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903A - 무선 송신에서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배열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에서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903A
KR20170126903A KR1020177025267A KR20177025267A KR20170126903A KR 20170126903 A KR20170126903 A KR 20170126903A KR 1020177025267 A KR1020177025267 A KR 1020177025267A KR 20177025267 A KR20177025267 A KR 20177025267A KR 20170126903 A KR20170126903 A KR 2017012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dus
station
ampdu
ppdu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산토쉬 폴 아브라함
조지 체리안
시몬 멀린
그웬돌린 데니스 바리악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6/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서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방법은 또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MD-AM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신에서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배열
[0001] 본 출원은, 2015년 3월 1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RRANG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S IN A WIRELESS TRANSMISSION"인 공동 소유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2/130,890호, 및 2016년 2월 24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RRANG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S IN A WIRELESS TRANSMISSION"인 미국 정규특허 출원 제 15/051,96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전술된 출원들 각각의 내용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송신들에 관련된다.
[0003] 기술에서의 발전은 더 작고 더 강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초래했다. 예를 들어, 소형이고 경량이며 사용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휴대되는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휴대용 무선 텔레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들, 및 페이징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현재 존재한다. 더 상세하게, 셀룰러 텔레폰들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텔레폰들과 같은 휴대용 무선 텔레폰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많은 그러한 무선 텔레폰들은, 그 내부에 포함되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텔레폰은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레코더, 및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무선 텔레폰들은,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무선 텔레폰들은 상당한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04]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는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 스테이션들(예를 들어, 무선 텔레폰들)에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각각의 PPDU는,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단일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각각의 PPDU에 대해,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은 단일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예를 들어, MPDU들)를 갖는 PPDU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시하자면, 액세스 포인트가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의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갖는 PPDU를 브로드캐스팅하면,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의 제 2 스테이션 및 제 3 스테이션은 또한, PPDU가 제 2 및 제 3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PPDU를 수신할 수도 있다.
[0005]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스테이션이 그들 각각의 MPDU들을 수신하기 위해 3개의 PPDU들을 각각의 스테이션에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3개의 PPDU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은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을 초래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스테이션들은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갖는 PPDU들을 디코딩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전력(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을 이용할 수도 있다.
[0006] 본 개시내용은 무선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들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련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제 1 데이터가 함께 그룹화되고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제 2 데이터가 함께 그룹화되며, 제 3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제 3 데이터가 함께 그룹화되도록 무선 송신(예를 들어,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MPDU(MD-AMPDU))에서 데이터(예를 들어, MPDU들)를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무선 송신을 수신할 시에, 제 1 스테이션은 제 1 데이터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고, 제 2 스테이션은 제 2 데이터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으며, 제 3 스테이션은 제 3 데이터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특정한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함께 그룹화함으로써, 특정한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디코딩한 이후, 특정한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검출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검출한 이후 특정한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는 무선 송신에 더 이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단일 무선 송신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3개의 별개의 무선 송신들과는 대조적으로) 스테이션들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0007] 특정한 구현에서, 무선 송신을 수신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테이션들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서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방법은 또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MD-AM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8] 다른 특정한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세서, 및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동작들은 또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으로의 MD-AMPDU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0009] 다른 특정한 구현에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송신을 수신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테이션들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액세스 포인트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게 한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명령들은 또한, 프로세서로 하여금,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으로의 MD-AMPDU의 송신을 개시하게 하도록 실행가능하다.
[0010] 다른 특정한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MD-AMPDU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1] 개시된 구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된 하나의 이점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감소된 혼잡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다수의 무선 송신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 단일 무선 송신에서 다수의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데이터(예를 들어, MPDU들)를 배열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현들, 이점들, 및 특성들은 다음의 섹션들, 즉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명세서의 검토 이후 명백해질 것이다.
[0012] 도 1은 상이한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갖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특정한 구현의 다이어그램이다.
[0013] 도 2는 상이한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갖는 PPDU를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들의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0014] 도 3은 무선 송신들에서 데이터를 그룹화하기 위한 기술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특정한 구현의 다이어그램이다.
[0015] 도 4는 무선 송신들에서 데이터를 그룹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0016]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멀티-대역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예시한다.
[0017] 도 6은 멀티-대역 PPDU의 송신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멀티-대역 PPDU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0018]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법들, 시스템들, 장치들,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지원하도록 동작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다이어그램이다.
[0019]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구현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설명에서, 공통 피처들은 도면들 전반에 걸쳐 공통 참조 번호들에 의해 지정된다.
[0020] 도 1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와 다수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무선 송신들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특정한 구현이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액세스 포인트(102), 제 1 스테이션(110), 제 2 스테이션(120), 및 제 3 스테이션(130)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3개의 스테이션들(110, 120, 130)이 무선 네트워크(150)에 예시되지만, 부가적인(또는 더 적은) 스테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현에서, 20개의 스테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15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표준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0021] 도 1에 관한 다음의 설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이한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어드레싱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갖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 및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무선 송신을 수신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제 1 데이터가 함께 그룹화되고,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제 2 데이터가 함께 그룹화되며,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제 3 데이터가 함께 그룹화되도록 무선 송신에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무선 송신을 수신할 시에, 제 1 스테이션(110)은 제 1 데이터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고, 제 2 스테이션(120)은 제 2 데이터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으며, 제 3 스테이션(130)은 제 3 데이터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특정한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함께 그룹화함으로써, 특정한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디코딩한 이후, 특정한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검출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검출한 이후 특정한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는 무선 송신에 더 이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0022] 액세스 포인트(102)는 메모리(104), 프로세서(106), 및 트랜시버(108)를 포함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2)는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140)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MD-AMPDU(140)를 생성하도록 프로세서(106)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2)는 무선 네트워크(150)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에 MD-AMPDU(140)를 송신(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08)는 무선 네트워크(150)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에 MD-AMPDU(140)를 송신할 수도 있다.
