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905A -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905A
KR20170123905A KR1020160053189A KR20160053189A KR20170123905A KR 20170123905 A KR20170123905 A KR 20170123905A KR 1020160053189 A KR1020160053189 A KR 1020160053189A KR 20160053189 A KR20160053189 A KR 20160053189A KR 20170123905 A KR20170123905 A KR 2017012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operator
mobile equipment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형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905A/ko
Publication of KR2017012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형 장비에 설치되어,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 및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와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작업자의 위험을 관리하는 위험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창고 내에서의 이동형 장비와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형 장비 주변의 작업자들에게 알람을 알려줌으로써 이동형 장비와 작업자 간의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by Moving Equipment in Warehouse}
본 발명은 사고 예방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창고 내에서 이동형 장비에 의한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 창고에서 지게차에 의해 작업자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지게차 사고를 막기 위하여 지게차의 구조나 기능을 변경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지게차에 사람이 인접해 있는 경우, 지게차를 멈추도록 한 기술인데, 작업자가 인접해 있다고 해서 지게차를 멈추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어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간단한 방법으로, 지게차가 작업자에 인접했을 때, 사고 방지를 위해 소리나 빛을 통해 알람을 보내도록 하고 있는 기술이 있지만, 소음이 있는 공간이나 작업자가 일에 몰입했을 경우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창고 내에서 지게차 등의 이동형 장비에 의한 사고 예방을 위해, 블루투스,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창고 내에서의 이동형 장비와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형 장비 주변의 작업자들에게 알람을 알려줌으로써 이동형 장비와 작업자 간의 사고를 줄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형 장비에 설치되어,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 및 상기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위험을 관리하는 위험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와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은,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장비에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업자의 위험 관리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의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형 장비의 ID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형 장비에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의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의 태그에 수록된 ID를 RFID 통신으로 읽어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장비의 주변에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면,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에 알람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알람을 통지 받으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형 장비에 설치된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이,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위험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위험을 관리하는 단계;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창고 내에서의 이동형 장비와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형 장비 주변의 작업자들에게 알람을 알려줌으로써 이동형 장비와 작업자 간의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자들에게 알람을 휴대폰의 진동과 같은 형태로 알려줌으로써, 작업자들이 위험상황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형 장비와 운전자, 주변의 작업자들 각각의 위치를 모두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위험상황 시나리오 설계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게차의 구조나 기능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스템 구축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게차를 비롯하여 모든 유형의 이동형 장비에 적용 가능하므로 새로운 장비가 도입되더라도 시스템을 재개발할 필요가 없으며, 시스템 구축 후 유지 비용이 낮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비와 작업자의 위치를 관리하므로 자산관리 목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창고관리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5는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물류창고 내에서 이동형 장비에 의한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 BLE 비콘(300),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구축된다.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은 지게차 등의 이동형 장비(500)에 설치되는 시스템이다.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은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와 작업자(700)가 작업 중에 휴대하고 다니는 시스템이다.
BLE 비콘(300)은 물류창고의 벽, 천장 등에 설치/배치되어,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는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과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작업자(700)의 위험을 관리하여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리더 모듈(110), 위치계산 모듈(120), RFID 태그(130) 및 무선 통신 모듈(140)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리더 모듈(110)은 BLE 비콘(300)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위치계산 모듈(120)은 블루투스 리더 모듈(110)이 수신한 비콘 신호들을 이용하여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의 위치, 궁극적으로는 이동형 장비(500)의 위치를 계산한다.
RFID 태그(130)에는 이동형 장비(500)의 ID가 기록되어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0)은 위치계산 모듈(120)이 계산한 위치정보를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에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리더 모듈(210), 위치계산 모듈(220), RFID 리더 모듈(230), 무선 통신 모듈(240) 및 진동 발생 모듈(250)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리더 모듈(210)은 BLE 비콘(300)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위치계산 모듈(220)은 블루투스 리더 모듈(210)이 수신한 비콘 신호들을 이용하여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의 위치, 궁극적으로는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와 작업자(700)의 위치를 계산한다.
RFID 리더 모듈(230)은 이동형 장비(500)의 RFID 태그(130)으로부터 ID를 읽어들인다.
무선 통신 모듈(240)은 위치계산 모듈(120)이 계산한 위치정보와 RFID 리더 모듈(230)이 읽어들인 ID를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에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진동 발생 모듈(250)은 작업자(700)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진동하는 알람 발생 수단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의 상세 블럭도이다.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듈(410), 작업자/장비 위치추적 모듈(420), 위험상황 판단 모듈(430) 및 알람 통지 모듈(44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410)은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와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에 알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작업자/장비 위치추적 모듈(420)은 통신 모듈(410)을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형 장비(500),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 및 작업자(700)의 위치를 추적한다.
위험상황 판단 모듈(430)은 작업자/장비 위치추적 모듈(420)을 통해 이동형 장비(500),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 및 작업자(7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형 장비(5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 및/또는 작업자(700)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판단한다.
알람 통지 모듈(440)은 위험상황 판단 모듈(430)에서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와 작업자(700)에게 위험상황을 알람으로 통지한다.
도 5는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BLE 비콘(300)이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주변에 전송한다. 이에,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100) 및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은 블루투스 리더 모듈(110,210)을 통해 수신하고, 위치계산 모듈(120,220)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계산된 위치정보는 무선 통신 모듈(140,240)을 통해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에 전송되며,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은 이동형 장비(500), 운전자(600), 작업자(7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가 이동형 장비(500)를 운전하기 위해 탑승하면,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가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이 RFID 리더 모듈(230)을 통해 이동형 장비(500)에 부착된 RFID 태그(130)로부터 이동형 장비(500)의 ID를 읽어 들이고,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에 위치정보를 제공할 때 읽어들인 ID를 함께 제공한다.
이에,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은 수신된 위치정보와 함께 RFID 태그(300)의 ID를 확인함으로써 이동형 장비 운전자(600)가 이동형 장비(500) 운전을 위해 올라간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400)은 위험상황 판단 모듈(430)을 통해 이동형 장비(500)의 주변에 작업자(700)가 위치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그러한 경우 알람 통지 모듈(440)을 통해 주변의 작업자(700)가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에 알람을 보낸다.
알람을 받은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200)은 진동 발생 모듈(250)을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
200 :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
300 : BLE 비콘
400 : 위험관리 서버 시스템

