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396A -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3396A KR20170123396A KR1020160052328A KR20160052328A KR20170123396A KR 20170123396 A KR20170123396 A KR 20170123396A KR 1020160052328 A KR1020160052328 A KR 1020160052328A KR 20160052328 A KR20160052328 A KR 20160052328A KR 20170123396 A KR20170123396 A KR 201701233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low rate
- hrt
- anoxic tank
- retention ti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4—NH3-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5—N03-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수가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차례로 거치면서 하수 처리되고 슬러지 혼합액의 내부반송 및 외부반송이 이루어지는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모델링부; 상기 무산소조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부; 상기 호기조에서 하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각각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는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에 의해 미생물 반응시간이 조절되는 반응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폐수, 공장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 등(이하 '하수'라고 한다)에는 부유물 외에 각종 유기물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그대로 포함된 상태에서 하수가 하천에 방류된다면 조류가 대량 증식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천에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면, 대량 증식된 조류로 인해 수중에 산소와 햇빛이 부족하게 되어 하천에 서식하는 대부분의 동식물이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수를 하천에 방류하기 전에 하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 특히 질소, 인 등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하수에 포함된 질소, 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하수처리공법 중 대표적인 생물학적 공법으로 A20공법이 있다. A20공법에서는 최초 침전조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하수 등의 유입수가 복수의 반응조, 즉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및 침전조를 차례로 거치면서 질소, 인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종래 반응조는 설계시 반응조 체류시간이 결정되므로 상황 변화, 예를 들어 수온 변화, 유입수 유량 변화 등에 따라 충분한 미생물 반응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원활한 수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수온이 낮아져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도가 저하되므로 하절기보다 긴 미생물 반응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에는 호기조 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없어 호기조 내 질산화 미생물의 농도를 높여 대처하였다. 하지만, 과도한 미생물 증식은 침전조, 탈수기 등의 후속 공정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황 변화에 따라 질산화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탈질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 개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미생물 농도를 일괄적으로 조절하면 무산소조 또는 호기조에서 미생물이 필요 이상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미생물 증식은 원하는 시점에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도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응조별 최적의 미생물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수가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차례로 거치면서 하수 처리되고 슬러지 혼합액의 내부반송 및 외부반송이 이루어지는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모델링부; 상기 무산소조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부; 상기 호기조에서 하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각각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는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에 의해 미생물 반응시간이 조절되는 반응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델링부는 다중회귀모델에 의해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에 수용된 하수의 질산이온(NO3 -) 농도를 측정하는 질산이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산이온센서에서 측정된 질산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호기조에 수용된 하수의 암모늄이온(NH4 +)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늄이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늄이온센서에서 측정된 암모늄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 상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배출구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배출구; 및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출구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모델링단계; 및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각각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델링단계에서는 다중회귀모델에 의해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5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Y1 = 0.004633 × A1 - 0.01931 × A2 + 0.000652 × A3 - 0.20994 × A4 + 0.00001364 × A5 - 2.41546 × A6 + 6.819807
(수학식 2)
Y2 = 0.026868 × A1 + 0.002917 × A3 - 0.15481 × A4 - 0.2661 × A7 + 0.00000262 × A8 - 8.69565 × A9 + 62.28522
(수학식 3)
A1 = B1 / C
(수학식 4)
A2 = B2 / C
(수학식 5)
A3 = B3 / C
