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707A -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707A
KR20170126707A KR1020160057100A KR20160057100A KR20170126707A KR 20170126707 A KR20170126707 A KR 20170126707A KR 1020160057100 A KR1020160057100 A KR 1020160057100A KR 20160057100 A KR20160057100 A KR 20160057100A KR 20170126707 A KR20170126707 A KR 20170126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tion
valve
backup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선
이승준
윤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707A/ko
Publication of KR2017012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1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multi-stag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와; 냉장압축기의 흡입라인과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이 공통흡입라인과 연결된 병렬흡입라인과;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과 백업압축기의 토출라인이 공통토출라인과 연결된 병렬 토출라인과; 공통토출라인에 연결된 응축기와;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과 상기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과; 냉장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설치된 제1밸브와;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설치된 제2밸브와; 연결라인에 설치된 제3밸브와;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와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냉장압축기가 운전이고, 백업압축기가 정지이며, 제1밸브가 오픈이고,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클로즈인 냉장운전과, 냉장압축기가 고장이고, 백업압축기가 운전이며, 제2밸브가 오픈이고, 제1밸브 및 제3밸브가 클로즈인 냉장백업운전과, 냉장압축기가 운전이고,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오픈이며, 제3밸브가 클로즈인 저온냉장운전과,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가 운전이고,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오픈인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하여, 냉장시스템의 실외기의 운전율을 높일 수 있고, 제조자의 관리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과부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utdoor unit of refrig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냉장시스템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를 갖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는 한쪽 면이 통유리로 되거나 개방되어 보관된 내용물을 볼 수 있는 냉장고로서, 주로 대형마트나 정육점, 편의점 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냉장 기능뿐만 아니라 진열 기능을 갖고 있다.
쇼케이스와 냉장시스템의 실외기는 냉매배관 등의 냉매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고, 냉장시스템의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한 후 응축하여 쇼케이스로 공급할 수 있다.
쇼케이스는 상대적으로 보관온도가 높은 냉장용 쇼케이스이거나 냉장용 쇼케이스 보다 보관온도가 낮은 저온냉장용 쇼케이스일 수 있다.
냉장용 쇼케이스와 저온냉장용 쇼케이스의 희망 온도범위가 상이할 수 있고, 냉장시스템의 실외기는 냉장용 쇼케이스에 연결되는 냉장용 냉장시스템의 실외기이거나 저온냉장용 쇼케이스에 연결되는 저온냉장용 냉장시스템의 실외기일 수 있다.
KR 10-2016-0012383 A (2016년02월03일 공개)
본 발명은 희망 온도범위가 상이한 다수의 쇼케이스 각각에 연결될 수 있어 공용화가 가능하고, 냉장압축기의 고장이나 과부하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와; 상기 냉장압축기의 흡입라인과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이 공통흡입라인과 연결된 병렬흡입라인과; 상기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과 백업압축기의 토출라인이 공통토출라인과 연결된 병렬토출라인과; 상기 공통토출라인에 연결된 응축기와; 상기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과 상기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과; 상기 냉장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설치된 제1밸브와; 상기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설치된 제2밸브와;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된 제3밸브와; 상기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와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압축기가 운전이고, 상기 백업압축기가 정지이며, 상기 제1밸브가 오픈이고,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클로즈인 냉장운전과, 상기 냉장압축기가 고장이고, 상기 백업압축기가 운전이며, 상기 제2밸브가 오픈이고, 제1밸브 및 제3밸브가 클로즈인 냉장백업운전과, 상기 냉장압축기가 운전이고,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오픈이며, 상기 제3밸브가 클로즈인 저온냉장운전과, 상기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가 운전이고,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오픈인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을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상기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 중 상기 연결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냉장압축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백업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냉장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백업압축기의 토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백업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모드과 저온냉장모드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냉장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냉장압축기의 고장에 따라 상기 냉장운전과 냉장백업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저온냉장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병렬흡입라인과 연결된 증발기의 출구온도와 상기 냉장압축기의 압축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운전시 상기 냉장압축기가 고장이면, 상기 냉장운전을 냉장백업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온냉장운전시 상기 병렬흡입라인과 연결된 증발기의 출구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냉장압축기의 압축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저온냉장을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장압축기 고장시 냉장백업운전이 실시되어 냉장시스템의 실외기의 운전율을 높일 수 있고, 냉장용 쇼케이스나 저온냉장용 쇼케이스 모두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어 제조자의 관리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저온냉장운전의 과부하시 냉매를 다단압축하여 과부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가 적용된 냉장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냉장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냉장백업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저온냉장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가 적용된 냉장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가 적용된 냉장시스템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가 적용된 냉장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냉장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냉장백업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저온냉장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시스템이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일 때의 냉매흐름이 도시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가 적용된 냉장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증발기(1)와 팽창장치(2)를 갖는 쇼케이스(3)에 냉매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쇼케이스(3)와 함께 냉매가 순환되는 냉장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냉매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와 쇼케이스(3)를 순환하면서 쇼케이스(3)의 증발기(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쇼케이스(3)는 식품 등의 물품이 진열되는 진열대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5)와, 압축부(5)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5)는 복수개의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압축기는 함께 구동되거나 일부만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에 연결되는 냉매라인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에 연결되어 냉매를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로 흡입 안내하는 병렬흡입라인(13)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에 연결되어 냉매를 토출 안내하는 병렬토출라인(14)을 포함할 수 있다.
