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045A -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045A
KR20170128045A KR1020160072495A KR20160072495A KR20170128045A KR 20170128045 A KR20170128045 A KR 20170128045A KR 1020160072495 A KR1020160072495 A KR 1020160072495A KR 20160072495 A KR20160072495 A KR 20160072495A KR 20170128045 A KR20170128045 A KR 2017012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nit
mathematical
program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332B1 (ko
Inventor
김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앤컴퍼니
김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앤컴퍼니, 김학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앤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7012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용자로 하여금 학습 흥미를 유발하며, 수학 용어에 대하여 개념 별로 체계적인 진행 순서를 제공하여,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수학적 개념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상기 학습 카테고리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단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기 위한 학습 현황 점검부; 및 상기 단원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수학 용어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상기 수학 용어 각각에 대한 개념적 관련성 및 파생적 분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단원에 대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예시 문제 및 문제 풀이 정보를 제공하는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MATHMATICS DICTIONARY SYSTEM OF GUIDE TYP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학 사전은 온라인 상에서 홈 페이지 등을 통해 제작되거나 오프라인 형태의 책자로 제작되어 이용의 수학을 학습하는데 길잡이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학 사전은 대부분 수학적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해 별도로 프로그램화된 진행 단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용어의 철자 순에 따른 개념만 소개하는 방식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학습에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학습 완료 시 특정 용어에 관한 수학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였는지에 대한 확인도 어려움에 따라 학습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온라인 상의 학습 시스템은 학습 결과에 대한 획일적인 평가 방식을 취하고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학습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더욱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255호(2010년12월31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5214호(2011년07월0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68691호(2002년08월28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용자로 하여금 학습 흥미를 유발하며, 수학 용어에 대하여 개념 별로 체계적인 진행 순서를 제공하여,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은, 수학적 개념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상기 학습 카테고리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단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기 위한 학습 현황 점검부; 및 상기 단원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수학 용어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상기 수학 용어 각각에 대한 개념적 관련성 및 파생적 분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단원에 대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예시 문제 및 문제 풀이 정보를 제공하는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실행 시 상기 수학 용어 각각을 나타내는 학습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확장되는 학습 가이드 맵을 제공하되, 상기 수학 용어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학습 아이콘을 다음 단계의 학습 아이콘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거나 다음 단계의 학습 아이콘들로의 분기를 통해 가이드 하여 학습 진행 경로를 형성하는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는, 상기 학습 가이드 맵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학습 아이콘 중 선택된 학습 아이콘에 대하여 해당 학습 프로그램이 즉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와 연동하여 상기 학습 카테고리와 상기 단원에 대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를 평가 관리하기 위한 학습 성적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성적 관리부와 연동하여 학습 이해도가 기준치 이하인 단원을 대상으로 학습 위젯을 생성하여 상기 수학 사전 시스템의 오프라인 상태에서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 위젯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성적 관리부는 상기 수학 사전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접속 시 상기 학습 위젯을 인식하고, 상기 학습 위젯로부터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이해도 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상기 다수의 단원과 각각 대응하여 구분되는 다수의 특정 영역으로 이루어진 게임 맵을 제공하되,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를 통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에 따라 학습자 스스로 또는 학습자 간에 상기 게임 맵의 특정 영역을 점령하거나 빼앗도록 상기 게임 맵을 관리하는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로 하여금 학습 흥미를 유발하며, 수학 용어에 대하여 개념 별로 체계적인 진행 순서를 