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699A -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 Google Patents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699A
KR20170126699A KR1020160057086A KR20160057086A KR20170126699A KR 20170126699 A KR20170126699 A KR 20170126699A KR 1020160057086 A KR1020160057086 A KR 1020160057086A KR 20160057086 A KR20160057086 A KR 20160057086A KR 20170126699 A KR20170126699 A KR 2017012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eptic
beaker
disposable beaker
disposable
wat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963B1 (ko
Inventor
이진용
전우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8Grad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비커 용도로 바로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관한 것으로,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시료를 채수하는 통로가 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상부 일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절개예정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예정선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을 절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예정선의 일측에 절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채수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한 후에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없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료가 교차오염됨을 방지하여 정확한 실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STERILE LDPE COLLAPSIBLE WATER COLLECTION BOTTLE TURNS INTO BEAKER FOR AN ONE TIME USE}
본 발명은 시료 채수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여 시료를 이용한 실험 및 시료에 대한 분석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수 및 지하수의 수질시험에 있어서 채수(採水)는 시료를 확보하는 가장 우선적이고 기본적인 단계로서, 채수단계가 적절한 절차와 기준에 따라 진행되어야만 추후 진행될 각종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질시험용 시료의 채수는 통상 채수기와 채수병 등으로 이루어지며, 채수 후 시료 내 용존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여과장치(0.45 이하)를 이용하여 시료병에 담게 된다. 접근성이 양호한 채수지점의 경우 비커 등을 이용하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채수지점의 경우 마개가 있는 채수병을 이용하여 채수하게 된다.
이러한 채수병은 일정 용량으로 제작된 밀폐형 용기로서, 내화학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필요에 따라 무균상태로 가공하여 유통된다.
채수를 실시하는 작업자는 계획된 시험항목에 따라 채수량을 결정하여 적절한 용량의 채수병에 채수를 실시하게 되는데, 계획 시험항목에 따라 채수병내 잔류 가능성이 있는 불요(不要) 물질 및 타시료 간의 교차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채취지점의 시료로 수회 이상 채수병을 세척한 후 채수한다.
채수량은 계획된 시험항목의 수 및 시험내용에 따라 변화될 뿐 아니라, 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일지점 동일시각에 대하여 복수의 시료를 채수할 수도 있다.
또한, 채수한 시료를 즉시 시험할 수 없는 경우 시료를 실험실까지 운반하는 동안 시료의 성상을 유지하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사실상 실험실에서 수행되는 수질시험 항목의 대부분이 채수 즉시 시험이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전처리 기법을 통하여 시료가 측정대상 성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하게 된다.
구체적인 보존처리기법으로는 약저온보관, 냉장보관, 처리제 혼합 등을 들 수 있는데 항목에 따라 이들 처리기법을 병행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채수병에 있어서, 채수병으로 채수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한 후에 상기 채수병에 채수된 시료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시에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시료가 교차 오염되어 실험 데이터가 정확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채수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한 후에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없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료가 교차오염됨을 방지하여 정확한 실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시료를 채수하는 통로가 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상부 일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절개예정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예정선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을 절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예정선의 일측에 절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수단은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형성된 절개예정선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에 설치되며 일측에 커터가 구비된 절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에서 상기 절개부재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측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수단은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형성된 절개예정선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내면에 부착되어 일단이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절개띠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을 그립할 수 있는 별도의 손잡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채수된 상기 시료의 양측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에 채수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한 후에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없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자체를 일회용 비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료가 교차오염됨을 방지하여 정확한 실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이 절개수단에 의하여 절개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이 절개수단에 의하여 절개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이 절개수단에 의하여 절개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이 절개수단에 의하여 절개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은,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공간(110)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시료를 채수하는 통로가 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상부 일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절개예정선(101)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절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예정선(101)의 일측에 절개수단(20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은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일정한 양만큼 채수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용기로서, 현장에서 수질 측정을 하거나 혹은 실험실로 복귀하여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으로 채수한 시료를 시료병에 나눠 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은 상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절개할 수 있는 절개예정선(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은 절개예정선(10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하우징(120)과, 절개예정선(101)의 하측에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채수된 시료가 담겨지는 하측하우징(110)으로 구성된다.
상측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내부로 시료를 채수하는 통로가 되는 유입구(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121)에는 별도의 커버(122)가 체결되어 유입구(121)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하측하우징(110)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이용하여 채수한 시료가 실질적으로 담겨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부재로서,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절개한 후에 시료가 담겨진 하측하우징(110)은 그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그립부재(111)가 구비되어 있다.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상부 외면 둘레에 형성되는 절개예정선(101)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하측하우징(110)과 상측하우징(120)으로 절개하여 분리시에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판면이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절개예정선(101)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이 하측하우징(110)과 상측하우징(120)으로 절개될 가상의 선을 따라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판면 자체가 얇게 형성된 점선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한편, 절개수단(200)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형성된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돌기(210)와, 가이드돌기(21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210)에 설치되며 일측에 커터(221)가 구비된 절개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0)는 절개예정선(10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절개예정선(101)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부재로서, 가이드돌기(210)에서 절개부재(220)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210)의 양측에는 걸림턱(2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개부재(220)의 양측에는 걸림턱(211)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22)가 형성됨으로써 절개부재(220)를 가이드돌기(21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절개시에 절개부재(220)가 가이드돌기(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절개부재(220)의 판면 중앙 영역에는 실질적으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판면이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절개되도록 하는 별도의 커터(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커터(221)가 절개부재(220)의 판면 중앙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절개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개수단(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형성된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내면에 부착되어 일단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절개띠(230)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절개수단(200)을 절개띠(230)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절개띠(230)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내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되며, 절개띠(230)의 일부분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절개띠(230)의 단부를 잡고 당김으로써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면 일측에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채수된 상기 시료의 양측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130)가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채수된 시료의 양이 얼마인지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수한 후에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채수하고자 하는 시료를 채수한 후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에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면, 절개수단(200)의 절개부재(220)를 잡고 가이드돌기(210)를 따라 이동시키면 절개부재(220)의 판면 중앙에 구비된 커터(221)가 절단예정선(101)을 따라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판면을 절개하게 되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은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으로 분리되어 하부하우징(110)을 비커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수단(200)이 절개띠(230)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부로 연장된 절개띠(230)의 단부를 잡고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리게 되면 절개띠(230)가 절단예정선(101)을 순차적으로 절단하게 되어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은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으로 분리되어 하부하우징(110)을 비커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무균채수병 101 : 절단예정선
110 : 하부하우징 120 : 상부하우징
121 : 유입구 122 : 커버
130 : 눈금자 200 : 절단수단
210 : 가이드돌기 211 : 걸림턱
220 : 절단부재 221 : 커터
222 : 걸림돌기 230 : 절단띠

