸체(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몸체(14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밸브부재(147)의 회전에 의해 회전몸체(141)가 회전하고 회전몸체(141)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고정몸체(131)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연통되어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119)으로 분배할 수 있다.
즉, 고정몸체(131)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회전몸체(141)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이 연통되는 면적에 따라 액체의 분배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밸브부재(147)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밸브부재(147)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치된 분배조절밸브(130)에 설치될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밸브부재는 시선 위치에 따라 미도시 된 것으로 보여질 수도 있으나, 분배조절밸브(130)에는 상기 밸브부재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부재(147)에 의해 제어된다.
분배조절밸브(130)는 제2구획판(123)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많은 유량을 처리하기 위해 또는 다량조절과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분배조절밸브(130)는 상부공간(117)에서 오버플로우된 액체를 제3의 공간으로 오버플로우 되도록 하여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액체를 세 개 이상의 유량으로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10)에 하부공간(119)상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기체 배출관(149)이 설치될 수 있다. 기체 배출관(149)은 하부공간(119)상의 기체를 배출하여 상부공간(117)의 액체가 분배조절밸브(130)의 조절에 의해 하부공간(119)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공간(119)은 연결되는 배출부(151) 등이 실링으로 인해 밀폐구조를 가지므로 하부공간(119)상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상부공간(117)의 액체가 하부공간(119)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액체가 하부공간(119)으로 유입되는 부피만큼 기체가 배출되어야 액체 분배장치(100)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기체 배출관(149)은 하우징(110)의 제1구획판(113)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어야 액체에 의해 기체 배출구가 막히지 않으므로 기체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우징(110)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해 기체 배출관(149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기체 배출관(149)은 유입관(111)과 유사한 위치에서 액체에 잠기지 않는 높이의 칼럼에 연결된다.
배출부(151)는 하부공간(119)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153) 및 제2공간(121)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부(155)를 포함한다.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에 각각 배출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는 제2컬럼(13)에 액체를 공급하되 분리벽(15)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의 분배공간으로 각각 위치되어 액체를 분배 공급할 수 있다.
배출부(151)는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우징(110) 내의 분배공간 수에 따라 복수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배출부(151)는 배출관을 채용할 수 있으며, 배출관의 일측에는 기체의 역류 방지를 위한 'U'자형 트랩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체 분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제1공간(115)에서 제2구획판(123)에 설치된 분배조절밸브(130)에 의해 우선 분배할 양이 조절된다. 즉, 유입관(111)을 통해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가 분배조절밸브(130)의 작동에 의해 일정 부분 하부공간(119)으로 배출되고 상부공간(117)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액체는 제1구획판(113)을 타고 넘어 제2공간(121)으로 유입된다.
하부공간(119)으로 배출된 액체는 제1배출부(153)를 통해 제2컬럼(13)의 세로 분리벽(15)에 의해 구획된 일측 분배공간으로 배출되고, 제2공간(121)으로 유입된 액체는 제2배출부(155)를 통해 제2컬럼의 타측 분배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분배조절밸브(130)는 밸브부재(147)를 작동시며 회전몸체(141)를 회전시킴에 의해 고정몸체(131)의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과 회전몸체(141)의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의 오픈된 면적을 제어하여 하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 및 제1구획판(113)을 타고 넘어가 제2공간(121)으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분배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공간(119)으로 배출되는 액체의 부피만큼 하부공간(119)의 기체가 기체 배출관(149)을 통해 상부로 배출될 수 있어 액체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배조절밸브(130)는 제1유량조절용 홀(135,136) 및 제2유량조절용 홀(145,146)을 도 5에 도시된 형상에서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채용함으로써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배조절밸브(130)는 하우징(110)에 한 개 이상 설치하여 다량조절 및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미세 분배조절을 위해 제2구획판(123)에 미세 분배조절을 위한 홀의 면적이 작은 미세 분배조절밸브(130a)를 설치하여 다량의 액체 유량조절은 홀의 면적이 큰 분배조절밸브(130)으로 하고 미세 분배조절은 홀의 면적이 작은 미세 분배조절밸브(130a)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계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 지름이 1000mm이고, 분배조절밸브는 제1유량조절용 홀의 폭이 8mm, 길이가 300mm이며, 제2연통홀의 직경이 38mm, 제1유량조절용 홀과 제2유량조절용 홀이 연통되는 면적 즉, 유량조절용 홀이 오픈된 면적이 0.0024㎡이다. 그리고, 제1구획판의 초과(overflow)되는 높이가 200mm로 설계하였다.
