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146A -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 Google Patents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146A
KR20170127146A KR1020160057368A KR20160057368A KR20170127146A KR 20170127146 A KR20170127146 A KR 20170127146A KR 1020160057368 A KR1020160057368 A KR 1020160057368A KR 20160057368 A KR20160057368 A KR 20160057368A KR 20170127146 A KR20170127146 A KR 20170127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re
rod
engaging
inser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0107B1 (en
Inventor
김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지
Priority to KR102016005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07B1/en
Priority to PCT/KR2016/011753 priority patent/WO2017195952A1/en
Publication of KR2017012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8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gear and the road wheels, e.g. on tie-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ie rod assembly comprises: a ball joint end (10); an insert end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ball joint end (10); a clamp (30) arranged between the ball joint end (10) and a joined part of the insert end (20) to allow binding between the ball joint end (10) and the insert end (20); an insert core (40) fitted to the insert end (20); and a composite material rod (50) arranged to cover a coupled part between the fitted insert end (20) and the insert core (40). The insert end (20) comprises: a clamp coupled part (21) coupled to the ball joint end (10) by the clamp (30); a core coupled part (25) directly coupled to the insert core (40); and a rod coupled part (23) allowing connection between the clamp coupled part (21) with the core coupled part (25) and simultaneously covering outer surfaces of them through the composite material rod (50). Unevenness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re coupled part (25) to increase a coupling force with the insert core (40).

Description

인서트 코어에 의해 강도가 강화된 타이로드 조립체{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an insert core,

본 발명은 인서트 코어에 의해 강도가 강화된 타이로드 조립체로서, 볼조인트 엔드, 인서트 엔드, 클램프, 복합재 로드로 구성된 타이로드 어셈블리에서, 복합재 로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인서트 코어를 적용함에 있어서 인서트 엔드 상에 인서트 코어가 피팅된 상태로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와 인서트 코어의 결합부위 상에 일체형으로 외부에 복합재 로드로 감싸지는 형태를 갖게 하는 타이로드 조립체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rod assembly reinforced by an insert core, the tie rod assembly comprising a ball joint end, an insert end, a clamp, and a composite rod, wherein in the application of the insert cor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rod, And the insert core is fitted on the insert core, and the insert core and the insert cor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joint portion of the insert core and the insert core.

타이 로드는 좌우 차륜으로 연결됨으로써 차륜의 방향이 조향휠의 조작방향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이 로드는 기어 박스와 연결되고, 기어 박스는 피니언과 랙 및 유압라인을 갖추고 조향휠이 구비된 조향컬럼과 연결된다.The tie rods are connected by the left and right wheels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heels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To this end, the tie rod is connected to a gear box, which is connected to a steering column equipped with a steering wheel with a pinion, a rack and a hydraulic line.

차량 조향장치에서, 타이 로드란 끝단이 랙과 볼 조인트로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단은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중공의 암나사부가 형성된 타이로드 엔드와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차량 선회시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한 회전력은 조향축을 통해 스티어링 기어의 피니언에 전달되고, 피니언 기어는 랙기어를 차량의 횡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며, 랙에 전달된 힘은 타이로드를 통해 타이로드 엔드를 거쳐 타이어까지 전달된다.In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a tie rod is connected to a rack and a ball joint at an end thereof, and a male thread portion at the opposite end is coupled to a tie rod end formed with a hollow female thread portion.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by the driver to the steer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pinion of the steering gear through the steering shaft, the pinion gear reciprocat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rack is transmitted to the tie- To the tire.

이러한 타이로드의 형성에 있어서 종래에는 중실 파이프를 사용한 중실 타이로드와, 중공 파이프를 사용한 중공 타이로드가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a solid tie rod using a solid pipe and a hollow tie rod using a hollow pipe have been used to form such a tie rod.

종래 중실 타이로드의 경우, 강봉재를 형상에 맞게 단조한 후, 타이로드 엔드의 연결부인 나사산 부위 뿐만 아니라 구형 부분까지도 전조 또는 절삭 가공을 통해서 제작하였다. 따라서 무게가 무겁고, 절삭 가공으로 인한 단면 조직의 불연속이 불가피하였으며, 가공 공정으로 인한 제작비도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solid tie rods, not only the threaded portion, which is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ie rod end, but also the spherical portion was produced through rolling or cutting after the rod was forged to fit the shape. Therefore, the weight is heavy, the discontinuity of the sectional structure due to the cutting process is inevitable, and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e processing process is also expensive.

