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614A -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614A
KR20170125614A KR1020160055658A KR20160055658A KR20170125614A KR 20170125614 A KR20170125614 A KR 20170125614A KR 1020160055658 A KR1020160055658 A KR 1020160055658A KR 20160055658 A KR20160055658 A KR 20160055658A KR 20170125614 A KR20170125614 A KR 2017012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ying
flying
fligh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756B1 (ko
Inventor
이정용
양승범
곽택종
강내규
이천구
차석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55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75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B64C2201/12
    • B64C2201/146
    • B64D2700/621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로 바람을 보내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비행 수단;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 및 촬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을 인식하고,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여 상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FLYING APPARATUS WITH BLOW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YING TARGET IN F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로 바람을 보내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 전자, 의료, 제약, 식품, 화학반응 산업 등 각종 산업 분야의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또는 다른 필요에 의해 송풍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송풍이 필요한 대상물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또는 공간의 협소 내지 위험성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송풍이 필요한 대상물에 접근하기 힘든 경우에는 대상물로 송풍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헤어를 건조시키기 위한 헤어 드라이기와 관련하여, 종래 드라이기는 사용자가 드라이기를 파지 후 사용해야 하므로 양 손이 자유롭지 못하며 이로 인해 헤어 손질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대상물로 송풍하거나, 사용자의 헤어로 송풍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업 현장에서 대상물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하거나, 대상물이 접근하기 힘든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비행 후 적절한 위치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대상물에 대해 송풍할 수 있는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비행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비행 수단;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 및 촬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을 인식하고,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여 상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행 장치가 상기 인식한 대상물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비행하도록 상기 비행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유닛을 팬틸팅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식한 대상물을 하나 이상의 건조구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건조구역이 순차적으로 건조되도록 상기 비행 수단과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건조중인 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되면, 미건조된 다음 건조구역과 상기 비행 장치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비행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행 장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습도 센서 또는 대상물의 영상 분석을 통해 건조 중인 대상물의 건조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건조중인 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플래시를 동작시킨 후 상기 대상물의 빛 반사도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수분량을 토대로 상기 대상물의 건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적외선 조사하여 획득한 상기 대상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수분량을 토대로 상기 대상물의 건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비행 장치에서 대상물을 건조하는 방법은, 촬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을 인식하는 단계; 비행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행 장치가 상기 인식한 대상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비행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송풍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여 상기 대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산업 현장에서 대상물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하거나, 대상물이 접근하기 힘든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비행 장치가 공중으로 비행 후 적절한 위치에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대상물로 송풍하여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행 장치가 사용자의 헤어에 근접한 위치로 비행하여 송풍유닛이 헤어측으로 송풍하므로 사용자가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수분 제거와 헤어 손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유닛의 각도 조절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부재가 구비되어 송풍시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빛에 대한 영상 분석 또는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대상물이 건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건조가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면 위치 제어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송풍하여 상기 대상물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에서 송풍유닛이 팬틸팅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행 장치를 회로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A-A' 라인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B-B' 라인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 장치에서 대상물을 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팬틸팅'이라는 용어는, 해당 대상물이 상하 좌우의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송풍유닛이 상하 좌우의 다양한 방향을 향해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유닛을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에서 송풍유닛이 팬틸팅유닛에 의해 틸팅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제1 보호부재는 생략되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행 장치를 회로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후술하는 본체(100a), 비행 수단(200), 송풍유닛(300)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비행 장치(10)는 드론(drone)으로 지칭되기도 하며, 무선 신호에 의해 컨트롤되는 '무인 비행체'이다.
드론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펠러가 구비되어 공중을 비행하는 무인 항공기로 군사 용도로 주로 활용되었지만, 드론의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최근에는 군사용 외에도 고공 촬영,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드론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기체의 균형을 유지하며, 기체에 탑재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는, 드론과 같이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에 송풍 기능이 구비되며, 다양한 대상물을 향해 공중으로 이동하여 송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a)는 비행 수단(200)에 결합되어 공중을 비행할 수 있으며, 본체(100a)에는 후술하는 송풍유닛(300)이 팬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a)에는 제어수단(400)이 설치되어 비행 수단(200) 또는 송풍유닛(3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행 장치(10)는 각종 영상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싱부(600)를 포함한다. 본체(100a)에는 본체(100a)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촬영카메라(650) 및 동작감지수단(6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620)가 결합될 수 있고, 대상물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 센서(63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a)에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모두 사용가능하며, 배터리(미도시)가 충전식으로 마련되는 경우 본체(100a)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a)에는 배터리의 잔존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인디케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a)에는 원격제어장치(예컨대, 스마트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부(7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710), Wi-Fi 통신모듈(720) 및 GPS 수신기(730)를 포함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710)은 주변의 통신장치(예컨대, 원격제어장치)와 페어링된 후에,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비행 장치(10)의 각종 정보를 원격제어장치로 전송한다. Wi-Fi 통신모듈(720)은 주변의 통신 장치와 WiFi 기반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Wi-Fi 통신모듈(720)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외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주변의 원격제어장치와 WiFi 기반의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여, 원격제어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GPS 수신기(730)는 비행 장치(10)의 위치에서 GPS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GPS 수신기(730)에서 수신된 GPS 신호는 제어수단(400)으로 전달되고, 제어수단(400)은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여, 비행 장치(10)의 현재 위치(즉, GPS 좌표 정보)를 파악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무선통신부(700)는 Wibro(Wireless broadband) 통신모듈,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모듈,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모듈,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모듈 등과 같은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부(700)는 주변의 이동통신 기지국(매크로 기지국)을 이용하여 원격의 서버 또는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7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eband) 통신모듈, ZigBee 통신모듈 등의 또 다른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700)는 원격제어장치로 비행 장치(10)의 상태 정보, 위치정보, 촬영 영상(또는 이미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전송하고, 또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체(100a) 또는 비행 수단(200)의 외부면에는 사용자의 터치(touch)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 센서(6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센서(660)는 비행 장치(10)의 호버링(hovering) 비행을 개시하고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일종의 조작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링(hovering)은 비행 장치(10)가 일정한 고도를 유지한 채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행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810), LED부(820), 버저부(830) 등의 다양한 알림수단(800)(도 1에는 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10), LED부(820), 버저부(830)는, 본체(100a), 비행 수단(200), 송풍 유닛(3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10)는 상기 비행 장치(10)의 현재 상태, 자동 또는 수동의 비행 모드 또는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와 바람 세기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LED부(820)는 비행 장치(10)의 복수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비행 장치(10)의 전방과 후방 표시, 야간 비행을 위한 조명 등을 위해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저부(830)는 상기 비행 장치(10)가 타물체와의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비행 장치(10) 내부에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등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100a)는 비행 장치(1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00)에는 통신 데이터 뿐만 아니라 비행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와, 송풍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와, 동작감지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와, 각종 센서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촬영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5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500)는 후술하는 자동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즉, 알고리즘)이 기록될 수 있다.
