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009A - 다용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009A
KR20170124009A KR1020160053494A KR20160053494A KR20170124009A KR 20170124009 A KR20170124009 A KR 20170124009A KR 1020160053494 A KR1020160053494 A KR 1020160053494A KR 20160053494 A KR20160053494 A KR 20160053494A KR 20170124009 A KR20170124009 A KR 2017012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light
main body
light sour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668B1 (ko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6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4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pi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탈홈부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명장치 {UTILITY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용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물이나 미술작품을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관람자가 쉽게 인지할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전등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광면에 어두운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빛이 발광면에 고르게 조사되는 다용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발광소자로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 LED)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엘이디의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력소비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엘이디(LED ; light-emitting diode)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LED 반도체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실내조명 시 조명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위하여 다운 라이트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다운 라이트는 천장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 방식으로, 전반조명용 외에 기능과 용도에 따라 월 워셔(Wall washer) 다운 라이트, 다운 스폿(Down spot) 등으로 구분되는데, 조명기구의 노출이 거의 없어 천장면이 잘 정돈되어 보이는 것이 이점이다.
다운 라이트는 천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실내 전체에 빛을 조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넓은 발광면을 구비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643호(2012년 08월 0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발광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조명장치를 광고판이나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없어 조명장치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으로 빛의 조사 각도가 좁은 LED가 사용되기 때문에 발광면 전체로부터 빛이 고르게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광원을 촘촘하게 설치해야 하므로 조명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광고물이나 미술작품을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관람자가 쉽게 인지할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전등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광면에 어두운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빛이 발광면에 고르게 조사되는 다용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착탈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탈홈부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면을 차단하거나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배면패널이 삽입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본체플레임을 벽면 또는 천장에 거치하도록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단부에서 개구되는 연결홈부; 복수 개의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다른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되는 연결굴곡대; 및 상기 연결굴곡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구부를 덮고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착탈홈부에 압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배면패널에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1엘이디칩; 및 상기 제1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1확산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과 조사되는 방향이 직교되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2엘이디칩; 및 상기 제2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2확산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패널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설치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착탈홈부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위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설치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착탈홈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착탈홈부 내측에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본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 배면에 제1광원부가 설치되고, 본체프레임의 내측벽에 제2광원부가 설치되어 제1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미치지 못하여 생성되는 암영이 제2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제거되므로 제1광원부의 광원 개수를 줄여도 발광면에 암영이 생기지 않게 되고, 본체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조명장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발광면을 이루는 커버부재를 끼움결합 방식으로 본체프레임에 설치하므로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된 커버부를 설치할 수 있어 조명장치를 광고판, 인테리어 조명 또는 전등으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배면패널을 생략하고 본체프레임의 배면에 별도의 커버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양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고판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본체프레임의 중앙부에 배면패널을 설치하고 배면패널의 양면에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를 설치할 수 있어 본체프레임의 정면 및 배면에 서로 다른 커버부를 설치하여 본체프레임의 양면을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장식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커버부를 이루는 시트부재가 섬유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부재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부재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삽입부재를 본체프레임의 착탈홈부에 끼움결합하여 시트부재를 본체프레임의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배면패널에 설치되는 엘이디 칩에는 빛을 전방 및 측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반구형 확산렌즈가 설치되고,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칩에는 빛을 전방으로 확산시키는 콘 모양의 확산렌즈가 설치되므로 발광면에 형성되는 암영 부위에 본체프레임 내측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조사되어 배면패널에 설치되는 엘이디 칩의 개수를 감소시켜도 발광면에 암영이 형성되지 않고 일정치 이상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배면패널에 설치되는 확산렌즈와 본체프레임 내측면에 설치되는 확산렌즈의 배광패턴 또는 색상을 서로 다르게 변경하여 발광면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감을 가변시키면서 사용자 취향에 맞는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커버부 분해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커버부 분해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 및 커버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커버부(30) 분해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커버부(30) 분해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10) 및 커버부(30)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10)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는, 착탈홈부(12) 및 지지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10)과,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본체프레임(10)을 연결하는 연결부(50)와,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착탈홈부(12)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30)와, 본체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커버부(30)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본체프레임(10)이 연결부(50)에 의해 연결되므로 사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본체프레임(10)의 배면에 배면패널(18)이 설치되며, 본체프레임(10)의 전면에 커버부(30)가 설치되어 밀폐공간을 이루게 된다.