[0023] 제 1 스테이션(110)은 메모리(112), 프로세서(114), 및 트랜시버(116)를 포함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스테이션(110)은,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하고,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16)는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MD-AMPDU(140)를 수신할 시에, 프로세서(114)는,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으며,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최종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4)는,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최종 MPDU가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한 이후 디코딩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0024] 제 2 스테이션(120)은 메모리(122), 프로세서(124), 및 트랜시버(126)를 포함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2 스테이션(120)은,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하고,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26)는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MD-AMPDU(140)를 수신할 시에, 프로세서(124)는,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으며,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최종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0025] 제 3 스테이션(130)은 메모리(132), 프로세서(134), 및 트랜시버(136)를 포함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3 스테이션(130)은,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하고,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36)는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MD-AMPDU(140)를 수신할 시에, 프로세서(134)는,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디코딩할 수도 있으며,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최종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0026]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생성된 MD-AMPDU(140)는 PPDU(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PPDU(160)는 물리 계층 헤더, 및 MD-AMPDU(140)를 갖는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MD-AMPDU(140)는 제 1 스테이션(110)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제 2 스테이션(120)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 및 제 3 스테이션(130)과 연관된 제 3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어드레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가 제 1 스테이션(110)에 의해 디코딩될 것임을 표시하고, 제 2 어드레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가 제 2 스테이션(120)에 의해 디코딩될 것임을 표시하고, 제 3 어드레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가 제 3 스테이션(130)에 의해 디코딩될 것임을 표시한다. MD-AMPDU(140) 내의 각각의 MPDU는, 액세스 포인트(102)를 송신기(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터)로서 표시하는 송신 어드레스를 가질 수도 있다.
[0027] 액세스 포인트(102)는 수신 어드레스들에 의해 MD-AMPDU(140) 내의 MPDU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는, 제 1 스테이션(110) 이외의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 "사이"에 있지 않도록 MD-AMPDU(140)에서 함께 그룹화(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는, 제 2 스테이션(120) 이외의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PDU들 "사이"에 있지 않도록 MD-AMPDU(140)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가 또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0028] 액세스 포인트(102) 내의 프로세서(106)는 MD-AMPDU(140) 내의 MPDU들의 각각의 세트를 배열하기 위한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6)는 MPDU들의 각각의 세트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MPDU들의 각각의 세트 내의 프레임들의 수에 기초하여)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의 제 1 데이터 사이즈,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의 제 2 데이터 사이즈,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의 제 3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할 수도 있다. MPDU들의 각각의 세트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들을 결정한 이후, 프로세서(106)는 가장 작은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가장 큰 데이터 사이즈로 MPDU들의 각각의 세트를 배열할 수도 있다.
[0029] 예시하자면, 제 1 데이터 사이즈가 제 2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고 제 2 데이터 사이즈가 제 3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으면, 프로세서(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배열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배열할 수도 있다. 제 2 데이터 사이즈가 제 3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고 제 3 데이터 사이즈가 제 1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으면, 프로세서(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배열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를 배열할 수도 있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가장 큰 데이터 사이즈로 MPDU들의 각각의 세트를 배열하기 위해 유사한 기술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가장 작은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가장 큰 데이터 사이즈로 MPDU들을 배열하는 것은, MPDU들의 작은 세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들이 MPDU들을 디코딩할 수 있게 하고, MPDU들의 큰 세트의 검출 이전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MPDU들의 작은 세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들은 감소된 시간양 동안 "활성"으로 유지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전력을 보존할 수도 있다.
[0030] 다른 특정한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102) 내의 프로세서(106)는, 제 1 데이터 사이즈, 제 2 데이터 사이즈, 및 제 3 데이터 사이즈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MPDU들의 각각의 세트의 어레인지먼트를 교번(예를 들어, 회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MD-AMPDU에서, 프로세서(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배열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배열할 수도 있다. 제 2 MD-AMPDU에서, 프로세서(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배열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를 배열할 수도 있다. 제 3 MD-AMPDU에서, 프로세서(1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를 배열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 앞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배열할 수도 있다.
[0031] MD-AMPDU(140)를 생성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102)는 무선 네트워크(150)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에 PPDU(160)를 송신(예를 들어, MD-AMPDU(140)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08)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MD-AMPDU(140)를 송신할 수도 있다.
[0032]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은, MD-AMPDU(140)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스테이션과 연관된 MPDU들을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전력-절약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은 고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스테이션(11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은, 제 1 수신 어드레스(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과 연관된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D-AMPDU(140) 내의 각각의 MPDU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내의 적어도 하나의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제 1 스테이션(110) 내의 프로세서(114)는 제 1 스테이션(110)으로 하여금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할 시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가 MD-AMPDU(140)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함께 그룹화하기 때문에,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를 디코딩한 이후, 프로세서(11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한 이후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에 더 이상 MPDU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4)는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제 1 스테이션(110)을 "파워-다운(power-down)"시킬 수도 있다.