본체(100a)는 팬틸팅유닛(110)과, 보호벽체(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팬틸팅유닛(110)과, 보호벽체(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팬틸팅유닛(110)은 송풍유닛(300)에 결합되어 송풍유닛(300)이 상하 좌우의 다양한 방향을 향해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송풍유닛(300)을 팬틸팅시킨다. 팬틸팅유닛(110)은 지지부재(111)와, 프레임(113)과, 제1 동력원(114)과, 제2 동력원(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11)는 회전축(112)을 통해 송풍유닛(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송풍유닛(3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11)에는 회전축(112)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112)의 타단이 송풍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11)에 결합된 회전축(112)이 H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축(112)에 결합된 송풍유닛(300)도 H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프레임(113)은 지지부재(111)가 고정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13)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레임(11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재(111)도 프레임(113)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프레임(11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송풍을 위한 중공(119)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13)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13)의 형상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프레임(113)은 제1 동력원(114)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프레임(113)과 제1 동력원(114)에는 기어 이빨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동력원(114)과 프레임(113)이 기어 타입으로 연결되고 제1 동력원(114)이 회전하면 기어 타입으로 결합된 프레임(113)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프레임(113)도 회전한다. 여기서, 프레임(113)의 회전 방향은 회전축(112)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축(112)이 도 2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프레임(113)은 도 2를 기준으로 세로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가상의 중심축(G)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3)의 회전 방향과 회전축(112)의 회전 방향이 교차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프레임(113)의 회전량과 회전축(112)의 회전량을 각각 조절하여 송풍유닛(300)이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팬틸팅이 가능해진다. 제1 동력원(1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3)에 결합되어 프레임(113)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동력원(114)은 각종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서보 모터 또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동력원(114)은 기어 타입으로 프레임(113)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벨트 타입으로 프레임(1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동력원(114)은 제어수단(400)에 연결되어 회전방향과 회전량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동력원(115)은 프레임(113)에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112)에 결합되어 회전축(11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동력원(115)은 구동축(1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축(116)과 회전축(112)에 결합되는 베벨기어(117)를 통해 구동축(116)으로부터 회전축(112)으로 제2 동력원(115)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112)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동력원(115)은 제1 동력원(11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서보 모터 또는 스텝 모터와 같은 각종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동력원(115)의 모터는 프레임(113)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에 결합된 구동축(116)은 베벨기어(117)를 통해 회전축(11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구동축(116)은 지지부재(111)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부재(111) 내부에서 베벨기어(117)를 통해 회전축(1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동력원(114)과 마찬가지로 제2 동력원(115) 역시 벨트 타입으로 마련되어 회전축(112)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력원(115)도 제어수단(400)에 연결되어 회전방향과 회전량이 제어될 수 있다.
보호벽체(120)는 팬틸팅유닛(110)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팬틸팅유닛(110)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벽체(120)에는 비행 수단(2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비행 수단(200)에 의해 팬틸팅유닛(110)과 보호벽체(120)를 포함하는 본체(100a)가 공중을 비행할 수 있다. 보호벽체(120)는 팬틸팅유닛(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행을 위한 하중과 강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금속재질, 복합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행 수단(200)은 본체(100a)가 비행할 수 있도록 본체(100a)에 결합된다. 비행 수단(20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비행 수단(200)은 본체(100a)에 결합된 송풍유닛(300)이 대상물을 향해 연속적 내지 계속적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공중의 동일한 위치에서 본체(100a)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행 수단(200)은 비행 몸체(210)와 비행 로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행 몸체(210)는 본체(100a)에 결합되며, 비행 로터(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비행 몸체(2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측단면 형상이 유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타물체와의 충돌시 비행 로터(220) 또는 본체(100a)의 보호를 위해 측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비행 몸체(210)는, 예를 들어, 본체(100a)로부터 4방향을 향해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 4개의 지지암(미도시)이 구비되고, 4개의 지지암에 4개의 프로펠러가 각각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비행 로터(220)는 비행 몸체(210)의 중공(211)에 배치되어 비행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비행 로터(220)는 비행 몸체(210)에 결합되어 프로펠러(221)를 지지하는 프로펠러지지대(222)와, 프로펠러지지대(22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221)와, 프로펠러(22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의 동력공급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펠러(221)는 가상의 수평선에 평행하게 프로펠러지지대(222)에 결합될 수도 있고, 송풍유닛(300)의 팬틸팅에 대응하여 본체(100a)의 평형 또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상의 수평선에 기울어지게 프로펠러지지대(2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비행 로터(220)는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비행 로터(22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4개가 구비되어 비행 몸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비행 수단(200)에는 비행 로터(220)의 보호를 위한 제2 보호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보호부재(230)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 구조로 형성되어 비행 몸체(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송풍시 이물질이나 헤어가 프로펠러(2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송풍유닛(300)은 본체(100a)에 팬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여 대상물이 위치하고 있는 미리 결정된 위치를 향해 송풍할 수 있다.