커버부(30)는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커버부(30)를 통과하여 조사되면서 커버부(30)에 채색된 색상의 조명이 이루어지거나 커버부(30)에 인쇄된 광고 내용이 발광되면서 광고판의 역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술작품 또는 사진작품이 커버부(30)를 이루어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미술작품 또는 사진작품의 전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커버부(30)재가 본체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커버부(30)를 교체하면서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광고물 또는 전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커버부(30)를 교체하여 다양한 광고 또는 전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광원부는, 커버부(3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커버부(30)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70)와, 제1광원부(7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본체프레임(10)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광원부(80)를 포함한다.
제1광원부(70)는, 커버부(30)에 대향되게 빛을 조사하므로 배면패널(18)로부터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고, 제2광원부(80)는 본체프레임(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제1광원부(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암영부위로 빛을 조사하여 커버부(30) 전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광원부(7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사이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암영부위로 제2광원부(80)에서 조사되는 빛이 공급되므로 제1광원부(70)를 이루는 제1엘이디칩(74)의 개수를 줄여도 조명장치 또는 광고판에서 요구하는 밝기를 제공할 수 있어 조명장치 또는 광고판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제1광원부(70)는, 배면패널(18)에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72)과, 제1인쇄회로기판(72)에 설치되는 제1엘이디칩(74)과, 제1엘이디칩(7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제1인쇄회로기판(72)에 설치되는 제1확산렌즈(76)를 포함한다.
제1인쇄회로기판(72)은 수직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패널(18)에 다수 개의 제1인쇄회로기판(7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각각의 제1인쇄회로기판(72)에는 다수 개의 제1엘이디칩(74)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제1엘이디칩(74)은 바둑판에 놓인 바둑알과 같이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제1확산렌즈(76)는 단면 형상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엘이디칩(7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구형의 제1확산렌즈(76)를 통과하면서 사방으로 조사 각도가 확대되어 제1엘이디칩(74) 사이의 공간이 암염부위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
제2광원부(80)는,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82)과, 제2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되고 제1엘이디칩(7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과 조사되는 방향이 직교되도록 제2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되는 제2엘이디칩(84)과, 제2엘이디칩(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제2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되는 제2확산렌즈(86)를 포함한다.
제2인쇄회로기판(82)은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0)의 내벽에 길게 설치되며, 제2인쇄회로기판(82)에는 다수 개의 제2엘이디칩(84)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제2엘이디칩(84)은 본체프레임(10)의 양측 내벽 또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한 쌍이 설치되며, 본체프레임(10)의 내벽 4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엘이디칩(84)은 제1엘이디칩(74)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며, 제1엘이디칩(7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므로 제1엘이디칩(7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암영부위에 제2엘이디칩(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조사되면서 커버부(30) 제1엘이디칩(74) 간격에 암영부위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엘이디칩(74) 및 제2엘이디칩(8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커버부(30) 전체에 고르게 빛이 조사되므로 제1엘이디칩(74)의 개수를 감소시켜도 조명장치 또는 광고판에서 요구하는 밝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6)는, 본체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면을 차단하거나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배면패널(18)이 삽입되는 설치홈부(16b)와, 본체프레임(10)을 벽면 또는 천장에 거치하도록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홈부(16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16)는, 본체프레임(10)의 내측 단부가 중앙부 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고, 굴곡된 본체프레임(10)의 단부에는 배면패널(18)이 삽입되는 설치홈부(16b)가 형성되므로 본체프레임(10) 4개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사각형 공간을 이루는 경우에는 사각형의 본체프레임(10) 단부가 설치홈부(16b)에 삽입되면서 배면패널(18)이 본체프레임(10)의 배면에 결합되어 본체프레임(10)의 배면 개구부를 마감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16)의 배면에는 구조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홈부(16a)가 형성되므로 4개의 본체프레임(10) 중에 어느 하나의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되는 거치홈부(16a)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본체프레임(10)을 거치하면 벽면에 거치되는 액자 모양을 이루게 되어 광고판 또는 전시용 액자 등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4개의 본체프레임(10) 중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프레임(10) 또는 4개의 본체프레임(10)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본체프레임(10)을 천장에 