[0033] 다른 예로서, 제 2 스테이션(120)은 고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2 스테이션(12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테이션(120)은, 제 2 수신 어드레스(예를 들어, 제 2 스테이션(120)과 연관된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D-AMPDU(140) 내의 각각의 MPDU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 내의 적어도 하나의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제 2 스테이션(120) 내의 프로세서(124)는 제 2 스테이션(120)으로 하여금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할 시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가 MD-AMPDU(140)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함께 그룹화하기 때문에,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PDU를 디코딩한 이후, 프로세서(12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한 이후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에 더 이상 MPDU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한 이후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제 2 스테이션(120)을 "파워-다운"시킬 수도 있다.
[0034] 다른 예로서, 제 3 스테이션(130)은 고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3 스테이션(13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스테이션(130)은, 제 3 수신 어드레스(예를 들어, 제 3 스테이션(130)과 연관된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D-AMPDU(140) 내의 각각의 MPDU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 내의 적어도 하나의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제 3 스테이션(130) 내의 프로세서(13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할 시에 제 3 스테이션(130)을 저전력 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가 MD-AMPDU(140)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를 함께 그룹화하기 때문에,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MPDU를 디코딩한 이후, 프로세서(13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한 이후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에 더 이상 MPDU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4)는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제 3 스테이션(130)을 "파워-다운"시킬 수도 있다.
[0035] 도 1의 시스템(100)에 관해 설명된 MPDU 어레인지먼트 기술들은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가장 작은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가장 큰 데이터 사이즈로 MD-AMPDU(140) 내의 MPDU들의 각각의 세트를 배열함으로써, 시스템(100)은, 비교적 작은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MPDU들의 세트를 수신하도록 셋팅된 특정한 스테이션이 MPDU들의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MD-AMPDU(140)의 "전면"에 배열(예를 들어, 포지셔닝)되기 때문에, 특정한 스테이션은 MD-AMPDU(140)를 초기에 수신한 이후 비교적 조기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0036] 도 2를 참조하면, 상이한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갖는 PPDU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들(200, 210)의 특정한 구현들이 도시된다. 제 1 방법(200)은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 2 방법(210)은 도 1의 스테이션들(110, 120, 13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37] 제 1 방법(200)은 (202)에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MD-AMPDU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MD-AMPDU(140)를 생성할 수도 있다. MD-AMPDU(140)는 제 1 스테이션(110)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스테이션(120)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는 MD-AMPDU(140)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는, 제 1 스테이션(110) 이외의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 "사이"에 있지 않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가 또한 MD-AMPDU(140)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는, 제 2 스테이션(120) 이외의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PDU들 "사이"에 있지 않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0038] MD-AMPDU는 (204)에서,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무선 네트워크(150) 내의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에 PPDU(160)를 송신(예를 들어, MD-AMPDU(140)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108)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MD-AMPDU(140)를 송신할 수도 있다.
[0039] 도 2의 제 1 방법(200)은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가장 작은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가장 큰 데이터 사이즈로 MD-AMPDU(140) 내의 MPDU들의 각각의 세트를 배열함으로써, 시스템(100)은, 비교적 작은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MPDU들의 세트를 수신하도록 셋팅된 특정한 스테이션이 MPDU들의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MD-AMPDU(140)의 "전면"에 배열(예를 들어, 포지셔닝)되기 때문에, 특정한 스테이션은 MD-AMPDU(140)를 초기에 수신한 이후 비교적 조기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0040] 제 2 방법(210)은 (212)에서,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1 스테이션에서 MD-AMPDU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스테이션(110)은 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0041] 수신 스테이션은 (214)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그리고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다른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스테이션(110)은 고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MD-AMPDU(140)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스테이션(11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은, 제 1 수신 어드레스(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과 연관된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D-AMPDU(140) 내의 각각의 MPDU를 디코딩하기 위해 고전력 모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내의 적어도 하나의 MPDU를 디코딩한 이후, 제 1 스테이션(110) 내의 프로세서(11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할 시에 제 1 스테이션(110)을 저전력 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가 MD-AMPDU(140)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함께 그룹화하기 때문에,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를 디코딩한 이후, 프로세서(114)는, 다른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를 검출한 이후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D-AMPDU(140) 내에 더 이상 MPDU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4)는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제 1 스테이션(110)을 "파워-다운(power-down)"시킬 수도 있다.
[0042] 도 2의 제 2 방법(210)은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가장 작은 데이터 사이즈로부터 가장 큰 데이터 사이즈로 MD-AMPDU(140) 내의 MPDU들의 각각의 세트를 배열함으로써, 시스템(100)은, 비교적 작은 데이터 사이즈를 갖는 MPDU들의 세트를 수신하도록 셋팅된 특정한 스테이션이 MPDU들의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들이 MD-AMPDU(140)의 "전면"에 배열(예를 들어, 포지셔닝)되기 때문에, 특정한 스테이션은 MD-AMPDU(140)를 초기에 수신한 이후 비교적 조기에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0043]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와 다수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무선 송신들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300)의 다른 특정한 구현이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액세스 포인트(102), 제 1 스테이션(110), 제 2 스테이션(120), 및 제 3 스테이션(130)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0044] 도 3에 관한 다음의 설명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제공된 무선 송신들에서 데이터를 그룹화하기 위한 기술들을 설명한다. 그룹화 기술들은 무선 네트워크(150)에서 송신 시간들 및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은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별개의 데이터 레이트(예를 들어,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는, 다수의 무선 송신들을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송신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예를 들어, 더 빠른지) 여부(여기서, 각각의 무선 송신은 특정한 스테이션(110, 120, 130)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포함함) 또는 다수의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단일 무선 송신으로 그룹화하고 단일 무선 송신을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에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0045] 도 3에 관해, 액세스 포인트(102)는 단일 대역 내에서 PPDU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테이션(110, 120, 130)은 공통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2)는 공통 주파수 대역 상에서 각각의 스테이션에 PPDU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수의 PPDU들과는 대조적으로) 단일 PPDU는 공통 주파수 대역 상에서 스테이션들(110, 120, 130)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0046] 제 1 스테이션(110)은 제 1 스테이션(110)이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MPDU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 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스테이션(120)은 제 2 스테이션(120)이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MPDU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 2 MCS를 가질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 3 스테이션(130)은 제 3 스테이션(130)이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MPDU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 3 MCS를 가질 수도 있다.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크고, 제 2 데이터 레이트는 제 3 데이터 레이트보다 크다.
