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083A -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083A
KR20170123083A KR1020160052293A KR20160052293A KR20170123083A KR 20170123083 A KR20170123083 A KR 20170123083A KR 1020160052293 A KR1020160052293 A KR 1020160052293A KR 20160052293 A KR20160052293 A KR 20160052293A KR 20170123083 A KR20170123083 A KR 20170123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mill
user
game
cent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507B1 (ko
Inventor
차무현
김진균
박영준
서자호
이한민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5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9Field sensors, e.g. rada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드밀(treadmill)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트레드밀 기기에 대하여 단일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한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 기기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위치하여 운동을 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트레드밀의 벨트 하부의 전후단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로드셀을 배치하여 각 사용자들의 무게중심을 측정하고,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맞추어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가상현실 또는 게임장치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있고 실감나는 경주나 게임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Treadmill for multiplayer}
본 발명은 트레드밀(treadmill)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트레드밀 기기에 대하여 단일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한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 기기들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한 동시에,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맞추어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가상현실 또는 게임장치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있고 실감나는 경주나 게임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드밀은, 이른바 러닝머신이라 불리는 운동기구로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실내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반 가정이나 스포츠센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트레드밀은, 기존의 러닝머신과 같이 단순히 한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것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전방향 이동 플랫폼의 형태로 구성되는 트레드밀이 제시되어, 비단 러닝머신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체험이나 게임과 같은 민간 분야에서부터 훈련용 시뮬레이션을 위한 군사분야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트레드밀에 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먼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438호에 따르면, 가상현실 게임 등에 이용되는 트레드밀에 있어서, 복수의 볼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행과 열 구조로 배열되는 볼어레이; 상기 볼어레이의 볼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프레임; 열 단위의 볼들을 제 1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1구동축을 가지는 제 1 구동유닛; 및 행 단위의 볼들을 제 2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 2 구동축을 가지는 제 2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가상현실 게임 등을 수행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걷기, 뛰기, 점프 등을 전방향에 걸쳐 안정되게 구현함과 함께 사용자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방향 트레드밀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트레드밀에 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4513호에 따르면, 제 1 축방향을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하는 제 1 옴니패드를 가지는 제 1 트레드밀; 상기 제 1 트레드밀 내측에서 상기 제 1 트레드밀과 직교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축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방향을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하는 제 2 옴니패드를 가지는 제 2 트레드밀; 및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드밀 중 어느 하나의 트레드밀을 나머지 하나의 트레드밀에 탄력적으로 가압시키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여, 제 1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 구동하는 제 1 트레드밀과 제 2 방향을 따라 정/역회전 구동하는 제 2 트레드밀이 상호 면 마찰 상태로 직교 커플링(orthogonal coupling) 되도록 배치하여 상호 간섭없이 독립적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방향 직교트레드밀 장치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트레드밀에 관한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872호에 따르면, 트랙 설치홈이 형성된 트랙 베드 및 상기 트랙 설치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트랙 베드에는 상기 트랙 설치홈이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트랙 베드가 인접한 다른 트랙 베드에 형성된 위치고정홈과 맞물리도록 상기 트랙 베드의 일측면에 형성된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여, 트랙의 높이와 트랙 베드의 높이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함으로써 트랙 위에서 런닝 또는 걷기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런닝 또는 걷기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것에 의해 보다 안정된 느낌을 가지고 런닝 또는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트랙을 구비한 트레드밀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트레드밀에 관한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특허 WO 2012/016132호에 따르면,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면을 가지는 연속 루프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로빔과, 연속 루프를 구동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고 복수의 가로빔에 결합되는 가로빔 구동 메커니즘과, 각각의 가로빔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기고 그 아랫면에서 각각의 인접 가로빔 사이를 지나가는 단일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단일의 컨베이어벨트만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무한 트레드밀을 서로 부착하여 탱크의 트레드처럼 이동시키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벨트 전방위 트레드밀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트레드밀에 대한 여러 가지 기술내용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트레드밀들은,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즉, 1인당 1대의 기기가 필요하므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그만큼 많은 대수의 기기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을 이용한 기기들은, 하나의 기기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함으로 인해, 여러 사람이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이른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함으로 인해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그만큼 많은 대수의 기기가 필요한 문제가 있는데 더하여, 그로 인해 여러 사람이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는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데 더하여, 해당 사용자들이 함께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438호 (2015.11.18.)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4513호 (2015.05.26.)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872호 (2012.03.05.)