Claims (8)

  1. 이동형 장비에 설치되어,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 및
    상기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위험을 관리하는 위험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와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은,
    BLE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장비에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업자의 위험 관리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의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형 장비의 ID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형 장비에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장치 운전자의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의 태그에 수록된 ID를 RFID 통신으로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이동형 장비의 주변에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면,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에 알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험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알람을 통지 받으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이동형 장비에 설치된 장비용 위험관리 시스템이,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작업자에 의해 휴대되는 작업자용 위험관리 시스템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위험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동형 장비의 위치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업자의 위험을 관리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53189A 2016-04-29 2016-04-29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3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89A KR20170123905A (ko) 2016-04-29 2016-04-29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89A KR20170123905A (ko) 2016-04-29 2016-04-29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05A true KR20170123905A (ko) 2017-11-09

Family

ID=6038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189A KR20170123905A (ko) 2016-04-29 2016-04-29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9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11A (ko) * 2019-10-17 2021-04-28 한국도로공사 건설장비 자동정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안전정보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11A (ko) * 2019-10-17 2021-04-28 한국도로공사 건설장비 자동정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현장 안전정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819B1 (ko) 간접적 전자 배지 추적
AU2016328434B2 (en) Wire bridge monitoring system
KR20170006095A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1787A (ko) 실시간 위치 확인/추적 시스템(rtls)을 이용한 스마트 빌딩 내 보안 및 관리 시스템
US111206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damage to unseen utility assets
KR101709098B1 (ko) 열차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2818B1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8702A (ko)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순찰 관리 시스템
KR101790267B1 (ko)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166075B1 (ko)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3905A (ko) 물류창고 내 이동형 장비 사고 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98309B1 (ko)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0746A (ko) Rfid를 이용한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US10347106B2 (en) Virtual barrier system and method
WO2018015171A1 (en) Monitoring and operating electronic wire bridge systems
JP6504941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JP2015106328A (ja) 機能制限装置、機能制限システム、機能制限方法、及び機能制限プログラム
CN113696938A (zh) 维护人员安全防护系统、方法、装置及设备
KR20170054223A (ko) 열차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7537A (ko) Gps 기반의 위험 감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GB2577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KR102296482B1 (ko) 밀폐 공간에서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24452A (ko) 물류창고의 위기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5972A (ko) 테트라 기반 선박 실시간 상황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636085B1 (ko) 위치 추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