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215A - 채광용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채광용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215A
KR20170125215A KR1020160055271A KR20160055271A KR20170125215A KR 20170125215 A KR20170125215 A KR 20170125215A KR 1020160055271 A KR1020160055271 A KR 1020160055271A KR 20160055271 A KR20160055271 A KR 20160055271A KR 20170125215 A KR20170125215 A KR 2017012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e
sunlight
outer frame
fram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송영환
주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앤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앤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앤라이트
Priority to KR102016005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5215A/ko
Publication of KR2017012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는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면에 유리가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내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 수용되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1슬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난반사하여 태양광의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슬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광용 블라인드{Lighting Blind}
본 발명은 채광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채광 및 차광 기능을 발휘하는 채광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 환경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문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광을 실내에 도입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거주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심리적,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도입하기 위해 건물에서 필요한 곳에 창호를 설치하여 자연광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창호를 통하여 자연광을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경우 창호와 가까운 곳의 주광 조도는 지나치게 높아지는 반면, 창호와 먼 곳의 주광 조도는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인공 조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호와 가까운 곳의 주광 조도를 낮추기 위하여 블라인드가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Blind)는 각종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형성된 창문에 설치되어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 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 방지를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블라인드는 창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외부광을 필요에 따라 차단, 또는 각도 조절을 통해 입사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블라인드는 외부광을 차단 또는 입사량만 조절할 뿐 자연광을 실내로 유입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31호(2015.1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채광 및 차광 기능을 발휘하는 채광용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리 사이에 매입되어 일체형으로 시공됨으로써 우수한 시공성 및 경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채광용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는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면에 유리가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내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 수용되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1슬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난반사하여 태양광의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슬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좌우 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코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레이트에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일면에 경면(鏡面)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슬레이트에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일면에 태양광을 난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면(擴散面)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레이트는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1.8m가 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까지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레이트는 최하단의 상기 제1슬레이트의 하단에서 상기 제2부재까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레이트의 확산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슬레이트 및 상기 제2슬레이트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와, 상기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2슬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2슬레이트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고정 와이어와, 상기 조절 와이어 및 상기 고정 와이어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슬레이트 및 상기 제2슬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내장될 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하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레이트의 경면에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실외방향 일면에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에 억지 끼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에 의하면, 외부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채광 및 차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 사이에 매입되어 일체형으로 시공됨으로써 우수한 시공성 및 경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내부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제1슬레이트 및 제2슬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내부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10)는 외부프레임(100), 내부프레임(200), 구동부(300),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외부프레임(100)은 채광용 블라인드(10)의 각 구성들과 결합하여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양면에는 유리(20)가 결합할 수 있어 외부프레임(100)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상기의 내부프레임(200)은 외부프레임(100)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프레임(100)의 내측 좌우 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210), 외부프레임(10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부재(221)와 외부프레임(100)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는 제2부재(222)를 구비하는 수평부재(220) 및 외부프레임(100) 내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를 연결하는 코너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는 일 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어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고강도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평부재(220)는 외부프레임(100)에 내부프레임(200)이 수용될 때 내부프레임(200)이 이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결합철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평부재(220)에는 결합철물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코너부재(2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의 단부에 억지 끼움으로 수직부재(210)와 수평부재(2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코너부재(230)가 억지 끼움을 통해 수직부재(210) 및 수평부재(220)와 결합함으로써 채광용 블라인드(10)가 용이하게 시공 또는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0)는 내부프레임(200)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어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태양광을 반사하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310), 케이스(310)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320), 구동장치(320)와 연결되어 구동장치(320)의 구동력에 의해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330), 제1슬레이트(400)와 제2슬레이트(5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1슬레이트(400)와 제2슬레이트(500)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고정 와이어(340) 및 커버(35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350)는 조절 와이어(330) 및 고정 와이어(340)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가 케이스(3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된 후 케이스(310)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스(310)는 수평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프레임(20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될 시에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프레임(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될 시에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의 구동장치(320)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쓰이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조절 와이어(330)는 구동장치(320),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구동장치(320)의 구동력에 의해 제1슬레이트(400)와 제2슬레이트(50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반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 와이어(340)는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가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형태가 변형되어 채광용 블라인드(10)로서의 본래의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1슬레이트(400)는 구동부(300)와 연결되고 내부프레임(200)에 수용되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2슬레이트(500)는 제1슬레이트(4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난반사하여 태양광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제1슬레이트(400)와 제2슬레이트(5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제1슬레이트 및 제2슬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10)는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면에 유리(20)가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프레임(100), 외부프레임(100)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내부 프레임, 내부프레임(200)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구동부(300), 구동부(300)와 연결되고 내부프레임(200)에 수용되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슬레이트(400) 및 제1슬레이트(400)의 하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난반사하여 태양광의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슬레이트(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1슬레이트(400)에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일면에 경면(400a)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태양광을 반사함으로써 많은 양의 태양광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2슬레이트(500)에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일면에 태양광을 난반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면(500a)이 구비됨으로써 태양광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1슬레이트(40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제1슬레이트(400)는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1.8m가 되는 위치에서 제1부재(221)까지의 폭 안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2슬레이트(500)는 제1슬레이트(40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제1슬레이트(400)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슬레이트(400)의 하단에서 제2부재(222)까지의 폭 안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구비될 수 있다.
제1슬레이트(400)가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1.8m가 되는 위치에서 제1부재(221)까지의 폭 안에서 구비됨에 따라 제1슬레이트(400)에 의해 반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은 제1슬레이트(400)의 형태에 의해 실내의 천장을 직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은 제1슬레이트(400)를 통해 실내로 채광되고 동시에 재실자의 눈부심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제2슬레이트(500)의 확산면(500a)에는 제2슬레이트(500)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이 유입되지 않고 다시 외부로 반사시켜 차광의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슬레이트(500)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은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다시 외부로 반사됨에 따라 재실자의 시야 확보를 함과 동시에 재실자의 눈부심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슬레이트(400)와 제2슬레이트(500)가 구비되는 위치를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1.8.m가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이유는 한국남성의 평균키인 1.74m를 고려하여 제1슬레이트(400)를 통해 채광할 시 태양광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2슬레이트(500)를 통해 차광할 시 재실자의 시야 확보는 물론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채광용 블라인드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10)는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면에 유리(20)가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프레임(100), 외부프레임(100)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내부 프레임, 내부프레임(200)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구동부(300), 구동부(300)와 연결되고 내부프레임(200)에 수용되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슬레이트(400) 및 제1슬레이트(400)의 하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난반사하여 태양광의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슬레이트(5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슬레이트(400)의 경면(400a)에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태양광 모듈(6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제1슬레이트(400)의 경면(400a)에 구비되거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슬레이트(400)의 경면(400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태양광 모듈(6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구동부(300)에 공급되어 구동부(300)를 통해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반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300)에는 상기의 태양광 모듈(6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360)가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축전지(360)가 구비됨에 따라 궂은 날씨 등에 의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구동부(3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반사각도가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태양광 모듈(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실외방향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태양광 모듈(600)이 케이스(310)에 구비됨에 따라,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의 위치나 반사각도에 상관없이 상시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다.
구동부(300)에는 상기의 태양광 모듈(6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360)가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축전지(360)가 구비됨에 따라 궂은 날씨 등에 의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구동부(3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1슬레이트(400) 및 제2슬레이트(50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반사각도가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 모듈(600)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구동부(300)에 전기에너지 공급을 위한 각종 설비들을 설치하고 연결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지(360)를 구비함으로써 태양광 모듈(6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구동부(300)에 지속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광용 블라인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채광용 블라인드 20: 유리
100: 외부프레임 200: 내부프레임
210: 수직부재 220: 수평부재
230: 코너부재 300: 구동부
310: 케이스 320: 구동장치
330: 조절 와이어 340: 고정 와이어
350: 커버 360: 축전지
400: 제1슬레이트 500: 제2슬레이트
600: 태양광 모듈

