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657B1 -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657B1
KR102429657B1 KR1020150042280A KR20150042280A KR102429657B1 KR 102429657 B1 KR102429657 B1 KR 102429657B1 KR 1020150042280 A KR1020150042280 A KR 1020150042280A KR 20150042280 A KR20150042280 A KR 20150042280A KR 102429657 B1 KR102429657 B1 KR 10242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water
tub
tub base
drain
dischar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5155A (en
Inventor
박영배
장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657B1/en
Publication of KR2016011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타입 세탁기는 저면을 형성하는 터브베이스 및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터브벽이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된 드럼; 구동축을 통해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베이스는 상기 배수모듈과 연결되고,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 상기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터브베이스의 상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잔수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터브베이스에 형성된 홈 형태의 잔수배출부를 통해 터브 내에 세탁수가 남지않고 배수구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having a tub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tub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 driving module for rotating the drum through the tub through a driving shaft; a drain modul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wherein the tub base is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and includes: a drain hole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is draine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passes;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guiding the wash water to the drain hole.
The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washing water does not remain in the tub and flows to the drain hole through the groove-shaped residual water outlet formed in the tub base.

Description

탑로드 타입 세탁기{TOP LOAD TYPE WASHING MACHINE}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탑로드 타입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 함.)에 묻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도록 세탁, 헹굼 또는 탈수 과정을 진행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washes laundry using the emulsification action of detergent, the water flow ac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ub or laundry blades, and the impact action applied by the laundry blades. Hereinafter, it is referred to as 'cloth') and proceeds with washing, rinsing, or dehydration to remove contamination.

그리고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의 위치에 따라 탑로드 타입과, 프론트로드 타입으로 구분되고, 탑로드타입의 세탁기는 수직방향으로 투입구가 형성되며, 프론트로드타입의 세탁기는 투입구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is divided into a top-load type and a front-load ty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let for putting laundry in. In the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the inlet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front-load type washing machine, the inlet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do.

탑로드타입 세탁기의 경우, 세탁수는 터브에 저장된다.In the case of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tub.

탑로드타입 세탁기는 최대한 수평한 상태로 설치하는게 바람직하고,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수평설치 허용범위를 갖는다. The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te as much as possible, and has an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ase of installation.

그런데 종래 탑로드타입 세탁기는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설치가 이루어지더라도 터브 내에 세탁수가 잔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has a problem in that washing water remains in the tub even if it is installed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또한 잔류되는 세탁수(이하 잔수라 한다)는 세탁 후의 물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이 잔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터브에 달라붙어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remaining wash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idual wat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because it is water after wash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esidual water adhere to the tub and cause contamin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7549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7-0075491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탑로드 타입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top-loaded wash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residual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필터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loaded washing machine capable of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filter.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저면을 형성하는 터브베이스 및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터브벽이 구비된 터브를 포함하는 탑로드타입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베이스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 상기 터브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잔수배출부;를 포함하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를 제공한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having a tub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tub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wherein the tub base comprises: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sh water is drained; It provides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a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the drain hole.

상기 잔수배출부는 홈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groove shape.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배수구과 연결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may b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상기 잔수배출부의 가장 높은 부분에서 상기 배수구로 잔수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A residual water gradient may be formed from the highest par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to the drain hole.

상기 터브베이스의 중심에는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배수구의 반대쪽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가 가장 낮도록 상기 잔수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ing shaft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ub base,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hole is formed to be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and the residual water gradien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rain hole is the lowest.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주변에서 상기 잔수배출부로 반경구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edge of the tub base, and a radial gradient may be further formed towar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around the through hole.

상기 세탁기는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배수구 쪽이 가장 높게 위치되더라도 상기 잔수구배에 의해 상기 세탁수가 상기 배수구로 유동되게 상기 잔수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in an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an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may be formed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to the drain hole by the residual water gradient even if the drain por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with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allowable rang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탑로드타입 세탁기는 저면을 형성하는 터브베이스 및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터브벽이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된 드럼; 구동축을 통해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베이스는 상기 배수모듈과 연결되고,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 상기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터브베이스의 상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잔수배출부;를 포함한다.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having a tub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tub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 driving module for rotating the drum through the tub through a driving shaft; a drain modul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the tub base is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passes;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guiding the wash water to the drain hole.

상기 잔수배출부의 가장 높은 부분에서 상기 배수구로 세탁수가 자중에 의해 유동되도록 잔수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A residual water gradient may be formed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from the highest par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to the drain hole by its own weight.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상기 관통홀 주변에서 상기 잔수배출부로 반경구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 radius gradient may be further formed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상기 세탁기는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배수구 쪽이 가장 높게 위치되더라도 상기 잔수구배에 의해 상기 세탁수가 상기 배수구로 유동되게 상기 잔수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in an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an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may be formed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to the drain hole by the residual water gradient even if the drain por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with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allowable range.