설치하면 광고판 또는 등기구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연결부(50)는,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0)의 단부에서 개구되는 연결홈부(52)와, 복수 개의 본체프레임(10)을 연결하도록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다른 본체프레임(10)의 연결홈부(52)에 삽입되는 연결굴곡대(54)와, 연결굴곡대(54)를 본체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의 단부는 약4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단부를 통해 설치홈부(16b)의 단부가 노출되므로 한 쌍의 본체프레임(10)을 연결할 때에 'ㄱ' 모양으로 굴곡된 연결굴곡대(54) 일측을 한 쌍의 어느 하나의 본체프레임(10) 연결홈부(52)에 삽입하고, 연결굴곡대(54) 타측을 다른 하나의 본체프레임(10) 연결홈부(52)에 삽입한 후에 결합부재(56)를 체결하여 연결굴곡대(54)의 양단부를 각각의 본체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는, 본체프레임(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착탈홈부(12)가 형성되고, 각각의 착탈홈부(12) 내측 단부에는 착탈홈부(12)와 비교하여 폭이 넓은 연결홈부(52)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체프레임(10)은 후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지지부(16)가 형성되며, 지지부(16)의 단부에는 설치홈부(16b)가 형성되고, 지지부(16)의 배면에는 거치홈부(16a)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에는 복수 개의 착탈홈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착탈홈부(12)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버부(30)가 설치될 수 있어, 본체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커버부(30)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커버부(30)는, 본체프레임(10)의 개구부를 덮고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재(32)와, 시트부재(32)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착탈홈부(12)에 압입되는 삽입부재(34)를 포함한다.
시트부재(32)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섬유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인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 또는 의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이 인쇄될 수 있다.
삽입부재(34)는 탄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부재(32)의 단부는 삽입부재(34)와 동시에 제봉되어 제봉선(34c)이 형성되면서 연결되므로 시트부재(32)의 단부를 이루는 테두리에는 삽입부재(34)가 설치된다.
삽입부재(34)는, 시트부재(32)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부재(34a)와, 시트부재(32)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부재(34b)를 포함하므로 4개의 부재가 시트부재(32)의 테두리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1부재(34a)와 제2부재(34b)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제1부재(34a) 및 제2부재(34b)를 시트부재(32)에 설치하므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10)의 착탈홈부(12)에 제1부재(34a) 및 제2부재(34b)를 삽입할 때에 제1부재(34a)와 제2부재(34b)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사각형을 이루며 착탈홈부(1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착탈홈부(12)의 내부에는 압입된 삽입부재(34) 및 시트부재(32)가 착탈홈부(12)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시트부재(32)의 단부에 제봉선(34c)에 의해 설치되는 삽입부재(34)를 착탈홈부(12)에 압입하면 이탈방지부(14)에 의해 착탈홈부(12) 내벽과 삽입부재(34) 및 커버부(30)재와 마찰이 증가하게 되므로 시트부재(32) 및 삽입부재(34)가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착탈홈부(12)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부(14)는, 착탈홈부(12) 내벽으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재(14a)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시트부재(32) 및 삽입부재(34)를 착탈홈부(12)에 압입하면 삽입부재(34)가 돌출부재(14a)에 의해 변형되면서 착탈홈부(12) 내측으로 삽입되고, 삽입부재(34) 및 시트부재(32)의 삽입이 완료되면 삽입부재(34)가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돌출부재(14a)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착탈홈부(12)에 압입된 삽입부재(34) 및 시트부재(32)가 착탈홈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삽입부재(34)는 시트부재(32)의 테두리를 시트부재(32)의 후방 측으로 약90°굴곡시키면서 착탈홈부(12)에 삽입되므로 시트부재(32)를 사방으로 팽팽하게 당기면서 착탈홈부(12)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인쇄회로기판(7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선(78)과, 제2인쇄회로기판(8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선(88)이 각각 개별적으로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연장되고, 각각 다른 스위치가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엘이디칩(74) 또는 제2엘이디칩(84)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명장치의 용도나 취향에 따라 제1광원부(70) 또는 제2광원부(8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다양한 조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용도 조명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3개의 본체프레임(10) 연결홈부(52)에 연결굴곡대(54)를 삽입하여 결합부재(56)로 체결하여 3개의 본체프레임(10)이 'ㄷ' 모양을 이루도록 조립하고, 개구된 일면을 따라 배면패널(18)을 설치홈부(16b)에 삽입한 후에 개구된 면에 나머지 본체프레임(10)을 연결하여 사각 모양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이후에, 다수 개의 제1엘이디칩(74) 및 제1확산렌즈(76)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72)을 배면패널(18)에 설치하며, 이때, 다수 개의 제1인쇄회로기판(72)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본체프레임(10)의 내벽에는 다수 개의 제2엘이디칩(84) 및 제2확산렌즈(86)가 설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82)을 양측 내벽에 설치하며, 제2인쇄회로기판(82)이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0)의 내벽에는 제2엘이디칩(84)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열되도록 본체프레임(10)을 따라 길게 방열홈부(84a)가 형성된다.