[0047] 제 3 스테이션(130)은 제 1 스테이션(110) 및 제 2 스테이션(120)에 비해 "지배적(dominant)"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지배적"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예를 들어, "비-지배적" 스테이션)과 비교하여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다. 비-지배적 스테이션은 지배적 스테이션의 데이터 레이트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지배적 스테이션은 비-지배적 스테이션의 데이터 레이트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 2 스테이션(120)은 제 1 스테이션(110)에 비해 지배적일 수도 있다.
[0048] 액세스 포인트(102)는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의해 공유된 공통 주파수 대역 상의 송신 시간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들(예를 들어, PPDU들)에서 MPDU들을 그룹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하자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PPDU(310)를 제 1 스테이션(110)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PPDU(310)는 물리 계층 헤더, 및 어그리게이팅된 MPDU(AMPDU)(312)를 갖는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AMPDU(31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를 포함한다. 제 1 PPDU(310)를 제 1 스테이션(110)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320)를 제 2 스테이션(120)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2 PPDU(320)는 물리 계층 헤더, 및 AMPDU(322)를 갖는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AMPDU(32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포함한다.
[0049] 액세스 포인트(102)는 또한,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330)를 제 1 스테이션(110) 및 제 2 스테이션(120)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스테이션(120)이 제 1 스테이션(110)에 비해 지배적이기 때문에, 제 3 PPDU(330)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될 것이다. 제 3 PPDU(330)는 물리 계층 헤더, 및 MD-AMPDU(332)를 갖는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MD-AMPDU(33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포함한다.
[0050]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3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과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한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PPDU(310)를 송신하는 것과 제 2 PPDU(320)를 송신하는 것 사이의 SIFS(short inter-frame space) 시간 기간(예를 들어, 대략 15마이크로초)을 감안(factor)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제 3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 제 2 송신 시간, 및 SIFS의 합산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0051] 제 3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과 제 2 송신 시간(및 선택적으로는 SIFS 시간 기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MD-AMPDU(332)로 그룹화할 수도 있으며, 공통 주파수 대역 상의 송신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MD-AMPDU(332)를 스테이션들(110, 120)에 송신(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PDU들과 그룹화하고 2개의 AMPDU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룹화된 MPDU를 MD-AMPDU로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예를 들어, 더 빠르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0052] 다음의 의사-코드는 도 3에 관해 설명된 그룹화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액세스 포인트(102)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0053] 도 3의 시스템(300)에 관해 설명된 MPDU 그룹화 기술들은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의해 공유된 주파수 대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무선 송신들(예를 들어, PPDU들)의 송신 시간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화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시하자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상이한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비교적 긴 PPDU에 그룹화하는 것(그리고 비교적 긴 PPDU를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 또는 단일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포함하는 비교적 짧은 PPDU들을 생성하는 것(그리고 다수의 비교적 짧은 PPDU들을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0054] 도 4를 참조하면, 송신 시간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들에서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400)의 특정한 구현이 도시된다. 방법(400)은 도 3의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55] 방법(400)은 (402)에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PPDU를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해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PPDU(310)를 제 1 스테이션(110)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PPDU(31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를 포함한다.
[0056]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를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이 (404)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1 PPDU(310)를 제 1 스테이션(110)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320)를 제 2 스테이션(120)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2 PPDU(32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예를 들어,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PDU들)를 포함한다.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클 수도 있다.
[0057]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이 (406)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330)를 제 1 스테이션(110) 및 제 2 스테이션(120)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2 스테이션(120)이 제 1 스테이션(110)에 비해 지배적이기 때문에, 제 3 PPDU(330)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전송될 것이다. 제 3 PPDU(33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포함하는 MD-AMPDU(332)를 포함한다.
[0058] 제 3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과 제 2 송신 시간 및 SIFS 시간 기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제 3 PPDU는 (408)에서,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3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과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MD-AMPDU(332)로 그룹화할 수도 있으며, 공통 주파수 대역 상의 송신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MD-AMPDU(332)를 스테이션들(110, 120)에 송신(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MPDU들과 그룹화하고 2개의 별개의 AMPDU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룹화된 MPDU들을 MD-AMPDU로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예를 들어, 더 빠르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0059] 특정한 구현에서, 방법(400)은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4 PPDU를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4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4 PPDU(미도시)를 제 3 스테이션(130)에 송신하기 위한 제 4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4 PPDU는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400)은 또한,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5 PPDU를 제 1 스테이션, 제 2 스테이션, 및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5 PPDU(미도시)를 제 1 스테이션(110), 제 2 스테이션(120), 및 제 3 스테이션(130)에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5 PPDU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5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 제 2 송신 시간, 및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제 3 송신 시간과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5 PPDU를 각각의 스테이션(110-130)에 송신할 수도 있다.
