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11A -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811A
KR20170123811A KR1020160052835A KR20160052835A KR20170123811A KR 20170123811 A KR20170123811 A KR 20170123811A KR 1020160052835 A KR1020160052835 A KR 1020160052835A KR 20160052835 A KR20160052835 A KR 20160052835A KR 20170123811 A KR20170123811 A KR 2017012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guide
substrate fix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580B1 (ko
Inventor
김종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5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5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15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 H05K7/10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sliding, e.g. DIP carr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제1단자 및 상기 제1 몸체의 대향하는 제1 측면들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제공 유닛; 상기 제1 몸체와 마주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와 마주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 몸체의 대향 하는 제2 측면들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RF 제공 유닛;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에서 입출입 되는 기판 고정 유닛; 및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이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로 이송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접속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RF CALIBR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소형 IT 장치는 통신사 등에서 할당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 장비에 저장 또는 주파수 대역을 수정, 변경할 수 있도록 고주파 캘리브레이션(RF calibration)이 수행된다.
종래에는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소형 IT 장치들을 완전히 조립한 후 소형 IT 장치의 외부에 노출 입력 단자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경우, 외부 환경 및 소형 IT 장치에 포함된 주변 부품에 의한 영향으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정확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형 IT 장치의 구성품인 메인 회로 기판에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등을 실장 한 후, 메인 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원 단자에 구동 전원을 인가 및 RF 단자에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회로 기판의 양측에 배치된 전원 제공 단자 및 고주파 제공 단자를 메인 회로 기판의 양측으로 동시에 접근시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단축, RF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쉴드 박스의 사이즈를 감소 및 모델 변경에 의한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 위치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시킨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제1단자 및 상기 제1 몸체의 대향하는 제1 측면들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제공 유닛; 상기 제1 몸체와 마주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와 마주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 몸체의 대향 하는 제2 측면들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RF 제공 유닛;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에서 입출입 되는 기판 고정 유닛; 및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이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로 이송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접속 유닛을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접속 유닛 몸체, 제2 접속 유닛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에는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는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 장착된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전원단자 및 RF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단자들에 정렬되면,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을 정지시키는 스톱퍼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유닛 및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는 복귀 스프링이 연결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유닛을 상기 제2 몸체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1 캠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유닛과 결합 되어 상기 제2 가이드 유닛을 상기 제1 몸체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2 캠 홈을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상기 접속 유닛을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에서 입출입 시키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은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박스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소형 IT 장치의 구성품인 메인 회로 기판에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등을 실장 한 후, 메인 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원 단자에 구동 전원을 인가 및 RF 단자에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회로 기판의 양측에 배치된 전원 제공 단자 및 고주파 제공 단자를 메인 회로 기판의 양측으로 동시에 접근시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단축, RF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쉴드 박스의 사이즈를 감소 및 모델 변경에 의한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 위치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원 제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제공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속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단면도들 및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1)의 상면(2)에는 회로기판(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원 단자(3)가 형성되며, 전원 단자(3)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1)의 상면(2)과 대향하는 하면(4)에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고주파가 입력되는 RF 단자(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RF 단자(5)는 회로기판(1)의 하면(4)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로기판(1)의 상면(2)에 형성된 전원 단자(3) 및 하면(4)에 형성된 RF 단자(5)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800)는 전원 제공 유닛(100), RF 제공 유닛(200), 기판 고정 유닛(300) 및 접속 유닛(4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800)는 쉴드 박스(500) 및 구동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600)은 접속 유닛(400)을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 사이에서 왕복 운동시키며, 구동 유닛(600)은,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600)은 쉴드 박스(500)의 양쪽 외측면에 결합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원 제공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제공 유닛(100)은 쉴드 박스(5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원 제공 유닛(100)은 쉴드 박스(5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업-다운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원 제공 유닛(100)은 제1 몸체(110), 제1 단자(120) 및 제1 가이드 유닛(130)을 포함한다.
제1 몸체(11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에는 쉴드 박스(500)에 대하여 제1 몸체(110)가 업-다운 될 때, 제1 몸체(1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홀(11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120)는 제1 몸체(110) 중 후술 될 RF 제공 유닛(200)과 마주하는 하면에 배치되며, 제1 단자(120)는 제1 몸체(110) 중 도 1에 도시된 회로 기판(1)의 전원 단자(3)와 각각 접속되는 개수 및 전원 단자(3)와 각각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단자(120)는 전원 또는 신호를 인가하는 포고 핀(pogo p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닛(130)은 제1 몸체(110)의 대향 하는 양쪽 측면(112,113)들에 각각 형성된다.