타이로드에 관련된 기술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54545호(2006.03.03), 제10-0832866호(2008.05.28)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2288호(2003.03.19)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들은 타이 로드의 강성을 보강하거나 타이로드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결속을 안정화하는 기술을 개시한다.Conventional documents that disclose techniques related to tie rods include Korean Patent No. 10-0554545 (Mar. 3, 2006), No. 10-0832866 (May 28, 2008),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2288 (Mar. 19). The above documents disclose techniques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tie rods or stabilizing the tie between the parts constituting the tie rods.

(특허문헌 1) KR10-0554545 B (Patent Document 1) KR10-0554545 B

(특허문헌 2) KR10-0832866 B (Patent Document 2) KR10-0832866 B

(특허문헌 2) KR20-0302288 B(Patent Document 2) KR20-0302288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볼조인트 엔드, 인서트 엔드, 클램프, 복합재 로드로 구성된 타이로드 어셈블리에서, 복합재 로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인서트 코어를 적용함에 있어서 인서트 엔드 상에 인서트 코어가 피팅된 상태로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와 인서트 코어의 결합부위 상에 일체형으로 외부에 복합재 로드로 감싸지는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복합재 로드 및 인서트 코어 간의 상호 결합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 및 강도가 향상된 타이로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e rod assembly including a ball joint end, an insert end, a clamp, and a composite rod, wherein, in applying the insert cor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rod, The tie rods having an improved mechanical property and strength due to mutual coupling between the composite rod and the insert core by having a shape tha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insert end and the insert cor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ssemb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 조립체는, 볼조인트 엔드(10); 상기 볼조인트 엔드(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 엔드(20); 상기 볼조인트 엔드(10)와 상기 인서트 엔드(20)의 결합 부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부재(10,20)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30); 상기 인서트 엔드(20)에 피팅되는 인서트 코어(40); 및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20)와 인서트 코어(40)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복합재 로드(50);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엔드(20)는, 상기 클램프(30)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 엔드(10) 부위에 결합하는 클램프 결합부(21), 상기 인서트 코어(40)와 직접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코어 결합부(25), 및 상기 클램프 결합부(21)와 코어 결합부(25)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복합재 로드(50)를 통해 그 외면을 감싸게 하는 로드 결합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표면 상에는 요철이 형성되어져, 상기 인서트 코어(40)와의 체결력을 강화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e rod assembly including: a ball joint end; An insert end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ball joint end (10); A clamp (30) disposed between the ball joint end (10) an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insert end (20) to enable binding between the two members (10, 20); An insert core (40) fitted to the insert end (20); And a composite rod (50) disposed to cover the jointed portion of the fitted insert end (20) and the insert core (40), the insert end (20) A clamp engaging portion 21 for engaging with the joint end 10 and a core engaging portion 25 for directly engaging the insert core 40 and a clamp engaging portion 21 for engaging the clamp engaging portion 21 and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 And a rod engaging portion 23 for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and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Further, .