[0060] 도 4의 방법(400)은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의해 공유된 주파수 대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무선 송신들(예를 들어, PPDU들)의 송신 시간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화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시하자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상이한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비교적 긴 PPDU에 그룹화하는 것(그리고 비교적 긴 PPDU를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 또는 단일 스테이션들에 어드레싱된 MPDU들을 포함하는 비교적 짧은 PPDU들을 생성하는 것(그리고 다수의 비교적 짧은 PPDU들을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0061]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대역 PPDU(500)의 특정한 구현이 도시된다. 멀티-대역 PPDU(500)는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으며, 도 1의 스테이션들(110, 120, 130)에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도 5에 관한 다음의 설명은 멀티-대역 PPDU(500)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기술들을 설명한다.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는 것은 멀티-대역 PPDU(500)의 사이즈(예를 들어, PPDU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멀티-대역 PPDU(500)의 주파수 대역들의 이용을 증가(예를 들어, 최대화)시킬 수도 있다.
[0062] 멀티-대역 PPDU(500)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510-540), 및 주파수 대역들(510-540)에 걸쳐 분산되는 공통 프리앰블(50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멀티-대역 PPDU(500)는 제 1 주파수 대역(510), 제 2 주파수 대역(520), 제 3 주파수 대역(530), 및 제 4 주파수 대역(5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은 다수의 스테이션들(110-130)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MPDU들)를 반송하기 위한 MD-AMPDU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한 구현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은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대역(510)은 제 1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고, 제 2 주파수 대역(520)은 제 2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고, 제 3 주파수 대역(530)은 제 3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으며, 제 4 주파수 대역(540)은 제 4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다.
[0063] 4개의 주파수 대역들(510-540)이 멀티-대역 PPDU(500)에 예시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멀티-대역 PPDU(500)는 부가적인 (또는 더 적은)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이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멀티-대역 PPDU 내의 2개 또는 그 초과의 주파수 대역들(510-540)은 유사한 데이터 레이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0064] 주파수 대역들(510-540)의 대역폭은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대역폭을 정의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예로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은 20메가헤르츠(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고, PPDU 대역폭은 80MHz일 수도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하나의 주파수 대역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과는 상이한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멀티-대역 PPDU는 3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주파수 대역은 40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다른 2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은 20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0065]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주파수 대역들(510-540)의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2)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510-540)에 스테이션들(110-130)을 할당(및 재할당)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의 각각의 반복 동안, 액세스 포인트(102)는,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길이가 (이전의 반복과 비교하여) 감소되는지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110-130)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길이가 감소되지 않고 반복 이후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110-130)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에 할당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반복에서의 스테이션 할당들에 따라 멀티-대역 PPDU(5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반복이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길이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66] 알고리즘에 따르면, 특정한 스테이션이 1개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테이션(110)이 제 1 주파수 대역(510)에 할당되면,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520-540) 상에서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의사-코드는 도 5에 관해 설명된 할당 기술들을 수행하도록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2)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2
[0067] 의사-코드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2)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멀티-대역 PPDU(500)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에 할당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PPDU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이션 할당들을 재배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이 제 1 주파수 대역(510)에 할당되고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는 제 1 주파수 대역(510)을 통해 제 1 스테이션(110)에 송신되도록 할당됨), 제 2 스테이션(120)이 제 2 주파수 대역(520)에 할당되고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는 제 2 주파수 대역(520)을 통해 제 2 스테이션(120)에 송신되도록 할당됨), 제 3 스테이션(130)이 제 3 주파수 대역(530)에 할당되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MPDU 3_1)는 제 3 주파수 대역(530)을 통해 제 3 스테이션(130)에 송신되도록 할당됨), 그리고 제 4 스테이션(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이 제 4 주파수 대역(540)에 할당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0068] 액세스 포인트(102)는 "주된"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주된 주파수 대역은 가장 긴 길이(예를 들어, 가장 긴 송신 시간)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는 주된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심볼들의 수에 대응할 수도 있다. 주된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심볼들이 많아질수록,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더 길어진다.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는 PPDU 길이를 정의할 수도 있다.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길이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레이트 및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송신될 MPDU들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3 주파수 대역(530)을 주된 주파수 대역으로 식별하고,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비-주된" 주파수 대역들로 식별할 수도 있다.
[0069]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주파수 대역(510)(예를 들어,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및 제 2 주파수 대역(520)(예를 들어,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 그룹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MPDU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을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 그룹화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주파수 대역(510)의 길이가 제 3 주파수 대역(530)의 길이보다 더 긴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주파수 대역(510)의 길이가 제 3 주파수 대역(530)의 길이보다 더 길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을 제 1 주파수 대역(510)에 할당할 수도 있고, 제 2 스테이션(120)을 제 2 주파수 대역(520)에 할당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2 주파수 대역(520)을 "비우기" 위해 제 1 및 제 2 스테이션들(110, 120)을 제 1 주파수 대역(510)에 할당할 수도 있다. 주파수 대역이 비어 있으면(예를 들어, 스테이션이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지 않으면), 액세스 포인트는 PPDU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스테이션을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할 수도 있다.