제1 가이드 유닛(130)은 제1 가이드부(132), 제2 가이드부(134), 제3 가이드부(136) 및 제4 가이드부(138)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132,134,136,138)들은 각각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2) 및 제2 가이드부(134)는 일측 측면(112)에 형성되고, 제3 가이드부(136) 및 제4 가이드부(128)는 타측 측면(113)에 각각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132) 및 제3 가이드부(136)는 상호 대향 하게 제1 몸체(110)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부(134) 및 제4 가이드부(138)는 상호 대향 하게 제1 몸체(110)에 배치된다.
제2 가이드부(134)는 일측 측면(112)을 기준으로 제1 가이드부(132)보다 t만큼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4 가이드부(138)는 타측 측면(113)을 기준으로 제3 가이드부(136)보다 t 만큼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t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132,136)의 폭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제공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RF 제공 유닛(200)은 쉴드 박스(5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쉴드 박스(500)의 내부에서 RF 제공 유닛(200)은 전원 제공 유닛(100)과 이격 되며, 전원 제공 유닛(10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RF 제공 유닛(200)은 쉴드 박스(500)의 내부에서 전원 제공 유닛(100)과 함께 업-다운된다.
RF 제공 유닛(200)은 제2 몸체(210), 제2 단자(220), 제2 가이드 유닛(23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RF 제공 유닛(200)은 제2 몸체(210)를 수납 및 고정하는 수납 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210)는 도 5에 도시된 전원 제공 유닛(100)의 제1 몸체(110)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제2 몸체(210)에는 개구(215)가 형성된다.
제2 몸체(210)에는 쉴드 박스(500) 내부에서 업-다운 동작시 수평 방향으로의 제2 몸체(2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21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220)는 제1 몸체(110)에 결합 되며, 제2 단자(220)는 도 2에 도시된 회로 기판(1)에 형성된 각 RF 단자(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단자(220)는 링크 구조를 포함하며, 제2 단자(220)의 위치는 회로 기판(1)에 형성된 RF 단자(4)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단자(220)는 회로 기판(1)에 형성된 RF 단자(4)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고주파를 제공한다.
제2 가이드 유닛(230)은 제2 몸체(210)의 대향 하는 양쪽 측면(212,213)들에 각각 형성된다.
제2 가이드 유닛(230)은 제5 가이드부(232), 제6 가이드부(234), 제7 가이드부(236) 및 제8 가이드부(238)를 포함한다. 제5 내지 제8 가이드부(232,234,236,238)들은 각각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가이드부(232) 및 제6 가이드부(234)는 일측 측면(212)에 형성되고, 제7 가이드부(236) 및 제8 가이드부(228)는 타측 측면(113)에 형성된다.
제5 가이드부(232) 및 제7 가이드부(236)는 상호 대향 하게 제2 몸체(210)에 배치되고, 제6 가이드부(234) 및 제7 가이드부(238)는 상호 대향하게 제2 몸체(210)에 배치된다.
제6 가이드부(234)는 일측 측면(212)을 기준으로 제5 가이드부(232)보다 t만큼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8 가이드부(238)는 타측 측면(213)을 기준으로 제7 가이드부(236)보다 t 만큼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t는 제5 및 제7 가이드부(232,236)의 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원 제공 유닛(100)의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132,134,136,138)들은 RF 제공 유닛(200)의 제5 내지 제8 가이드부(232,234,236,238)들과 동일한 사이즈 및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수납 유닛(240)은 바닥판(242) 및 바닥판(242)의 양쪽 테두리에 결합 된 측면판(244,246)들을 포함하며, 바닥판(242)의 후방에는 측면판(244,246)들을 가로지르는 고정바(248)가 배치된다.
고정바(248)에는 제2 단자(220)들과 연결된 커넥터들과 결합 되는 통합 커넥터(249)가 배치된다. 수납 유닛(240)의 바닥판(242)의 상면에는 제2 몸체(210)가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 고정 유닛(300)은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 되며, 기판 고정 유닛(3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로 기판(1)이 탑재 및 고정된다.
기판 고정 유닛(300)은 제3 몸체(310), 조절 바(32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기판 고정 유닛(300)에는 스톱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몸체(31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몸체(310)의 내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로 기판(1)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315)가 형성된다.