이 경우, 10000kg/hr의 액체가 액체 분배장치로 공급될 때 분배조절밸브가 약 50% 열려 있을 경우 하부공간에 연결된 제1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약 6200kg/hr이고 제2공간으로 오버플로우되어 하부 제2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약 3800kg/hr이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이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한 공간에 일체로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일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분리벽형 증류탑의 내측에 설치되는 액체 분배장치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액체 분배장치(100)는, 제1컬럼(11)과 제2컬럼(13) 2개의 컬럼을 하나의 컬럼으로 합친 분리벽형 증류탑(Devided Wall Column, DWC)(10)에 내의 일측에 설치된다.
액체 분배장치(100)는 제1컬럼(11)과 제2컬럼(13)을 구획하는 침니 트레이(12)의 일측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높이는 침니 트레이(12)의 바닥면보다 높게 배치하여 불순물이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차단벽(17)을 설치하여 제1컬럼(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액체가 하우징(110') 내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컬럼(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액체는 침니 트레이(12)에 떨어져 오버플로우되면서 하우징(110')과 차단벽(17) 사이의 공간 즉, 유입관을 통해서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115')과 제1공간(115')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121')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113')과 제1공간(115')을 상부공간(117') 및 하부공간(미도시)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제1구획판(133')의 높이는 하우징(110')의 높이보다 낮아 하우징(110')의 제1공간(115')으로 유입된 액체가 우선 하부공간으로 분배된 후 제2공간(121')으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구획판에 분배조절밸브(130')가 설치되어 상부공간(117')으로 유입된 액체를 하부공간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부공간과 제2공간(121')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153')와 제2배출부(155')가 구비된다.
제1배출부(153')는 제2컬럼(13)의 세로 분리벽(15)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분배공간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배치되고, 제2배출부(155')는 제2컬럼(13)의 타측 분배공간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배치된다.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전술한 액체 분배장치와 비교하여 분리벽형 증류탑 내에 설치되거나 외에 설치되는 차이만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분배조절밸브(130')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대해서는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분리벽형 증류탑이 아닌 일반 증류탑 환류비 조절장치로 사용하여 환류량과 배출액의 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 분배를 필요로 하지만 압력 손실을 적게 해야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가 유입되어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과 제1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구조로 설계하되, 제1공간에 분배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비율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일정 비율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배조절밸브는 제1유량조절용 홀과 제2유량조절용 홀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므로, 하우징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설치하여 액체의 다량조절과 미세조절을 구분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액체 분배장치는 액체 분배를 위해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압력손실은 적으면서 제1배출부과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의 비를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하우징을 대신하여 배관으로 구성한 것으로써, 구획판을 대신하여 오버플로우 배관으로 구성으로 주배관과 가지배관이 각각 제1공간과 제2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장치는 하우징 대신 배관(160)을 적용하고 배관(160)에 액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130)를 설치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60) 측면에는 오버플로우하는 액체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한 액체는 가지배관에 추가로 설치된 분배조절밸브(130)에 의해 컬럼 내로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도 각 배관(160)에는 액체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기체 배출관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구성에서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1구획판들(11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2구획판들(12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미세 분배조절 밸브(130a)의 예를 더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이다.
액체 분배장치는 유입관(111)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100)과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115)과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121)을 포함하는 제1구획판(113)과, 제1공간과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배출수단은 액체의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130)로서 배출관에 설치되거나, 배출관에 연결되는 제1공간의 하우징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액체 분배장치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며 이고, 분배조절밸브(130)가 하우징에 부착된 형태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액체 분배장치는 분리벽형 증류탑 내부에 설치된다.
액체 분배장치는 내부 일정부분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벽을 구비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며 하부공간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통과하는 침니를 구비하는 침니트레이와, 침니트레이에 구비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는 액체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 초과분의 액체가 넘쳐 흐를 수 있는 오버플로우 벽(103)을 포함한다.