송풍유닛(300)은 송풍기하우징(310)과 적어도 하나의 송풍로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하우징(310)은 송풍을 위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중공(313)이 형성되며 본체(100a)의 회전축(112)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송풍기하우징(310)은 유체, 예를 들어, 공기가 유입된 후 유출되도록 구성되며, 송풍기하우징(310)이 대상물을 향하도록 팬틸팅되면 송풍기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대상물을 향해 유출되면서 대상물측으로 송풍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기하우징(310)은 제1 하우징(311)과 제2 하우징(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1)은 지지부재(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12)에 결합된다. 즉, 회전축(112)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12)에 결합된 제1 하우징(311)도 회전축(11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311)에는 중공(313)이 형성되며 공기가 중공(313)을 통해 제1 하우징(3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12)은 제1 하우징(311)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1)의 중공(313)을 통해 제1 하우징(3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하우징(312)을 통과하여 대상물로 유출되며, 제2 하우징(312)에 형성된 경사를 지나면서 송풍되는 공기가 대상물에 집중될 수 있다. 송풍로터(3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되어 송풍기하우징(310)에 결합되어 중공(313)을 통해 공기를 송풍기하우징(310) 내부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로터(320)는 송풍기하우징(310)에 결합되어 프로펠러(321)를 지지하는 프로펠러지지대(322)와, 프로펠러지지대(32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321)와, 프로펠러(32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의 동력공급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공급원(미도시)에 의해 프로펠러(321)가 회전하면 프로펠러(321)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송풍기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송풍로터(320)는 송풍기하우징(310)이 아닌 본체(100a)의 프레임(113)에 형성된 중공(119)에 위치하여 프레임(113)에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송풍유닛(300)이 팬틸팅되더라도 프레임(113)에 결합된 송풍로터(320)는 수직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으므로, 비행 장치(10)의 위치 보정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송풍유닛(300)에는 송풍로터(320)의 보호를 위한 제1 보호부재(350, 도 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호부재(350)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 구조로 형성되어 송풍기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송풍시 이물질이 프로펠러(3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유닛(300)에는 가열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송풍유닛(300)은 필요에 따라 대상물을 향해 냉풍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온풍을 공급할 수도 있다. 즉, 가열부재(330)가 송풍유닛(300)의 송풍기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예를 들어 공기를 가열하여 대상물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재(330)는 열선 또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유닛(300)에는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센서(36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측정 센서(36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수단(400)에 가열부재(330)의 동작이 제어되어, 냉풍 또는 온풍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즉, 제어수단(400)은 송풍유닛(300)이 작동되면, 가열부재(330)을 동작시켜 온풍을 대상물에 공급하거나 가열부재(330)의 작동을 중지하여 냉풍을 대상물에 공급한다. 가열부재(330)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선 또를 라디에이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수단(330)은 온도 측정 센서(360)로부터 수집되는 송풍 온도를 토대로 온풍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수단(330)은 요구되는 범위에 해당하는 온풍 온도가 대상물에 공급되도록 가열부재(33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송풍유닛(300)에는 개폐부재(340)가 포함될 수 있다. 개폐부재(340)는 송풍기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조절하기 위해 송풍기하우징(310)의 제2 하우징(312)에 결합되어 제2 하우징(3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40)는 송풍유닛(300)의 제어에 근거하여, 개폐 여부가 결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카메라(650)는 본체(100a) 또는 비행 수단(200)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수단(400)은 비행 장치(10)가 타겟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면 촬영카메라(650)가 대상물을 연속 촬영하고, 연속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대상물의 위치가 임계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차이만큼 비행 장치(10)의 위치를 보정한다. 한편,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에 설치된 플래시를 통해 대상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도를 분석하여 대상물의 건조 정도를 파악하며, 이와 같이 파악된 건조 정도에 따라 송풍유닛(300)의 송풍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행 장치(10)에 적외선 센서(64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수단(400)은 적외선 센서(640)를 통해 대상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대상물의 건조 정도를 파악하며, 파악된 건조 정도에 따라 송풍유닛(300)의 송풍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동작감지수단(610)은 본체(100a), 비행 수단(200), 송풍유닛(3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100a) 또는 비행 수단(200)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감지수단(610)은 본 실시예의 비행 장치(10)가 직선 내지 회전하는 경우 이러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감지수단(610)은 가속도 센서(611), 자이로 센서(612) 및 지자기 센서(6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611)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X축은 수평방향의 좌우방향 축이고, Y축은 수평방향의 전후방향 축이며, Z축은 수직방향의 축인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가속도 센서(611)는 속도의 변화에 해당되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물체의 움직이는 방항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3축 가속도 센서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가속도 센서(611)는 기본적으로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므로, 예를 들어, 수평이 유지되는 정지상태에서는 Z축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중력가속도 g만큼의 값을 출력하게 되고, 가속도 센서(611)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 각도를 산출한다. 