개구(315)에는 회로 기판(1)이 수납되며, 조절 바(320)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회로 기판(1)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몸체(310)의 양측 테두리들에는 각각 가이드 블록(311,312)들이 배치되며, 가이드 블록(311,312)에는 조절 바(3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된다. 조절 바(320)에는 회로 기판(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된다.
회로 기판(1)의 사이즈가 변경될 경우, 조절 바(320)를 가이드 블록(311,312)에 대하여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회로 기판(1)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회로 기판(1)을 조절 바(320) 및 제3 몸체(310)에 지지할 수 있다.
제3 몸체(310)의 후단에는 스톱퍼(330)가 조립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스톱퍼(330)는 제3 몸체(310)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스톱퍼(330)는 제3 몸체(310)가 지정된 위치에서 정지된 후 제3 몸체(310)가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속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접속 유닛(400)은 기판 고정 유닛(300)의 양쪽 측면들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된다.
접속 유닛(400)은 기판 고정 유닛(300)이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의 사이로 이송되면,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130,230)의 사이 간격을 감소시켜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접속 유닛(400)이 기판 고정 유닛(300)이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의 외부로 이송되면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130,230)의 사이 간격을 넓힌다.
접속 유닛(400)은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제2 접속 유닛 몸체(420) 및 연결 몸체(430)를 포함한다.
연결 몸체(430)는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10,42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몸체(430) 및 기판 고정 유닛(300)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복귀 스프링(335)이 배치된다.
복귀 스프링(335)은 기판 고정 유닛(300)의 스톱퍼(330)가 정지된 후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10,420)가 후술 될 제1 및 제2 캠 홈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기판 고정 유닛(300)이 탄성력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 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는 각각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는 기판 고정 유닛(300)의 제3 몸체(310)와 수직 하게 배치된다.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의 내측면에는 제3 몸체(310)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슬라이드 홈(411,421)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의 슬라이드 홈(411,421)의 상부에는 제1 캠 홈(413,415,423,425)들이 형성된다.
제1 캠 홈(413,415,423,425)들에는 전원 제공 유닛(100)의 제1 가이드 유닛(130)의 제1 가이드부(132) 내지 제4 가이드부(138)들이 각각 삽입된다.
특히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10,420)들 중 제1 가이드부(132) 및 제3 가이드부(136)들이 삽입되는 제1 캠 홈(413,423)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후박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1 가이드부(132) 및 제3 가이드부(136)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캠 홈(413,415,423,425)들은 경사부에 의하여 높이차가 있는 홈으로써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의 수평 이동에 의하여 제1 가이드부(132) 내지 제4 가이드부(138)들의 위치를 제1 캠 홈(413,415,423,425)들의 높이차 만큼 감소시킨다.
한편,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의 슬라이드 홈(411,421)의 하부에는 제2 캠 홈(414,416,424,426)들이 형성된다.
제2 캠 홈(414,416,424,426)들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제공 유닛(200)의 제5 내지 제8 가이드부(232,234,236,238)들이 각각 삽입된다.
특히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10,420)들 중 제5 가이드부(232) 및 제7 가이드부(236)들이 삽입되는 제2 캠 홈(414,424)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후박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5 가이드부(232) 및 제7 가이드부(236)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캠 홈(414,416,424,426)들은 경사부에 의하여 높이차가 있는 홈으로써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의 수평 이동에 의하여 제5 가이드부(232) 내지 제8 가이드부(238)들의 위치를 제2 캠 홈(414,416,424,426)들들의 높이차 만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캠 홈(413,415,423,425) 및 슬라이드 홈(411,421)들 사이의 간격은 제2 캠 홈(414,416,424,426) 및 슬라이드 홈(411,421)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단면도들 및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 고정 유닛(300)이 쉴드 박스(500)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판이 기판 고정 유닛(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 유닛(600)에 의하여 기판 고정 유닛(300) 및 접속 유닛(400)은 쉴드 박스(500)의 내부로 이동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판 고정 유닛(300) 및 접속 유닛(400)이 쉴드 박스(500)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전원 제공 유닛(100)의 제1 가이드 유닛(130)은 제1 캠 홈(413,415,423,425)들의 경사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기판 고정 유닛(300) 및 접속 유닛(400)이 쉴드 박스(500)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RF 제공 유닛(200)의 제2 가이드 유닛(230)은 제2 캠 홈(414,416,424,426)들의 경사부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제공 유닛(100)의 제1 단자(120)가 도 1에 도시된 회로 기판(1)의 전원 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RF 제공 유닛(200)의 제2 단자(220)는 도 2에 도시된 회로기판(1)의 RF 단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1 접속 유닛 몸체(410)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420)가 구동 유닛(600)에 의하여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 사이로 제공됨에 따라 전원 제공 유닛(100) 및 RF 제공 유닛(200)은 제1 및 제2 캠 홈들에 의하여 상호 간격이 좁아지면서 전원 제공 유닛(100)에 형성된 제1 단자(120)는 회로 기판의 전원 단자(3)와 전기적으로 먼저 접속된다.