Claims (10)

  1.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면에 유리가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내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 수용되며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1슬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난반사하여 태양광의 실내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슬레이트를 포함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좌우 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코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레이트에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일면에 경면(鏡面)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슬레이트에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일면에 태양광을 난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면(擴散面)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레이트는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1.8m가 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까지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레이트는 최하단의 상기 제1슬레이트의 하단에서 상기 제2부재까지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레이트의 확산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슬레이트 및 상기 제2슬레이트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와,
    상기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2슬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레이트와 상기 제2슬레이트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고정 와이어와,
    상기 조절 와이어 및 상기 고정 와이어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슬레이트 및 상기 제2슬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내장될 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밀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레이트의 경면에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실외방향 일면에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에 억지 끼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용 블라인드.
KR1020160055271A 2016-05-04 2016-05-04 채광용 블라인드 KR20170125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71A KR20170125215A (ko) 2016-05-04 2016-05-04 채광용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71A KR20170125215A (ko) 2016-05-04 2016-05-04 채광용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15A true KR20170125215A (ko) 2017-11-14

Family

ID=6038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271A KR20170125215A (ko) 2016-05-04 2016-05-04 채광용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5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US20120011782A1 (en) Fenestration system with solar cells
US8027092B1 (en) Curved light shelf system for daylighting an interior space
KR101400993B1 (ko) 광선반 장치
JP2000129792A (ja) 建 物
JP2006222011A (ja) 建築物
KR20170125215A (ko) 채광용 블라인드
JP2001060407A (ja) 昼光利用システム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1125347B1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KR101668746B1 (ko) 채광용 블라인드
Rayaz et al. Review of advanced daylighting systems
KR101217515B1 (ko)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101186785B1 (ko) 차양장치
KR100806571B1 (ko) 고성능 채광용 경사형 광선반 장치
KR102669916B1 (ko) 태양광 패널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이중창 구조의 태양광 창문 시스템
JP2016071123A (ja) 採光システム
CN106150291B (zh) 百叶窗及其叶片组件
KR101670251B1 (ko) 고정형 수직 차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03947955U (zh) 一种外遮阳一体化窗
WO2000077337A3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 entrance into an inner space of a building
TWI660111B (zh) 具通風、防窺視以及提升採光功能之門或窗結構
JP6008526B2 (ja) 開閉体装置
WO2011064765A2 (en) Light guiding venetian blinds with prism-shaped slat surfaces
CN217630928U (zh) 一种外部遮阳建筑结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