즉, 가속도 센서(611)는 중력가속도를 기본으로 물체의 회전시 회전 후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회전 각도를 산출하게 된다. 하지만, 가속도 센서(611)의 경우 자유낙하운동과 같이 등가속도운동을 하게 되면 정확한 회전 각도를 산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자유낙하운동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정지해 있던 물체가 자유낙하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중력에 의한 가속도 효과가 사라지게 되므로 정확한 회전 각도를 산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611)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작감지수단(610)은 X축, Y축,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6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61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3축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Z축 각각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 센서의 경우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물체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다면 각속도는 '0'이 되며 이 경우 자이로 센서(612)는 정확한 회전값을 산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각속도는 시간에 대한 각도의 변화이므로 각속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각속도를 적분해야 한다. 하지만, 자이로 센서(612)의 경우 각속도의 적분과정에서 적분상수가 발생되며 이러한 적분상수가 누적됨에 따라 오차가 발생되기도 하고, 또는, 자이로 센서(612)에서 측정되는 각속도 값에 노이즈 등에 의한 에러가 발생되어 적분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오차가 누적되면 적분 드리프트(Drift)가 발생되어 정확한 회전값을 산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자이로 센서(612)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611)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가속도 센서(611)와 자이로 센서(612)는 각각의 단점에 대한 상호 보완을 통해 비행 장치(10)의 정확한 위치와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는, 가속도 센서(611)를 기준으로 자이로 센서(612)를 사용하여 비행 장치(10)의 위치와 기울기를 보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자이로 센서(612)를 기준으로 가속도 센서(611)를 사용하여 비행 장치(10)의 위치와 기울기를 보완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611)와 자이로 센서(612)는 각각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작감지수단(610)은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센서인 지자기 센서(613), 즉,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지자기를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6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613)는 지구 자기의 세기와 방향을 통해 방위각을 검출하여 물체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3축 지자기 센서는 X축, Y축, Z축에 방향에 대한 지자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지자기 센서(613)에 유도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방위각을 측정하게 되며, 이렇게 측정된 방위각과 이전에 측정된 방위각을 비교하여 물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지자기 센서(613)의 경우 강자성체의 물질이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 기기가 지자기 센서에 접근하게 되면 지자기 센서 주위의 자기장이 일그러져 정확한 방위각을 측정할 수 없게 되며, 또한, 지자기 센서(613)가 기울어져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회전 각도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지자기 센서(613)는 전술한 가속도 센서(611)와 자이로 센서(612)를 보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제어수단(400)은 3축의 가속도 센서(611), 3축의 자이로 센서(612) 및 3축의 지자기 센서(613)를 통해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수집된 데이터(즉, 총 9축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상호 보완적하여 분석함으로써, 비행 장치(1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비행 장치(10)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드시 총 9축의 센서를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센서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지자기 센서를 기본으로 하여 비행 장치(1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611)와 자이로 센서(612)가 지자기 센서(613)를 보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5를 참조하면, 거리 측정 센서(620)는 본체(100a) 또는 상기 비행 수단(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비행 장치(10)와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비행 장치(10)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습도 센서(630)는 본체(100a) 또는 상기 비행 수단(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대상물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습도 센서(630)를 통해 측정된 대상물의 습도에 기초하여 송풍유닛(300)의 송풍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습도 센서(630)를 통해 측정된 대상물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낮은 경우, 즉,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송풍유닛(300)의 작동을 종료하고 본 실시예의 비행 장치(10)가 최초 원위치 등의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열부(1000)는 앞서 설명한 가열부재(330)와 온도 측정 센서(3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재(330)는 제어수단(400)의 제어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즉, 동작되어) 주변 온도를 상승시켜 온풍을 발생시킨다. 온도 측정 센서(360)는 송풍 온도를 측정하여 계속적으로 제어수단(400)으로 측정값(즉, 송풍 온도)을 전달한다.
구동부(900)는 비행수단(200)의 움직임과 송풍유닛(3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프로펠러 구동부(910)와 송풍유닛 조정부(920)를 포함한다.
프로펠러 구동부(910)는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를 구동시킨다. 프로펠러 구동부(910)는 제어수단(40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를 구동한다. 상기 프로펠러 구동부(910)는 프로펠러 회전속도를 프로펠러(221)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송풍유닛(300)의 위치를 조정하여 대상물에 송풍한다. 즉,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제어수단(4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송풍유닛(300)을 팬틸팅한다. 이때,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제1 동력원(114)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송풍유닛(300)을 도 2에 도시된 가상의 중심축(G)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2 동력원(115)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송풍유닛(300)을 틸팅시킨다.