(Y1: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our), Y2: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our), A1: 잉여슬러지 인발율(%), A2: 내부반송율(%), A3: 외부반송율(%), A4: 슬러지 체류시간(SRT)(day), A5: 무산소조에 유입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6: 무산소조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7: 호기조의 용존산소 농도(mg/ℓ), A8: 호기조에 유입되는 하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A9: 호기조에서 유출되는 처리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B1: 잉여슬러지 인발 양(㎥/day), B2: 내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B3: 외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C: 하수처리장치에 유입되는 유입수 양(㎥/day))
상기 유량조절단계 이후에, 상기 무산소조에 수용된 하수의 질산이온(NO3 -) 농도를 측정하는 질산이온농도 측정단계; 및 상기 질산이온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질산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키는 무산소조 유량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단계 이후에, 상기 호기조에 수용된 하수의 암모늄이온(NH4 +)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늄이온농도 측정단계; 및 상기 암모늄이온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암모늄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키는 호기조 유량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산소조 및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각각 산출한 후 반응조별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반응조별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일치하도록 각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하수 또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반응조별 최적의 미생물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절기에 수온이 낮아져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도가 저하되면, 호기조 내 질산화 미생물의 농도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호기조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최적의 질산화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무산소조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과 호기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탈질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질산화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응조별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수질 데이터 등을 기초로 다중회귀모델, ASM간략화모델 또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응조별 측정된 미생물 반응물질의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해당 반응조의 미생물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해당 반응조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유량조절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유량조절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유량조절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유량조절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는 혐기조(100), 무산소조(110), 호기조(120) 및 침전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처리장치(10)에 유입된 하수, 즉 유입수는 혐기조(100), 무산소조(110), 호기조(120) 및 침전지(130)를 차례로 거치면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혐기조(100)의 전단과 침전지(130)를 연결하는 외부반송부(150)를 통해 침전지(130)에 수용된 슬러지 혼합액, 즉 슬러지가 혼합된 하수가 혐기조(100)의 전단으로 반송되어 유입수에 혼합될 수 있고, 무산소조(110)와 호기조(120)를 연결하는 내부반송부(160)를 통해 호기조(120)에 수용된 슬러지 혼합액이 무산소조(110)로 반송되어 무산소조(110)에 수용된 하수에 혼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와 비교하여 침전지(130) 대신에 호기조(120)에 침지막(121)이 구비되고 슬러지저류조(14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차이 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수처리장치(10´)에 유입된 하수, 즉 유입수는 혐기조(100), 무산소조(110), 호기조(120) 및 침지막(121)를 차례로 거치면서 하수 처리될 수 있고, 침지막(121)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 혼합액은 슬러지저류조(140)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반송부(150)는 혐기조(100)의 전단과 슬러지저류조(14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는 모델링부(200), 질산이온센서(210), 암모늄이온센서(220), 제1 유량조절부(300), 제2 유량조절부(400) 및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델링부(200)는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 및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반응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이란 해당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미생물 반응물질 농도가 기 설정값, 예를 들어 처리수에 요구되는 기준 농도가 될 수 있는 수리학적 체류시간(HRT, hydraulic retention time)을 의미할 수 있다.
모델링부(200)는 다중회귀모델에 의해 반응조별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Y1 = 0.004633 × A1 - 0.01931 × A2 + 0.000652 × A3 - 0.20994 × A4 + 0.00001364 × A5 - 2.41546 × A6 + 6.819807
(수학식 2)
Y2 = 0.026868 × A1 + 0.002917 × A3 - 0.15481 × A4 - 0.2661 × A7 + 0.00000262 × A8 - 8.69565 × A9 + 62.28522
(수학식 3)
A1 = B1 / C
(수학식 4)
A2 = B2 / C
(수학식 5)
A3 = B3 / C
상기 수학식 1 내지 5에서, Y1은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 (hour), Y2는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our), A1은 잉여슬러지 인발율(%), A2는 내부반송율(%), A3는 외부반송율(%), A4는 슬러지 체류시간(SRT)(day), A5는 무산소조(110)에 유입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6는 무산소조(110)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7는 호기조(120)의 용존산소 농도(mg/ℓ), A8는 호기조(120)에 유입되는 하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A9는 호기조(120)에서 유출되는 처리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B1는 잉여슬러지 인발 양(㎥/day), B2는 내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B3는 외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C는 하수처리장치(10)에 유입되는 유입수 양(㎥/day)을 의미할 수 있고, 이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 반응조에 설치된 각종 센서 등을 통해 계측될 수 있다.