4. 국제 공개특허 WO 2012/016132호 (2012.02.0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1인당 1대의 기기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트레드밀의 설치 및 운영에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여러 사람이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 가능한 동시에,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가상현실 또는 게임장치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있고 실감나는 경주나 게임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트레드밀의 사용자들이 함께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2명 이상이 동시에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있어서, 트레드밀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 상기 발판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발판의 하부에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셀; 상기 발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및 각각의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하중의 분포에 근거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 COP)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의 위치 및 운동속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 및 상기 트레드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마다 상기 발판의 상단과 하단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2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로드셀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마다 상기 발판의 상단, 중심 및 하단 부분에 3열로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의 중심을 (X = 0, Y = 0) 이라 하고, 상기 발판의 중심(X = 0, Y = 0)에 대하여 상기 발판의 양단 측에 제 1 로드셀 및 제 2 로드셀이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할 때, 이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중심(COP)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1은 상기 중심(X = 0)에서 상기 제 1 로드셀까지의 거리, X2는 상기 중심(X = 0)에서 상기 제 2 로드셀까지의 거리, Y1은 상기 중심(Y = 0)에서 상기 제 1 로드셀까지의 거리, Y2는 상기 중심(Y = 0)에서 상기 제 2 로드셀까지의 거리, F1은 상기 제 1 로드셀에 인가된 하중, F2는 상기 제 2 로드셀에 인가된 하중을 각각 의미함)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각 사용자의 압력중심(COP)의 위치(X, Y)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발판의 중심보다 앞쪽일수록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가 빠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트레드밀의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발판의 중심보다 뒤쪽일수록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가 느린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트레드밀의 속도를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이용하여 전체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을 구하고, 전체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에 근거하여 상기 트레드밀의 속도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비교하여, 가장 느린 사용자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가장 빠른 사용자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전체 사용자들의 협력 또는 경쟁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드밀은,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가상현실이나 게임화면을 포함하는 영상이나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을 통하여 육상 트랙이나 달리기 코스를 포함하는 영상이나 그래픽을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달리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트레드밀은, 각각의 사용자가 달리는 모습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달리는 모습을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에 표시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이 달리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발판, 상기 로드셀, 상기 롤러,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벨트가 각각의 사용자별로 설치되어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트랙을 형성하여 각 트랙별로 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일의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의 속도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운동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드밀은, 각각의 사용자들이 운동하는 동안 각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현재 순위 표시와 자신이 달리는 모습을 포함하는 경주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경쟁하거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각 트랙을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방향 트레드밀의 형태로 형성하고, PC나 게임 콘솔(game console)을 포함하는 별도의 게임 제공수단과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을 연결하여, 상기 게임 제공수단에서 구동되는 게임의 입력수단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실제 몸을 움직이는 대로 게임 속에서의 움직임을 구현 가능하여 단일의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보다 실감나고 흥미있는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플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을 구동하기 위한 게임 콘솔(game console) 또는 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게임구동부; 상기 게임구동부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게임구동부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에 기재된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 게임시스템이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플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플레이 게임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에 기재된 멀티플레이 게임시스템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게임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레이 게임 시스템을 통하여 게임을 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 게임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 가능한 동시에,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이 제공됨으로써,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1인당 1대의 기기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트레드밀의 설치 및 운영에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 가능하고,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가상현실 또는 게임장치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있고 실감나는 경주나 게임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트레드밀의 사용자들이 함께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이 제공됨으로써,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여러 사람이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서 수직하중 분포를 이용하여 압력중심(COP)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1인당 1대의 기기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트레드밀의 설치 및 운영에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여러 사람이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 가능한 동시에,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가상현실 또는 게임장치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있고 