병렬흡입라인(13)은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과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이 공통흡입라인(17)과 연결될 수 있다.
공통흡입라인(17)은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기 케이스(5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공통흡입라인(17)은 쇼케이스(3)의 증발기(1)와 연결될 수 있다. 공통흡입라인(17)은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와 쇼케이스(3)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병렬토출라인(14)은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과 백업압축기(12)의 토출라인(18)이 공통토출라인(19)과 연결될 수 있다.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에는 백업압축기(12)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장압축기(11)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17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체크밸브(17A)는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 중 후술하는 연결라인(20)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20A)와 냉장압축기(11)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백업압축기(12)의 토출라인(18)에는 냉장압축기(11)에서 토출된 냉매가 백업압축기(1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18A)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가 백업압축기(12)에서 압축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과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을 연결하는 연결라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는 병렬흡입라인(13), 병렬토출라인(14)에 의해 냉매라인이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연결라인(20)에 의해 냉매라인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압축부(5)는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에 설치된 제1밸브(21)와,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에 설치된 제2밸브(22)와; 연결라인(20)에 설치된 제3밸브(23)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5)는 제1밸브(21),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의 오픈/클로즈에 의해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의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을 전환할 수 있다.
연결라인(20)은 일단이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에 연결될 수 있고, 특히,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 중 제1체크밸브(17A)와 공통토출라인(19) 사이의 제1연결점(20A)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라인(20)은 타단이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에 연결될 수 있고, 특히,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 중 제2밸브(22)와 백업압축기(12) 사이의 제2연결점(20B)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부(6)는 공통토출라인(19)에 연결된 응축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응축기(31)로 실외공기를 송풍하는 실외팬(3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5)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
응축부(6)는 응축기(31)에서 유출된 냉매가 통과하는 열회수열교환기(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회수열교환기(33)는 응축기(31)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회수열교환기(33)에 연결된 공기조화기(미도시)의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냉매-냉매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회수열교환기(33)는 판형 열교환기 또는 이중관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열회수열교환기(33)에는 응축기(31)에서 유출된 냉매가 통과하는 제1유로(34)와,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통과하는 제2유로(35)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33)의 제2유로(35)에는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제2유로(35)로 유입되는 냉매흡입라인(36)이 연결될 수 있고, 제2유로(35)를 통과한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토출라인(37)이 연결될 수 있다. 냉매흡입라인(36)에는 제2유로(35)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38)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열회수열교환기(33)에서 흡수한 열을 실내의 난방에 이용할 수 있다.
응축기(31)와 열회수열교환기(33)는 응축기(31)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회수열교환기(33)의 제1유로(34)로 안내하는 열회수열교환기 입구라인(41)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열회수열교환기(33)에는 열회수열교환기(33)의 제1유로(34)를 통과한 냉매를 안내하는 열회수열교환기 출구라인(42)이 연결될 수 있다.
열회수열교환기 출구라인(42)은 실외기 케이스(5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열회수열교환기 출구라인(42)은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와 연결될 수 있다. 열회수열교환기 출구라인(42)은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와 쇼케이스(3)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열회수열교환기(33)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응축기(31)에는 응축기(31)에서 응축된 냉매를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로 안내하는 응축기 출구라인이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 출구라인은 실외기 케이스(50) 외부로 연장되어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에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 출구라인은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와 쇼케이스(3)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은 저압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저압센서(71)와, 고압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고압센서(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압센서(71)는 병렬흡입라인(13)에 설치될 수 있고,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 또는 공통흡입라인(17)에 설치될 수 있다. 저압센서(71)는 증발기(1)를 통과한 후 압축부(1)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흡입센서일 수 있다.