이어서, RF 제공 유닛(200)의 제2 단자(220)는 회로 기판의 RF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제2 단자(220)로 제공된 고주파는 회로 기판의 RF 단자(5)로 제공되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소형 IT 장치의 구성품인 메인 회로 기판에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등을 실장 한 후, 메인 회로기판에 형성된 전원 단자에 구동 전원을 인가 및 RF 단자에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회로 기판의 양측에 배치된 전원 제공 단자 및 고주파 제공 단자를 메인 회로 기판의 양측으로 동시에 접근시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단축, RF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쉴드 박스의 사이즈를 감소 및 모델 변경에 의한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 위치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전원 제공 유닛 200...RF 제공 유닛
300...기판 고정 유닛 400...접속 유닛
500...구동 유닛 800...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Claims (6)

  1.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제1단자 및 상기 제1 몸체의 대향하는 제1 측면들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제공 유닛;
    상기 제1 몸체와 마주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와 마주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 몸체의 대향 하는 제2 측면들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RF 제공 유닛;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에서 입출입 되는 기판 고정 유닛; 및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이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로 이송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접속 유닛 몸체, 제2 접속 유닛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속 유닛 몸체에는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는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 장착된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전원단자 및 RF 단자가 상기 제1 및 제2단자들에 정렬되면,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을 정지시키는 스톱퍼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유닛 및 상기 기판 고정 유닛에는 복귀 스프링이 연결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 유닛을 상기 제2 몸체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1 캠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유닛과 결합 되어 상기 제2 가이드 유닛을 상기 제1 몸체를 향해 이송시키는 제2 캠 홈을 포함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닛을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 사이에서 입출입시키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 유닛 및 상기 RF 제공 유닛은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0160052835A 2016-04-29 2016-04-29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26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35A KR102267580B1 (ko) 2016-04-29 2016-04-29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35A KR102267580B1 (ko) 2016-04-29 2016-04-29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11A true KR20170123811A (ko) 2017-11-09
KR102267580B1 KR102267580B1 (ko) 2021-06-21

Family

ID=6038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835A KR102267580B1 (ko) 2016-04-29 2016-04-29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5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031B1 (ko) * 2014-04-28 2015-04-22 이성수 실드박스
KR101574486B1 (ko) * 2015-09-14 2015-12-11 디플러스(주) 테스트 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031B1 (ko) * 2014-04-28 2015-04-22 이성수 실드박스
KR101574486B1 (ko) * 2015-09-14 2015-12-11 디플러스(주)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580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4605A1 (en)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US7458837B2 (en) Connector housing block, interfac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esting apparatus
US9263790B2 (en) Structures for shielding and mounting components in electronic devices
TWI471568B (zh) 測試裝置、測試系統以及用於測試器件之方法
DE102015118710A1 (de) Bodenseitiger Multi-Array-Steckverbinder unter Verwendung einer Federvorspannung
KR20160084039A (ko) 제품 테스트 소켓
US8454005B2 (en) Clamping apparatus
KR20150014357A (ko)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조립체
CN100557448C (zh) 用于支持印刷电路板的装置
US7994805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esting device
US20180333815A1 (en) Contact spring holding jig for grease application
EP2961007A1 (en) Headphone socket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US9197724B2 (en) Wire arrange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123811A (ko)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US20230144353A1 (en) Board connector
US20220360023A1 (en) Board connector
KR102267582B1 (ko)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US20180330859A1 (en) Communication module alignment
US20230104947A1 (en) Board connector
WO2013069692A1 (ja) 通信モジュー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通信モジュール
CN110861012A (zh) 定位治具组
US20230038252A1 (en) Socket
WO2007080644A1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ブロック、インターフェイス部材および電子部品試験装置
KR102638653B1 (ko) 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5472A (ko) 반도체 소자 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