Claims (6)

  1.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공간(110)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시료를 채수하는 통로가 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 자체를 비커 용도로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상부 일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절개예정선(101)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절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예정선의 일측에 절개수단(2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수단(200)은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형성된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돌기(210)와, 상기 가이드돌기(21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210)에 설치되며 일측에 커터(221)가 구비된 절개부재(2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210)에서 상기 절개부재(220)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의 양측에는 걸림턱(211)이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재(220)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턱(211)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수단(200)은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형성된 절개예정선(101)을 따라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내면에 부착되어 일단이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절개띠(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을 그립할 수 있는 별도의 손잡이부재(1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100)에 채수된 상기 시료의 양측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130)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KR1020160057086A 2016-05-10 2016-05-10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KR10181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86A KR101810963B1 (ko) 2016-05-10 2016-05-10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86A KR101810963B1 (ko) 2016-05-10 2016-05-10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99A true KR20170126699A (ko) 2017-11-20
KR101810963B1 KR101810963B1 (ko) 2017-12-20

Family

ID=6080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086A KR101810963B1 (ko) 2016-05-10 2016-05-10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9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436Y1 (ko) * 1999-12-20 2000-05-15 심순섭 시료 채취병
JP2006168802A (ja) * 2004-12-17 2006-06-29 Yoshiike Kaken Kiki Kk 切断できる合成樹脂ボト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963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96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US7147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iological samples
US7544953B2 (en) Device for preparing microscopy samples
JP5785212B2 (ja) 試料保持器のための閉鎖アセンブリ
JP4303592B2 (ja) 生体試料を輸送する方法及びバスケット装置
AU20023401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iological samples
CA2463940A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pecimens to extract samples for both liquid-based and slide-based testing
JP2011502623A (ja) 経皮体液サンプリング及び前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810963B1 (ko) 일회용 비커로 사용 가능한 무균채수병
US9955953B2 (en) Container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nsporting and storing biological tissue samples
US201902406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li-channel urinalysis test kit with multi-factor control
KR102623033B1 (ko) 시료 채취 및 보관 분주를 위한 장치
EP2230503B1 (en) Sample preparation system, swab unit and base station therefore
AU20112214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iological samples
US7681465B2 (en) Method to protect the integrity of small analytical samples
SE532639C2 (sv) Metod och anordning för hantering av vävnadsprover vid prostatabiopsi.
FR2930133A1 (fr) Receptacle a usage unique pour le recueil et l'analyse de sperme
SK101098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and handling of biological liquids from thin walled receptacles
Critchley INTEGRATED MARINE OBSERVING SYSTEM
UA92442U (uk) Пристрій для проведення імунохроматографічного аналізу на основі lateral flow технологі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