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615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615A
KR20170122615A KR1020160051825A KR20160051825A KR20170122615A KR 20170122615 A KR20170122615 A KR 20170122615A KR 1020160051825 A KR1020160051825 A KR 1020160051825A KR 20160051825 A KR20160051825 A KR 20160051825A KR 20170122615 A KR20170122615 A KR 20170122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ircumferential surface
laundry
inner circumferential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2791B1 (en
Inventor
정재용
김근주
권오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791B1/en
Publication of KR2017012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7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which is configured to perform laundry in an inner portion of a sub drum separately from a main drum by detachably installing the sub drum in an inner portion of the main drum.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 for receiving washing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provid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tub; a second drum detachably provid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first drum, in which laundry is being washed by the second drum while the second drum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a first projection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and a second projection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and configured to be se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projection portion.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드럼의 내부에 서브 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 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 드럼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sub-drum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main drum so that washing in a sub-drum is separated from the main drum.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및 건조와 세탁을 함께 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Generall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for performing washing, a dryer for performing drying, and a drying and washing machine for drying and washing together.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한다.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used as a washing apparatu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accommodated in the cabinet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to accommodate the laundry, and a cabinet So that the laundry can be drawn in and out.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ivided into a top loading type in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a front loading type in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is arrange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In the front loading type,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rotating drum and the laundry and the fall impact of the laundry are recei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the state where the detergent, So that the laundry is washed by the drum washing method. The drum washing method has almost no damage to the laundry, the laundry is not tangled with each other, and the washing effect of tapping and rubbing can be obtained.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펄세이터 방식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In the top loading type, the rotating shaft of the drum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drum is provided inside the tub where the washing water is stored, and the washing machine is washed in a state where laundry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to the drum. Thereby performing washing. In the pulsator system, washing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or the lower part of the drum, and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forming the water stream, the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and the action of the detergent. Therefore, since washing can be performed only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shing water,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used.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 적어도 두 번의 세탁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횟수가 많아져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laundry is washed in one drum, that is, washing, rinsing and dewatering. Therefore, if the laundry is separated and washed according to the color or the material of the laundry,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increased because at least two washing processes must be performed, thereby wasting washing water, detergent and energy.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드럼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In recent years,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ub-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rum has appeared to improve this point.

하지만, 서브 드럼은 용량이 작고 와류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서브 드럼의 회전에 의한 와류 발생 빈도가 메인 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서브 드럼에 의한 세탁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sub drum has a small capacity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separate device for generating a vortex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vortex due to rotation of the sub drum is relatively low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main drum, There was a problem.

또한, 서브 드럼과 메인 드럼 간에 결합하는 부분이 비교적 좁은 부분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그 정확한 위치에 서브 드럼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mount the sub-drum at the precise position because the portion engaged between the sub-drum and the main drum is located in a relatively narrow portion.

또한, 서브 드럼은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속 회전 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진동하므로 메인 드럼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ub drum is not only vib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ime of high-speed rotation to perform the dewatering process, but also vib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 drum can be detached from the main drum.

또한,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에 각각 급수하는 경우, 메인 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와 서브 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가 별도로 요구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고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drum and the sub drum,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main drum 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ub drum are separately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volume of the clothes processing device and requires a large manufacturing cost.

또한, 서브 드럼에 의한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에서 간이 탈수를 포함한 탈수 과정 중 세탁수가 메인 드럼의 내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세탁물 중 오염의 정도가 낮은 세탁물이 오염이 심한 세탁물과의 함께 세탁되는 것에 의해 추가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오염의 정도가 낮은 세탁물을 메인 드럼에 의해 세탁되게 하고 오염이 심한 세탁물을 서브 드럼에 의해 세탁되게 하는 경우, 탈수 과정 동안 서브 드럼의 세탁수가 메인 드럼 내부로 배출되어 메인 드럼의 세탁물이 추가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main drum during the dewatering process including the simple dewatering in the washing process by the sub-drum, i.e., the washing process, the rinsing process and the dewatering process.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from being contaminated further by contaminated laundry, the laundry having a low degree of contamination is washed by the main drum, The washing water of the sub drum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main drum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to further contaminate the laundry of the main dru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드럼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메인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main drum and includes a sub drum in which laundry is separated from a main drum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제1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제2 드럼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를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a second 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the second dru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being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And at least one guide rib for guiding the wash water circulat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ib upward.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rib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 드럼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ri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 드럼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가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rib includes a rib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And a rib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vertical portion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상기 제2 드럼은 상기 가이드 리브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가이드된 세탁수의 낙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ation guid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ib to adjust a falling angle of the wash water guided by the guide rib.

상기 경사 가이드는 상기 제2 드럼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guide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상기 제2 드럼은 상부면에 세탁물 투입을 위한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 가이드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A laundry inlet for charging laundr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and the inclined guide may be provided inside the laundry inlet.

상기 제2 드럼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um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form a vortex of washing water.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은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 및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는 상기 근거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ㅣ.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by a first distance; And a remote portion spaced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and the at least one guide rib may be provided in the near portion.

상기 제2 드럼은 세탁물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해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마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may include a friction ri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so as to increase friction with the laundr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제2 드럼은 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2 드럼바디; 및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제2 드럼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includes a second drum body for receiving laundry and wash water; And a second drum cov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and having a laundry inlet for inputting laundry.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 드럼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제2 드럼바디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하측이 상기 제2 드럼바디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rib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one side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 드럼커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기 제2 드럼바디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가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rib includes a rib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drum cover; And a rib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vertical portion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상기 제2 드럼커버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측으로 가이드된 세탁수의 낙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cover may include an inclined guide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guide rib to adjust a falling angle of the washing water guided upward by the guide ribs.

상기 경사 가이드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드럼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guid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undry inlet and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또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제1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드럼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를 상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 및 상기 가이드 리브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가이드된 세탁수의 낙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Further,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second 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the second drum being wash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A guide rib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and guiding the wash water circulat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upward by a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cond drum rotates; And an inclination guid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guide rib to adjust a falling angle of the washing water guided by the guide ribs.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 및 상기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may have a first curvature portion formed to have a first curvature and a second curvature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curvature to form a vortex of the washing water.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1 곡률부로부터 상기 제2 드럼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ib may extend from the first curvature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drum.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2 드럼의 상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횡단면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guide rib may increase as the guide rib is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상기 가이드 리브는 유동하는 세탁물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rib may include a rib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to prevent the laundry from interfering with the flowing laundry.

또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제1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드럼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요철부에 맞물린 채 안착하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Further,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second 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the second drum being wash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A first irregular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And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and configured to be se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상기 제2 요철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And at least one groove portion form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rotrusion 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홈부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rotrusion and the groove may be curved.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홈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중력방향에 대해 10도 만큼 경사질 수 있다.The second concave-convex part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part connecting the protruding part and the groove part, and the inclined part may be inclined by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상기 제2 드럼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um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form a vortex of washing water.

상기 제2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이격부; 및 상기 제2 요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될 수 있다.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is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And an engaging portion having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상기 제1 드럼은 상기 제1 요철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드럼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한 이격부의 상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울임 방지부에 안착하는 제2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um includes a first inclination prevent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drum is seated on the first inclination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vertical vibration of the separating portion due to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And a second anti-tilt portion.

상기 돌기부는 7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may be spaced at intervals of 7 degrees.

상기 제1드럼은 상단부에 밸런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rum may have a balancer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first concavo-convex part may be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상기 제2 드럼은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한 경도상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um includes a handle for providing a space for a user to hol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may be provided on the same hardness as the handle.

또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제1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드럼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Further,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a second 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the second dru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being selectively detachable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clothes from the clothes discharging portion.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드럼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rum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flows into the drum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배출부는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를 통과한 세탁수를 감압시키는 감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check valve for selectively passing washing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decompression unit for decompressing the wash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check valve.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원심력에 의해 수축하는 수축부; 상기 수축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축부의 수축에 의해 개방되는 절개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heck valve comprises: a contraction part contra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a cutting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e shrinkage portion and opened by shrinkage of the shrinkage portion.

상기 절개홈은 상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수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action unit and rotat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상기 감압부는, 상기 체크밸브를 통과한 세탁수가 수집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세탁수가 통과하는 제1 관통홀; 상기 제1 관통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한 세탁수가 통과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compression unit includes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check valve;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wash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passes; And a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rough which wash water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수집부는, 상기 체크밸브를 통과한 세탁수가 수집되는 제1 수집부; 상기 제1 수집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수집부와 연통하는 제2 수집부; 상기 제2 수집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수집부와 연통하는 제3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check valve; A second collecting part provided above the first collecting pa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llecting part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third collect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collect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llecting unit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서로 다른 경도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may be formed on different hardnesses.

상기 제2 드럼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um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form a vortex of washing water.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은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by a first distance; And a remote unit spaced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을 결합 및 결합해제 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locking unit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상기 배출부는 상기 원거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in the remote unit.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걸림부; 및 상기 제2 드럼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인출시 상기 걸림부에 간섭되어 상기 제2 드럼의 상방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And a fixing unit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into and drawn out from the second drum and interfering with the engaging part when the first drum is drawn out to prevent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drum.

상기 록킹부는 일측이 상기 제2 드럼의 상측으로 노출된 채 상기 제2 드럼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하여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drum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one side of the second drum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rum. It can be withdrawn.

상기 록킹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랙; 및 상기 랙과 맞물리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한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인입 및 인출시키는 피니언;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ocking portion comprises: a rack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a pinion which engages with the rack, and which receives and draws the fixed portion by normal and reverse rotation in conjunction with a vertical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portion.

상기 피니언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피니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nion may include a pinion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liding portion to be rotatable.

상기 제2 드럼은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 providing a space for a user to grip, and the slid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to be drawn in and drawn out.

