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756A - 문신장치 - Google Patents

문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756A
KR20170123756A KR1020160052646A KR20160052646A KR20170123756A KR 20170123756 A KR20170123756 A KR 20170123756A KR 1020160052646 A KR1020160052646 A KR 1020160052646A KR 20160052646 A KR20160052646 A KR 20160052646A KR 20170123756 A KR20170123756 A KR 2017012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ase
needle
movable lin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756A/ko
Publication of KR2017012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61M37/0084Tattoo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quid feed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 F16H21/5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선단에 니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동력원과, 상기 케이스 동력원의 구동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니들 카트리지의 니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문신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문신장치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원에 연결된 캠 부재;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동시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가동링크; 상기 디스크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가동링크를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신장치{TATTOO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니들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장치는 문신용 색소와 문신 바늘을 사용하여 사람의 피부에 소정의 기호, 글자, 도형과 같은 무늬 또는 그림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문신장치는 문신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문신 바늘이 자동으로 전후로 왕복운동하고 문신 바늘이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문신용 색소가 문신 바늘을 타고 내려오도록 하여, 문신 바늘이 사람의 피부를 일정 깊이로 찌르도록 하면서 이동하면 문신을 시술하는 자의 의도대로 소정의 모양이 사람의 피부에 표현되게 된다.
종래의 문신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문신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부재의 관성 및 질량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진동과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신장치는 니들이 스프링의 힘으로 복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피부에 박혀 복귀가 안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시술 시 불연속점이 발생됨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신장치에 구비된 동력전환구조의 경우, 상기 부재의 관성 및 질량의 불균형으로 인한 진동으로 인해 부재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어려웠고,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동링크로 동력을 전달하는 디스크에 일부에만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전달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구동을 가능케 하는 문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들이 동력전달부를 통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니들이 동력전달부에 의해 강제 구속된 상태로 동력전달부의 전진 및 후진과 함께 전진 및 후진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단에 니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동력원과, 상기 케이스 동력원의 구동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니들 카트리지의 니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동력원에 연결된 캠 부재;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동시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가동링크; 상기 디스크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가동링크를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동링크는 하단부에 상기 서포터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동링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부분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면과 상기 돌출부의 양측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링크는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공에는 힌지핀이 결합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원은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가동링크는, 후단이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 연결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니들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는 동시에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케이스에 구비된 모터; 및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니들 카트리지의 니들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 구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구동 방향을 전환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일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가동링크; 및 상기 디스크의 타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동시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상기 가동링크는 상기 서포터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부분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면과 각 지지면에 마주하는 상기 돌출부의 양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을 현저히 감소시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진동 감소에 따라 소음 역시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이 전진 및 후진 왕복운동을 하도록 강제 구속함으로써 정밀한 시술이 가능할 뿐 만 아니라 시술 중에 발생하는 통증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에 니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을 제외한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가동 디스크의 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에 니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100)는 제2 케이스(130)의 선단부(131)에 니들 카트리지(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카트리지(10)는 몸체(11)의 내측에 니들(12)이 전후진 왕복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니들(12)은 선단부가 몸체(11)의 가이드부(1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가 지지로드(13)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 몸체(11)는 후단부에 지지로드(13)를 감싸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된다.
지지로드(13)는 일부가 몸체(11)의 내부에서 전후진 왕복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나머지 부분이 몸체(11)의 가이드부(15)로부터 돌출된다. 몸체(11)의 가이드부(15)로부터 돌출된 지지로드(13)의 후단은 후술하는 연결부재(140, 도 2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니들 카트리지(10)는 문신장치(100)에 장착하여 사용 시 니들(12)에 혈액이 묻을 수 있고, 이로 인한 2차 감염을 우려되므로 통상 일회용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니들 카트리지(10)는 니들(12)에 묻은 문신용 잉크나 혈액이 문신장치(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로드(13)에 튜브 형상의 씰링부재(미도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100)는 니들(12)의 전진 및 후진이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50)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니들 카트리지(10)에 니들(12)을 후진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을 제외한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가동 디스크의 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문신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는 제1 케이스(110), 링 부재(120) 및 제2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내에는 니들(12)을 전후진 왕복 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선단에 링 부재(120)가 결합되고, 후단에 캡(111)이 결합된다. 제1 케이스(110)는 내측에 구동모터(200, 도 5(a) 참조)가 배치되며, 구동모터(200)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는 내측에 충전지(미도시)가 배치되는 경우, 문신장치(100)는 포터블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는 충전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구동모터(200)로 인가할 수 있다.