상기 로드 결합부(23)는, 그 외면을 따라 로드 결합돌기(231) 및 로드 결합홈(232)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결합돌기(231) 및 로드 결합홈(232)는 상기 로드 결합부(23) 상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드 결합돌기(231)는 상기 복합재 로드(50)와 인서트 엔드(20) 간의 인장/압축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돌출단 형상이고, 상기 로드 결합홈(232)은 상기 복합재 로드(50)와 인서트 엔드(20) 간의 비틀림 결합력을 증대키 위한 다각 형상이다.The rod engaging portion 23 includes a rod engaging projection 231 and a rod engaging groove 232 along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rod engaging projection 231 and the rod engaging groove 232 are engaged with the rod engaging portion 23 and the rod coupling protrusions 231 are in the shape of protruding ends for increasing the tensile / compression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site rod 50 and the insert end 20, and the rod coupling grooves 232 Is a polygonal shape for increasing the torsion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mposite rod (50) and the insert end (20).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외주면 상에 널링부(251)가 형성되며, 상기 널링부(251)는 중공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인서트 코어(40)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경우에 상대 접촉시 마찰력을 증대한다.A knurling portion 2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and the nulling portion 251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relative contact when engag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insert core 40, do.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내주면 상에는 돌출턱(25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253)은 링 형태로서 코어 결합부(25)의 입구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되고, 중실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인서트 코어(40)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내주면과의 결합력을 강화한다.A projecting step 25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art 25 and the projecting step 253 is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in a ring shape inward from the entrance end of the core engaging part 25, When the insert core 40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nsert core 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is strengthen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 조립체는 볼조인트 엔드, 인서트 엔드, 클램프, 복합재 로드로 구성된 타이로드 어셈블리에서, 복합재 로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인서트 코어를 적용함에 있어서 인서트 엔드 상에 인서트 코어가 피팅된 상태로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와 인서트 코어의 결합부위 상에 일체형으로 외부에 복합재 로드로 감싸지는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복합재 로드 및 인서트 코어 간의 상호 결합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 및 강도를 향상하게 한다.In the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tie rod assembly composed of the ball joint end, the insert end, the clamp, and the composite rod, in applying the insert cor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rod, The insert core and the insert cor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insert end and the insert core and are wrapped with the composite ro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ength due to mutual coupling between the composite rod and the insert core.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코어와 인서트 엔드 간의 인장력 및 압축력을 증대하기 위한 피팅 형태로서, 인서트 엔드 외면에 너링을 형성하거나 내부에 돌출 형상의 턱을 가공함으로써 마찰력 내지 결합력을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tting type for increasing tensile force and compressive force between an insert core and an insert end,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a frictional force or a coupling force by forming a r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end or by machining a protruding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은 다각형, 타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인서트 코어의 외형을 형성함으로써 비틀림 결합력 강화를 가능하게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trengthen the torsional force by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insert core so as to have a polygonal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조립체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로드 조립체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이로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인서트 코어와 인서트 엔드 간의 피팅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이로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인서트 코어와 인서트 엔드 간의 피팅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인서트 엔드 상에 중공 타입의 인서트 코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인서트 코어의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도면, 및
도 6은 인서트 엔드 상에 중실 타입의 인서트 코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인서트 코어의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view of a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fitting structure between an insert core and an insert end constituting a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tting structure between an insert core and an insert end constituting a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insert core when a hollow type insert core is coupled onto the insert end, and FIG.
6 is a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insert core when a solid type insert core is coupled on the insert e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other various forms of implementation, and that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completely.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인서트 코어에 의해 강도가 강화된 타이로드 조립체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tie rod assembly having an enhanced strength by an insert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 조립체는 한쌍의 볼조인트 엔드(10), 한쌍의 볼조인트 엔드(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인서트 엔드(20), 볼조인트 엔드(10)와 인서트 엔드(20)의 결합 부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부재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30), 인서트 엔드(20)에 피팅되는 인서트 코어(40) 및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20)와 인서트 코어(40)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복합재 로드(50)를 포함한다.A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ball joint ends 10, a pair of insert ends 20 removably coupled to a pair of ball joint ends 10, a ball joint end 10 and an insert end 20 A clamp 30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engagement portions of the insert core 20 and the insert core 40 to enable engagement between the two members, an insert core 40 that is fitted to the insert end 20, And a composite rod 50 disposed so as to cover the joint portion of the composite rod 50.

도 1을 참조하면, 인서트 코어(40)는 속이 빈 중공 원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고, 타이로드 조립체를 이루는 한쌍의 인서트 엔드(20)의 내측단은 상기 인서트 코어(40)의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서트 엔드(20)의 단차진내측단 부위가 중공 원통 형상 구조의 인서트 코어(40)의 내부에 강제적으로 압입 체결된다.Referring to FIG. 1, the insert core 40 may be a hollow hollow cylindrical member, and the inner ends of a pair of insert ends 20 constituting a tie rod assembly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 core 40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tepped inner end portion of the insert end 20 is forcibly press-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insert core 40 of the hollow cylindrical shape.

인서트 코어(40)는 그 재질을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다.The insert core 40 may be made of aluminum or plastic.

도 2를 참조하면, 인서트 코어(40)는 속이 찬 중실 원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고, 상기 인서트 코어(40)는 그 양측이 타이로드 조립체를 이루는 한쌍의 인서트 엔드(20)의 내부 상으로 강제적으로 압입 체결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insert core 40 may be a hollow solid cylindrical member, the insert core 40 having forcibly mounted on the interior of a pair of insert ends 20, As shown in Fig.