또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제1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 상기 제2 드럼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을 결합 및 결합해제 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Further,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second 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the second drum being wash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A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drum and discharging wash water when the magnitude of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of the second drum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 locking unit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제2 드럼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1 곡률부; 및 상기 제1 곡률부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제2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having a first curvatur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form a swirling 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curvature portion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ature portion.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곡률부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flows in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배출부는 상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를 통과한 세탁수를 감압시키는 감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 check valve including a cutt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And a decompression unit for decompressing the wash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check valve.

상기 제2 드럼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인입 및 인출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록킹부는 상기 작동부의 인입 및 인출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드럼 간의 결합 및 결합해제할 수 있다.And a grip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drum and having an operation portion for pulling in and pulling out at one side thereof. The locking portion is engaged and disengag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ums in conjunction with the pull-in and pull-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드럼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rum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와류발생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서브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브 드럼의 내부에서 와류를 충분히 발생시켜 세탁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rtex is sufficiently generated in the sub-drum by the rotation of the sub-drum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vortex generato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washing power.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돌기와 돌기를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상당히 넓게 분포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protrusions made of grooves for accommodating protrusions are widely distributed, the user can more easily mount the sub-drums to the correct positions of the main drums.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드럼의 고속 회전시 서브 드럼이 메인 드럼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파지하는 동작만으로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 결합 및 결합 해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oes the sub-drum not separate from the main drum during high-speed rotation of the sub-drum, but also provides an effect of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sub-drum with the main drum only by gripping the handle.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급수장치에 의해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Fourth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to the main drum and the sub drum by a single water supply device,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드럼의 고속 회전에 의한 탈수 시 세탁수를 메인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여 메인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추가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메인 드럼의 세탁과 서브 드럼의 세탁을 분리하여 진행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Fifth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drum during dewatering by high speed rotation of the sub drum to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in the main drum, thereby separating washing of the main drum and washing of the sub drum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2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드럼에 장착된 제2 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요철부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드럼커버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요철부를 설명하기 위해 제2 드럼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D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10은 록킹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록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drum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drum mounted on the first drum;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cover for explaining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to explain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BB line shown in Fig. 4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por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7 for explaining a discharge portion.
9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por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C line shown in Fig. 4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r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part.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20) 세척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cleaning the tub 20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nd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nstituent from another constituen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 "comprising", and the lik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4), 모터(14)에 연결되는 회전축(17), 회전축(17)에 연결되어 모터(14)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1 드럼(30), 제1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제1 드럼(30)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n opening to allow laundry to be loaded therein, a door 10, A tub 20 installed to store washing water in the cabinet 10; a motor 14 installed in the tub 2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 rotary shaft 17 connected to the motor 14; A first drum 30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7 to wash the laundry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14, a first drum 3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30, And a second drum 50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30.

본 명세서에서 세탁을 위한 세탁수와 도어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는 모두 세탁수라 칭하며, 제1 드럼(30)은 메인 드럼으로 명칭할 수 있으며 제2 드럼(50)은 서브 드럼으로 명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door are all referred to as washing water, and the first drum 30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drum and the second drum 50 may be referred to as a sub drum .

도 1에는 모터(14)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제1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shows a direct drive type structure in which a motor 14 is directly connected to a rotary shaft 17 to drive a first drum 30. Howev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does not.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The cabinet 1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nd includes a cabinet cover 11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for inputting laundry.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미도시)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제1 드럼(30) 및 제2 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제1 드럼(30) 및 제2 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The cabinet cover 1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abinet 10, and a door (not shown)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abinet 10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 laundry into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r remove the laundry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한편, 제1 드럼(30) 및 제2 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후술하게 될 제2 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제1 드럼(30)으로 급수되거나 제2 드럼(50)으로 급수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part 18 is provided in the cabinet cover 11 so as to supply clean water containing no detergent or clean water to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is supplied to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 20 selectively or to the second drum 50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um 50 Water.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커버(21)를 포함한다.The tub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art and is formed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while being provided in the cabinet 10. The tub 20 includes a tub cover 21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터브커버(21)는 제1 드럼(30) 및 제2 드럼(5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580)가 형성된다. The tub cover 21 is formed with a laundry inlet 58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abinet 10 so that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한편, 터브커버(21)는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터브커버(21)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버절곡부(21a)를 포함한다. The tub cover 21 includes a cover bent portion 21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undry inlet 580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tub cover 21. [

커버절곡부(21a)는 제1 드럼(30)의 회전력에 의해 터브(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한 세탁수가 제1 드럼(30)으로 인입되어 낙하하도록 한다. 이때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에 장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 bend portion 21a circul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um 30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be drawn into the first drum 30 to be dropped. At this time, the second drum 50 is preferably not mounted on the first drum 30.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제1 드럼(30)과 달리 모터(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도가능하다.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24 and a damper 23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 Furthe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is directly supported by the spring 24 and the damper 23, it can not rotate itself. Therefore, unlike the first drum 30, the tub 20 receives no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14. 1, the spring 24 and the damper 23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ring 24 and the damper 23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damper 23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and the spring 24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20 and vice versa.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0. The drainage device includes a drain pump 11 for supplying power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tub 20, a laundry pump 2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ne end of the tub 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1, A first drain pipe 12 for guiding the water to the drain pump 11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10 to supply the wash water from the drain pump 11 to the cabinet 10, And a second water pipe 13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The first drain pipe 12 may be formed of a bellows pipe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tub 20 is not transmitted to the drain pump 11.

드럼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드럼은 제1 드럼(30) 및 제1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드럼(50)으로 이루어진다.The drum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20, and the laundry is inserted therein. The drum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um 30 and a second drum 5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30.

제1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14)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이 직결되어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The first drum 3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rotating shaft 17 connected to a motor 14 composed of a rotor 15 and a stator 16 is directly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drum 30, (14).

제1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33)을 통하여 제1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제1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인입된다.The first drum 3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are formed on the sidewall, that is, the peripheral surface. The first drum 30 communicates with the tub 20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Accordingly,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20 at a certain level or more, the first drum 30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nd some washing water is drawn into the drum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제1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 드럼커버(31)를 포함한다. The first drum 30 includes a first drum cover 31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제1 드럼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드럼커버(31)의 상부면과 터브커버(21)의 하측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출유로(47)가 형성된다. 배출유로(47)는 제2 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가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The first drum cover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having a hollow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cover 21. A discharge passage 47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um cover 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cover 21. [ The discharge flow path 47 guides the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drum 50 to the inside of the tub 20.

제1 드럼커버(31)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제2 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1 드럼커버(31)는 제1드럼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The first drum cover 31 is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aundry can be inserted or the second drum 50 can be mounted. The first drum cover 31 is provided with a balancer 311 on the inner side for eliminating unbalance caused by the load of the laundry in the first drum.

또한, 제1 드럼커버(31)는 제2 드럼(50)이 탈착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5)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제1 드럼커버(31)는 제1 요철부(315)에 안착한 제2 드럼(50)의 고정부(93)를 간섭하여 제1 드럼(30)이 상부 이동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312)를 포함한다. 제1 요철부(315)와 걸림부(3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irst drum cover 31 includes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econd drum 50 can be detached. In addition, the first drum cover 31 is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93 of the second drum 50 mounted on the first concave / convex portion 315 to prevent the first drum 30 from moving upward, (312). Details of the first irregular portion 315 and the engaging portion 312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제2 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 drum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2 드럼(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표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제1 드럼(30)에 장착된 제2 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drum 50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5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제1 드럼(3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2 to 4, the second drum 5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um 30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drum 3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substantially elliptical cross- .

또한,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들 제1 드럼(30)과 제2 드럼(50)과 나누어 수용시킨 후 동시에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Also, the second drum 5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30 so as to perform washing. Accordingly, the laundry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by washing according to the color or the material, so that the laundry can be wash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s operated The washing water, the detergent and the energ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asted.

또한,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Also, since the second drum 5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drum 30 and rotates to perform wash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is not required.

제2 드럼(5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드럼바디(53), 제2 드럼바디(53)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드럼커버(51), 제2 드럼(50)의 고속회전시 제2 드럼(5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 및 제1 드럼(30)에 안착한 제2 드럼(50)을 제1 드럼(30)에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록킹부(90)를 포함한다.The second drum 50 includes a second drum body 5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 second drum cover 51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drum body 53, A discharge unit 70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drum 50 to the outside and a second drum 50 seated on the first drum 30 are disposed on the first drum 30 And a locking portion 90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제2 드럼바디(53)는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도록 마찰리브(534)가 구비된다. The second drum body 53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form a vortex of washing water, and a friction rib 534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water flow of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같은 탑 로딩 타입의 경우, 세제의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드럼의 회전 등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한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로 인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제2 드럼바디(53)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황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드럼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제2 드럼(50)은 타원형의 횡단면에 의해 세탁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op loading type such a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washing is performed by the action of the detergent, but also the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 Since the second drum body 53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the vortex is generated by rotation more effectively than the drum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ince the friction between the laundry and the laundry is increased by the vortex, the second drum 50 can increase the washing power by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한편, 제2 드럼바디(53)는 내주면을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4, the second drum body 53 has a first curvature portion C1 formed to have a first curvature and a second curvature portion C1 formed to have a second curvature smaller than the first curvature, (C2). ≪ / RTI >

제1 곡률부(C1)는 제2 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제1 드럼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is formed as a pair. The first curvature is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first drum cover (31).

제2 곡률부(C2)는 제2 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룬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urvature portions C1 to form a pair. The second curvatur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curvature.