만약 제1 케이스(110) 내에 충전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전원제어회로는 캡(111)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을 따라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링 부재(120) 및 제2 케이스(130)는 내측에 동력전달부(150)가 배치된다. 제2 케이스(130)는 선단에 니들 카트리지(10)의 몸체(11)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연결구(140)는 지지로드(13)와 가동링크(170)를 상호 연결한다. 연결구(140)는 전부(front portion)의 측면을 따라 지지로드(13)의 결합돌기(14, 도 1 참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멍(141)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140)는 후부(rear portion)의 측면에 가동링크(170)의 결합돌기(172a)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구멍(143)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면, 문신장치(10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케이스(110), 링 부재(120) 및 제2 케이스(130)를 포함하고, 니들(12)을 전후진 왕복 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60)은 제1 원통부(161)와, 제1 원통부(161)에 연장 형성되는 제2 원통부(16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원통부(163)는 제1 원통부(161)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며, 제1 원통부(16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5(a)를 참고하면, 제1 원통부(161)는 내측에 가동링크(170)가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고, 디스크(180)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원통부(161)는 내측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가동링크(170)의 제1 슬라이더(17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가이드 구멍(161b)이 형성된다.
제2 원통부(163)는 내측에 가동링크(170)의 제1 슬라이더(17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멍(163a)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63a)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구멍(164a)과 연통된다. 제2 가이드구멍(164a)은 제1 원통부(161)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64)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가이드구멍(164a)은 가동링크(170)의 제2 슬라이더(17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동링크(170)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제1 슬라이더(171)와 제2 슬라이더(17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슬라이더(171)와 제2 슬라이더(172)는 연결부(173)에 의해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간격은 제1 슬라이더(171)와 제2 슬라이더(172)가 각각 하우징(160)의 제1 가이드구멍(161b)의 중심축과 제2 가이드구멍(164a)의 중심축 간의 간격을 고려한 것이다.
제1 슬라이더(171) 및 제2 슬라이더(172)는 연결부(173)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디스크(18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동시에 전후진 한다.
제1 슬라이더(171)는 선단에 하우징(160)의 제1 가이드구멍(161b)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171a)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슬라이더(171)는 후단부에 디스크(180)의 상단부(183,184)와 피봇 연결되는 피봇부(175)가 연장 형성된다. 피봇부(175)는 부싱(17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176)이 관통 형성된다. 장공(176)은 도 5(a)를 기준으로 할 때 대략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177)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장공(176)에 삽입된 상태로 장공(17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부싱(177)은 힌지핀(178)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멍(177a)이 형성된다. 힌지핀(178)은 가동링크(170)와 디스크(180)를 상호 피봇 연결한다.
제2 슬라이더(172)는 선단에 연결구(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72a)가 형성되고, 이 경우, 한 쌍의 결합돌기(172a)가 연결구(140)에 스냅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부(172b)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슬라이더(172)는 하단부에 하우징(160)의 제2 가이드구멍(164a)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172c)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크(18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일측이 가동링크(170)에 피봇 연결되고, 타측이 서포터(supporter)(190)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디스크(180)는 모터(20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직선 방향으로 구동하는 동력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180)는 대략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180a)에 베어링(181)이 결합된다. 베어링(181)은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심에는 캠 부재(182)가 슬라이딩 지지되도록 삽입된다.
캠 부재(182)는 모터(200)의 회전축(201)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구멍(18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캠 부재(182)는 모터(200)의 구동축(201)이 회전할 경우, 회전축(201)과 함께 회전한다.