[0070] 특정한 구현에서, 단일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MPDU들은 PPDU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걸쳐 확산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10개의 MPDU들이 제 1 주파수 대역(510)에 할당된다고 가정하면, 제 2 스테이션(120)에 어드레싱된 2개의 MPDU들은 제 2 주파수 대역(520)에 할당되고, 제 3 스테이션(130)에 어드레싱된 6개의 MPDU들은 제 3 주파수 대역(530)에 할당되며, 제 4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6개의 MPDU들은 제 4 주파수 대역(540)에 할당된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이 공통 대역폭(예를 들어, 20MHz) 및 공통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 중 4개를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520)에 할당(예를 들어, 이동)할 수도 있다. 제 1 스테이션(110)에 어드레싱된 MPDU들 중 4개를 제 2 주파수 대역(520)에 할당함으로써,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은 6개의 MPDU들을 할당받을 것이고, 이는, PPDU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예를 들어, PPDU 길이는, 10개의 MPDU들을 반송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확장된 길이를 갖는 단일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6개의 MPDU들을 반송하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할 것임).
[0071] 도 5에 대해 설명된 기술들은 액세스 포인트(102)가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의 이용을 증가(예를 들어, "최대화")시키기 위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510-540)에 상이한 스테이션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을 이용하는 것은,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길이(예를 들어,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시간)가 다른 주파수 대역들의 길이와 매우 불균형하여 멀티-대역 PPDU(500)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도록 임의의 특정한 주파수 대역이 "과이용"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0072] 도 6을 참조하면, 멀티-대역 PPDU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멀티-대역 PPDU 내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600)의 특정한 구현이 도시된다. 방법(600)은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73] 방법(600)은 (602)에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멀티-대역 PPDU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110-130)이 멀티-대역 PPDU(500)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604)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면, 액세스 포인트는 (606)에서, 주된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3 주파수 대역(530)을 주된 주파수 대역으로 식별하고,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비-주된" 주파수 대역들로 식별할 수도 있다.
[0074] (608)에서,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MPDU들 및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2 MPDU들은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으로 그룹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주파수 대역(510)(예를 들어,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MPDU 1_1 및 MPDU 1_2) 및 제 2 주파수 대역(520)(예를 들어,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 그룹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MPDU 2_1 및 MPDU 2_2)를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0075] (그룹화 이후)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예를 들어, 송신 길이)가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예를 들어, 송신 시간)보다 더 긴지 여부의 결정이 (610)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MPDU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을 제 1 주파수 대역(510)으로 그룹화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주파수 대역(510)의 길이가 제 3 주파수 대역(530)의 길이보다 더 긴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0076] (612)에서,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길면, 제 1 스테이션은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될 수도 있고, 제 2 스테이션은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주파수 대역(510)의 길이가 제 3 주파수 대역(530)의 길이보다 더 길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스테이션(110)을 제 1 주파수 대역(510)에 할당할 수도 있고, 제 2 스테이션(120)을 제 2 주파수 대역(520)에 할당할 수도 있다.
[0077] (602)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지 않으면, (614)에서, 주된 주파수 대역에 이전에 할당된 제 3 스테이션이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이 비어 있으면(예를 들어, 스테이션이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지 않으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PPDU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스테이션을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할 수도 있다.
[0078] 도 6의 방법(600)은 액세스 포인트(102)가 멀티-대역 PPDU(500)의 PPDU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의 이용을 증가(예를 들어, "최대화")시키기 위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510-540)에 상이한 스테이션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510-540)을 이용하는 것은,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길이(예를 들어,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시간)가 다른 주파수 대역들의 길이와 매우 불균형하여 멀티-대역 PPDU(500)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도록 임의의 특정한 주파수 대역이 "과이용"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0079] 도 7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2)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102)는 메모리(104)에 커플링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106)를 포함한다.
[0080] 프로세서(106)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768)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06)는 무선 인터페이스(740)(예를 들어, IEEE 802.11 인터페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740)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0)는, 도 2의 제 1 방법(200), 도 4의 방법(400), 또는 도 6의 방법(600)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6)는 도 2의 제 1 방법(200), 도 4의 방법(400), 또는 도 6의 방법(600)을 실행하기 위한 MPDU 어레인지먼트 로직(764)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1] 무선 인터페이스(740)는 프로세서(106) 및 안테나(742)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740)는, 안테나(742)를 통해 수신된 무선 데이터가 프로세서(106)에 제공될 수도 있도록 트랜시버(108)를 통해 안테나(742)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0082] 코더/디코더(코덱)(734)는 또한 프로세서(106)에 커플링될 수 있다. 스피커(736) 및 마이크로폰(738)은 코덱(734)에 커플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726)는 프로세서(106)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8)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6), 디스플레이 제어기(726), 메모리(732), 코덱(734), 및 무선 인터페이스(740)는 시스템-인-패키지 또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에 포함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730) 및 전력 공급부(744)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에 커플링된다. 또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8), 입력 디바이스(730), 스피커(736), 마이크로폰(738), 안테나(742), 및 전력 공급부(744)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 외부에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8), 입력 디바이스(730), 스피커(736), 마이크로폰(738), 안테나(742), 및 전력 공급부(744)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터페이스들 또는 제어기들과 같은 시스템-온-칩 디바이스(722)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83] 설명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제 1 장치는 MD-AMPDU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D-AMPDU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도 1 및 도 7의 프로세서(106), 도 1 및 도 7의 메모리(104), 도 7의 명령들(768), 도 7의 MPDU 어레인지먼트 로직(764),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또는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4] 제 1 장치는 또한,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MD-AMPDU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D-AMPDU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1 및 도 7의 트랜시버(108), 도 7의 안테나(74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또는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5] 설명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제 2 장치는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MD-AMPDU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D-AMPDU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트랜시버(11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또는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6] 제 2 장치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프로세서(114), 도 1의 메모리(11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또는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7] 설명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제 3 장치는,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PPDU를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고,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를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하며, 그리고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PPDU는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PPDU는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클 수도 있다. 제 3 PPDU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도 1 및 도 7의 프로세서(106), 도 1 및 도 7의 메모리(104), 도 7의 명령들(768), 도 7의 MPDU 어레인지먼트 로직(764),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또는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8] 제 3 장치는 또한, 제 3 송신 시간이 제 1 송신 시간과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PPDU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1 및 도 7의 트랜시버(108), 도 7의 안테나(74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또는 모듈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89]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들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0090]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현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예를 들어, 비-순간적인)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0091] 기재된 구현들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기재된 구현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구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과 일치하는 가능한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Claims (67)

  1.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및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상기 MD-AM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의 제 1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제 2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사이즈가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즈가 상기 제 1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디코딩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스테이션으로 상기 MD-AM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MD-AMPDU는 상기 제 3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3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의 제 3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즈가 상기 제 2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고 상기 제 2 사이즈가 상기 제 3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각각의 세트가 상기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후속 MD-AMPDU에서 배열되는 순서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MD-AMPDU 내의 상기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가 상기 후속 MD-AMPDU 내의 상기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고, 상기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가 상기 후속 MD-AMPDU 내의 상기 제 3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면, 상기 순서가 회전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방법.