또한, 제2 드럼바디(53)는 내주면은 제2 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제2 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is lar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drum 50 and the near portion C2 spaced a fir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drum 50 And a remote part C1 spaced apart by a second distance. The far portion C1 corresponds 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and the near portion C2 corresponds to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한편, 근거리부(C2)와 제1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near portion C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drum cover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ufficient distance, a first water supply passage 573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 중 제2 곡률부(C2)가 가리키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이 아닌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곡률부(C2) 보다 근거리부(C2)로 명칭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indicated by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designate it as the near portion C2 rather than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드럼바디(53) 및 제2 드럼커버(51) 각각의 일 부분을 위 용어를 사용하여 명칭한다.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the remote portion C1, the near portion C2, the engaging portion C1, and the spacing portion C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specific areas. If they are included in the specific area above, they are all labeled with the above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 part of each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the second drum cover 51 is named using the above terms.

한편, 제2 드럼바디(53)는 제1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제2 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제1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제1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며 제2 드럼(50)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um body 53 is not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s 33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50,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through holes 33 a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30. Therefore, the second drum body 53 can receive the washing water and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is not discharged into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Therefor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ub 20 is only drawn into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and is not drawn into the second drum 50.

마찰리브(534)는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제2 드럼바디(5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제2 드럼바디(53)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제2 드럼바디(53)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The friction ribs 534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extend upward and downward. The plurality of friction ribs 5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rum body 53. The friction rib 534 rotates the washing water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cond drum body 53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washing water when the second drum body 53 rotates.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friction rib 534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uide rib 531 to be described later.

제2 드럼커버(51)는 제2 드럼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횡단면이 제2 드럼바디(53)의 횡단면과 동일하다. The second drum cover 5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has a transverse section identical to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second drum body 53.

따라서, 제2 드럼커버(51)의 원주면 역시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로 구분되며, 제1 곡률부(C1)는 원거리부(C1)로 명칭할 수 있으며, 제2 곡률부(C2)는 근거리부(C2)로 명칭할 수 있다. 또한, 제2 드럼바디(53)의 제1 곡률부(C1) 및 제2 곡률부(C2)와 달리 제2 드럼커버(51)는 제1 곡률부(C1)가 제1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결합하므로 이격부(C2)로 명칭될 수 있으며, 제2 곡률부(C2)가 제1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이격부(C2)로 명칭될 수 있다.Therefo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is also divided into a first curvature portion C1 and a second curvature portion C2, and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can be referred to as a remote portion C1 ,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can be referred to as a near portion C2. Unlike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of the second drum body 53, the second drum cover 51 has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connected to the first drum cover 31,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is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cover 31.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may be referred to as a spacing C2.

제2 드럼커버(51)는 세탁물 투입을 위한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80),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 가이드(581),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제2 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제2 드럼(50)의 외측을 통해 제1 드럼(30)으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한다.The second drum cover 51 includes a laundry inlet 580 formed on an upper surface for loading laundry, a slope guide 581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undry inlet 580, a handle portion An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for guiding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to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50 and an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for guiding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to the second drum 50 An outer water guide 570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outside of the drum body 53 and a guide rib 531 for raising washing water circulating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upward.

손잡이부(510)는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한 쌍이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바디(511) 및 손잡이바디(51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부(971)를 포함한다. 작동부(971)는 후술하게 될 록킹부(90)의 제2 프레임(97)을 구성하는 제1 만곡부(971)이기도 하다.The handle 510 includes a handle body 511 formed by a pai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971). The operating portion 971 is also a first bend portion 971 constituting the second frame 97 of the locking portion 90 to be described later.

손잡이부(510)는 제2 드럼커버(51)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제1 드럼(30)으로부터 제2 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의 쏠림이 발생하는 경우, 제2 드럼(50)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제2 드럼(50)의 상하진동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The handle 51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curvature portion C1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at is, the remote portion C1. The second drum 50 can vibrate up and down when the washing water leaks due to an impact when the user separates the second drum 50 from the first drum 30. [ When the handle 51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C2, i.e., the near portion C2, the user must exert a lot of force to calibrate the vibration of the second drum 50, 510 are advantageously provided adjacent to the remote part C1.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한다,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nd is provided at the remote part C1, i.e., the engaging part C1.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ncludes a concave portion 561 and a water supply hole 562,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The concave portion 561 is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so that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18 is not scatt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do.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8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80)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80)로 가이드 됨에 따라,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제2 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2)를 형성한다. The water supply hole 56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561 toward the laundry inlet 580 so as to communicate the laundry inlet 580 and the recess 561. The water supply hole 562 is form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562 for guiding the wash water to the second drum 50. The water supply hole 562 is form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562).

이에 따라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제2 드럼커버(51)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2)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80)로 배출되어 제2 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oncave portion 561 and is not scattered around the second drum cover 51. Thereafter the water supply hole 562 or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562 To the laundry loading port 580 and guided into the second drum 50.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제2 드럼커버(51)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The concave portion 561 and the water supply hole 562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510 to maximiz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second drum cover 51.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제2 드럼커버(51)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구비된다. 즉,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제1 드럼(30) 및 제2 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provided in the second drum cover 51 and is provided in the near portion C2, that is, in the spacing C2. That is,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The second drum 5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drum 30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and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are located below the single water supply portion 18.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ingle water supply unit 18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even if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have.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제2 드럼커버(51)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바닥면이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이격부(C2)와 제1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제1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formed such that a corner portion of the spacing portion C2 is recessed inside the second drum cover 51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8 is supplied to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573 formed 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spacing C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um 30. [ .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제2 드럼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제2 드럼바이(53)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2 드럼바디(53) 내부의 세탁수는 제2 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다.The guide ribs 53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provid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nd extend downward. Further, the guide rib 531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thereof conta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In other words, the plate-shaped guide ribs 531 are engaged with the second drum cover on the upper side, and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ite 53.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drum body 53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um 50 and then rises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guide rib 531.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975)(532) 및 리브 수직부(975)(532)로부터 제2 드럼(50)의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guide ribs 531 extend from the rib vertical portions 975 and 532 and the rib vertical portions 975 and 5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o the second drum 50, And a rib inclined portion 533 extending downwardly sloping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portion 533.

리브 경사부(533)는 제2 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제2 드럼바디(53)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50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일측에 형성됨에 따라, 제2 드럼바디(53)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ib 531, the laundry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drum body 53 is less interfered with. Accordingly, the flow of the laundry is more smoothly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between laundry and increasing the washing power.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드럼(50)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드럼바디(53)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on the guide rib 531,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can be raised.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is higher than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drum body 53. Therefore, even if the rib inclined portion 533 is formed on the guide rib 531,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can be collided against the guide rib 531 and can be raised.

한편, 제2 드럼(50)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제2 드럼커버(51)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제2 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relatively low speed,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can be raised by arranging the guide ribs 531 in the near portion C2 of the second drum cover 51. [ The amount of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imaginary cross 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rum body 53 to the near portion C2 and the imaginary cross 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rum body 53 to the remote portion C1 The amount of wash water is the same.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제2 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를 통과할 때 제2 드럼바디(53)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제2 드럼(50)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eight of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imaginary cross 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rum body 53 to the near portion C2, a virtual cross s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rum body 53 to the far portion C1 The guide ribs 531 can raise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even if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relatively low speed.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ribs 53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uide rib 5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ash water, an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guide rib 531, That is, when the guide ribs 531 are view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lower end fac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face. As a result, the wash water can more easily rise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ibs 531.

실험에 의하면, 도 3 상에서 제2 드럼(50)의 가로길이가 399mm이고 높이가 309.2mm일 때, 가이드 리브(531)는 높이(H)가 70mm이고 폭(W)이 65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경사 가이드(581)와 함께 높은 세탁력을 발휘한다. 다른 수치는 동일하고 가이드 리브(531)의 높이(H)가 50mm 및 90mm로 각각 설정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면, 일부 오염물질에 대해 좀 더 우수한 세탁력을 보이나 평균값은 가이드 리브(531)의 높이(H)가 70mm로 설정된 상태보다 낮다. 한편, 이러한 수치는 실험에 의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제2 드럼(50)과 가이드 리브(531)의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3, when the width of the second drum 50 is 399 mm and the height is 309.2 mm, the guide ribs 531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H is 70 mm and the width W is 65 mm And exhibits high washing power with the inclination guide 581 described lat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except that the height H of the guide ribs 531 was set to 50 mm and 90 mm, respectively. However, the average valu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ribs 531 H) is set to 70 mm. However, the numerical values are only examples by experiments, and the specific values of the shapes of the second drum 50 and the guide ribs 531 are not limited thereto.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The guide ribs 531 are provided in the near portion C2 as described abov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guide ribs 53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remote portion C1 to form a total of two pairs.

경사 가이드(581)는 가이드 리브(531)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드럼(5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 가이드(581)는 가이드 리브(531)의 상측에 위치한 세탁물 투입구(580)의 내측 즉,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The inclined guide 58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ib 531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50. Specifically, the inclined guide 581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that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undry inlet 580 located above the guide ribs 531.

경사 가이드(581)가 없다면, 가이드 리브(531)에 의해 상승한 세탁수는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상부를 거쳐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 포물선을 그리면서 제2 드럼바디(53)의 내부로 자유낙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washing water raised by the guide ribs 531 is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via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It generally falls freely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drum body 53 while drawing a parabola.