인서트 코어(40)는 그 재질을 복합재 또는 플라스틱 솔리드 바 타입으로 할 수 있다.The insert core 40 may be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or a plastic solid bar type.

복합재 로드(50)는 인서트 코어(40) 및 상기 인서트 코어(40)의 양측 상에 결합되는 한쌍의 인서트 엔드(2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합재 로드(50)는 탄소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 일 수 있다.The composite rod 50 may be in the form of an overall enclosing insert core 40 and a pair of insert ends 20 joined on either side of the insert core 40. The composite rod 50 may be a carbon fiber FRP or a glass fiber FRP.

본 발명은 복합재 로드(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인서트 코어(40)를 적용함에 있어서 인서트 엔드(20) 상에 인서트 코어(40)가 피팅된 상태로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20)와 인서트 코어(40)의 결합 부위 상에 일체형으로 외부에 복합재 로드(50)를 감싸지는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복합재 로드(50) 및 인서트 코어(40) 간의 상호 결합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 및 강도가 향상된 타이로드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king an insert core 40 with an insert core 20 and an insert insert 20 in a state where the insert core 40 is fitted on the insert end 20 in applying the insert core 4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rod 50. [ The tie rod assembly 50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mposite rod 50 is wrapped around the joint portion of the core 40 and the composite rod 50 on the outer side is integrally forme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ength due to th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composite rod 50 and the insert core 40. [ Lt; / RTI >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타이로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인서트 코어와 인서트 엔드 간의 피팅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tting structure between the insert core and the insert end constituting the tie rod assemb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인서트 엔드(20)는 클램프(30)에 의해 볼조인트 엔드(10) 부위에 결합하는 클램프 결합부(21), 인서트 코어(40)와 직접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코어 결합부(25), 및 클램프 결합부(21)와 코어 결합부(25)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복합재 로드(50)를 통해 그 외면을 감싸게 하는 로드 결합부(23)를 포함한다.The insert end 20 includes a clamp engaging portion 21 engaged with the ball joint end 10 portion by the clamp 30, a core engaging portion 25 directly engaged with the insert core 40, And a rod coupling portion 23 connecting the portion 21 and the core coupling portion 25 and wra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site coupling rod 50 through the composite rod 50.

클램프 결합부(21)는 볼조인트 엔드(10)가 연결된 상태에서 클램프(30)를 통해 결속을 강화하게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클램프 결합부(21)의 외주면 상에는 일정한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된다.The clamp engaging portion 21 strengthens the clamping force through the clamp 30 in a state where the ball joint end 10 is connected. To this end,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 engaging portion 21.

로드 결합부(23)는 그 외면을 따라 로드 결합돌기(231) 및 로드 결합홈(232)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 결합돌기(231) 및 로드 결합홈(232)는 로드 결합부(23) 상에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결합돌기(231)는 복합재 로드(50)와 인서트 엔드(20) 간의 인장/압축 결합력을 증대키 위한 돌출단을 형성하는 것이고, 로드 결합홈(232)은 복합재 로드(50)와 인서트 엔드(20) 간의 비틀림 결합력을 증대키 위한 육각을 포함한 다각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rod engaging portion 23 includes a rod engaging projection 231 and a rod engaging groove 232 along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 rod engaging projections 231 and the rod engaging grooves 232 may be alternately formed on the rod engaging portion 23. The rod engaging protrusion 231 forms a protruding end for increasing the tensile / compression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site rod 50 and the insert end 20 and the rod engaging groove 232 is formed between the composite rod 50 and the insert end 20. [ And a hexagonal shape for enhancing the torsion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20 and the base 20.

코어 결합부(25)는 인서트 코어(40)와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체결면 상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re engaging portions 25 form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n the engaging surfac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ngaging force with the insert core 40. [