제공하여,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현황 점검부를 통해 실행되는 학습 현황 점검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의 첫 실행 화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부를 통해 실행되는 동영상 강의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 문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예시 문제와 문제 풀이 화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진행 후 학습 이해도에 따라 표시되는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성적 관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성적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 맵을 나탄낸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위젯을 구성과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현황 점검부를 통해 실행되는 학습 현황 점검 화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의 첫 실행 화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부를 통해 실행되는 동영상 강의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 문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예시 문제와 문제 풀이 화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진행 후 학습 이해도에 따라 표시되는 결과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성적 관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성적을 나타낸 화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 맵을 나탄낸 화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위젯을 구성과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100)은 학습 현황 점검부(110),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120), 학습 성적 관리부(130),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140) 및 학습 위젯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 현황 점검부(110)는 수학적 개념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학습 카테고리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단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학습 현황 점검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학 용어에 대하여 'C. 수와 연산, E. 문자와 식, F. 규칙성과 함수, G. 도형과 측정, S. 확률과 통계'라는 5개의 학습 카테고리(10)로 나누고, 학습 카테고리(10) 별로 예를 들어 'C. 수와 연산'의 경우 'C.1. 일만, C.2. 나누는 수와 나누어지는 수,..., C.13. 집합, C.14. 명제'와 같이 14개의 단원(11)으로 분류하여 각 단원(11)에 대한 수행률, 이해도 등의 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1800개의 수학의 개념(전세계 공통개념 + 각국의 특징 개념)을 5개의 학습 카테고리 영역(10)으로 나누고 가장 쉽게 이해하는 순서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120)는, 다수의 단원(11)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수학 용어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각각의 수학 용어에 대한 개념적 관련성 및 파생적 분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각 단원(11)에 대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예시 문제 및 문제 풀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120)는 최초 실행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학습 프로그램 진행화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 수와 연산, E. 문자와 식, F. 규칙성과 함수, G. 도형과 측정, S. 확률과 통계'로 구분되는 학습 카테고리(10)가 표시되고, 각 학습 카테고리(10) 별로 각 단원(11)에 부여된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 수와 연산'의 카테고리에는 1~14번으로 표시되는 단원(11c)이 표시되고, 'E. 문자와 식'의 카테고리에는 15~23번으로 표시되는 단원(11e)이 표시되고, 'F. 규칙성과 함수'의 카테고리에는 24~31번으로 표시되는 단원(11g)이 표시되고, 'G. 도형과 측정'의 카테고리에는 32~46번으로 표시되는 단원(11s)이 표시되며, 'S. 확률과 통계'의 카테고리에는 47~52번으로 표시되는 단원(11s)이 표시될 수 있다. 각 번호가 부여된 단원(11)을 선택하면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120)는 학습 프로그램의 진행을 위해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121),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부(122) 및 예시 문제 정보 제공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12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원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 실행 시 해당 단원에 속한 수학 용어 각각을 나타내는 학습 아이콘들(12)을 통해 확장되는 학습 가이드 맵(121a)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가이드 맵(121a)은, 해당 단원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수학 용어를 나타내는 학습 아이콘(12)으로부터 개념적 관련성에 따라 파생되어 학습자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 순서로 가이드하며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원 학습 프로그램을 '일만'이라는 수학 용어를 시작으로 진행하는 경우, '일만'과의 개념적 관련성에 기초하여 '일만' 다음에 '뛰어세기', '자리값', '십만백만백천만'이라는 수학 용어로의 학습이 이어질 수 있도록 분기하여 그 진행 순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아이콘(12)은 '일만' 다음에 '뛰어세기'를 선택하는 경우 '뛰어세기'로 이동하고, '자리값'을 선택하는 경우 '자리값'으로 이동하며, '십만백만천만'을 선택하는 경우 '십만백만천만'으로 각각 이동하여, 현재 학습 아이콘(12)이 위치한 수학 용어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학습 가이드 맵(121a)은 학습 아이콘(12)이 이동하면서 다른 수학 용어로 연결 또는 다양한 수학 용어들로 분기함에 따라 학습 아이콘(12)에 대한 진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만'에서 시작한 학습 프로그램은, '자리값'으로 이동하거나, '십만백만천만, 억, 조' 순서로 이동하거나, '뛰어세기, 큰수의 크기비교'의 순서로 이동하거나, '뛰어세기, 100배1000배10000배'의 순서로 이동하면서 수학 용어들에 대한 학습을 가이드할 수 