경사 가이드(581)가 설치되면, 세탁수는 자유낙하하지 않는다. 즉, 세탁수는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가이드(581)에 하면에 의해 하측으로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된다. 즉, 수평방향 성분의 속도의 일부가 수직방향 성분의 속도로 전환된다.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된 세탁수는 자유낙하하는 것보다 강하게 제2 드럼바디(53)에 수용된 세탁물에 충돌한다. 이때 경사 가이드(581)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각(θ)이 대략 10도로 설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세탁수의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각도는 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드럼바디에 수용된 세탁물에 매우 강한 충격을 전달하여 세탁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When the inclined guide 581 is provided, the washing water does not fall freely. That is, the washing water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nd the moving direction is suddenly changed downwar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581. That is, a part of the velocity of the horizontal direction component is converted to the velocity of the vertical direction component. The washing water having a suddenly changed moving direction collides agains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second drum body 53 more strongly than it is free to fall.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guide 58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vity acts is set to approximately 10 degrees, and the angle at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ashing water is changed is larger. Accordingly, a very strong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second drum body, thereby increasing the washing power.

위에서 경사각(θ)이 대략 10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ngle of incidence [theta] is approximately 10 degrees, but the numerical values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o these numerical values.

한편, 제2 드럼(50)이 매우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제2 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서로 충돌하여 세탁물 투입구(580) 측으로 튀어 오르게 된다. 이때 경사 가이드(581)는 튀어 오른 세탁수가 상면을 따라 제2 드럼(50)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very high rotational speed,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drum 50 collides against each other, and the laundry rushes toward the laundry inlet 580 side. At this time, the inclined guide 581 serves to guide the bounced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50 along the upper surface.

이하, 제2 드럼(50)이 제1 드럼(30)에 탈착하는 구조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요철부(315)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요철부(535)를 설명하기 위해 제2 드럼(50)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drum 5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drum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cover 31 for explaining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5.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rum 50,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드럼(30)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5)을 포함하며, 제2 드럼(50)은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요철부(315)에 맞물린 채 안착하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를 포함한다. 5 and 6, the first drum 30 includes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5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drum 5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5 And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formed to be seated.

구체적으로 제2 요철부(535)는 제2 드럼바디(53)의 외주면 중 결합부(C1)에 형성되며, 제1 요철부(315)는 제1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제2 드럼커버(51)의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드럼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제2 드럼커버(51)가 제2 드럼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Concretely,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is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C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cover 31.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535 is no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 This is because the second drum cover 51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drum body 53 by the weight of laundry and laundry contained in the second drum body 53.

제1 요철부(31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753)부(316),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753)홈부(317) 및 제1 돌기(753)부(316)와 제1 돌기(753)홈부(317)를 연결하며 만곡되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되는 제1 돌기경사부(318)를 포함한다.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5 includes at least one first projection 753 portion 316, at least one first projection portion 753 groove portion 317 and a first projection portion 753 portion 316, And a first projection slope portion 318 connecting the groove portion 317 and formed flat without being bent.

제1 돌기(753)부(316)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며 제1 돌기(753)홈부(317)는 제1 돌기(753)부(31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first protrusions 753 are formed so as to be convexly curved upward and the first protrusions 753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s 753, .

제2 요철부(535)는 제1 요철부(3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754)부(536),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754)부(536)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754)홈부(537) 및 제2 돌기(754)부(536)와 제2 돌기(754)홈부(537)를 연결하는 제2 돌기경사부(538)를 포함한다.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53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315 and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projection 754 portion 536, at least one second projection portion 754 portion 536,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754 form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754 and the second protrusion 754 and a second protrusion 754 connecting the second protrusion 754 and the second protrusion 754, (538).

제2 돌기(754)부(536)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며 제2 돌기(754)홈부(537)는 제2 돌기(754)부(53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second projection 754 is formed to be convexly curved downward and the second projection 75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jection 754 and the groove 537 is recessed downward .

또한, 제2 요철부(535)는 제1 요철부(3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드럼(50)을 제1 드럼(30)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2 돌기(754)부(536)는 제1 돌기(753)홈부(317)에 안착되며, 제2 돌기(754)홈부(537)는 제1 돌기(753)부(316)에 안착한다.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5. When the second drum 50 is placed on the first drum 30, the second projection 754 portion 536 is seated in the first projection 753 groove portion 317, (537) is seated on the first projection (753) portion (316).

한편, 제2 돌기(754)부(536)의 첨두와 제1 돌기(753)부(316)의 첨두에는 각각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제2 드럼(50)을 제1 드럼(30)에 안착시키려고 하는 경우 이들 수평한 부분이 서로 만나면 제2 돌기(754)부(536)가 제1 돌기(753)홈부(317)에 용이하게 안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eak of the second projection 754 and the peak of the first projection 753 form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rtion, respectively. When the user tries to seat the second drum 50 on the first drum 30, the second projection 75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317 of the first projection 753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ettle.

예를 들면,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의 만곡되는 부분 중 첨두의 곡률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이들 수평 부분이 각각 차지하는 면적이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드럼(50)을 제1 드럼(30)에 안착시키려고 하는 경우 제2 돌기(754)부(536)가 제1 돌기(753)홈부(317)에 안착하지 못하고 제1 돌기(753)부(316)의 첨두 상에 안착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projection 753 portion 316 and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754 portion 536 is excessively small, the area occupied by each of these horizontal portions is large. Therefore, when the user tries to seat the second drum 50 on the first drum 30, the second projection 754 can not be seated in the groove portion 317 of the first projection 753, A problem may arise that it is seated on the peak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753 (316).

하지만,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의 만곡되는 부분 중 첨두의 곡률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설사 이들 수평한 부분이 서로 만나더라도 제2 돌기(754)부(536)가 제1 돌기경사부(318)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1 돌기(753)홈부(317)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s of the first projection 753 and the second projection 754 is sufficiently large, even if these horizontal portions meet each other, the second projection 754 ) Portion 536 slides along the first projection slope portion 318 and can be easily seated in the groove portion 317 of the first projection 753. [

따라서, 제1 요철부(315) 및 제2 요철부(535)의 크기 및 형상이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2 요철부(535)는 제2 돌기(754)가 한 쌍의 결합부(C1)에 각각 5개씩 형성되며, 제2 돌기(754)간의 거리가 대략 35mm이며, 제2 돌기(754)홈부(537)의 최하단부터 제2 돌기(754)부(536)의 첨두까지의 길이가 대략 17.5mm로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5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need to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in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five second protrusions 754 are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engaging portions C1,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s 754 is about 35 mm, The length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groove portion 537 to the peak of the second projection 754 portion 536 may be about 17.5 mm.

한편, 제2 요철부(535)가 제1 요철부(315)에 맞물린 채 안착함에 따라 제1 드럼(30)의 회전력에 의해 제2 드럼(50)이 회전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드럼(3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제2 돌기(754)부(536)가 제1 돌기경사부(318)를 따라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드럼(50)이 제1 드럼(30)의 고속회전에 의해 제1 드럼(3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second concave-convex part 535 is se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art 315, the second drum 50 rotate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um 30.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first drum 3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second projection 754 portion 536 can move upward along the first projection slope portion 318. Accordingly, the second drum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30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first drum 30. [

이러한 현상은 제1 돌기경사부(318)의 경사각도가 중력방향에 대해 지나치게 크게 형성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1 돌기경사부(318)는 중력방향에 대해 대략 10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is phenomenon may occur becau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projection slope portion 318 is excessively large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for example, the first projection slope portion 318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y about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제2 돌기경사부(538)도 마찬가지로 중력방향에 대해 대략 10도 만큼 경사지게 하여 서로 밀착된 제2 돌기경사부(538)와 제1 돌기경사부(318)와의 마찰을 높일수 있다. Likewise, the second projection slope 538 can be tilted by about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to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the second projection slope 538 and the first projection slope 318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제2 돌기경사부(538)가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면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에 안착할 때 제1 드럼(30)과 충돌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projection slope portion 538 is formed parallel to the gravity direction, the second drum 50 may collide with the first drum 30 when the second drum 50 is seated on the first drum 30, which is not preferable.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에 안착한 채 후술하게 될 록킹부(90)에 의해 제1 드럼(30)과 결합하여 제1 드럼(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The second drum 50 may be prevented from detaching from the first drum 30 by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drum 30 by the locking portion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seated on the first drum 30.

한편, 제2 드럼커버(51)의 결합부(C1) 즉 원거리부(C1)는 제2 드럼(50)의 내주면에 안착하지만 이격부(C2) 즉, 근거리부(C2)는 제2 드럼(5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2 드럼(50)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세탁물 및 세탁수의 쏠림현상으로 근거리부(C2)는 원거리부(C1)와 달리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드럼바디(53)의 원거리부(C1)간의 최장거리를 길이로 본다면 일종의 롤링(rolling)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ortion C1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at is, the remote portion C1 is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50, but the spacing C2, i.e., the near portion C2, 50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fore, 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near portion C2 can vibrate up and down unlike the remote portion C1 due to a tendency of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to lean. In other words, if the longest distance between the distant parts C1 of the second drum body 53 is taken as a length, a kind of rolling phenomenon may occur.

이때 제1 돌기(753)부(316), 제1 돌기(753)홈부(317), 제2 돌기(754)부(536) 및 제2 돌기(754)홈부(537)가 각각 각지게 이루어지면, 롤링현상에 의해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가 각각 제2 돌기(754)홈부(537) 및 제1 돌기(753)홈부(317) 내에서 미세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의 각지게 이루어진 부분에 의해 제2 돌기(754)홈부(537) 및 제1 돌기(753)홈부(317)의 일부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취성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되게 형성된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와 이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2 돌기(754)홈부(537) 및 제1 돌기(753)홈부(317)는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응력집중을 상당히 방지하여 강도가 대단히 우수하다.At this time, if the first projection 753, the first projection 753, the third projection 754, and the second projection 754 are formed to be angled The first protrusions 753 and the second protrusions 754 of the first protrusions 754 and the second protrusions 754 are formed in the groove portions 537 and the first protrusions 753 by the rolling phenomenon, As shown in Fig. The second protrusions 754 and the first protrusions 75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angled port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753 and the second protrusions 754, The stress may concentrate in a part of the brittle fracture. Therefore, the first protrusion 753 and the second protrusion 754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second protrusion 754 formed in a curved shape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first protrusion 753 and the second protrusion 754, The protrusion 753 grooves 317 prevent the stress concentration considerably by allowing the load to be distributed evenly, and the strength is extremely excellent.