캠 부재(182)의 결합구멍(182a)은 그 중심이 캠 부재(182)의 외경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소정 간격(G, 도 4 참조) 편심된다. 또한, 캠 부재(182)의 결합구멍(182a)의 중심축은 도 5(a)와 같이 캠 부재(182)의 측 방향 중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지 않고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캠 부재(182)는 모터(200)의 회전축(201)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축(201)과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 디스크(180)는 그 일측이 가동링크(170)에 피봇 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이므로 캠 부재(182) 회전 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회전축(201)을 기준으로 디스크(180)의 상단부(183, 184) 및 하단부(187, 188)가 전후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가 가변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80)의 상단부(183, 184) 및 하단부(187, 188)가 전후 방향으로 교번되게 요동할 경우, 가동링크(170)는 전후진 왕복 이동하게 된다.
한편, 디스크(180)는 하단부(187, 188)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면(187a, 188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면(187a, 188a)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서포터(190)의 돌출부(195)가 삽입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디스크(180)의 하단부(187, 188)는 서포터(190)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디스크(180) 구동 시 가동링크(170)와 피봇 연결된 디스크(180)의 상단부(183, 184)에만 응력(stress)이 집중되지 않고 디스크(180)의 하단부(187, 188)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150)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문신장치(100)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포터(190)는 하우징(160)의 후단에 결합되며, 디스크(180)의 하단부(187, 18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190)는 하우징(160)의 후단에 형성된 개구에 고정될 수 있는 플레이트부(191)와, 플레이트부(19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돌출부(19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191)는 대략 중앙 부분에 모터(200)의 구동축(20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93)이 형성된다. 돌출부(195)는 플레이트부(191)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160)의 제1 원통부(16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돌출부(195)는 양측면에 각각 볼 베어링(196, 197)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요홈(195a)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볼 베어링(196, 197)은 디스크(190)의 한 쌍의 지지면(187a, 188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90)의 하단부(187, 188)는 서포터(1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요동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한 쌍의 볼 베어링(196, 197)을 생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크(180)의 한 쌍의 지지면(187a, 188a)과 서포터(190)의 돌출부(195)의 양측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크(190)의 한 쌍의 지지면(187a, 188a)과 서포터(190)의 돌출부(195)의 양측 간에는 발생하는 마찰을 고려하여 디스크(190)와 서포터(190)를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100)의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니들(12)을 후진시킨 상태의 동력전달부(150)를 나타내며, 도 5(c)는 니들(12)을 전진시킨 상태의 동력전달부(150)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크(180)는 상단부(183, 184)가 하단부(187, 188)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200)를 구동하여 회전축(20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182)가 회전축(201)과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 디스크(180)는 상단부(183, 184)가 가동링크(170)의 피봇부(175)에 피봇 연결되고, 하단부(187, 188)가 서포터(190)의 돌출부(19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캠 부재(18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80)는 도 5(b)와 같이 상단부(183, 184)가 전진하고 하단부(187, 188)는 상단부(183, 184)가 전진한 거리만큼 후진하게 된다. 계속해서 디스크(180)는 도 5(b)에서 도 5(c)와 같이 상단부(183, 184)가 전진하고, 이와 동시에 하단부(187, 188)가 후진하여, 하단부(187, 188)가 상단부(183, 184)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도록 디스크(180)가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부(150)가 도 5(a)에서 도 5(c)와 같이 구동하는 경우, 지지로드(13)에 연결된 니들(12)은 전진하여 니들 카트리지(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어서, 동력전달부(150)가 상기와 역순으로 구동하게 되면, 지지로드(13)에 연결된 니들(12)은 전진하여 니들 카트리지(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처럼, 니들(12)은 동력전달부(150)의 지속적인 구동에 따라, 전후진 하여 니들 카트리지(10)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동된다.