질산이온센서(210)는 무산소조(110)에 수용된 하수의 질산이온(NO3 -)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암모늄이온센서(220)는 호기조(120)에 수용된 하수의 암모늄이온(NH4 +)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유량조절부(300)는 무산소조(110)에 설치되어 무산소조(110)에서 호기조(120)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유량조절부(300)에 의해 무산소조(110)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하면, 무산소조(110)에 수용된 하수의 용량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산소조(11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무산소조(110)는 제1 유량조절부(300)에 의해 미생물 반응시간이 조절되는 반응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유량조절부(400)는 호기조(120)에 설치되어 호기조(120)에서 하수 처리되어 침지막(121) 또는 침전지(130)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유량조절부(400)에 의해 호기조(12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면, 호기조(120)에 수용된 하수의 용량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호기조(12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호기조(120)는 제2 유량조절부(400)에 의해 미생물 반응시간이 조절되는 반응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제1 유량조절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유량조절부(300)는 제1 배출구(310) 및 댐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310)는 무산소조(110)의 측벽 상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무산소조(110)에 수용된 하수의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댐 플레이트(320)는 무산소조(110)의 측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배출구(310)의 개도율을 조절함으로써 무산소조(110)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댐 플레이트(320)는 무산소조(110)에 탑재되는 윈치, 유압실리더, 랙엔피니언장치 등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유량조절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유량조절부(300)는 복수 개의 제2 배출구(330) 및 댐퍼(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배출구(330)는 무산소조(110)의 측벽 하단에 형성됨으로써 무산소조(110)에 수용된 하수의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댐퍼(340)는 복수 개의 제2 배출구(330)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 개의 제2 배출구(330)를 개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무산소조(110)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340)는 무산소조(110)에 탑재되는 모터, 유압실린더 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유량조절부(400)는 호기조(120)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제1 유량조절부(300)와 마찬가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0)는 모델링부(200), 질산이온센서(210) 및 암모늄이온센서(220)에서 산출 또는 측정된 수치를 기초로 제1 유량조절부(300) 및 제2 유량조절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무산소조(11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모델링부(200)에서 산출된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일치하도록 제1 유량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무산소조(11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모델링부(200)에서 산출된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일치하게 조절된 후에도 질산이온센서(210)에서 측정된 질산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무산소조(110)의 탈질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1 유량조절부(300)를 제어하여 무산소조(11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호기조(12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모델링부(200)에서 산출된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일치하도록 제2 유량조절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호기조(12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모델링부(200)에서 산출된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일치하게 조절된 후에도 암모늄이온센서(220)에서 측정된 암모늄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호기조(120)의 질산화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2 유량조절부(400)를 제어하여 호기조(120)의 실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치(10´)를 이용할 수 있고, 모델링단계(S100), 유량조절단계(S110), 질산이온농도 측정단계(S120), 무산소조 유량보정단계(S130), 암모늄이온농도 측정단계(S140) 및 호기조 유량보정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 및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00). 무산소조(110) 및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의 산출 방법은 모델링부(200)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1 유량조절부(300)를 제어하여 무산소조(110)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모델링단계(S100)에서 산출된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제2 유량조절부(400)를 제어하여 호기조(120)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모델링단계(S100)에서 산출된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S110).