실감나는 경주나 게임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트레드밀의 사용자들이 함께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트레드밀(10)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트레드밀(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10)은, 크게 나누어, 트레드밀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1)에 설치되는 발판(12)과, 발판(12)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발판(12)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셀(13)과, 발판(12)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롤러(14)와, 롤러(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5)와,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16) 및 각각의 로드셀(13)에 의해 측정된 하중에 근거하여 구동모터(15)를 제어하고 트레드밀(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메인프레임(11) 및 발판(12)은, 적어도 2명 이상이 동시에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1인용 트레드밀 기기들에 비해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롤러(14) 및 벨트(16)의 크기도 이에 맞추어 형성되며, 상기한 구동모터(15)도 설계시에 설정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운동 가능하도록 충분한 용량을 가지는 모터를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메인프레임(11), 발판(12), 롤러(14) 및 벨트(16)가, 3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3인용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로드셀(13)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마다 발판(12)의 상단과 하단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2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발판(12)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된 각각의 로드셀로부터 측정된 하중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운동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메인프레임(11), 발판(12), 롤러(14) 및 벨트(16)가 3인용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로드셀(13)이 발판(12)의 상단과 하단에 2열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 예를 들면, 상기한 로드셀(13)이 발판(12)의 가로와 세로에 대하여 상단, 중심 및 하단의 3열로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로드셀(13)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마다 발판(12)의 상단과 하단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2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치된 각각의 로드셀(13)들로부터 측정된 하중의 분포에 근거하여,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 COP)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 및 운동속도를 파악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10)에서 수직하중 분포를 이용하여 압력중심(COP)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어부(17)는, 각각의 로드셀(13)들로부터 측정된 하중을 수신하고 하중분포에 따라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산출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한 압력중심(COP)의 산출은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기한 [수학식 1]에 있어서, 발판(12)의 중심을 (X = 0, Y = 0) 이라 할 때, X1은 중심(X = 0)에서 제 1 로드셀(41)까지의 거리, X2는 중심(X = 0)에서 제 2 로드셀(42)까지의 거리, Y1은 중심(Y = 0)에서 제 1 로드셀(41)까지의 거리, Y2는 중심(Y = 0)에서 제 2 로드셀(42)까지의 거리, F1은 제 1 로드셀(41)에 인가된 하중, F2는 제 2 로드셀(42)에 인가된 하중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한 제어부(17)는, 산출된 각 사용자의 압력중심(COP)의 위치(X, Y)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위치가 발판(12)의 중심보다 앞쪽이면 사용자의 운동속도가 트레드밀(10) 보다 빠른 것으로 판단하여 트레드밀(10)의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구동모터(15)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발판(12)의 중심보다 뒤쪽인 경우는 사용자의 운동속도가 트레드밀(10) 보다 느린 것으로 판단하여 트레드밀(10)의 속도를 감소하도록 구동모터(15)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17)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종합하여 전체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을 구하고, 이에 맞추어 전체 사용자의 평균속도에 맞도록 트레드밀(10)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제어부(17)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비교하여, 예를 들면, 가장 느린 사용자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가장 빠른 사용자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전체 사용자들의 협력 또는 경쟁을 유도하여 일종의 경주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10)과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5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10)의 다른 구성예로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가상현실 스크린(51)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50)은, 예를 들면, 가상현실 스크린(51)을 통하여 육상 트랙이나 달리기 코스 등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달리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달리는 모습을 가상현실 스크린(51)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달리는 모습을 보면서 효과적으로 자세 교정 등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50)은, 예를 들면, 레이싱 게임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들이 달리기를 하도록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의 하중 분포에 의한 압력중심(COP)을 구하는 것에 의해 각 사용자의 달리기 속도를 파악하여 가상현실 스크린(51)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현재 순위 표시 등을 포함하는 경주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플레이 기능을 위하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사용자마다 개별적으로 속도제어가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6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60)은, 상기한 발판(12), 로드셀(13), 롤러(14), 구동모터(15) 및 벨트(16)를 사용자의 수에 각각 맞추어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트랙(61)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운동속도를 각 트랙별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60)을 이용하면, 단일의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의 속도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운동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보다 실감나고 원활한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60)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60)에 가상현실 스크린(71)을 설치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달리는 속도에 따라 순위 및 경주에 대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일종의 멀티플레이 레이싱 게임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PC나 별도의 게임장치 등을 가상현실 스크린(71)과 연결하고, 상기한 트레드밀(60)의 각 트랙을, 예를 들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방향 트레드밀의 형태로 구성하여 PC나 게임장치에서 구동되는 게임의 입력수단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실제 몸을 움직이는 대로 게임 속에서의 움직임을 구현 가능하여 단일의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보다 실감나고 흥미있는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기존의 키넥트(Kinect)와 같이, 모션인식에 기반한 게임장치의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는 