제어수단(400)은 센서부(600)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비행 수단(200)을 제어하거나, 무선통신부(700)를 통해서 수신한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비행 수단(200)을 제어한다. 제어수단(400)은 무선통신부(700)를 통해서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움직임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비행 장치(10)가 소정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수단(400)은 프로펠러 구동부(910)를 이용하여,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상기 비행 장치(10)가 소정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 후에는 상기 비행 장치(10)가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위치 보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송풍유닛 조정부(920)를 통하여, 송풍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수단(400)은 송풍유닛(300)이 대상물을 향하여 정확하게 송풍할 수 있도록 팬틸팅유닛(110)의 제1 동력원(114)과 제2 동력원(115)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를 이용하여 연이은 이미지를 촬영하고 연이은 이미지를 분석한 후에, 분석된 이미지를 기초로 비행 장치(1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의 플래시 또는 적외선 센서(640)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반사도 또는 적외선 스펙트럼을 분석한 후, 대상물의 건조 정도를 파악하여 송풍유닛(300)의 송풍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400)은 온도 측정 센서(36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부재(330)를 제어하며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400)은 습도 센서(630)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에 따라 송풍유닛(300)의 송풍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수단(400)은 습도 센서(630)를 통해 측정되는 습도에 근거하여, 송풍유닛(300)의 바람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냉풍 또는 온풍 공급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400)은 동작감지수단(610)에 의해 감지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비행 장치(10)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본체(100a)에 설치된 무선통신부(7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4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비행 장치(10)가 다양한 모드에서 비행할 수 있도록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수단(400)은 MCU(Micro Controller Unit)와 같은 전용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수단(400)은 본체(100a) 또는 비행 수단(200)에 설치된 터치 감지 센서(66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센서(660)는 본체(100a) 또는 비행 수단(200)의 외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감지 센서(660)는 사용자 터치에 따른 전류 변화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나, 사용자 터치에 따른 반사파를 감지하는 광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수단(400)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사용자의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의 위치에서 호버링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를 건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터치 감지 센서(660) 부분을 잡고 비행 장치(10)를 자신의 머리 상공에 위치시키면, 제어수단(400)은 터치 감지 센서(66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비행 수단(200)의 적어도 하나의 비행 로터(220)를 미리 구동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비행 장치(10)를 놓았을 때 비행 장치(10)가 미처 호버링 비행을 시작하기 전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수단(400)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변경된 위치에서 호버링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수단(400)은 비행 장치(10)의 호버링 비행 중에 터치 감지 센서(66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재감지되는 경우, 상술한 호버링 비행 과정과 같이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재감지된 사용자의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의 위치에서 호버링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를 건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 상공에서 호버링 비행 중인 비행 장치(10)의 터치 감지 센서(660) 부분을 잡고 비행 장치(10)를 변경된 위치에 놓으면, 비행 장치(10)는 변경된 위치에서 호버링 비행을 수행하면서 송풍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제어수단(400)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소정 구간에서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수단(400)은 비행 장치(10)의 호버링 비행 중에 터치 감지 센서(66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재감지되는 경우,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종전 호버링 비행 위치와 상기 재감지된 사용자의 터치가 종료되는 시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구간에서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어를 건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 상공에서 호버링 비행 중인 비행 장치(10)의 터치 감지 센서(660) 부분을 잡고 비행 장치(10)를 변경된 위치에 놓으면, 비행 장치(10)는 종전 호버링 비행 위치와 변경된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직선 경로, 원형 경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경로를 따라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면서 송풍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수단(400)은 센싱부(600)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612)나 가속도 센서(611), 거리측정 센서(620) 등을 통해 비행 장치(10)의 종전 호버링 비행 위치와 사용자 터치 종료 시점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 값들을 저장함으로써 비행 장치(10)의 비행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수단(400)은 사용자 터치가 계속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는 비행 장치(1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비행 장치(10)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해당 이동 경로 값을 저장함으로써 비행 장치(10)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구동부(900)를 통해 비행 장치(10)의 각 비행 로터 출력을 제어하여,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종전 호버링 비행 위치와 상기 사용자 터치 종료 시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 즉 사용자 터치에 의해 설정된 구간에서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수단(400)은, 비행 장치(10)로 하여금 사용자 터치에 의해 설정된 구간에서 직선 경로 또는 원형 경로를 따라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 터치에 의해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저장된 비행 동체의 종전 호버링 비행 위치 값과 사용자 터치 종료 시점의 위치 값, 또는 사용자 터치에 의해 설정된 이동 경로 값에 대응하여, 종전 호버링 비행 위치와 상기 사용자 터치 종료 시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비행 장치(10)가 직선 경로, 원형 경로, 또는 사용자 터치에 의해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구간 반복 비행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비행 장치(10)의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제어신호를 구동부(900)로 전달하여, 지정된 경로 또는 위치로 비행 장치(10)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수단(400)은 대상물을 자동 건조하기 위하여 일련의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거나 적외선 센서(640)를 통해 획득한 대상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대상물의 건조가 필요한지 여부를 분석한다. 아울러, 제어수단(400)은 대상물의 건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분석을 통해 대상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거리 측정 센서(620)를 이용하여 대상물과 비행 장치(10)와의 거리를 측정한 후에, 프로펠러 구동부(910)를 이용하여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비행 장치(10)가 대상물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개폐부재(340)를 개방한 후, 송풍로터(320)의 프로펠러(321)를 동작시켜, 송풍이 대상물에 공급되게 한다. 이때, 제어수단(400)은 송풍유닛 조정부(920)로 움직임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송풍유닛(300)이 지정된 방향으로 팬틸팅되게 제어한다.