도 3을 참조하면, 코어 결합부(25)의 외주면 상에는 널링부(251)가 형성된다. 상기 널링부(251)는 중공 형태로 이루어진 인서트 코어(40)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경우에 상대 접촉시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해 널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코어 결합부(25)의 외주면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으로 가공하게 한다. 즉,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코어 결합부(25)의 외면에 깔쭉깔쭉한 모양을 반복적으로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3, a null ring portion 2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The knurling portion 251 forms a knurling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relative contact when engag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insert core 40. The knurling portion 251 enhances the coupling forc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To be sawed in a horizontal or inclined manner. That is,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re-engaging portion 25 is repeatedly formed in a jagged shap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코어 결합부(25)의 내주면 상에는 돌출턱(253)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턱(253)은 링 형태로서 코어 결합부(25)의 입구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2~3개의 돌출턱(253)이 코어 결합부(25)의 입구단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진입하는 인서트 코어(40)의 외주면과의 결속을 강화한다. 상기 돌출턱(253)은 중실 형태로 이루어진 인서트 코어(40)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경우에 코어 결합부(25)의 내주면과의 결합력을 강화한다. 4, a protrusion 25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coupling portion 25. As shown in FIG. The protruding jaws 253 are ring-shaped and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inwardly from the inlet end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For example, two or three protruding jaws 253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trance end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to strengthen the engagemen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entering. The protruding jaw 253 strengthens the coupling forc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when engaging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having a solid shape.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인서트 엔드 상에 인서트 코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인서트 코어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forms of the insert core will be described when the insert core is coupled onto the insert en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인서트 코어(40)는 탄소섬유와 플라스틱을 함유한 복합재로써 인발에 의한 솔리드바 형상이며, 비틀림 결합력 강화를 위해 다각형, 타원형 등을 포함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The insert core 40 is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carbon fiber and plastic and is in the form of a solid bar by drawing, and shapes including polygonal and elliptical shapes can be applied to strengthen the torsional bonding force.

도 5를 참조하면, 중공 타입의 인서트 코어를 보이고 있는데, 차례대로 헥사형, 사각형 및 타원형을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5, there is shown a hollow type insert core, which in turn is hexagonal, square, and elliptical.

도 6을 참조하면, 중실 타입의 인서트 코어를 보이고 있는데, 차례대로 헥사형, 사각형 및 타원형을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6, there is shown a solid type insert core, which in turn is hexagonal, square, and elliptical.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 조립체는 볼조인트 엔드, 인서트 엔드, 클램프, 복합재 로드로 구성된 타이로드 어셈블리에서, 복합재 로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인서트 코어를 적용함에 있어서 인서트 엔드 상에 인서트 코어가 피팅된 상태로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와 인서트 코어의 결합부위 상에 일체형으로 외부에 복합재 로드로 감싸지는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복합재 로드 및 인서트 코어 간의 상호 결합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 및 강도를 향상하게 한다.In the tie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tie rod assembly composed of the ball joint end, the insert end, the clamp, and the composite rod, in applying the insert cor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rod, The insert core and the insert cor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insert end and the insert core and are wrapped with the composite rod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ength due to mutual coupling between the composite rod and the insert cor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볼조인트 엔드(10);
상기 볼조인트 엔드(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 엔드(20);
상기 볼조인트 엔드(10)와 상기 인서트 엔드(20)의 결합 부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부재(10,20)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클램프(30);
상기 인서트 엔드(20)에 피팅되는 인서트 코어(40); 및
상기 피팅된 인서트 엔드(20)와 인서트 코어(40)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복합재 로드(50);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엔드(20)는, 상기 클램프(30)에 의해 상기 볼조인트 엔드(10) 부위에 결합하는 클램프 결합부(21), 상기 인서트 코어(40)와 직접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코어 결합부(25), 및 상기 클램프 결합부(21)와 코어 결합부(25)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복합재 로드(50)를 통해 그 외면을 감싸게 하는 로드 결합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표면 상에는 요철이 형성되어져, 상기 인서트 코어(40)와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타이로드 조립체.
Ball joint end 10;
An insert end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ball joint end (10);
A clamp (30) disposed between the ball joint end (10) and the engagement part of the insert end (20) to enable binding between the two members (10, 20);
An insert core (40) fitted to the insert end (20); And
And a composite rod (50) disposed to cover a joint portion of the fitted insert end (20) and the insert core (40)
The insert end 20 includes a clamp engaging portion 21 engaged with the ball joint end 10 by the clamp 30 and a core engaging portion 25 directly engaged with the insert core 40 And a rod coupling portion 23 connecting between the clamp coupling portion 21 and the core coupling portion 25 and wra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coupling portion 21 through the composite rod 50,
A concave and a convex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to reinforc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insert core 40,
Tie rod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결합부(23)는, 그 외면을 따라 로드 결합돌기(231) 및 로드 결합홈(232)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결합돌기(231) 및 로드 결합홈(232)는 상기 로드 결합부(23) 상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드 결합돌기(231)는 상기 복합재 로드(50)와 인서트 엔드(20) 간의 인장/압축 결합력을 증대하기 위한 돌출단 형상이고, 상기 로드 결합홈(232)은 상기 복합재 로드(50)와 인서트 엔드(20) 간의 비틀림 결합력을 증대키 위한 다각 형상인,
타이로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d engaging portion 23 includes a rod engaging projection 231 and a rod engaging groove 232 along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rod engaging projection 231 and the rod engaging groove 232 are engaged with the rod engaging portion 23,
The rod engaging protrusion 231 is in the shape of a protruding end for increasing the tensile / compression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site rod 50 and the insert end 20. The rod engaging groove 232 is formed in the composite rod 50, (20), wherein the torsional force
Tie rod assemb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외주면 상에 널링부(251)가 형성되며,
상기 널링부(251)는 중공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인서트 코어(40)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경우에 상대 접촉시 마찰력을 증대하는,
타이로드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A nulling portion 2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engaging portion 25,
The knurling portion 251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the relative contact when engag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insert core 40,
Tie rod assemb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내주면 상에는 돌출턱(25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253)은 링 형태로서 코어 결합부(25)의 입구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되고, 중실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인서트 코어(40)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코어 결합부(25)의 내주면과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타이로드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A protrusion 25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coupling portion 25,
The protruding jaws 253 are ring-shaped and arranged in at least one row inward from the inlet end of the core coupling portion 25, and when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core 40 in a solid form, Which strengthens the coupling forc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5,
Tie rod assembly.
KR1020160057368A 2016-05-11 2016-05-11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KR1018301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368A KR101830107B1 (en) 2016-05-11 2016-05-11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PCT/KR2016/011753 WO2017195952A1 (en) 2016-05-11 2016-10-19 Tie rod assembly having strength intensified by insert c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368A KR101830107B1 (en) 2016-05-11 2016-05-11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146A true KR20170127146A (en) 2017-11-21
KR101830107B1 KR101830107B1 (en) 2018-02-21