한편, 무산소조(110)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절한 후에는, 무산소조(110)에 수용된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S120), 측정된 질산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무산소조(110)의 탈질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제1 유량조절부(300)를 제어하여 무산소조(110)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무산소조(11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S130). 이와 마찬가지로, 호기조(120)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절한 후에는, 호기조(120)에 수용된 하수의 암모늄이온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S140), 측정된 암모늄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호기조(120)의 질산화 미생물의 반응시간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제2 유량조절부(400)를 제어하여 호기조(120)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호기조(120)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S150).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10´: 하수처리장치
100: 혐기조
110: 무산소조
120: 호기조
121: 침지막
130: 침전지
140: 슬러지저류조
150: 외부반송부
160: 내부반송부
200: 모델링부
210: 질산이온센서
220: 암모늄이온센서
300: 제1 유량조절부
310: 제1 배출구
320: 댐 플레이트
330: 제2 배출구
340: 댐퍼
400: 제2 유량조절부
500: 제어부
100: 혐기조
110: 무산소조
120: 호기조
121: 침지막
130: 침전지
140: 슬러지저류조
150: 외부반송부
160: 내부반송부
200: 모델링부
210: 질산이온센서
220: 암모늄이온센서
300: 제1 유량조절부
310: 제1 배출구
320: 댐 플레이트
330: 제2 배출구
340: 댐퍼
400: 제2 유량조절부
500: 제어부
Claims (12)
- 유입수가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차례로 거치면서 하수 처리되고 슬러지 혼합액의 내부반송 및 외부반송이 이루어지는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모델링부;
상기 무산소조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조절부;
상기 호기조에서 하수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각각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는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에 의해 미생물 반응시간이 조절되는 반응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다중회귀모델에 의해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5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수학식 1)
Y1 = 0.004633 × A1 - 0.01931 × A2 + 0.000652 × A3 - 0.20994 × A4 + 0.00001364 × A5 - 2.41546 × A6 + 6.819807
(수학식 2)
Y2 = 0.026868 × A1 + 0.002917 × A3 - 0.15481 × A4 - 0.2661 × A7 + 0.00000262 × A8 - 8.69565 × A9 + 62.28522
(수학식 3)
A1 = B1 / C
(수학식 4)
A2 = B2 / C
(수학식 5)
A3 = B3 / C
(Y1: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our), Y2: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our), A1: 잉여슬러지 인발율(%), A2: 내부반송율(%), A3: 외부반송율(%), A4: 슬러지 체류시간(SRT)(day), A5: 무산소조에 유입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6: 무산소조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7: 호기조의 용존산소 농도(mg/ℓ), A8: 호기조에 유입되는 하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A9: 호기조에서 유출되는 처리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B1: 잉여슬러지 인발 양(㎥/day), B2: 내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B3: 외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C: 하수처리장치에 유입되는 유입수 양(㎥/da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에 수용된 하수의 질산이온(NO3 -) 농도를 측정하는 질산이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산이온센서에서 측정된 질산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조에 수용된 하수의 암모늄이온(NH4 +)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늄이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늄이온센서에서 측정된 암모늄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된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 상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배출구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배출구; 및
상기 무산소조 또는 상기 호기조의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출구를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1항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모델링단계; 및
상기 제1 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각각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단계에서는 다중회귀모델에 의해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5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방법.