제어수단(400)은 대상물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상물을 복수의 건조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수단(400)은 분할된 건조구역을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비행 수단(200)과 송풍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대상물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은 도 9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는, 송풍이 필요한 위치, 예를 들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대상물을 향해 송풍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헤어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헤어를 향해 송풍할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 송풍이 필요한 대상물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하는 경우 또는 작업자가 송풍이 필요한 대상물에 접근하기 힘든 경우, 본 실시예의 비행 장치(10)가 비행에 의해 대상물에 접근하며 위치 보정 등을 통해 대상물로 송풍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헤어를 건조시키는 경우, 본 실시예의 비행 장치(10)는 무선 조종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비행 장치(10)를 잡고 끌어 당겨서 머리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비행 장치(10)는 사용자의 머리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후 사용자의 헤어를 향해 냉풍 또는 온풍을 송풍하며, 사용자는 양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다양한 머리 손질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비행 장치(10)가 사용자 헤어의 일측을 향해 송풍하여 건조가 완료되면, 수분이 잔존하는 사용자 헤어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측을 향해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송풍유닛(300)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송풍하는 경우, 즉, 송풍로터(320)에 포함된 프로펠러(321)가 가상의 수직축을 회전축(112)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수단(400)은 송풍로터(320)와 비행 로터(220)를 제어하여 비행 장치(1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동작감지수단(610)에 의해 감지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비행 장치(10)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유닛(300)이 팬틸팅되어 기울어지는 경우, 즉, 송풍로터(320)에 포함된 프로펠러(321)가 가상의 수직축에 기울어져 회전하는 경우 제어수단(400)은 복수의 비행 로터(220)에 포함된 각각의 프로펠러(221)의 출력을 조절하여 평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감지수단(610)에 의해 감지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비행 장치(10)의 위치와 회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A-A' 라인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B-B' 라인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체(100b)에 결합되는 송풍유닛(300)을 틸팅 내지 회전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b)는 제1 회전유닛(150)과, 제1 벽체(160)와, 제2 회전유닛(170)과, 제2 벽체(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회전유닛(150)은 송풍유닛(300)에 결합되어 송풍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회전유닛(150)은 모터 등의 동력공급원(미도시)을 포함하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되는 양측에서 송풍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송풍유닛(300)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벽체(160)는 제1 회전유닛(150)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유닛(150)은 제1 벽체(16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유닛(150)에 연결되는 배터리 등도 제1 벽체(16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회전유닛(170)은 제1 벽체(160)에 결합되며, 제1 회전유닛(15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제1 회전유닛(150)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벽체(16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 벽체(160)에는 제1 회전유닛(150)이 설치되어 있고 제1 회전유닛(150)은 송풍유닛(300)에 결합되므로, 제2 회전유닛(170)이 회전하면 제1 벽체(160)와 함께 송풍유닛(300)도 회전될 수 있다. 즉, 송풍유닛(300)은 제1 회전유닛(150)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회전유닛(170)에 의해 제1 회전유닛(15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1 회전유닛(150)의 회전과 제2 회전유닛(170)의 회전을 제어하면 송풍유닛(300)은 상하 좌우의 다양한 방향을 향해 이동 또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벽체(180)는 제2 회전유닛(170)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유닛(170)은 제2 벽체(18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유닛(170)에 연결되는 배터리 등도 제2 벽체(18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 장치에서 대상물을 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700)는 원격제어장치와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위치 이동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무선통신부(70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710) 또는 Wi-Fi 통신모듈(710)이 원격제어장치와 근거리 무선 세션을 형성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위치 이동신호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수단(400)은 상기 위치 이동신호를 구동부(900)로 전달하고, 구동부(900)에 포함된 프로펠러 구동부(910)는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를 제어하여, 비행 장치(10)를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S901).
이렇게 비행 장치(10)가 지정된 장소로 이동한 공중 부양된 상태에서, 무선통신부(700)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건조 개시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를 이용하여 주변 이미지를 촬영한다(S903). 이때,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을 원격제어장치로 실시간 전송하고,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촬영 신호를 수신되면 화각(angle of view)에 포함되는 주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부연하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의 화면을 통해 비행 장치(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비행 장치(10)의 카메라 각도를 원격 조절한 후에, 건조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화각에 포함되면 촬영 신호를 비행 장치(10)로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400)은 원격제어장치의 상기 촬영 신호에 근거하여 촬영 카메라(650)를 통해 주변 이미지를 촬영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수단(400)은 원격제어수단의 제어 없이, 촬영카메라(650)의 회전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수단(400)은 촬영한 이미지를 영상 분석하여, 건조 대상물의 이미지를 선정한다(S903). 일 실시예에서, 제어수단(400)은 촬영 이미지를 영상 분석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로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오브젝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원격제어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원격제어장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건조 대상물의 이미지로서 선정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제어수단(400)은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분석한 후에 복수의 오브젝트로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오브젝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인터페이스를 원격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원격제어장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수신하면, 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건조 대상물의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에 구비된 플래시를 동작시킨 후 건조 대상물의 빛 반사도를 측정하여 건조 대상물의 수분량을 측정한다(S907).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수단(400)은 적외선 센서(640)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조사한 후에, 촬영카메라(650)를 통해 건조 대상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건조 대상물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어수단(400)은 대상물과 관련된 오브젝트의 선정을 원격제어장치로 요청하지 않고, 빛 반사도 또는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서 수분량을 오브젝트별로 파악한 후에, 수분량이 임계값 이상으로 확인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건조 대상물의 이미지로서 직접적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수단(400)은 건조 대상물로서 선정된 이미지를 하나 이상의 건조 구역으로 분할한다(S909). 이때, 제어수단(400)은 건조 대상물의 이미지를 사전에 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건조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또는 사전에 설정된 개수로 상기 건조 대상물의 이미지를 균등 분할할 수 있다. 한편, 제어수단(40)은 선정된 건조 대상물의 면적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면적 이하로 확인되면, 건도 대상물을 분할하지 않고, 상기 건조 대상물 전체를 하나의 건조구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수단(400)은 거리 측정 센서(620)를 이용하여 분할된 건조 구역 중에서 제1건조 구역(즉, 첫번째로 건조시킬 구역)의 거리를 측정하고, 프로펠러 구동부(910)를 이용하여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비행 장치(10)가 제1건조 구역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이동시킨다(S911). 즉, 제어수단(400)은 비행 장치(10)가 건조 대상물이 복수의 건조구역으로 분할될 경우, 건조 대상물의 제1건조 구역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프로펠러 구동부(91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펠러 구동부(910)는 비행 수단(200)의 프로펠러(221)의 회전을 제어하여 비행 장치(10)가 제1건조 구역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어수단(400)은 비행 장치(10)가 건조 대상물의 제1건조 구역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면, 송풍유닛(920)의 송풍 방향이 제1건조 구역으로 향하도록 제어 명령을 송풍유닛 조정부(920)으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송풍유닛(300)을 팬틸팅하여 송풍 방향이 제1건조 구역으로 향하게 한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유닛 조정부(920)은 제1 동력원(114)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송풍유닛(300)을 도 2에 도시된 가상의 중심축(G)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2 동력원(115)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송풍유닛(300)을 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제1 회전유닛(150)과 제2 회전유닛(17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송풍유닛(300)을 팬틸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수단(400)은 송풍유닛 조정부(920)로 송풍 개시를 명령하고, 이에 따라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개폐부재(340)를 개방한 후, 송풍로터(320)의 프로펠러(321)를 동작시켜 송풍이 제1건조 구역으로 공급되게 하여, 제1건조 구역의 건조를 수행한다(S913). 이때, 제어수단(400)은 발열부(1000)로 동작개시를 명령하여, 발열부(1000)의 가열부재(330)가 동작되게 한다. 상기 가열부재(330)가 동작되면, 송풍유닛(300)을 통해서 온풍이 제1건조 구역으로 제공된다.