오버플로우 벽(103)의 형상은 평판, 원통, 사각통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배출수단은 배관(160)에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130)를 설치한 것이다. 액체의 배출량이 조절되는 제1공간의 역할을 침니트레이가,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도 10 및 도 11에서의 제1구획판(113)의 역할을 오버플로우 벽(103)이 대신한다. 또한, 액체가 오버플로우 벽(103)을 넘쳐간 측 공간이 도10 및 도 11에서의 제2공간(121)의 역할을 한다.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액체 분배장치는 칼럼 내에 구비된 경우이고, 분배조절밸브(130)가 침니트레이에 부착되고, 제2컬럼 내에서 분리벽(15)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 중 오버플로우 벽(103)을 넘어온 액체가 직접 배출되는 공간으로부터 구분되는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관이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오버플로우 벽(103)을 넘어온 액체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한편, 배출관이 막힐 경우 지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실팬(Seal pan, 154)과 제1배출부 역할을 하는 배관(160)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제2배출부(155a)가 있다.
이때, 분리벽형 증류탑의 제2컬럼은 분리벽(15)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분되며, 제2컬럼 내 구분된 공간의 갯수 = 오버플로우 벽의 갯수 + 분배조절 밸브의 개수와 동일하다. 예를들어, 오버플로우 벽이 1개이고, 분배조절 밸브의 수가 2개이면 구분된 공간은 분배조절 밸브에 의한 2개와 오버플로우 벽에 의해 구분되는 1개로 총3개가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분리벽형 증류탑 11: 제1컬럼
12: 침니 트레이(Chimney tray) 13: 제2컬럼
14: 침니(Chimney) 15: 분리벽
16 : 침니햇(Chimney hat) 100: 액체 분배장치 103 : 오버플로우 벽 110: 하우징
111: 유입관 113: 제1구획판
11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1구획판들
115: 제1공간 117: 상부공간
119: 하부공간 121: 제2공간(다수 설치 가능)
123: 제2구획판 130: 분배조절밸브
123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제2구획판들
130a: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추가 미세 분배조절 밸브
131: 고정몸체 133: 제1연통홀
135,136: 제1유량조절용 홀 141: 회전몸체
143: 제2연통홀 145,146: 제2유량조절용 홀
147: 밸브부재 149, 149a: 기체 배출관
151: 배출부 153: 제1배출부
154 : 실팬(Seal pan)
155: 제2배출부 155a: 제2배출부
160: 배관

Claims (27)

  1. 유입관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
    상기 제1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및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분배하는 분배조절밸브;및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상기 제2구획판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상기 제2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 및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에 상, 하부가 연속되게 뚫어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몸체에 상,하부가 연속되게 단속적으로 복수 개의 구멍을 뚫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수동, 유압, 전기, 기압, 수압, 기어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부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공간상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이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의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분리벽형 증류탑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반 증류탑 내의 액체를 공급받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일반 증류탑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일반 증류탑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1. 내부공간을 수직으로 나누는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되며 액체가 유입되는 하우징;
    상기 복수 개의 분배공간 중 하나이며,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상부공간과 상부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경계부분에 분배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액체의 우선 분배할 양을 조절하는 제1공간;
    상기 상부공간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제2공간의 액체를 각각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절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제1연통홀이 형성되며, 제1연통홀과 연통되게 상기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각각 뚫어져 형성되는 제1유량조절용 홀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고정몸체와,
    상기 제1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상부공간의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유량조절용 홀이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몸체을 회전시키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장홀,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유량조절용 홀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관통하도록 직선 또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
    상기 회전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을 두고 직선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원형홀, 복수의 사각홀, 복수의 타원형 홀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믹스(mix)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서 오버플로우한 액체가 유입되는 가지배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분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이 상기 제1공간의 역할을 하고 상기 가지배관이 상기 제2공간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7. 유입관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으로 공급받은 액체의 초과분이 넘쳐 유입될 수 있는 제2공간을 포함하는 제1구획판;
    상기 제1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부;
    상기 제2공간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부;
    상기 제1배출부에는 액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증류탑 내 침니 트레이로부터 액체를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급받고, 상기 분배조절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일반 증류탑 내로 재유입되도록 상기 일반 증류탑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은 상기 침니 트레이에 의해 상기 증류탑 내부 일정부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하부공간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통과하는 침니;
    상기 침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공간으로부터 낙하되는 액체가 상기 침니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침니햇;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에는 상기 재유입된 액체는 상기 제1배출부와 상기 제2배출부를 통해 각각 분리되어 상기 재유입이 되도록 공간을 좌우로 분리하도록 상하방향의 분리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21. 증류탑을 액체가 낙하되는 상부공간과 기체가 상승하는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는 침니 트레이;
    상기 침니 트레이에 구비되어 하부공간으로부터의 기체를 상부공간으로 전달하는 침니;
    상기 침니 트레이에 쌓인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증류탑의 하부공간으로 액체를 전달하도록 상기 증류탑의 외부로 구비되는 배관;
    상기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되는 액체양을 조절하는 분배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액체분리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침니 트레이에는 상기 침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이고, 상기 상부공간의 액체를 상기 하부공간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23. 청수항 22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
    상기 오버플로우 벽을 통해 전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하도록 분리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에서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의 갯수는 상기 오버플로우 벽의 갯수와 상기 분배조절 밸브의 개수의 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벽을 범람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전달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실팬이 상기 분리벽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실팬은 수용되는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일면을 개방하거나, 제2배출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27.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증류탑의 내부에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장치.