기능이 없어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모션을 취하는 것이 전부이므로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종래의 모션인식 기반 장치들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관절을 감지하여 움직임이나 자세와 같은 모션을 인식함으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플레이시 다른 사용자에 가려지거나, 둘 이상의 사용자의 동작이 겹쳐져 인식되는 등으로 인해 정확한 모션 인식이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이용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플레이히는 경우에도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정확한 동작 인식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실감나는 가상현실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멀티플레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방향 트레드밀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원리 등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종래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한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 가능한 동시에,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이 제공됨으로써,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1인당 1대의 기기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트레드밀의 설치 및 운영에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의 트레드밀상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 가능하고, 각각의 사용자별로 측정된 무게중심에 근거하여 전체 사용자들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나 가상현실 또는 게임장치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흥미있고 실감나는 경주나 게임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트레드밀의 사용자들이 함께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이 제공됨으로써, 하나의 트랙당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여러 사람이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서 함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트레드밀의 문제점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50, 60.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11. 메인프레임 12. 발판
13. 로드셀 14. 롤러
15. 구동모터 16. 벨트
17. 제어부 41. 제 1 로드셀
42. 제 2 로드셀 51. 가상현실 스크린
61. 트랙 71. 가상현실 스크린

Claims (14)

  1. 적어도 2명 이상이 동시에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에 있어서,
    트레드밀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발판;
    상기 발판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발판의 하부에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셀;
    상기 발판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및
    각각의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하중의 분포에 근거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 COP)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의 위치 및 운동속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 및 상기 트레드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마다 상기 발판의 상단과 하단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2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마다 상기 발판의 상단, 중심 및 하단 부분에 3열로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의 중심을 (X = 0, Y = 0) 이라 하고, 상기 발판의 중심(X = 0, Y = 0)에 대하여 상기 발판의 양단 측에 제 1 로드셀 및 제 2 로드셀이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할 때, 이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중심(COP)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Figure pat00003


    (여기서, X1은 상기 중심(X = 0)에서 상기 제 1 로드셀까지의 거리, X2는 상기 중심(X = 0)에서 상기 제 2 로드셀까지의 거리, Y1은 상기 중심(Y = 0)에서 상기 제 1 로드셀까지의 거리, Y2는 상기 중심(Y = 0)에서 상기 제 2 로드셀까지의 거리, F1은 상기 제 1 로드셀에 인가된 하중, F2는 상기 제 2 로드셀에 인가된 하중을 각각 의미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각 사용자의 압력중심(COP)의 위치(X, Y)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발판의 중심보다 앞쪽일수록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가 빠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트레드밀의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발판의 중심보다 뒤쪽일수록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가 느린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트레드밀의 속도를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이용하여 전체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을 구하고, 전체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에 근거하여 상기 트레드밀의 속도를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압력중심(COP)의 위치(X, Y)를 비교하여, 가장 느린 사용자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가장 빠른 사용자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전체 사용자들의 협력 또는 경쟁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가상현실이나 게임화면을 포함하는 영상이나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을 통하여 육상 트랙이나 달리기 코스를 포함하는 영상이나 그래픽을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달리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각각의 사용자가 달리는 모습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달리는 모습을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에 표시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이 달리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발판, 상기 로드셀, 상기 롤러,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벨트가 각각의 사용자별로 설치되어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트랙을 포함하여 각 트랙별로 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일의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의 속도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운동속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각각의 사용자들이 운동하는 동안 각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현재 순위 표시와 자신이 달리는 모습을 포함하는 경주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경쟁하거나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은,
    상기 각 트랙을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방향 트레드밀의 형태로 형성하고, PC나 게임 콘솔(game console)을 포함하는 별도의 게임 제공수단과 상기 가상현실 스크린을 연결하여, 상기 게임 제공수단에서 구동되는 게임의 입력수단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실제 몸을 움직이는 대로 게임 속에서의 움직임을 구현 가능하여 단일의 기기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보다 실감나고 흥미있는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13.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플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 게임시스템에 있어서,
    게임을 구동하기 위한 게임 콘솔(game console) 또는 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게임구동부;
    상기 게임구동부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게임구동부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수단은,
    청구항 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 게임시스템.