있고, '100배1000배10000배'에서 '(세자리수)x(몇십두자리수)', '세수의 곱', '(네자리수)x(몇십두자리수)', '몇백몇천의 곱'으로 분기하여 수학 용어들에 대한 학습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121)는, 학습 가이드 맵(121a)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학습 아이콘 중 선택된 학습 아이콘에 대한 해당 학습 프로그램이 즉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학습 가이드 맵(121a)을 통해 가이드되는 순서로 학습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으나,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예를 들어 '100배1000배10000배'에서 '십만백만천만'으로 또는 '큰 수의 크기비교'로 바로 이동하여 해당 학습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실시예를 통해 기본적인 학습 순서를 가이드 하지만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과거에 학습한 수학 용어를 다시 학습하고자 할 경우나 학습을 원치 않고 건너뛰기를 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121)은, 학습 가이드 맵(121a)을 통하여, 수학 용어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에 따라 학습 아이콘(12)을 다음 단계의 학습 아이콘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거나 다음 단계의 학습 아이콘들(12)로의 분기를 통해 가이드 하여 학습 진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수학 용어에 대한 개념 학습을 좀 더 효율적이고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부(122)는 수학 용어에 대한 실질적인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만'이라는 수학 용어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강의는 수학 용어에 대한 설명이 화면 상에 한번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학습자가 실제 강의를 듣고 있는 듯한 사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학습 내용 또는 강조 표시 등이 차례로 표시되도록 재생될 수도 있다. 또한, 동영상 강의는 학습 내용과 더불어 음성 설명을 지원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시 문제 정보 제공부(123)는 동영상 강의를 통한 학습이 완료되면 그 다음 순서로서 학습자의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한 예시 문제와 그 문제 풀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만'에 대한 개념 이해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 문제가 제공되며, 이후 학습자가 해당 문제에 대한 답을 표시하면 예시 문제에 대한 풀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예시 문제와 풀이 정보까지 모두 확인한 후 해당 단원에 대한 충분히 이해가 된 경우 도 7의 좌측 하단에 표시된 선택 창에서 '예'를 선택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원에 대하여 '이해했어요'라는 정보가 표시되며, 해당 단원에 대해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은 경우 도 7의 선택 창에서 '아니오'를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원에 대하여 '잘 모르겠어요'라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해당 단원에 대한 이해가 되지 않은 경우 즉 해당 단원에 대한 '잘 모르겠어요'라는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학습 위젯부(150)가 활성화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100)이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해당 단원에 대한 반복 학습을 실시하기 위한 학습 위젯을 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학습 위젯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학습 성적 관리부(130)는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120)와 연동하여 학습 카테고리(10)와 각 단원(11c~11s)에 대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를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성적 관리부(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태의 그래픽을 통하여 학습 카테고리(C. 수와 연산, E. 문자와 식, F. 규칙성과 함수, G. 도형과 측정, S. 확률과 통계) 각각에 대한 이해도와 수행률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5개의 학습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단원에 대한 이해도와 수행률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도형과 측정'이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된 'G.32. 각, G.33. 수직선, ... , G.45. 입체도형(초등), G.46. 입체도형'과 같은 각 단원에 대한 이해도와 수행률을 각각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140)는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다수의 단원과 각각 대응하여 구분되는 다수의 특정 영역으로 이루어진 게임 맵을 제공하되,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120)를 통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에 따라 학습자 스스로 또는 학습자 간에 게임 맵의 특정 영역을 점령하거나 빼앗도록 게임 맵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140)는 게임 모드 설정부(141), 게임 맵 제공부(142) 및 학습 성적 반영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모드 설정부(141)는 개인 모드와 대결 모드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개인 모드의 경우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100)에 접속한 학습자 개인의 학습 이해도에 따라 게임 맵을 통해 제공되는 특정 영역을 점령하는 방식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게임 맵 제공부(142)는 개인 모드와 대결 모드에 따른 게임 맵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모드의 게임은, 세계지도 상에 표시되는 국가를 학습 카테고리 및/또는 단원 별로 구분되는 개인 모드 게임 맵(13)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 학습자 1'이 각 단원들을 이해가면서 개인 모드 게임 맵(13) 상의 국가를 차례차례 점령해 나가는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이해를 하지 못하는 단원에 대해서는 점령 국가가 추가되지 않거나, 패널티(penalty)를 부과하여 기 점령한 국가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결 모드의 게임은, 접속된 학습자 그룹(개인 학습자 1~5) 간의 학습 이해도에 따라 서로의 국가를 점령하거나 