한편, 롤링 현상이 발생하면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는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제2 돌기(754)홈부(537) 및 제1 돌기(753)홈부(317)에 각각 수용된 채 비교적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는 제2 돌기(754)홈부(537) 및 제1 돌기(753)홈부(317)를 이탈하여 제2 돌기경사부(538) 및 제1 돌기경사부(318)를 따라 미세하게 상승하므로 제1 돌기(753)부(316) 및 제2 돌기(754)부(536)의 접촉면적이 미세하게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전히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first protrusions 753 and the second protrusions 754 are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s 754 and the first protrusions 753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can be relatively easily rotat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317. The first protrusions 753 and the second protrusions 754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protrusions 754 and the first protrusions 753 by the second protrusions 754 and the third protrusions 753,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753 portion 316 and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754 is slightly reduced because the protrusion slope portion 538 and the first protrusion slope portion 318 are slightly raised . As a result, the stress is still concentrated.

따라서, 제2 드럼바디(53)의 원거리부(C1)가 상하로 진동하는 현상인 롤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요철부(315) 및 제2 요철부(535)의 양단부에 각각 제1 기울임방지부(319) 및 제1 기울임방지부(319)에 면 접촉하는 제2 기울임방지부(539)가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rolling phenomenon,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mote part C1 of the second drum body 53 vibrates up and down, the first irregular portion 315 and the second irregular portion 535 have first tilts Preventing portion 319 and a second anti-tilt preventing portion 539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anti-tilt preventing portion 319.

제1 기울임방지부(319)와 제2 기울임방지부(539)가 서로 면 접촉함으로써 롤링 현상을 방지하여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anti-tilt portion 319 and the second anti-tilt portion 539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rolling phenomenon, thereby preventing local destruction due to stress concentration.

이하, 배출부(70)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배출부(70)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배출부(70)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D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9는 배출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Hereinafter, the discharging portion 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g.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BB line shown in FIG. 4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portion 70,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D in FIG. 7 to explain the discharge portion 70, 9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portion 70;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배출부(70)는 한 쌍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한 쌍을 이루며, 제2 드럼(50)이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제2 드럼(50)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7 to 9, the discharge unit 70 is formed as a pair in the pair of first curvature portions C1, that is, the remote portion C1, and the second drum 50 is rotated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selectively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5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washing water.

배출부(70)는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를 유입하는 유입홀(77), 유입홀(77)을 통과한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체크밸브(71), 체크밸브(71)를 통과한 세탁수를 감압시키는 감압부(73), 감압부(73)를 통과한 세탁수를 제2 드럼(5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79) 및 체크밸브(71) 및 감압부(73)가 안착하는 안착부(75)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70 includes an inlet hole 77 for introducing washing water ris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a check valve 71 for selectively passing washing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inlet hole 77, A depressurizing portion 73 for depressurizing the wash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check valve 71, a discharge hole 79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50, (71) and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73).

안착부(75)는 제2 드럼커버(51)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유입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eat part (75)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So that the washing water ris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flows smoothly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um 50.

또한, 세탁수가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여도 배출부(70)에 유입될 수 있도록 배출부(70)가 구비되는 높이가 결정되며, 안착부(75)는 이에 따라 적절한 높이에 형성된다. 세탁수의 최고 수위가 제2 드럼커버(51)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점을 고려하여,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75)는 그 하부면이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ion 70 is determined so that the wash water can flow into the discharge portion 70 even if the wash water rises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Thereby being formed at an appropriate height. 7,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75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s set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drum cover 51. [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ace.

안착부(75)는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연장부(751) 및 수직연장부(751)의 일단부로부터 제2 드럼(50)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부(752)를 포함한다.The seat portion 75 is provided with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751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751 toward the edge of the second drum 50 And 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75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수직연장부(751)는 오목부(561)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후술하게 될 감압부(73)의 일측을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751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561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pressure-reducing portion 73 to be described later.

수평연장부(752)는 수직연장부(751)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753) 및 제2 돌기(754)를 포함한다. 제1 돌기(753)는 후술하게 될 체크밸브(71)의 결합홈(717)에 결합하며, 제2 돌기(754)는 후술하게 될 회전부(713)를 간섭하여 회전부(713)의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한다.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75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751 and includes a first projection 753 and a second projection 754 protruding upward. The first projection 753 engages with the engagement groove 717 of the check valve 71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projection 754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unit 713 to be described later, .

유입홀(77)은 수평연장부(752)에 형성되되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인접하여 형성된다.The inlet hole 77 is formed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752.

체크밸브(71)는 안착부(75)에 안착한 채, 일단부가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체크밸브(71)는 원심력에 의해 수축하는 수축부(711), 수축부(7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절개홈(712), 수축부(711)에 연결되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713) 및 수평지지부(715)를 포함한다.The check valve 71 is provided so as to com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while one end of the check valve 71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75. The check valve 71 is connected to the contraction portion 711 which is contracted by centrifugal force, the cutout groove 712 which penetrates the contraction portion 711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contraction portion 711, And a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715.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715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715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수축부(711)는 일단이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축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은 제2 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의미한다. The contraction portion 711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at one end, and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Here, the force exerted from the outside means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um 50.

수축부(711)는 안착부(75) 내부에서 다양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동일한 원심력이 작용할 때 충분히 수축하도록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수축부(711)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커버(5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stricted portion 711 may be provided at various angles within the seating portion 75, but is dispos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so as to shrink sufficiently when the same centrifugal force acts. As shown in FIG. 9, the shrinkable portion 711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절개홈(712)은 수축부(711)를 관통하며, 수축부(711)의 수축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절개홈(712)은 원심력이 작용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개방되도록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incision groove 712 penetrates the constriction portion 711 and is formed to be opened by contraction of the constriction portion 711. In particular, the incision grooves 712 are form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so as to be effectively opened 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s.

수축부(711)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절개홈(712)의 양 측부분이 절개홈(7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개홈(712)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개홈(712)은 개방된 채 세탁수를 통과시킨다.When the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constricted portion 711, both side portions of the incisional groove 712 mov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cisional groove 712, and the incisional groove 712 can be opened. Accordingly, the incision groove 712 allows the wash water to pass therethrough.

회전부(713)는 일단이 수축부(7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평지지부(715)에 연결되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후술하게 될 수평지지부(715)는 안착부(75)에 고정된다.The rotation part 71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acting part 7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ing part 715 and extending so as to cros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Here,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15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seating portion 75.

만약, 체크밸브(71)가 수축부(711)를 포함하여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 채 안착부(75)에 고정되면, 원심력이 체크밸브(71)에 작용하여도 안착부(75)에 고정된 부분, 예를 들면 수평지지부(715)가 수축부(711)를 잡아당기므로 수축부(711)가 충분히 수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check valve 7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including the constricted portion 711 and is fixed to the seating portion 75 while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s,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715 pulls the retracted portion 711, so that the retracted portion 711 can not be sufficiently contracted.

이를 위해, 회전부(713)는 수축부(711)와 연결된 일단이 안착부(75)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축부(711)가 보다 원활하게 수축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To this end, the rotation part 713 is formed so that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racting part 711 is freely movable from a part fixed to the mounting part 75, thereby allowing the contracting part 711 to contract more smoothly .

수평지지부(715)는 안착부(75)의 수평연장부(752)에 면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수평지지부(715)는 안착부(75)의 제1 돌기(753)와 결합하는 결합홈(717)이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수평지지부(715)는 일단이 회전부(713)의 타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안착부(75)의 일측 혹은 감압부(73)의 일측에 의해 지지된다.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15 is provi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752 of the seating portion 75.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15 is formed at the lower side with a coupling groove 717 engaging with the first projection 753 of the seating portion 75. [ On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1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portion 713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75 or one side of the decompression portion 73.

감압부(73)는 안착부(7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체크밸브(71) 상측에 구비된다. 감압부(73)는 체크밸브(71)를 통과한 세탁수의 수압을 감압시켜 배출홀(79)을 통해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at portion 75 and is provided above the check valve 71.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depressurizes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heck valve 71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79.

감압부(73)는 체크밸브(71)를 통과한 세탁수가 수집되는 제1 수집부(731), 제1 수집부(731)로부터 이동한 세탁수가 수집되는 제2 수집부(732), 제2 수집부(732)로부터 이동한 세탁수가 배출홀(7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수집되는 제3 수집부(733), 제1 수집부(731)과 제2 수집부(732)을 연통시키는 제1 관통홀(735) 및 제2 수집부(732)과 제3 수집부(733)를 연통시키는 제2 관통홀(737)을 포함한다.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includes a first collecting portion 731 for collecting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check valve 71, a second collecting portion 732 for collecting washing water moved from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731, A third collecting portion 733 that collects the wash water that has been moved from the collecting portion 732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79 and a third collecting portion 733 that communicates the first collecting portion 731 and the second collecting portion 732 And a second through hole 737 for communicating the first through hole 735 and the second collecting portion 732 with the third collecting portion 733.

제1 관통홀(735)은 절개홈(712)과 상이한 경도상에 위치하며, 제2 관통홀(737)은 제1 관통홀(735)과 상이한 경도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는 개방된 절개홈(712)을 통과하여도 제1 관통홀(735)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절곡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야 하고 제1 관통홀(735)을 통화하여도 제2 관통홀(737)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다시 절곡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야 한다. 세탁수는 절곡된 유로를 따라 이동할 때마다 감압이 발생한다. 즉, 감압부(73)는 두 번의 감압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735 is located on a different hardness from the incision groove 71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737 is formed on a different hardness from the first through hole 735. Therefore, even if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open cut-out groove 712, the washing water must move along the curved flow path to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735, and even if the first through- It is necessary to move along the bent path again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opening 737. The wash water is decompressed every time it moves along the bent path. That is, the decompression unit 73 can regulate the amount of wash water discharged through two depressurization.