고압센서(72)는 병렬토출라인(14)에 설치될 수 있고,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 또는 공통토출라인(19)에 설치될 수 있다. 고압센서(72)는 압축부(5)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31)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토출센서일 수 있다.
한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와 제1밸브(21)와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시스템의 실외기는 냉장모드과 저온냉장모드을 입력하는 입력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냉장운전과, 냉장백업운전과,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조자로부터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를 구입한 소비자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를 쇼케이스(3)에 연결한 후, 입력부(70)를 통해 냉장모드와 저온냉장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70)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일 수 있고,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와 통신하는 상위제어기 또는 쇼케이스(3)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냉장모드와 저온냉장모드는 정상운전시 증발온도범위가 서로 상이한 모드로서, 저온냉장모드의 증발온도범위는 냉장모드의 증발온도범위 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모드에서의 증발온도범위가 대략 - 12℃ 내지 -8℃일 경우, 저온냉장모드에서의 증발온도범위는 대략 - 39℃ 내지 -35℃일 수 있다.
입력부(70)를 통해 냉장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60)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를 냉장운전과 냉장백업운전 중 어느 한 운전으로 운전할 수 있다.
냉장운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가 운전이고, 백업압축기(12)가 정지이며, 제1밸브(21)가 오픈이고,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가 클로즈인 운전일 수 있다.
냉장백업운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가 고장이고, 백업압축기(12)가 운전이며, 제2밸브(22)가 오픈이고, 제1밸브(21) 및 제3밸브(23)가 클로즈인 운전일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70)를 통해 저온냉장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60)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를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으로 운전할 수 있다.
저온냉장운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가 운전이고, 제1밸브(21) 및 제2밸브(22)가 오픈이며, 제3밸브(12)가 클로즈인 운전일 수 있다.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가 운전이고, 제1밸브(21)와,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가 오픈인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일 수 있다.
여기서, 냉장압축기(11)의 운전 및 백업압축기(12)의 운전은, 쇼케이스(3)의 부하(예를 들면, 쇼케이스(3)의 온도 변화)에 따라, 냉장압축기(11) 및 백업압축기(12)가 구동되거나 구동정지되는 서모 온,오프 운전일 수 있다.
제어부(60)는 입력부(70)를 통해 냉장모드가 입력되면, 냉장압축기(11)의 고장에 따라 냉장운전과 냉장백업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냉장운전시 냉장압축기(11)의 기동 후 설정시간 경과 후, 고압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설정된 정상 압력범위를 벗어나면, 냉장압축기(11)를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60)는 냉장운전을 중지하고 냉장백업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냉장압축기(11)의 기동 후 설정시간 경과 후, 고압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설정된 정상 압력범위를 유지하면 냉장압축기(11)를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60)는 냉장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냉장운전시 냉장압축기(11)가 고장이면, 냉장운전을 냉장백업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입력부(70)를 통해 저온냉장모드가 입력되면, 다단압축 조건에 따라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병렬흡입라인(13)와 연결된 증발기(1)의 출구온도와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저온냉장운전시 병렬흡입라인(13)와 연결된 증발기(1)의 출구온도가 다단압축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저온냉장운전을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저압센서(71)에서 감지된 증발압력으로부터 증발기(1)의 출구온도(증발온도)를 연산할 수 있고, 이렇게 연산된 증발기(1)의 출구온도를 다단압축 설정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다단압축 설정온도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의 다단압축을 결정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준 온도일 수 있다.