또한, 제어수단(400)은 송풍이 제1건조 구역으로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움직임 전환 신호를 송풍유닛 조정부(920)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송풍유닛(300)이 지정된 방향(예컨대, 아래 방향에서부터 위 방향, 위에서 아래 등)으로 팬틸팅되게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수단(400)은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등과 같은 움직 전환 신호를 송풍유닛 조정부(920)로 인가하여, 송풍유닛(300)을 통해 공급되는 송풍이 제1건조 구역의 특정 지점이 아니라 제1건조 구역의 전체에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수단(400)은 건조 대상물의 제1건조 구역의 수분량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측정하고(S915), 상기 측정한 수분량을 토대로 제1건조 구역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917). 이때, 제어수단(400)은 촬영카메라(650)에 구비된 플래시를 동작시킨 후 건조 대상물의 빛 반사도를 측정하여 대상물의 제1건조 구역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640)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조사한 후에, 촬영카메라(650)를 통해 제1건조 구역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제1건조 구역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수단(400)은 습도 센서(630)를 통해서 측정되는 습도량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제1건조 구역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수단(400)은 습도 센서(630)를 통해서 측정된 습도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제1건조 구역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제1건조 구역의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온도 측정 센서(360)를 통해 획득된 송풍 온도와 건조 구역의 수분량(또는 습도)를 토대로, 송풍유닛(300)에서 공급되는 송풍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재(33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온풍 또는 냉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건조 구역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제어수단(400)은 제1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별되면, 송풍유닛 조정부(920)로 송풍 중단을 명령하고,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송풍유닛 조정부(920)는 개폐부재(340)를 폐쇄하고 송풍로터(320)의 프로펠러(321)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어서, 제어수단(400)은 건조되지 않은 다른 건조 구역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919). 제어수단(400)은 미건조된 다른 건조구역이 남아 있지 않으면, 대상물의 건조를 완료한다.
반면에, 제어수단(400)은 미건조된 다른 건조구역이 남아 있으며, 건조되지 않은 다른 건조구역을 선정하고, 이 다른 건조구역을 건조시키는 S911 단계 이후를 재진행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비행 장치 100a : 본체
100b : 본체 110 : 팬틸팅유닛
111 : 지지부재 112 : 회전축
113 : 프레임 114 : 제1 동력원
115 : 제2 동력원 116 : 구동축
117 : 베벨기어 119 : 중공
120 : 보호벽체 150 : 제1 회전유닛
160 : 제1 벽체 170 : 제2 회전유닛
180 : 제2 벽체 200 : 비행 수단
210 : 비행 몸체 211 : 중공
220 : 비행 로터 221 : 프로펠러
222 : 프로펠러지지대 230 : 제2 보호부재
300 : 송풍유닛 310 : 송풍기하우징
311 : 제1 하우징 312 : 제2 하우징
313 : 중공 320 : 송풍로터
321 : 프로펠러 322 : 프로펠러지지대
330 : 가열부재 340 : 개폐부재
350 : 제1 보호부재 360 : 온도 측정 센서
400 : 제어수단 500 : 메모리
600 : 센싱부 610 : 동작감지 수단
611 : 가속도 센서 612 : 자이로 센서
613 : 지자기 센서 620 : 거리측정 센서
630 : 습도 센서 640 : 적외선 센서
650 : 촬영카메라 660 : 터치 감지 센서
700 : 무선통신부 710 : 블루투스 통신모듈
720 : Wi-Fi 통신모듈 730 : GPS 수신기
800 : 알림수단 810 : 디스플레이부
820 : LED부 830 : 버저부
900 : 구동부 910 : 프로펠러 구동부
920 : 송풍유닛 조정부 1000 : 발열부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비행 수단;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 및
    촬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을 인식하고,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여 상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비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행 장치가 상기 인식한 대상물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비행하도록 상기 비행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유닛을 팬틸팅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식한 대상물을 하나 이상의 건조구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건조구역이 순차적으로 건조되도록 상기 비행 수단과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건조중인 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되면, 미건조된 다음 건조구역과 상기 비행 장치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비행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행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습도 센서 또는 대상물의 영상 분석을 통해 건조 중인 대상물의 건조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건조중인 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플래시를 동작시킨 후 상기 대상물의 빛 반사도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수분량을 토대로 상기 대상물의 건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적외선 조사하여 획득한 상기 대상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수분량을 토대로 상기 대상물의 건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대상물을 건조할 때에, 상기 가열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장치.