한편, 제1 내지 제3 수집부(733)는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보푸라기(lint)를 채집할 수 있다. 소정의 사용기간이 경과하면, 사용자는 감압부(73)를 안착부(75)로부터 분리하여 제1 내지 제3 수집부(731, 732, 733)로부터 보푸라기를 제거 후 다시 감압부(73)를 안착부(75)에 결합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o third collecting units 733 can collect lint separated from the laundry. The user removes the decompression portion 73 from the seat portion 75 and removes the lint from the first to third collectors 731, 732 and 733, And can be coupled to the seat portion 75.

이하, 록킹부(90)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록킹부(90)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1은 록킹부(9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locking portion 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shown in FIG. 4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rtion 90,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rtion 90.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록킹부(90)는 제2 드럼(50)이 제1 드럼(30)에 안착한 후 고속으로 회전시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10 and 11, the locking portion 90 prevents the second drum 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when it rotates at a high speed after the second drum 50 is seated on the first drum 30.

록킹부(90)는 제1 드럼(30)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걸림부(312), 걸림부(312)에 결합되어 제2 드럼(5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93), 고정부(93) 상측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95) 및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프레임(97)을 포함한다.The locking portion 90 includes a locking portion 312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30 and a fixing portion 93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312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drum 50, A first frame 95 provided on the fixing part 93 and a second frame 97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걸림부(312)는 제1 드럼(30)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하방 절곡부(313) 및 걸림부(312)의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제2 드럼(50)의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측 경사부(314)를 포함한다.The engaging portion 312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30 and includes a downwardly bent portion 313 bent downwardly and extending upwardly and an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312, And an upper inclined portion 314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14. [

하방 절곡부(313)는 말단부가 고정부(93)의 상면에 맞닿은 채 고정부(93)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더불어 하방 절곡부(313)는 제2 드럼(50)의 상하 진동에 의해 걸림부(312)가 상측으로 휘어져도 제2 드럼(50)이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downward bent portion 313 prevents the fixing portion 93 from moving upward while abutting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93. [ In addition, the downward bending portion 313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econd drum 50 from deviating upward even if the engagement portion 312 is bent upward due to the up-and-down vibration of the second drum 50. [

예를 들면, 걸림부(312)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측으로 휘어지는 경우, 하방 절곡부(313)의 말단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오히려 제2 드럼커버(51)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걸림부(312)와 고정부(93)가 맞닿는 지점은 고정부(93)의 상부면을 따라 제2 드럼커버(51)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For example, when the engaging portion 312 is bent upward in a certain angle range, the distal end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313 rotates upward and moves to the second drum cover 51 side. The point where the engaging portion 312 and the fixing portion 93 abut each other moves to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93. [

만약, 걸림부(312)에 하방 절곡부(313)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걸림부(312)가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부(312)와 고정부(93)가 맞닿는 지점이 고정부(93)의 상부면을 따라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으로 이동하다가 특정 시점에 고정부(93)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If the downward bent portion 313 is not formed in the locking portion 312, a point where the locking portion 312 and the fixing portion 93 abut each other as the locking portion 312 is bent upward, It will mov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long the upper surface and then escape from the fixing portion 93 at a specific time.

상측 경사부(314)는 배출홀(79)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다. 상측 경사부(314)는 배출홀(79)로부터 배출된 세탁수 중 상측 경사부(314)로 낙하하는 일부 세탁수가 제1 드럼(30)으로 배출되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상승한 후 터브(20)로 배출되도록 한다. The upper inclined portion 314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discharge hole 79. The upper inclined portion 314 ris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79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first drum 30 by the falling water on the upper inclined portion 314, To be discharged.

고정부(93)는 제2 드럼커버(51)의 내측에 수용된 채 일부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고정부(93)는 제2 드럼커버(51)로부터 인출되면, 상면이 걸림부(312)의 절곡부에 간섭된다. 이에 따라 제2 드럼(50)의 상방 이동이 제한된다. The fixing part 93 i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drum cover 51 so that a part of the fixing part 93 can be drawn in and drawn out. When the fixing portion 93 is pulled out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e upper surface is interfered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312.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drum 50 is restricted.

고정부(93)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931), 고정부 몸체(931)의 상면에 형성되며 피니언(934)에 맞물리게 형성된 랙(933) 및 고정부 몸체(931)의 상면에 형성된 상측 돌기부(937)를 포함한다. The fixing portion 93 includes a fixed body 931 formed in a bar shape, a rack 93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931 and engaged with the pinion 934, and a fixed body 931, And an upper protruding portion 93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930. [

고정부 몸체(931)는 선단부가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랙(933)과 맞물린 피니언(934)의 정역회전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면서 인입 및 인출한다. The fixed body 931 is arrang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e fixed body 931 is reciprocated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934 engaged with the rack 933,

랙(933)은 고정부 몸체(931)의 말단부 상부면에 형성되며, 피니언(934)과 맞물린 채 피니언(93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rack 93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fixed body 931 and serves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934 into linear mo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pinion 934.

한편, 피니언(934)은 제1 프레임(95)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1 핀(936)을 통해 제1 프레임(9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니언 연결부를 통해 제2 프레임(97)과 연결되어 제2 프레임(97)으로부터 힘을 전달받는다.The pinion 93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95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95 through the first pin 936. The pinion 934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97 via the pinion connection, And receives the force from the second frame 97.

피니언 연결부는 피니언(944) 일측에 형성된 제1 제1 피니언 연결부(935) 및 제2 프레임(97)에 결합하는 제2 피니언 연결부(973b)를 포함한다.The pinion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rst pinion connecting portion 935 formed on one side of the pinion 944 and a second pinion connecting portion 973b coupled to the second frame 97. [

제1 제1 피니언 연결부(935)는 피니언(934)의 외주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제1 피니언 연결부(935)는 피니언(934)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며, 피니언(934)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first pinion connecting portion 93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ion 934. The first first pinion connecting portion 935 is fix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ion 934 and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pinion 934. [

제2 피니언 연결부(973b)는 제1 제1 피니언 연결부(935)과 제2 핀을 통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프레임(97)에 왕복 직선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second pinion connecting portion 973b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pinion connecting portion 935 through a second pin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97 so as to reciprocate linear motion.

이에 따라 피니언(934)은 제2 프레임(97)의 왕복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한다.Accordingly, the pinion 934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second frame 97.

상측 돌기부(937)는 제1 프레임(95)의 텐션바(tension bar, 957)에 의해 간섭되어 피니언(934)의회전에 의해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으로 이동한 고정부(93)를 다시 제2 드럼커버(5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한다.The upper protruding portion 937 is interfered by the tension bar 957 of the first frame 95 so that the fixing portion 93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by the pinion 934 And is then drawn back into the second drum cover 51.

제1 프레임(95)은 고정부(93)의 상측에 구비되며 바(bar)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프레임(95)은 상부면이 오목부(561)의 측면 일부, 바닥부 일부 및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프레임(95)의 양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1 프레임(95)은 양 측면에 플렌지가 형성되어 제2 드럼커버(51)에 결합한다.The first frame 9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93 and is formed in a bar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95 also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561, a part of the bottom portion, a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95 are formed with portions bent upward. On the other hand, the flan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95 and engaged with the second drum cover 51.

제1 프레임(95)은 일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부(951), 타단부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절곡부(953), 제1 절곡부(951)에 형성되며 고정부(93)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측면홀(955), 제1 프레임(95)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텐션바(957)(tension bar), 제1 프레임(95)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는 수평가이드(958) 및 피니언(9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니언 지지부(959)를 포함한다.The first frame 95 has a first bent portion 951 bent at one end thereof, a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953 bent upwar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first bent portion 951 A tension bar 95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95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95; And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guides 958 and a pinion support portion 959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inion 934.

제1 절곡부(951)는 상부면이 오목부(561)의 바닥부와 측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방으로 한번 절곡된다. 이와 더불어 제1 절곡부(951)는 상부면이 제2 드럼커버(51)의 측면 일부를 이루도록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하방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951)는 고정부(93)가 위치한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되 말단에 고정부(93)가 통과 가능하도록 측면홀(955)이 형성된다.The first bent portion 951 is once bent upward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forms a part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561. In addition, the first bent portion 95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bent downward so as to form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e first bent portion 951 bent downward is formed with a side hole 955 extending downward to a height at which the fixing portion 93 is located, and the fixing portion 93 can pass through the end.

텐션바(957)는 제1 절곡부(951)의 하방으로 오목한 부분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텐션바(957)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오목한 부분의 높이에 따라 텐션바(957)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측 돌기부(937)에 전달되는 탄성력 또한 조절될 수 있다.The tension bar 957 is provided at a downwardly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951 and extends downward. The tension bar 957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e length of the tension bar 957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ncave portion. Accordingly, the elastic force transmitted to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937 can also be adjusted.