이 경우, 디스크(180)는 캠 부재(182)의 회전 시 상단부(183, 184) 및 하단부(187, 188)가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디스크(180)는 하단부(187, 188)가 서포터(190)의 돌출부(195)에 마련된 한 쌍의 볼 베어링(196, 197)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응력이 디스크(180)의 상단부(183, 184)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응력이 디스크(180) 전체에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관성 및 질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증가하는 진동과 소음이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즉, 가동링크(170)가 전진 및 후진 동작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니들(12)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이 강제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져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본 발명은 진동을 현저히 저감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진동 저감에 따라 소음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12)의 전진 동작은 물론 후진 동작 역시 동력전달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니들(12)을 후진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별도의 구성을 니들 카트리지(10)에 구비하지 않아도 니들(12)의 후진 동작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피부에 삽입된 니들(12)이 피부로부터 100% 빠지게 하여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니들이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후진하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용량이 큰 모터를 사용하여 더 큰 힘으로 니들을 전후진 구동시켜야 하므로 피부의 통증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은 스프링 없이 모터의 동력만으로 니들을 후진시킴으로써 소프트한 터치가 가능하게 되어서 피시술자가 느끼는 통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니들 카트리지 12: 니들
13: 지지로드 100: 문신장치
110: 제1 케이스 130: 제2 케이스
150: 동력전달부 160: 하우징
170: 가동링크 180: 디스크
190: 서포터

Claims (10)

  1. 선단에 니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동력원과, 상기 케이스 동력원의 구동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니들 카트리지의 니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원에 연결된 캠 부재;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동시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가동링크;
    상기 디스크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가동링크를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크는 하단부에 상기 서포터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부분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면과 상기 돌출부의 양측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크는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는 힌지핀이 결합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크는,
    후단이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 연결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니들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는 동시에 전진 및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8. 케이스에 구비된 모터; 및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니들 카트리지의 니들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 구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구동 방향을 전환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일단부에 피봇 연결되는 가동링크;
    상기 디스크의 타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단부 및 하단부가 동시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크는 상기 서포터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부분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면과 각 지지면에 마주하는 상기 돌출부의 양측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KR1020160052646A 2016-04-29 2016-04-29 문신장치 KR20170123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46A KR20170123756A (ko) 2016-04-29 2016-04-29 문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46A KR20170123756A (ko) 2016-04-29 2016-04-29 문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56A true KR20170123756A (ko) 2017-11-09

Family

ID=6038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646A KR20170123756A (ko) 2016-04-29 2016-04-29 문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7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9963A (zh) * 2020-10-20 2020-12-18 镇平县华鼎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纹身笔
IT202100003065A1 (it) * 2021-02-11 2022-08-11 Campomats S R L Unipersonale Cartuccia monouso porta aghi per un dispositivo per trattamenti cosmetici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9963A (zh) * 2020-10-20 2020-12-18 镇平县华鼎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纹身笔
IT202100003065A1 (it) * 2021-02-11 2022-08-11 Campomats S R L Unipersonale Cartuccia monouso porta aghi per un dispositivo per trattamenti cosmetici
WO2022172082A1 (en) * 2021-02-11 2022-08-18 Campomats S.R.L. Unipersonale Disposable needle-holding cartridge for a device for cosmetic treat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3469A1 (en) Blood withdrawal system
US11160922B2 (en) Subcutaneous delivery mechanism for drug delivery device
KR101400965B1 (ko)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200466520Y1 (ko) 문신 장치
WO2008018781A1 (en) Tattooing apparatus
RU2006125416A (ru) Привод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зубных щеток и им подобного
KR20170123756A (ko) 문신장치
KR101765241B1 (ko) 피부 시술장치
CN214128775U (zh) 执行机构及手术机器人
KR20180047103A (ko)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2042176B1 (ko) 피부표시기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CN218960928U (zh) 自动穿刺装置
RU2644698C1 (ru) Татуировочная машина и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аяся опора вала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татуировочной машины
CN210903332U (zh) 导向装置及磨削装置
CN111035920B (zh) 一种摇杆手柄以及带摇杆手柄的游戏主机
CN218852788U (zh) 穿刺针固定夹及穿刺针固定装置
JP4456473B2 (ja) ロボットハンド装置
KR101840320B1 (ko) 문신장치
CN214128776U (zh) 传动件、驱动组件、执行机构及手术机器人
KR101869937B1 (ko) 피부표시기
JP2015523899A (ja) 穿刺装置のための1方向駆動機構
CN214434490U (zh) 驱动组件、执行机构及手术机器人
JP5610476B2 (ja) 位置決め装置
CN115634025B (zh) 用于机器人穿刺手术的自动穿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