  9. 본체; 상기 본체가 비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비행 수단;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비행 장치에서, 대상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촬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비행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행 장치가 상기 인식한 대상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비행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여 상기 대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 건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송풍유닛을 팬틸팅하여 상기 대상물로 송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건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대상물을 하나 이상의 건조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된 건조구역이 순차적으로 건조되도록 상기 비행 수단과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건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건조중인 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되면, 미건조된 다음 건조구역과 상기 비행 장치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비행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건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습도 센서 또는 영상 분석을 통해 건조 중인 대상물의 건조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건조중인 건조구역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건조 방법.

KR1020160055658A 2016-05-04 2016-05-04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KR10262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58A KR102622756B1 (ko) 2016-05-04 2016-05-04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58A KR102622756B1 (ko) 2016-05-04 2016-05-04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14A true KR20170125614A (ko) 2017-11-15
KR102622756B1 KR102622756B1 (ko) 2024-01-10

Family

ID=6038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658A KR102622756B1 (ko) 2016-05-04 2016-05-04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796A (en) * 2019-04-03 2020-10-07 Dyson Technology Ltd Control of a fan assembly
CN113277084A (zh) * 2021-06-02 2021-08-20 安徽科技学院 一种根据飞行速度调节摄影角度防撞式自散热测绘无人机
CN115065883A (zh) * 2022-06-24 2022-09-16 石家庄铁道大学 一种信号塔减阻、抑振、增容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2046A1 (en) * 2005-02-25 2006-08-31 The Boeing Company Aircraft capable of vertical and short take-off and landing
US20090060711A1 (en) * 2007-09-04 2009-03-05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KR100888368B1 (ko) * 2008-11-14 2009-03-12 아주실업(주) 고열 및 연막 발생장치를 장착한 무인 비행체
US20110155859A1 (en) * 2009-12-29 2011-06-30 Daniel Kent Vetters Aircraft vertical lift device
US20110266397A1 (en) * 2010-04-30 2011-11-03 Raytheon Company Solar thermal rotorcraft
KR20140066571A (ko) * 2012-11-23 2014-06-02 임예현 스마트 선풍기
KR20140066871A (ko) * 2012-11-23 2014-06-03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압력 용기
US20140303814A1 (en) * 2013-03-24 2014-10-09 Bee Robotics Corporation Aerial farm robot system for crop dusting, planting, fertilizing and other field jobs
CN104711951A (zh) * 2014-12-31 2015-06-1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基于涡喷发动机的除冰雪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2046A1 (en) * 2005-02-25 2006-08-31 The Boeing Company Aircraft capable of vertical and short take-off and landing
US20090060711A1 (en) * 2007-09-04 2009-03-05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KR100888368B1 (ko) * 2008-11-14 2009-03-12 아주실업(주) 고열 및 연막 발생장치를 장착한 무인 비행체
US20110155859A1 (en) * 2009-12-29 2011-06-30 Daniel Kent Vetters Aircraft vertical lift device
US20110266397A1 (en) * 2010-04-30 2011-11-03 Raytheon Company Solar thermal rotorcraft
KR20140066571A (ko) * 2012-11-23 2014-06-02 임예현 스마트 선풍기
KR20140066871A (ko) * 2012-11-23 2014-06-03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압력 용기
KR101470487B1 (ko) * 2012-11-23 2014-12-11 임예현 스마트 선풍기
US20140303814A1 (en) * 2013-03-24 2014-10-09 Bee Robotics Corporation Aerial farm robot system for crop dusting, planting, fertilizing and other field jobs
CN104711951A (zh) * 2014-12-31 2015-06-1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基于涡喷发动机的除冰雪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796A (en) * 2019-04-03 2020-10-07 Dyson Technology Ltd Control of a fan assembly
GB2582796B (en) * 2019-04-03 2021-11-03 Dyson Technology Ltd Control of a fan assembly
CN113277084A (zh) * 2021-06-02 2021-08-20 安徽科技学院 一种根据飞行速度调节摄影角度防撞式自散热测绘无人机
CN113277084B (zh) * 2021-06-02 2024-01-05 安徽科技学院 一种根据飞行速度调节摄影角度防撞式自散热测绘无人机
CN115065883A (zh) * 2022-06-24 2022-09-16 石家庄铁道大学 一种信号塔减阻、抑振、增容装置
CN115065883B (zh) * 2022-06-24 2024-04-19 石家庄铁道大学 一种信号塔减阻、抑振、增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756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10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craft, device, and aircraft
US1169741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bstacle detection
US1064530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KR102624054B1 (ko) 무인 비행 장치
ES2902469T3 (es) Métodos y sistemas para el control del movimiento de dispositivos voladores
JP6393330B2 (ja) ペイロードの位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ペイロード制御装置
WO2018209702A1 (zh) 无人机的控制方法、无人机以及机器可读存储介质
CN108062106A (zh) 无人驾驶飞行器和用于使用无人驾驶飞行器拍摄被摄物的方法
KR10199036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104685436A (zh) 无人飞行器起飞及降落方法
KR20170125614A (ko)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CN108021145A (zh) 带目标跟踪和拍摄角保持的无人机移动图像自主拍摄系统
EP3422895B1 (en) Automated hands-free umbrella
US20200097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CN109625303B (zh) 摄影用无人机及其控制方法
EP3274676B1 (en) Spherical-motion average radiant temperature sensor
JP6887683B2 (ja) 飛行体の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装置および目印部
JP6957304B2 (ja) 架線撮影システム及び架線撮影方法
KR101918407B1 (ko) 무인항공기
CN107643758A (zh) 拍摄移动图像的包括无人机和地面站的自主系统及方法
KR20170125632A (ko)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KR20170125616A (ko)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및 비행 장치에서의 대상물 건조 방법
KR20170125622A (ko) 송풍 기능이 구비된 비행 장치
KR20170125635A (ko) 송풍 기능을 가진 비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7307B1 (ko) 송풍 기능을 가진 비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