저온냉장운전시, 증발기(1) 출구온도의 정상범위는 예를 들어, - 39℃ 내지 -35℃ 일 수 있고, 다단압축 설정온도는 -37℃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60)는 증발기(1)의 출구온도가 이러한 다단압축 설정온도 이상이면, 저온냉장운전을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저압센서(71)에서 감지된 저압과, 고압센서(72)에서 감지된 고압에 의해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를 연산할 수 있고, 제어부(60)는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를 낮출 수 있도록 저온냉장운전을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저압센서(71)에서 감지된 증발압력으로부터 증발온도를 연산할 수 있고, 고압센서(72)에서 감지된 응축압력으로부터 응축온도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연산된 증발온도와 응축온도로부터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치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의 다단압축을 결정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준 압축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시스템의 실외기가 적용된 냉장시스템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70)를 통해 냉장모드와 저온냉장모드 중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입력부(70)를 통해 냉장모드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60)는 냉장압축기(11)을 쇼케이스(3)의 부하에 따라 구동/구동 정지시키는 냉장압축기(11)의 운전을 개시할 수 있고, 제1밸브(21)을 개방할 수 있고,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을 클로즈할 수 있으며, 냉장시스템의 실외긴(O)는 냉장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S1)(S2)
상기와 같은 냉장운전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는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고, 압축된 냉매를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로 토출할 수 있다.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로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31)에서 응축된 냉매는 열회수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공기조화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후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다.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쇼케이스(3)의 증발기(1)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 및 제1밸브(21)를 통해 냉장압축기(11)로 흡입될 수 있다. 냉장운전시, 냉매는 냉장압축기(11), 응축기(31), 열회수열교환기(33), 팽창장치(2) 및 증발기(1)를 순환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은 상기와 같은 냉장운전의 도중에 냉장압축기(11)의 고장이 감지되면, 냉장운전을 냉장백업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정지 중이던 백업압축기(12)를 운전시키고, 제1밸브(21)를 클로즈할 수 있으며, 제2밸브(22)를 개방할 수 있다.(S3)(S4)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냉장운전에서 냉장백업운전으로 전환시, 제1밸브(21)와,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를 모두 초기화(예를 들면, 클로즈)한 후, 제2밸브(22)만을 오픈하고 백업압축기(12)를 운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냉장백업운전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압축기(12)는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고, 압축된 냉매를 백업압축기(12)의 토출라인(18)로 토출할 수 있다. 백업압축기(12)의 토출라인(18)로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31)에서 응축된 냉매는 열회수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공기조화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후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다.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쇼케이스(3)의 증발기(1)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 및 제2밸브(22)를 통해 백업압축기(11)로 흡입될 수 있다. 냉장백업운전시, 냉매는 백업압축기(12), 응축기(31), 열회수열교환기(33), 팽창장치(2) 및 증발기(1)를 순환할 수 있다.
입력부(70)를 통해 저온냉장모드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60)는 냉장압축기(11)을 쇼케이스(3)의 부하에 따라 구동,구동정지시키는 냉장압축기(11)의 운전을 개시할 수 있고, 제1밸브(21) 및 제2밸브(22)을 개방할 수 있고, 제3밸브(23)을 클로즈할 수 있으며,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저온냉장운전으로 운전될 수 있다.(S5)(S6)
상기와 같은 저온냉장운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는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고, 압축된 냉매를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로 토출할 수 있다.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17)로 토출된 냉매는 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31)에서 응축된 냉매는 열회수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공기조화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후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다.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쇼케이스(3)의 증발기(1)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 및 제1밸브(21)를 통해 냉장압축기(11)로 흡입될 수 있다. 저온냉장운전시, 냉매는 냉장압축기(11), 응축기(31), 열회수열교환기(33), 팽창장치(2) 및 증발기(1)를 순환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저온냉장운전시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를 함께 운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냉매는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로 분산되어 압축될 수 있고, 냉장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와 백업압축기(12)에서 압축된 냉매는 합쳐진 후 응축기(31)로 유동될 수 있고, 이후 팽창장치(2)와 증발기(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냉장압축기(11)와 백업압축기(12)로 흡입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은 상기와 같은 저온냉장운전의 도중에 증발기(1)의 출구온도가 다단압축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저온냉장운전을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백업압축기(12)를 운전시키고, 제3밸브(23)를 개방할 수 있다.(S7)(S8)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저온냉장운전에서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시, 제1밸브(21)와,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를 모두 초기화(예를 들면, 클로즈)함과 아울러 냉장압축기(11)를 구동정지 후, 안정화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제1밸브(21),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을 모든 오픈하고 냉장압축기(11) 및 백업압축기(12)를 운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압축기(11)는 냉장압축기(11)의 흡입라인(15)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고, 백업압축기(12)는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으며, 냉장압축기(11)의 토출라인(20)로 토출된 냉매는 백업압축기(12)의 흡입라인(16)로 흡입되어 백업압축기(12)에서 다단 압축될 수 있다.