뺏고 빼기는 방식으로 게임을 운영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그룹(개인 학습자 1~5) 내에서 학습 카테고리 별로 이해도를 비교하여 특정 카테고리에서 이해도가 높은 개인 학습자가 해당 학습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국가를 점령하는 방식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140)은 게임적 요소를 제공하여 학습자 스스로 또는 학습자 간의 경쟁심을 도모하고, 그에 따라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과 자연스러운 몰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게임적 요소 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서 달성한 성과물이나 성적 또는 순위 등에 따라 성취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모든 게임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성적 반영부(143)는 개인 학습자 또는 학습자 그룹이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100)을 통한 학습을 진행하면서 기록되는 학습 이해도와 수행률에 따른 성적을 게임 맵(13, 14)에 반영하여, 해당 게임 맵(13, 14)의 점령 표시가 학습자의 성적에 따라 업데이트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성적 반영부(143)는 게임과는 별도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개인에 대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학습 위젯부(150)는 학습 성적 관리부(143)와 연동하여 학습 이해도가 기준치 이하인 단원을 대상으로 학습 위젯을 생성하여 상기 수학 사전 시스템의 오프라인 상태에서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 위젯부(1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접속 시 수학 사전 시스템(100)의 학습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을 진행한 결과 특정 단원(예를 들어 C.1. 일만)에 대한 이해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해당 단원(예를 들어 C.1. 일만)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별도의 학습 위젯(15)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학습 위젯(15)은 개인 컴퓨터나 테플릿 PC, 모바일 단말기 등의 단말 장치 화면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수학 사전 시스템(100)의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해당 단원(예를 들어 C.1. 일만)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위젯(15)은 해당 단원(예를 들어 C.1. 일만)에 대한 학습 이해도를 학습자로부터 입력 받아 기록될 수 있으며, 추후에 수학 사전 시스템(100)의 온라인 접속 시 수학 사전 시스템(100)이 해당 학습 위젯(15)을 인식하여 학습 위젯에 기록된 학습 이해도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학습 위젯에 대한 단원의 이해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학습 위젯의 삭제를 추천하는 팝업창(미도시)이 표시되어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단원의 이해도가 여전히 기준치 이하인 경우 반복 학습 후 학습 이해도를 업데이트 할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성적 관리부(130)는 수학 사전 시스템(100)이 온라인을 통해 접속될 경우 해당 학습 위젯(15)을 인식하고, 해당 학습 위젯(15)으로부터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이해도 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 위젯부(150)를 통하여 미비한 단원 학습을 시스템(100)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쉽고 편하게 복습할 수 있고, 온라인 접속을 통해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이해도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위젯부(150)는 둘 이상의 학습 위젯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학습 위젯들을 하나의 폴더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 유효 기간을 설정하여 해당 학습 위젯을 일정 기간 활성화하지 않을 경우 학습 위젯에 대한 학습을 제안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100)에 포함된 모든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수학 사전 인쇄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110: 학습 현황 점검부
120: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 121: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
121a: 학습 가이드 맵 122: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부
123: 예시 문제 정보 제공부 130: 학습 성적 관리부
140: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 141: 게임 모드 설정부
142: 게임 맵 제공부 143: 학습 성적 반영부
150: 학습 위젯부 10: 학습 카테고리
11: 단원 12: 학습 아이콘(수학 용어)
13: 개인 모드 게임 맵 14: 대결 모드 게임 맵

Claims (6)

  1. 수학적 개념 학습을 위한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상기 학습 카테고리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단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하기 위한 학습 현황 점검부; 및
    상기 단원에 각각 포함된 다수의 수학 용어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상기 수학 용어 각각에 대한 개념적 관련성 및 파생적 분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단원에 대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예시 문제 및 문제 풀이 정보를 제공하는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가이드 타입의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실행 시 상기 수학 용어 각각을 나타내는 학습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확장되는 학습 가이드 맵을 제공하되, 상기 수학 용어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학습 순서와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학습 아이콘을 다음 단계의 학습 아이콘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거나 다음 단계의 학습 아이콘들로의 분기를 통해 가이드 하여 학습 진행 경로를 형성하는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타입의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가이드 맵 인터페이스는,