  12.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프로세서;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는 것 - 상기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및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MD-AMPDU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의 제 1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제 2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1 데이터 사이즈가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배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즈가 상기 제 1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배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디코딩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상기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 3 스테이션에 송신되며,
    상기 MD-AMPDU는 상기 제 3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3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의 제 3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즈가 상기 제 2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고 상기 제 2 사이즈가 상기 제 3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동작들은,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배열하는 것;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배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각각의 세트가 상기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후속 MD-AMPDU에서 배열되는 순서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속 MD-AMPDU 내의 상기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가 상기 후속 MD-AMPDU 내의 상기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고, 상기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가 상기 후속 MD-AMPDU 내의 상기 제 3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MPDU들의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면, 상기 순서가 회전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23.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액세스 포인트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게 하며 - 상기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그리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MD-AMPDU의 송신을 개시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의 제 1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제 2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게
    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 사이즈가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D-AMPDU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앞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배열하게 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MD-AMPDU는,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및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상기 MD-AMPDU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배열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30.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1 스테이션에서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MD-AM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저전력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33.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으로서,
    프로세서;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수신하는 것 - 상기 MD-AM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저전력 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하는 것; 및
    상기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
  36.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스테이션에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수신하게 하고 - 상기 MD-AM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저전력 모드로 진입시키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하게
    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의 MPDU를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9.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으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MD-AM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1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제 2 스테이션과 연관된 제 2 수신 어드레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MD-AMPDU에서 함께 그룹화됨 -;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디코딩한 이후,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저전력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MD-AM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
  41. 송신 시간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들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P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함 -;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를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PPDU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3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3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과 상기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상기 제 3 PPDU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4 PPDU를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4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4 PPDU는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3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5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5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5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 상기 제 2 송신 시간, 및 상기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그리고 상기 제 5 송신 시간이 상기 제 3 송신 시간과 상기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상기 제 5 P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PPDU는 상기 MD-AMPDU를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46.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프로세서;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상기 제 1 P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함 -;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를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상기 제 2 PPDU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상기 제 3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3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과 상기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제 3 PPDU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4 PPDU를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4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상기 제 4 PPDU는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3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5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상기 제 5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5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 상기 제 2 송신 시간, 및 상기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그리고 상기 제 5 송신 시간이 상기 제 3 송신 시간과 상기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상기 제 3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제 5 PPDU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으로 그룹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PPDU는 상기 MD-AMPDU를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51. 송신 시간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들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액세스 포인트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제 1 P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함 -;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를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제 2 PPDU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며 - 상기 제 3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함 -; 그리고
    상기 제 3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과 상기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제 3 PPDU의 송신을 개시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4 PPDU를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4 송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제 4 PPDU는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3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제 3 데이터 레이트로 제 5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상기 제 3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시간을 결정하게 하며 - 상기 제 5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3 세트를 포함함 -; 그리고
    상기 제 5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 상기 제 2 송신 시간, 및 상기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그리고 상기 제 5 송신 시간이 상기 제 3 송신 시간과 상기 제 4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상기 제 2 스테이션, 및 상기 제 3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제 5 PPDU의 송신을 개시하게
    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멀티-목적지 어그리게이팅된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D-AMPDU)으로 그룹화하게 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며,
    상기 제 3 PPDU는 상기 MD-AMPDU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56.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제 1 데이터 레이트로 제 1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제 1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PPDU는 상기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함 -;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2 PPDU를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PPDU는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레이트는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보다 큼 -;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제 3 PPDU를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3 PPDU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PDU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함 -; 및