광원부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본체프레임(10)의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커버부(30)를 설치하는데, 커버부(30)는 시트부재(32)의 테두리에 사각 모양을 이루도록 2개의 제1부재(34a)와 2개의 제2부재(34b)를 제봉하여 설치하고, 이때, 제1부재(34a)와 제2부재(34b)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구비시켜 제1부재(34a) 및 제2부재(34b)를 굴곡시켜 착탈홈부(12)에 삽입할 때에 제1부재(34a)와 제2부재(34b)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30)의 설치가 완료된 본체프레임(10)은 구조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거치홈부(16a) 내부에 삽입되도록 본체프레임(10)을 거치시켜 등기구, 광고판 또는 전시용 액자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를 설치한 후에 사용자는 요구하는 밝기 또는 용도에 따라 제1전원선(78) 또는 제2전원선(88)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이나 조명장치의 사용 목적이 바뀌게 되면 사용자는 삽입부재(34)를 착탈홈부(12) 외측으로 당기면서 삽입부재(34)를 변형시키면 돌출부재(14a)에 의해 가압되었던 삽입부재(34)가 변형되면서 착탈홈부(12) 외측으로 분리되고, 다른 색상 또는 다른 디자인이 인쇄된 시트부재(32)를 착탈홈부(12)에 삽입부재(34)와 함께 압입하여 다른 조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커버부(30)는, 본체프레임(10)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30)와, 본체프레임(10)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프레임(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되는 착탈홈부(12)에 각각 제1커버부(30) 및 제2커버부(30)가 설치되므로 본체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것이 특징이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광고판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조명 등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광원부(70)는, 제1커버부(30) 및 제2커버부(3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면패널(18)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므로 배면패널(18)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광원부(7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배면패널(18)은 본체프레임(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본체프레임(10)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이 전방 및 후방, 2개의 공간을 구획되고, 배면패널(18)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광원부(7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제1커버부(30)를 통과하면서 조명작동을 행하고, 배면패널(18)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1광원부(7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제2커버부(30)를 통과하면서 조명작동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설치홈부(16b)는,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착탈홈부(12)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위에 형성되고, 돌출부위의 전면 및 배면에는 연결홈부(52)가 형성되므로 돌출부위에 형성되는 연결홈부(52)에 연결굴곡대(54)를 설치하여 4개의 본체프레임(10)을 사각 모양의 프레임으로 조립한 후에 돌출부위에 배면패널(18)을 설치하여 본체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본체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커버부(30)를 통해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설치홈부(16b)는,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착탈홈부(12) 사이에 형성되고, 착탈홈부(12) 내측에 연결홈부(52)가 형성되므로 커버부(30)를 설치하기 전에 한 쌍의 연결홈부(52)를 연결하는 연결굴곡부를 설치하여 사각 모양의 프레임을 조립하고, 착탈홈부(12)에 커버부(30)를 설치하여 본체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으로 빛이 조사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연결홈부(52)가 착탈홈부(12) 내측 단부에 형성되므로 연결홈부(52)의 성형을 위해 본체프레임(10) 내벽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위가 요구되지 않게 되고, 배면패널(18)이 설치되는 설치홈부(16b)도 본체프레임(10) 내부에 함몰된 상태를 이루도록 성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10)은, 전방 측 단부에 착탈홈부(12)가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0)의 후방 측 단부에는 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되며, 본체프레임(10)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중공되어 방열 공간부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5살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10)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위에 중앙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본체프레임(10)의 전당부 및 후단부에는 내측 단부에 연결홈부(52)를 구비하는 착탈홈부(12)가 형성되어 제1커버부(30) 및 제2커버부(30)를 본체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광고물이나 미술작품을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관람자가 쉽게 인지할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전등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광면에 어두운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빛이 발광면에 고르게 조사되는 다용도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다용도 조명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용도 조명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프레임 12 : 착탈홈부
14 : 이탈방지부 14a : 돌출부재