수평가이드(958)는 제1 프레임(9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말단이 고정부(93)로부터 적절하게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수평가이드(958)는 고정부(93)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수평가이드(958)는 고정부(93)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운동시 양 측면 중 어느 한 부분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horizontal guide 958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95 and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appropriately spaced from the fixing portion 93. The horizontal guide 958 allows the fixing portion 93 to be horizontal. That is, the horizontal guide 958 prevents any portion of both sides from tilting when the fixing portion 93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피니언 지지부(959)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피니언(934)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제1 핀(93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pinion supporting portions 959 are provided as a pair and rotatably support the first pin 936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enter of the pinion 934. [

제2 절곡부(953)는 한 쌍을 이루어 제1 프레임의 타단부가 Y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구비된다. 제2 절곡부(953)는 말단이 후술하게 될 제1 만곡부(971)의 하측을 간섭하여 제2 프레임(97)의 하측 이동을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한다. 따라서, 제2 절곡부(953)는 스토퍼로 명칭할 수 있다.The second bent portions 953 are formed as a pai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is formed in a Y-shape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510. The second bent portion 953 restrict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97 within a certain range by interfering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ent portion 97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second bent portion 953 can be referred to as a stopper.

한 쌍의 제2 절곡부(953)는 상부면이 오목부(561)의 바닥면 및 측면의 일부를 이룬다. 또한, 한 쌍의 제2 절곡부(953)는 제1 만곡부(971)와 함께 급수홀(562)을 형성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953 forms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561. Further, the pair of second bent portions 953 form a water supply hole 562 together with the first curve portion 971.

제2 프레임(97)은 중공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510) 하측에 구비된다. 제2 프레임(97)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2 드럼커버(51)와 결합한다.The second frame 97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having a hollow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510. The second frame 97 engages with the second drum cover 51 so as to be vertically slidable.

제2 프레임(97)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접촉하는 제1 만곡부(971), 제1 만곡부(97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부(975) 및 한 쌍의 수직부(975)를 지지하며 제1 만곡부(97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 만곡부(973)를 포함한다. The second frame 97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971 that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510, a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that support the first curved portion 971, and a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And a second bend section 973 provided below the first bend section 971.

제1 만곡부(971)는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일부가 인입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만곡부(971)의 가운데 부분은 손잡이부(510)의 하측 오목한 부분에 부분 인입된다.The first bend section 971 is provided so as to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510. That is,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urve portion 971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wer concave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510.

또한, 제1 만곡부(971)는 양단부가 한 쌍의 수직부(975)에 의해 지지되며 가운데 부분이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다. The first bending portion 971 is form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

수직부(975)는 제1 만곡부(971)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1 만곡부(971)의 양단부에 고정된다. 수직부(975)는 제2 프레임(97)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드럼커버(51)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수직부(975)는 일측면에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슬릿홈(975a)을 통해 제2 드럼커버(51)에 결합한다.The vertical portion 975 is provided below the first curve portion 971 and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urve portion 971. The vertical portion 975 is movably engaged with the second drum cover 51 so that the second frame 97 is movable up and down. In other words. The vertical portion 975 is coupled to the second drum cover 51 through a slit groove 975a extending vertically on one side.

제2 만곡부(973)는 양단부가 한 쌍의 수직부(975)에 고정되어 한 쌍의 수직부(975)를 지지하며, 제2 드럼커버(51)의 외측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다. 제2 만곡부(973)는 가운데 부분에 제2 피니언 연결부(973b)가 구비된다. The second curve portion 973 has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to support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and to be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e second bend section 973 is provided with a second pinion connection section 973b at the center thereof.

제2 피니언 연결부(973b)는 제2 만곡부(973)에 왕복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일측에 제2 핀(973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핀(973a)은 제1 피니언 연결부(935)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second pinion connection portion 973b is coupled to the second curve portion 973 so as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linear motion, and the second pin 973a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The second pin 973a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pinion connection portion 935. [

이에 따라. 제2 만곡부(973)는 수평 이동 없이 한 쌍의 수직부(975)와 함께 상승하는 것만으로 피니언(934)을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urve portion 973 can rotate the pinion 934 only by ascending with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without horizontal movement.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부(510)와 함께 제1 만곡부(971)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제2 프레임(97) 전체가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피니언(934)을 회전시켜 고정부(93)를 인입 및 인출시킨다. 따라서 제1 만곡부(971)를 작동부(971)로 명칭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grasps the first bent portion 971 together with the handle 510 and applies a for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97, the entire second frame 97 slides upward to rotate the pinion 934, In and out. Therefore, the first curve portion 971 may be referred to as an operating portion 971. [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사용자는 함께 세탁하기에 적절하지 않는 세탁물을 두 그룹으로 분리하여 제1 드럼(30)과 제2 드럼(50)에 각각 수용되도록 한다. First, the user separates the laundry, which is not suitable for washing together, into two groups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drum 30 and the second drum 50, respectively.

그 다음, 사용자는 제2 드럼(50)의 손잡이부(5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2 드럼(50)을 제1 드럼(30)의 상단부에 안착시켜 제1 드럼(30)과 결합하도록 한다. Next, the user holds the second drum 50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um 30 while holding the handle 510 of the second drum 50 to engage with the first drum 30 .

사용자는 손잡이 파지시 작동부(971)에 힘을 가하여 손잡이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97)이 상승한다.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operating portion 971 when pushing the pull and pushes it into the inside of the pull. As a result, the second frame 97 rises.

제2 피니언 연결부(973b)는 제2 프레임(97)과 함께 상승하되, 직선을 그리면서 상승하는 제2 프레임(97)과 달리 곡선을 이루면서 상승한다. 즉, 제2 피니언 연결부(973b)는 상승하면서 도 11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다시 좌측으로 이동한다. The second pinion connection portion 973b rises with the second frame 97 and rises in a curve unlike the second frame 97 which rises with a straight line. That is, the second pinion connecting portion 973b moves upward to the right side in FIG. 11 while moving upward.

제1 피니언 연결부(935)를 통해 제2 피니언 연결부(973b)와 연결되는 피니언(934)은 도 11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The pinion 934 connected to the second pinion connecting portion 973b through the first pinion connecting portion 935 rotates counterclockwise in Fig.

랙(933)을 통해 피니언(934)과 연결된 고정부(93)는 도 11 상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부(93)의 선단부가 제2 드럼커버(5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제2 드럼(50)은 고정부(93)와 걸림부(312) 상호 간에 간섭 없이 제1 드럼(30) 내부로 하강할 수 있다. 제2 드럼(50)이 하강하면, 제2 요철부(535)는 제1 요철부(315)에 안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의 상단부에 안착한다. The fixing portion 93 connected to the pinion 934 through the rack 933 is moved to the right in Fig. 11 and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ortion 93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Fig. The second drum 50 can be lowered into the first drum 30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fixing portion 93 and the engaging portion 312. When the second drum 50 is lowered,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535 is seated on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315. Through this process, the second drum 5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um 30.

제2 드럼(50)이 제1 드럼(30)에 안착하면, 사용자는 작동부(971)에 가한 힘을 해제한다. 고정부(93)는 텐션바(957)가 상측 돌기부(937)를 좌측으로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인출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934)은 도 11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수직부(975) 및 제2 만곡부(973)는 하강하며 작동부(971)는 원위치로 복귀한다.When the second drum 50 is seated on the first drum 30, the user releases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portion 971. [ The fixing portion 93 is moved to the left 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bar 957 pushing the upper protruding portion 937 to the left. Accordingly, the pinion 934 rotates clockwise on Fig.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975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973 descend and the operation portion 971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제2 드럼(50)이 제1 드럼(30)의 상단부에 안착 후 제1 드럼(30)과 결합하면, 급수부(18)는 제1 드럼(30) 및 제2 드럼(50)에 각각 급수하기 시작한다. When the second drum 5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um 30 and then engaged with the first drum 30, .

우선, 제1 드럼(30)은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2 드럼(50)은 제1 요철부(315) 및 제2 요철부(535)를 통해 제1 드럼(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드럼(30)과 함께 회전한다. First, the first drum 30 starts to rotate. The second drum 5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15 and the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535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drum 30.

이때, 제1 드럼(30)은 내측 급수가이드(560)가 급수부(18) 하측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가 급수부(18) 하측에 위치하면 급수부(18)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급수를 시작한다. 급수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머물다가 제2 급수유로(562)를 통해 제2 드럼바디(53)의 내부로 급수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drum 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inner water supply guide 560 is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8. When the inside water supply guide 560 is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8, the water supply unit 18 starts water supply of the wash water in which the detergent is dissolved. The supplied washing water temporarily stays in the concave portion 561 and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drum body 53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ing passage 562.

제2 드럼바디(53)에 급수가 완료되면 제1 드럼(30)은 다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면, 급수부(18)는 급수를 시작한다. 급수된 세탁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에 충돌 후 제1 급수유로(573)를 따라 터브(20) 내부로 급수된다. 터브(20)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해서 제1 드럼(30)으로 인입된다.When the water supply to the second drum body 53 is completed, the first drum 30 rotates again by a predetermined angle to position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8. When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is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18, the water supply unit 18 starts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water is supplied into the tub 20 along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573 after colliding with the outer water supply guide 570. The washing water supplied into the tub 20 is drawn into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급수가 완료되면, 제1 드럼(30)은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므로 제1 드럼(30)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first drum 30 starts to rotate in order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i.e., a washing cycle, a rinsing cycle and a dewatering cycle. Since the second drum 5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drum 30,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as the first drum 30.

제2 드럼(50)이 회전하면 제2 드럼(50)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는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제2 드럼(50)은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내부에서 와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간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Since the second drum 5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a vortex is formed inside. As a resul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aundry is increased and the washing power can be increased.