    상기 학습 가이드 맵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학습 아이콘 중 선택된 학습 아이콘에 대하여 해당 학습 프로그램이 즉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타입의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와 연동하여 상기 학습 카테고리와 상기 단원에 대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를 평가 관리하기 위한 학습 성적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가이드 타입의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성적 관리부와 연동하여 학습 이해도가 기준치 이하인 단원을 대상으로 학습 위젯을 생성하여 상기 수학 사전 시스템의 오프라인 상태에서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 위젯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성적 관리부는 상기 수학 사전 시스템에 대한 온라인 접속 시 상기 학습 위젯을 인식하고, 상기 학습 위젯로부터 해당 단원에 대한 학습 이해도 정보를 수집하여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타입의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 카테고리 및 상기 다수의 단원과 각각 대응하여 구분되는 다수의 특정 영역으로 이루어진 게임 맵을 제공하되, 상기 학습 프로그램 진행부를 통한 학습 수행률과 이해도에 따라 학습자 스스로 또는 학습자 간에 상기 게임 맵의 특정 영역을 점령하거나 빼앗도록 상기 게임 맵을 관리하는 학습 게임 콜라보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타입의 온라인 수학 사전 시스템.
KR1020160072495A 2016-05-13 2016-06-10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KR101801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61 2016-05-13
KR20160058861 2016-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45A true KR20170128045A (ko) 2017-11-22
KR101801332B1 KR101801332B1 (ko) 2017-11-24

Family

ID=6081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495A KR101801332B1 (ko) 2016-05-13 2016-06-10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96B1 (ko) * 2018-10-02 2019-05-09 이종윤 지식 공간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817045A (zh) * 2019-01-30 2019-05-28 蚌埠学院 一种数学学习辅助方法、系统及其装置
KR102015725B1 (ko) * 2018-04-04 2019-10-21 정성태 한국사 학습향상을 위한 단계별 학습지도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270942A1 (ko) * 2021-06-25 2022-12-29 (주)뤼이드 사용자에게 학습 여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25B1 (ko) * 2018-04-04 2019-10-21 정성태 한국사 학습향상을 위한 단계별 학습지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76996B1 (ko) * 2018-10-02 2019-05-09 이종윤 지식 공간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817045A (zh) * 2019-01-30 2019-05-28 蚌埠学院 一种数学学习辅助方法、系统及其装置
WO2022270942A1 (ko) * 2021-06-25 2022-12-29 (주)뤼이드 사용자에게 학습 여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332B1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eno-Marcos et al. A learning analytics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social interactions in MOOCs
Baker et al. Educational software features that encourage and discourage “gaming the system”
Machluf et al. Making authentic science accessible—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integrating bioinformatics into a high-school science curriculum
KR101801332B1 (ko)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Martin et al. Developing mobile based instruction
Thees et al. Comparing two subjective rating scales assessing cognitive load During technology-enhanced STEM laboratory courses
CN112199598A (zh) 网络课程的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Yang Analysis and evaluation of ELT smartphone applications
KR101488178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의고사 및 학습 제공 시스템
US201500565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mified productivity enhancing systems
CN110609947A (zh) 智能学习系统的学习内容推荐方法、终端及存储介质
Isal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bile-learning application based on the felder-silverman learning styles model
JP2014115427A (ja) 抽出方法、抽出装置および抽出プログラム
Melero et al. Puzzle-based games as a metaphor for designing in situ learning activities
Youngs et al. Statistically-driven visualizations of student interactions with a French online course video
CN111476468A (zh) 基于在线学员群配置教员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1553555A (zh) 培训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90122005A (ko)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CN113706025A (zh) 一种学习报告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50129496A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Troussas et al. NLP-based error analysis and dynamic motivation techniques in mobile learning
CN113806511A (zh) 一种直播问答互动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Smy et al. Training air traffic controllers through digital mobile applications versus traditional methods
Singu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a web-based test blueprint system
KR102619939B1 (ko) 글쓰기 교육 및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