    상기 제 3 송신 시간이 상기 제 1 송신 시간과 상기 제 2 송신 시간의 합산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로 상기 제 3 PPDU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에 송신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PDU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송신되는, MPDU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59. 멀티-대역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멀티-대역 PPDU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멀티-대역 PPDU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주된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짐 -;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 및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2 MPDU들을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 상기 제 1 MPDU들은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제 2 MPDU들은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됨 -;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길면,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상기 제 2 스테이션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에 이전에 할당된 제 3 스테이션을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는,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MPDU들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는,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1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2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3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62. 멀티-대역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멀티-대역 PPDU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프로세서;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멀티-대역 PPDU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주된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것 -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짐 -;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 및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2 MPDU들을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으로 그룹화하는 것 - 상기 제 1 MPDU들은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제 2 MPDU들은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됨 -;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긴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길면,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상기 제 2 스테이션을 할당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에 이전에 할당된 제 3 스테이션을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는,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MPDU들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는,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64.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1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2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3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65. 멀티-대역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멀티-대역 PPDU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스테이션들을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액세스 포인트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멀티-대역 PPDU 내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주된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게 하고 -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짐 -;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들 및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제 2 MPDU들을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으로 그룹화하게 하고 - 상기 제 1 MPDU들은 제 1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제 2 MPDU들은 제 2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됨 -;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긴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가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보다 더 길면,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상기 제 1 스테이션을 할당하고 상기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에 상기 제 2 스테이션을 할당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이 상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에 이전에 할당된 제 3 스테이션을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길이는,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레이트 및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 내의 MPDU들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1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 1 비-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2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 2 비-주된 주파수 대역은 제 3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25267A 2015-03-10 2016-02-25 무선 송신에서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배열 KR20170126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0890P 2015-03-10 2015-03-10
US62/130,890 2015-03-10
US15/051,960 2016-02-24
US15/051,960 US20160269296A1 (en) 2015-03-10 2016-02-24 Arrang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s in a wireless transmission
PCT/US2016/019568 WO2016144559A2 (en) 2015-03-10 2016-02-25 Arrang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s in a wireless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03A true KR20170126903A (ko) 2017-11-20

Family

ID=5566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67A KR20170126903A (ko) 2015-03-10 2016-02-25 무선 송신에서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배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160269296A1 (ko)
EP (1) EP3269160A2 (ko)
KR (1) KR20170126903A (ko)
CN (1) CN107409293A (ko)
TW (1) TW201640933A (ko)
WO (1) WO20161445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1501B (zh) * 2015-06-03 2024-05-14 苹果公司 集合物理层协议数据单元的传输装置和传输方法
US10701688B2 (en) * 2017-09-11 2020-06-30 Intel Corporation Dynamic channel bonding and multi-band aggregation
US11057922B2 (en) * 2017-12-20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for communicating with unassociated stations
US10863585B2 (en) * 2018-06-06 2020-12-08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dynamic multi-band layer-1 aggreg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network
WO2020050679A1 (ko) * 2018-09-07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p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7326860B2 (ja) * 2019-05-17 2023-08-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20210250277A1 (en) * 2020-02-07 2021-08-12 Mediatek Inc. Packet aggregation method applied in multiple link oper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CN113316231A (zh) * 2021-05-08 2021-08-27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7836B2 (ja) * 2004-04-02 2008-02-13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N1954553A (zh) * 2004-05-13 2007-04-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系统的具有多速率分组聚合的超帧协议分组数据单元格式
JP2007537655A (ja) * 2004-05-13 2007-12-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Ieee802.11n用の異なるデータレートを備えたマルチプル・レシーバ・アグリゲーション
CN106941666B (zh) * 2005-04-25 2020-10-30 美商内数位科技公司 无线系统中效率寻址及功率节省方法及系统
US7577438B2 (en) * 2005-04-25 2009-08-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ddressing and power savings in wireless systems
US8031649B2 (en) * 2007-02-16 2011-10-04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rranging MAC layer PDUs in a downlink burst
KR100935976B1 (ko) * 2007-12-07 2010-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목적지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690552B1 (ko) * 2009-12-30 2016-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에러제어를 위한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2316013A (zh) * 2010-07-01 2012-01-11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调整最大报文长度的方法及装置
WO2012141758A1 (en) * 2011-04-15 2012-10-1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networks
US8830815B2 (en) * 2011-05-19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television white space transmissions
US8948089B2 (en) * 2012-01-11 2015-02-0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ggregate data units
US9154432B2 (en) * 2013-06-14 2015-10-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TX/RX AMSDU size based on the negotiated maximum transmission unit in the tunnel between a controller and an access point
US9712362B2 (en) * 2014-03-20 2017-07-18 Newracom,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6028131A1 (ko) * 2014-08-22 2016-02-2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9293A (zh) 2017-11-28
TW201640933A (zh) 2016-11-16
US20180139137A1 (en) 2018-05-17
WO2016144559A3 (en) 2016-10-27
WO2016144559A2 (en) 2016-09-15
US20180115488A1 (en) 2018-04-26
EP3269160A2 (en) 2018-01-17
US20160269296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6903A (ko) 무선 송신에서의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배열
KR101674631B1 (ko) 분산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통신
US10039123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cheduling communications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US9451386B2 (en) Resource scheduling for machine-to-machine devices
US10813079B2 (en) Paging signal transmitting method, paging signal receiv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40116909A (ko) 분산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통신
US91135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in ad-hoc wireless networks
WO2019104485A1 (zh) 分配功率的方法和设备
US20190174461A1 (en)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tting, receiving and controlling,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base station
US10313226B2 (en) Multicast in multi-user transmissions
WO2018035816A1 (zh)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基站
WO2015180017A1 (zh) 设备到设备临近服务中传输信号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21007827A1 (zh) 信息指示、确定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5122927B (zh) 一种资源申请的方法、装置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