  14.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플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멀티플레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플레이 게임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3항에 기재된 멀티플레이 게임시스템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게임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레이 게임 시스템을 통하여 게임을 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레이 게임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60052293A 2016-04-28 2016-04-28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KR10180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93A KR101803507B1 (ko) 2016-04-28 2016-04-28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93A KR101803507B1 (ko) 2016-04-28 2016-04-28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83A true KR20170123083A (ko) 2017-11-07
KR101803507B1 KR101803507B1 (ko) 2017-11-30

Family

ID=6038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293A KR101803507B1 (ko) 2016-04-28 2016-04-28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506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션 기반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 장치,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62B1 (ko) 2017-11-15 2018-07-03 김재환 시공간 초월 온라인 탐방 운동 시스템
KR101968043B1 (ko) 2018-05-02 2019-08-28 브이알카버 주식회사 다중체험이 가능한 가상현실 인터랙션 모듈시스템
KR101893739B1 (ko) * 2018-06-14 2018-08-30 김재환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KR102187541B1 (ko) 2018-12-10 2020-12-07 강두환 다중체험이 가능한 가상현실 인터랙션 모듈시스템
US11452928B2 (en) 2019-07-02 2022-09-27 Jae Hwan Kim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exercising place
KR102498983B1 (ko) 2020-11-24 2023-02-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방향 이동식 트레드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25Y1 (ko) * 2007-02-05 2008-02-01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듀오 런닝머신
JP5312862B2 (ja) 2008-07-16 2013-10-09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506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션 기반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 장치,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507B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507B1 (ko)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트레드밀
US10493317B2 (en) Omnidirectional mo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3694267B2 (ja) 運動支援装置
Levac et al. Exploring children’s movement characteristics during virtual reality video game play
JP2020150987A (ja) 室内用有酸素運動装置、運動システム
US20070254778A1 (en) Exercise apparatuses, components for exercise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KR101780743B1 (ko)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는 싸이클링 시스템
US20060262120A1 (en) Ambulatory 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KR100483857B1 (ko)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JP5431650B2 (ja) ウォーキング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90186698A1 (en) Game Controller
WO2012111957A2 (ko) 곡선트랙 시뮬레이션 장치
WO2009149154A2 (en) Interactive physical activity and information-impart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85869A (ko) 수직 중력 방향으로 가속력을 스키선수의 산에서의 낙하, 회전, 감속의 주력 하중을 발생하는 엘리베이터형 모션 시뮬레이터 장치와 정밀 스키 제어 하중 및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스키 반력 다이나모 장치에 의한 가상 스키 시뮬레이터 기술과 가상스키의 네트웍 경주 스포츠를 위한 가상 스튜디오 vr 스키 인터넷 방송, 인터넷 관중의 경기 관람 서비스의 vr 가상현실 스포츠 플랫폼 기술
KR101579382B1 (ko) 축구게임을 이용한 인체의 균형감각 증진장치
US20210162291A1 (en) Bicycle simulator
EP2964349B1 (en) A training apparatus
Van Delden et al. Personalization of gait rehabilitation games on a pressure sensitive interactive LED floor
KR20130100517A (ko) 봅슬레이 시뮬레이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1288693B1 (ko) 진동을 이용한 동계 스포츠 시뮬레이터
KR101662635B1 (ko) 센서가 장착된 스케이트보드 및 이를 이용한 구름보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20090835A (ko) 인터랙티브 놀이 시스템
EP2252378A2 (en) Interactive exercising system
KR101364594B1 (ko) 사용자의 움직임과 모션 플랫폼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감형 스노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5412A (ko)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