(수학식 1)
Y1 = 0.004633 × A1 - 0.01931 × A2 + 0.000652 × A3 - 0.20994 × A4 + 0.00001364 × A5 - 2.41546 × A6 + 6.819807
(수학식 2)
Y2 = 0.026868 × A1 + 0.002917 × A3 - 0.15481 × A4 - 0.2661 × A7 + 0.00000262 × A8 - 8.69565 × A9 + 62.28522
(수학식 3)
A1 = B1 / C
(수학식 4)
A2 = B2 / C
(수학식 5)
A3 = B3 / C
(Y1: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our), Y2: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hour), A1: 잉여슬러지 인발율(%), A2: 내부반송율(%), A3: 외부반송율(%), A4: 슬러지 체류시간(SRT)(day), A5: 무산소조에 유입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6: 무산소조에서 유출되는 하수의 질산이온 농도(mg/ℓ), A7: 호기조의 용존산소 농도(mg/ℓ), A8: 호기조에 유입되는 하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A9: 호기조에서 유출되는 처리수의 암모늄이온 농도(mg/ℓ), B1: 잉여슬러지 인발 양(㎥/day), B2: 내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B3: 외부반송 되는 슬러지 혼합액 양(㎥/day), C: 하수처리장치에 유입되는 유입수 양(㎥/day))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단계 이후에,
상기 무산소조에 수용된 하수의 질산이온(NO3 -) 농도를 측정하는 질산이온농도 측정단계; 및
상기 질산이온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질산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무산소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키는 무산소조 유량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단계 이후에,
상기 호기조에 수용된 하수의 암모늄이온(NH4 +) 농도를 측정하는 암모늄이온농도 측정단계; 및
상기 암모늄이온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암모늄이온 농도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상기 모델링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호기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초과하도록 증가시키는 호기조 유량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2328A KR20170123396A (ko) | 2016-04-28 | 2016-04-28 |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2328A KR20170123396A (ko) | 2016-04-28 | 2016-04-28 |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3396A true KR20170123396A (ko) | 2017-11-08 |
Family
ID=6038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2328A KR20170123396A (ko) | 2016-04-28 | 2016-04-28 |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339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65974A (zh) * | 2022-12-14 | 2023-05-26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污水处理工艺的曝气控制方法、系统、终端及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9546A (ko) * | 2003-10-23 | 2005-04-29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하수 처리 시스템 |
KR101479513B1 (ko) * | 2014-06-17 | 2015-01-07 | 코오롱엔솔루션(주) |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 통합운영 제어장치 |
-
2016
- 2016-04-28 KR KR1020160052328A patent/KR2017012339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9546A (ko) * | 2003-10-23 | 2005-04-29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하수 처리 시스템 |
KR101479513B1 (ko) * | 2014-06-17 | 2015-01-07 | 코오롱엔솔루션(주) |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 통합운영 제어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상하수도협회. 하수도시설기준. 2011, p.400, 514.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65974A (zh) * | 2022-12-14 | 2023-05-26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污水处理工艺的曝气控制方法、系统、终端及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4043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itrogen removal in wastewater treatment | |
KR100935916B1 (ko) | 2단 반응조를 갖는 고도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JP3961835B2 (ja) | 下水処理場水質制御装置 | |
KR100873416B1 (ko) | 연속 회분식 반응조의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
CN107074598B (zh) | 废水处理操作方法 | |
Miller et al. | A/B process pilot optimized for nitrite shunt: High rate carbon removal followed by BNR with ammonia-Based cyclic aeration control | |
JP5956372B2 (ja) |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 |
KR101044826B1 (ko) | 막 여과 생물반응조의 고도처리 효율을 높이는 운전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고도처리장치 | |
JP2015104712A (ja) | 下水処理設備及び下水処理方法 | |
KR20170123396A (ko) |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
JP2018111061A (ja) | 窒素除去システムおよび窒素除去方法 | |
JP6369245B2 (ja) | 汚泥濃縮方法 | |
JP7039201B2 (ja) | 送風量制御装置、送風量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102209323B1 (ko) |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 |
KR20170142916A (ko) |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 |
Carrio et al. |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design of a step-fe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system | |
JP2018103113A (ja) |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排水処理方法 | |
US20040144718A1 (en) | Process and plant for cleaning waste water | |
deBarbadillo et al. |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design of a step-fe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system | |
KR100882228B1 (ko) | 과염소산염을 포함한 폐수의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 |
Larrea et al. | Optimizing and modelling nitrogen removal in a new configuration of the moving-bed biofilm reactor process | |
KR20150116646A (ko) |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의 제어장치와 그 하폐수 처리장의 제어 방법 | |
CN217757184U (zh) | 一种基于季节变化调整的渗滤液处理系统 | |
KR101186859B1 (ko) | 반응조별 반응조절조를 구비한 하수 및 오수고도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2239139B1 (ko) | 미생물의 비산소소비속도를 이용한 회분식 수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회분식 수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