한편, 제2 드럼(50)이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세탁수는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서서히 상승하면서 하기와 같은 제5유동을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rum 50 increases, the washing water gradually ris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forming the fifth flow as described below.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한 세탁수는 곧 가이드 리브(531)와 충돌하여 빠른 속도로 상승한다. 세탁수는 이후 제2 드럼바디(53)의 내주면의 상부를 거쳐 제2 드럼커버(51)의 상부면의 하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 경사 가이드(581)에 하면에 의해 하측으로 급격하게 이동 방향이 변경된다. 이동 방향이 급격하게 변경된 세탁수는 빠른 속도로 제2 드럼바디(53)에 수용된 세탁물에 충돌한다. 이러한 세탁수의 제5유동에 의해 세탁력이 상승한다. The washing water which has begun to rise gradually collides with the guide rib 531 and rises at a high speed. The washing water is then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cover 51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53 and then abruptly moved downwar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581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changed. The washing water having a suddenly changed moving direction collides with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second drum body 53 at a high speed. The washing power is increased by the fifth flow of the washing water.

한편, 고속회전하는 제2 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서로 충돌에 의해 일부가 상승하여 세탁물 투입구(580)에 형성된 경사 가이드(581)에 낙하하여 제2 드럼(50)에 수집되는 제6 유동(46)을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drum 50 rotating at a high speed partly rises due to collision with each other, falls on the inclined guide 581 formed on the laundry inlet 580, and collected on the second drum 50 Flow 46 is formed. .

제2 드럼(50)은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만이 제1 드럼(30)과 결합하므로 세탁물 등이 쏠린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면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롤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기울임방지부(319, 539)에 의해 롤링현상이 완하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drum 50 is coupled with the first drum 30 only at the remote portion C1,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C1, when the laundry or the like rotates at a high speed while being tilted, the near portion C2, May vibrate up and down to cause a rolling phenomenon. At this time, the rolling phenomenon can be relieved by the first and second anti-tilt portions 319 and 539.

한편, 제1 돌기경사부(318) 및 제2 돌기경사부(538)의 각도가 중력방향에 대해 대략 10도 만큼 설정된다. 따라서, 제1 드럼(30)이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제2 돌기경사부(538)가 제1 돌기경사부(318)를 따라 상승함에 따라 제2 드럼(50)이 제1 드럼(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쉽지 않다. On the other hand, the angles of the first projection slope portion 318 and the second projection slope portion 538 are set to about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drum 3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second projection 50 is moved from the first drum 30 to the second projection 30 as the second projection slope 538 rises along the first projection slope 318 It is not easy to escape.

설사, 제2 돌기경사부(538)가 제1 돌기경사부(318)를 따라 상승할 만큼 제1 드럼(30)이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고정부(93)의 상부면이 걸림부(312)의 절곡부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Even if the first drum 30 rotates at a high speed such that the second projection slope 538 rises along the first projection slope 318, So that the second drum 50 does not separate from the first drum 30. As shown in FIG.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탈수행정은 물론 탈수행정 이외에도 간이 탈수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드럼(50)은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는데, 서로 분리되어 세탁되어야 하는 세탁물을 각각 수용하는 만큼 제2 드럼(50)의 세탁수를 제1 드럼(30)으로 배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When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simple dehydr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dehydration process as well as the dehydration process. At this time, the second drum 50 needs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rum 50 to the first drum 30 as much as accommodating the laundry to be washed separately I do not.

제2 드럼(50)이 탈수를 위해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배출부(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high speed for dewatering,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70.

구체적으로, 세탁수는 제2 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제1 유동(41)을 형성한다. Specifically, the washing water forms a first flow 41 ris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50.

이후 세탁수는 유입홀(77)을 통과하여 체크밸브(71)까지 이동하는 제2 유동(42)을 형성한다. 제2 유동(42)은 제2 드럼(50)이 고속으로 회전하기 전까지는 체크밸브(71)를 통과하지 못한다. The wash water then forms a second flow 42 through the inlet hole 77 and into the check valve 71. The second flow 42 does not pass through the check valve 71 until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high speed.

제2 드럼(5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체크밸브(71)는 개방되고 세탁수는 감압부(73)를 통과하는 제3 유동(43)을 형성한다. 제3 유동(43)은 감압부(73)를 통과하면서 두 번에 걸쳐 감압된다.When the second drum 5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check valve 71 opens and the wash water forms the third flow 43 passing through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The third flow 43 is reduced in pressure twice as it passes through the decompression section 73.

이후 세탁수는 배출홀(79)을 통하여 제2 드럼(50)컵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4 유동(44)을 형성한다. 제4 유동(44)중 일부는 상측 경사부(314)를 타고 올라간 후 터브(20)로 배출된다.The washing water then forms a fourth flow 44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p of the second drum 50 through the discharge hole 79. A part of the fourth flow 44 rides up the upper slope part 314 and is discharged to the tub 20. [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수는 개방된 체크밸브(71)를 통과한 후 감압부(73)를 거쳐 제2 드럼(50)의 측면을 통해 배출되되, 제1 드럼커버(31)의 상측을 향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제1 드럼커버(31)의 상측을 넘어 터브(20) 내부로 인입된다. 터브(20) 내부로 인입된 제2 드럼(50)의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해 제1 드럼(30)으로 인입되지 않으며, 배수펌프(11)을 통해 터브(20) 외부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opened check valve 71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drum 50 through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rum cover 31 . The discharged wash water is drawn into the tub 20 beyo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rum cover 31 by the centrifugal force. 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drum 50 drawn into the tub 20 is not drawn into the first drum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20 through the drain pump 11 .

한편, 제2 드럼(50)이 탈수가 아닌 세탁을 위해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드럼(50)의 세탁수는 세탁을 위해 보존되어야 하며 탈수할 때와 마찬가지로 배출부(7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체크밸브(71) 및 감압부(73)는, 세탁을 위한 회전속도는 탈수 회전속도보다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세탁을 위한 회전속도에서 세탁수가 쉽게 통과하지 못하게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um 50 can rotate at high speed for washing, not dehydration. At this time, the wash water of the second drum 50 should be stored for washing, and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70 as in the case of dewatering. Therefore, the check valve 71 and the depressurizing portion 73 are set such that the wash water can not pass easily at the rotational speed for washing, considering that the rotational speed for washing is lower than the dehydrating rotational speed.

세탁과정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제2 드럼(50)은 제1 드럼(30)에 안착시켜 결합시키는 순서와 역순으로 제2 드럼(50)을 제1 드럼(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washing process is completed, the user can separate the second drum 50 from the first drum 30 in a reverse order to the order in which the second drum 50 is seated on the first drum 30 and coup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제1 드럼
31: 제1 드럼커버 312: 걸림부
315: 제1 요철부 319: 제1 기울임방지부
41 내지 46: 제1 내지 제6 유동 50: 제2 드럼
51: 제2 드럼커버 560: 내측 급수가이드
570: 외측 급수가이드 53: 제2 드럼바디
531: 가이드 리브 535: 제2 요철부
539: 제2 기울임 방지부 70: 배출부
71: 체크밸브 73: 감압부
75: 안착부 77: 유입홀
79: 배출홀 90: 록킹부
93: 고정부 95: 제1 프레임,
97: 제2 프레임 971: 제1 만곡부 또는 작동부
1: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 cabinet
20: a tub 30: a first drum
31: first drum cover 312:
315: first irregular portion 319: first irregular portion
41 to 46: first to sixth flows 50: second drum
51: second drum cover 560: inner water supply guide
570: outer water supply guide 53: second drum body
531: Guide rib 535: Second concave / convex portion
539: second anti-tilt portion 70:
71: Check valve 73: Pressure reducing portion
75: seat portion 77: inlet hole
79: Exit hole 90: Locking part
93: fixing part 95: first frame,
97: second frame 971: first bend section or operating section

Claims (1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드럼;
상기 제1 드럼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제1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제2 드럼;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드럼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요철부에 맞물린 채 안착하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tub for receiving wash water;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 second dru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rum, the second drum being wash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drum;
A first irregular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And
And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and configured to be se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cavo-
At least one protrusion; And
And at least one groove portion form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홈부는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are curv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홈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중력방향에 대해 10도 만큼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oncavo-convex part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part connecting the protruding part and the groove part,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s inclined by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drum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form a vortex of washing wa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의 외주면은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이격부; 및
상기 제2 요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rum
A spacing portion space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And
And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ru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은 상기 제1 요철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드럼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한 이격부의 상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울임 방지부에 안착하는 제2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rum includes a first anti-tilt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Wherein the second drum includes a second anti-tilt preventing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first anti-tilt portion to prevent vertical vibration of the separation portion due to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7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of 7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은 상단부에 밸런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요철부는 상기 밸런서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um is provided with a balancer at its upper end.
Wherein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an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은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동일한 경도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rum includes a handle for providing a space for a user to hol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same hardness as the handle portion.
KR1020160051825A 2016-04-27 2016-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227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25A KR102522791B1 (en) 2016-04-27 2016-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25A KR102522791B1 (en) 2016-04-27 2016-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15A true KR20170122615A (en) 2017-11-06
KR102522791B1 KR102522791B1 (en) 2023-04-18

Family

ID=6038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825A KR102522791B1 (en) 2016-04-27 2016-04-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79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01A (en)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086998A (en)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097594A (en)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129211A (en) * 2018-05-10 2019-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456U (en) * 1996-09-09 1998-06-25 김광호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tub divided into plural spaces
KR20150030806A (en) * 2013-09-12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7059A (en)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456U (en) * 1996-09-09 1998-06-25 김광호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tub divided into plural spaces
KR20150030806A (en) * 2013-09-12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77059A (en)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01A (en)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086998A (en)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097594A (en)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90129211A (en) * 2018-05-10 2019-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791B1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31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728586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7012261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555758B1 (en) Washing machine
KR2017012261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71987A (en) Washing machine
KR101504093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50073457A (en) Washing machine
US20180066390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WO2013042402A1 (en) Washing machine
KR2018013596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KR102025937B1 (en) Top-loading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etachable washing tub
KR10241332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2305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966211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2323054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60071B1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56380B1 (en) Washing machine
KR102429657B1 (en)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KR2019000444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00443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