냉장압축기(11) 및 백업압축기(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31)에서 응축된 냉매는 열회수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공기조화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후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로 유동되어 팽창될 수 있다. 쇼케이스(3)의 팽창장치(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쇼케이스(3)의 증발기(1)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냉장압축기(11) 및 백업압축기(12)에 압축될 수 있고, 냉장압축기(11)에서 토출된 냉매는 백업압축기(12)로 흡입되어 다단 압축될 수 있다.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는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의 도중에, 증발기(1)의 출구온도가 다단압축 설정온도 미만이고, 냉장압축기(11)의 압축비가 설정치 이만이면,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을 다시 저온냉장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에서 저온냉장운전으로 전환될 경우, 제어부(60)는 제3밸브(23)을 클로즈할 수 있고, 백업압축기(12)를 구동정지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에서 저온냉장운전으로 전환으로 전환할 경우, 제1밸브(21)와, 제2밸브(22) 및 제3밸브(23)를 모두 초기화(예를 들면, 클로즈)함과 아울러 냉장압축기(11) 및 백업압축기(12)를 구동정지 후, 안정화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제1밸브(21), 제2밸브(22)를 오픈하고 냉장압축기(11)를 운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냉장시스템의 실외기(O)은 저온냉장모드시,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면서, 저온냉장모드의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라인'의 용어는 냉매가 통과할 수 있는 튜브나 배관을 의미할 수 있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냉장압축기 12: 백업압축기
21: 제1밸브 22: 제2밸브
23: 제3밸브 31: 응축기
60: 제어부 70: 입력부

Claims (5)

  1.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와;
    상기 냉장압축기의 흡입라인과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이 공통흡입라인과 연결된 병렬흡입라인과;
    상기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과 백업압축기의 토출라인이 공통토출라인과 연결된 병렬 토출라인과;
    상기 공통토출라인에 연결된 응축기와;
    상기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과 상기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과;
    상기 냉장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설치된 제1밸브와,
    상기 백업압축기의 흡입라인에 설치된 제2밸브와;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된 제3밸브와;
    상기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와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압축기가 운전이고, 상기 백업압축기가 정지이며, 상기 제1밸브가 오픈이고,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클로즈인 냉장운전과,
    상기 냉장압축기가 고장이고, 상기 백업압축기가 운전이며, 상기 제2밸브가 오픈이고, 제1밸브 및 제3밸브가 클로즈인 냉장백업운전과,
    상기 냉장압축기가 운전이고,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오픈이며, 상기 제3밸브가 클로즈인 저온냉장운전과,
    상기 냉장압축기와 백업압축기가 운전이고,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 및 제3밸브가 오픈인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압축기의 토출라인 중 상기 연결라인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냉장압축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백업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냉장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백업압축기의 토출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백업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냉장모드과 저온냉장모드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냉장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냉장압축기의 고장에 따라 상기 냉장운전과 냉장백업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저온냉장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병렬흡입라인과 연결된 증발기의 출구온도와 상기 냉장압축기의 압축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저온냉장운전과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 중 어느 한 운전을 실시하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운전시 상기 냉장압축기가 고장이면, 상기 냉장운전을 냉장백업운전으로 전환하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온냉장운전시 상기 병렬흡입라인과 연결된 증발기의 출구온도가 다단압축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냉장압축기의 압축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저온냉장운전을 저온냉장 다단압축운전으로 전환하는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KR1020160057100A 2016-05-10 2016-05-10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KR20170126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00A KR20170126707A (ko) 2016-05-10 2016-05-10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00A KR20170126707A (ko) 2016-05-10 2016-05-10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707A true KR20170126707A (ko) 2017-11-20

Family

ID=6080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100A KR20170126707A (ko) 2016-05-10 2016-05-10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9498A (zh) * 2020-05-21 2020-09-11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冰箱制冷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9498A (zh) * 2020-05-21 2020-09-11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冰箱制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7264B1 (en) Startup logic for refrigeration system
EP3205954B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KR100924628B1 (ko) 냉동장치
JP7186845B2 (ja) 空気調和装置
TWI522585B (zh) Refrigeration unit and freezer unit
JP2010525292A (ja) 遷臨界動作における冷媒蒸気圧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798781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US20190360725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EP2910872A1 (en) Freezing device
JP5764734B2 (ja) 冷凍装置
JP4497915B2 (ja) 冷却装置
WO2017138058A1 (ja) 冷凍装置
JP7116346B2 (ja)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KR10132975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US11512880B2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4346473B2 (ja) 空調冷凍装置
KR20190041091A (ko) 공기조화기
KR20170126707A (ko) 냉장시스템의 실외기
JP201210297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5764735B2 (ja) 冷凍装置
JP6254065B2 (ja) 冷却庫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64736B2 (ja) 冷凍装置
JP506454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761953B2 (ja) 冷凍システム
JP7137094B1 (ja) 熱源ユニットおよび冷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