Family

ID=6026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368A KR101830107B1 (en) 2016-05-11 2016-05-11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0107B1 (en)
WO (1) WO201719595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12A (en) * 2021-07-20 2023-01-27 대성코리아(주) Tie rod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7047A (en) * 2010-02-03 2011-08-18 Jtekt Corp Tie rod structure for steering device
KR20140037352A (en) * 2012-09-17 2014-03-27 주식회사 만도 Tie rod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50024106A (en) * 2013-08-26 2015-03-06 주식회사 티앤지 Tie-rod assembly
KR20150054131A (en) * 2013-11-11 2015-05-20 주식회사 티앤지 Length adjustable tie-rod assembly
KR20150058688A (en) * 2013-11-20 2015-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ie Rod Unit having Stiffness Reinforcement Connec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12A (en) * 2021-07-20 2023-01-27 대성코리아(주) Tie rod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107B1 (en) 2018-02-21
WO2017195952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415B1 (en) Wheel frame
EP0712741B1 (en) Arm for the rotational linking of motor vehicle suspension elements
KR101948360B1 (en) Twist beam axle
CA2383610A1 (en) Stabilizer bar
CN107708404A (en) Handheld tool Handleset and manufacture method
WO2013150099A3 (en) Heavy-duty trailer with macpherso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KR101830107B1 (en) Tie-rod assembly reinforced with strength by insert core
KR101340454B1 (en) Torque rod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rque rod
CN103827523A (en) Connecting assembly for a vehicle
KR920002136B1 (en) Ax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20140037352A (en) Tie rod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160008917A1 (en) Joined body
EP3202639B1 (en) Steering system
KR20200079030A (en) Control arm constituting vehicle's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trol arm
KR101548335B1 (en) Tie rod end of steering apparatus of automobil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70030676A (en) Connecting member for tie-rod assembly and tie-rod assembly with the same
CN211809834U (en) Inner steering pull rod and inner steering pull rod assembly
DE10120203C2 (en) wheel
KR101794820B1 (en) Transmission mounting bracket for vehicle
KR20150024106A (en) Tie-rod assembly
JP2017529275A (en) Bicycle front fork
EP3581466A1 (en) Tie rod of automotive steering device
CN212709662U (en) Steering drag link and automobile
US11077706B2 (en) Carbon fiber spo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9852409U (en) Steering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