16 : 지지부 16a : 거치홈부
16b : 설치홈부 18 : 배면패널
30 : 커버부 32 : 시트부재
34 : 삽입부재 34a : 제1부재
34b : 제2부재 34c : 제봉선
50 : 연결부 52 : 연결홈부
54 : 연결굴곡대 56 : 체결부재
70 : 제1광원부 72 : 제1인쇄회로기판
74 : 제1엘이디칩 76 : 제1확산렌즈
80 : 제2광원부 82 : 제2인쇄회로기판
84 : 제2엘이디칩 84a : 방열홈부
86 : 제2확산렌즈

Claims (9)

  1. 착탈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탈홈부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제1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일면을 차단하거나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배면패널이 삽입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본체플레임을 벽면 또는 천장에 거치하도록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단부에서 개구되는 연결홈부;
    복수 개의 상기 본체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다른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되는 연결굴곡대; 및
    상기 연결굴곡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구부를 덮고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착탈홈부에 압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배면패널에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1엘이디칩; 및
    상기 제1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1확산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과 조사되는 방향이 직교되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2엘이디칩; 및
    상기 제2엘이디칩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제2확산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부는, 상기 제1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패널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착탈홈부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위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착탈홈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착탈홈부 내측에 상기 연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명장치.
KR1020160053494A 2016-04-29 2016-04-29 다용도 조명장치 KR10180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94A KR101809668B1 (ko) 2016-04-29 2016-04-29 다용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494A KR101809668B1 (ko) 2016-04-29 2016-04-29 다용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09A true KR20170124009A (ko) 2017-11-09
KR101809668B1 KR101809668B1 (ko) 2017-12-15

Family

ID=6038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494A KR101809668B1 (ko) 2016-04-29 2016-04-29 다용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382A (zh) * 2021-11-05 2022-03-25 杭州淘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灯贴画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612888B1 (ko) * 2023-06-02 2023-12-11 이혁진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84Y1 (ko) * 2005-11-30 2006-02-14 이상주 디스플레이
KR101097448B1 (ko) 2011-05-13 2011-12-26 이주일 해충 퇴치용 조명기구
KR101124261B1 (ko) * 2011-06-02 2012-03-27 명범영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382A (zh) * 2021-11-05 2022-03-25 杭州淘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灯贴画结构及其制备方法
CN114228382B (zh) * 2021-11-05 2023-04-18 杭州淘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灯贴画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612888B1 (ko) * 2023-06-02 2023-12-11 이혁진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668B1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490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694150B1 (ko) 도광판에 면발광패턴층과 이미지패턴층이 형성되고 부품 교체가 용이한 led조명기구
US10060608B2 (en) Detachable LED lighting device
US20120327652A1 (en) Light-guided led indirect lighting device
KR101809668B1 (ko) 다용도 조명장치
KR101026881B1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KR20120118534A (ko) 측면 발광 광고장치
JP4915672B2 (ja) 面発光装置の固定構造
JP2009283197A (ja) 照明器具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JP2007179796A (ja) 照明装置
KR102612888B1 (ko)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JP2007179795A (ja) 照明装置
EP2541288A1 (en) Light-guided LED indirect lighting device
CN106164577B (zh) 光学透镜及用于背光的led灯模块
KR101388169B1 (ko) 조명장치
KR101397987B1 (ko) 면조명 장치
KR101900015B1 (ko) 점발광용 조명구조체
KR200448501Y1 (ko) 누광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기
KR101616818B1 (ko) 엘이디 조명 타일 및 그 조립체
KR200444467Y1 (ko) 발광 유리판
JP4410688B2 (ja) 照明具
KR200181921Y1 (ko) 발광다이오드(led)형 교통 신호등
US10767836B2 (en) Linear luminaire with optical control
US20150355408A1 (en) Illumination lamp having light guide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