KR1020160151868A 2016-05-13 2016-11-15 액체 분배장치 KR101990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91 2016-05-13
KR20160058991 2016-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56A true KR20170128056A (ko) 2017-11-22
KR101990459B1 KR101990459B1 (ko) 2019-09-30

Family

ID=6081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868A KR101990459B1 (ko) 2016-05-13 2016-11-15 액체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1709A (zh) * 2020-08-02 2020-10-27 扬州普立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回流比的回流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586A (ja) * 2003-10-31 2005-05-26 Kansai Chemical Engineering Co Ltd 蒸留装置
KR20100092349A (ko) 2009-03-20 201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벽으로 분할되는 공간들의 압력이 균등한 분리벽형 증류탑
US20120103013A1 (en) * 2010-10-28 2012-05-03 Uop Llc Vapor and liquid flow control in a dividing wall fractional distillation column
KR101351638B1 (ko) * 2012-05-22 2014-01-16 (주)에이엠티퍼시픽 액체 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586A (ja) * 2003-10-31 2005-05-26 Kansai Chemical Engineering Co Ltd 蒸留装置
KR20100092349A (ko) 2009-03-20 201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벽으로 분할되는 공간들의 압력이 균등한 분리벽형 증류탑
US20120103013A1 (en) * 2010-10-28 2012-05-03 Uop Llc Vapor and liquid flow control in a dividing wall fractional distillation column
KR101351638B1 (ko) * 2012-05-22 2014-01-16 (주)에이엠티퍼시픽 액체 분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1709A (zh) * 2020-08-02 2020-10-27 扬州普立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回流比的回流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459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638B1 (ko) 액체 분배장치
KR101709754B1 (ko) 기체분배장치 및 기체 분배비율을 조절하는 방법
US10471393B2 (en) Gas sparger for an immersed membrane
US9950272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US9157690B2 (en) Distribution system and heat exchanger apparatus
US4569364A (en) Variable flow self-cleaning liquid distribution element and liquid distribution assembly employing a plurality of such elements
CN106310696A (zh) 一种隔板塔的气相分配装置
KR940010980B1 (ko) 직교류 냉각탑
KR101990459B1 (ko) 액체 분배장치
KR101250417B1 (ko) 액체 분배장치
CN116234618B (zh) 液液萃取装置
CN1111741A (zh) 用于调节流体流动的装置
US6849180B2 (en) Flow splitting weir
RU2631701C1 (ru) Противоточная колонна с динам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м распределителем жидкости
CN210384942U (zh) 一种消气水箱及精密空调水冷系统
CA2659517A1 (en) Apparatus for humidifying a gas flow
CN218145904U (zh) 一种污水处理用的布水装置
RU2203726C1 (ru) Пленоч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RU53589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для колонн
JP2002291355A (ja) 水田の耕区に対する用水の給排水システム
RU2260466C1 (ru) Пленочный аппарат
JPH10325694A (ja) 液体分配器用整流器
TW202410948A (zh) 液-液萃取裝置
CN115608008A (zh) 综合池和污水处理系统
KR20000042536A (ko) 고효율 오수유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