본 발명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터브베이스에 형성된 홈 형태의 잔수배출부를 통해 터브 내에 세탁수가 남지않고 배수구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washing water does not remain in the tub and flows to the drain through the groove-shaped residual water outlet formed in the tub bas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잔수배출부에 잔수구배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도 세탁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discharging wash water even if it is installed inclinedly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because the residual water gradient is formed in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배수구가 가장 높게 위치되더라도 잔수구배에 의해 세탁수가 남지 않고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without remaining due to the residual water gradient even when the drain port is located at the highest level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잔수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터브 내에 잔류하거나 말라붙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residual water even in a tilt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tub or contamination from drying ou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터브베이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잔수배출부가 도시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잔수배출부의 구조가 도시된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loaded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 shown in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ub base shown in FIG. 2 .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with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allowable rang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터브베이스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잔수배출부가 도시된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잔수배출부의 구조가 도시된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loaded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 shown in FIG. 2, and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ub base,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된 컨트롤모듈(20)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저장되어 세탁되는 드럼(40)과, 상기 터브(30)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 상기 드럼(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50)과, 상기 터브(3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60)과, 상기 터브(30)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모듈(70)과, 상기 터브(3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 또는 완충시키는 서스펜션모듈(8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operation keys installed in the cabinet 10 and receiving operation force from a user,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A control module 20 provided with a display, etc., a tub 30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 and storing wash water therein, and a tub 30 disposed inside the tub 30, the laundry is stored and washed A drum 40, a driving module 50 disposed in the tub 30 and rotating the drum 40 to wash the laundry, and a water supply module 60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30 ), a drain module 70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30 , and a suspension module 80 for reducing or buffering vibrations generated in the tub 30 .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터브(30), 드럼(40)이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 상측에 배치되는 탑커버(14)와, 상기 탑커버(14)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16)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16)에는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된다. The cabinet 10 includes a body 12 in which the tub 30 and the drum 40 are disposed, a top cover 14 disposed above the body 12, and the top cover 14. and a doo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 and a gasket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door 16 .

상기 컨트롤모듈(20)은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버튼, 다이얼 등이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각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14)에 배치된다. The control module 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a dial, etc. for receiving an operation force input from the user,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is disposed to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o the user, and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14) is placed.

상기 터브(30)는 상기 급수모듈(60)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배수모듈(70)과 연결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tub 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60 to receive and store washing wat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70 to discharge water stored therein to the outside.

상기 밸런서(18)는 상기 터브(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진동의 발생의 저감시키는 구성으로서,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balancer 18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ub 30 to reduce the generation of vib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it is a common techniqu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듈(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터브(30)에 대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대회전되게 구성된다. The drum 40 is disposed inside the tub 30 , and is configured to relatively rot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ub 30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dule 50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듈(50)은 상기 터브(30) 하측에 배치된 모터(52)와, 상기 터브(30)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40)에 연결된 구동축(54)과, 상기 드럼(4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5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펄세이터(56)를 포함한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module 50 includes a motor 52 disposed below the tub 30 , a driving shaft 54 passing through the tub 30 and connected to the drum 40 , and the drum (40) It is disposed on the inside, and includes a pulsator 56 that is selectively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52.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펄세이퍼(56)는 상기 드럼(4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40)의 회전과 별개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ulsafer 56 is disposed inside the drum 40 , and may be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drum 4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모듈(60)은 상기 탑커버(12)에 배치된 급수밸브(61) 및 급수유로(62)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module 60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61 and a water supply passage 62 disposed on the top cover 1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모듈(70)은 상기 터브(30)에 연결된 배수밸브(71)와, 상기 배수밸브(71)에 연결된 배수유로(72)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module 70 includes a drain valve 71 connected to the tub 30 and a drain passage 72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71 .

상기 서스펜션모듈(80)은 상기 터브(30)에 연결되고, 탄성력 또는 감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30)에 발생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suspension module 80 is connected to the tub 30 and reduces vibrations generated in the tub 30 by using at least one of elastic force and dampin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3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터브(30)의 내부에 드럼(4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듈(50)에 의해 상기 드럼(40)이 회전된다. 3 to 5 , the tub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 drum 40 is installed inside the tub 30 , and the drum 4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dule 50 .

상기 터브(30)는 저면을 형성하는 터브베이스(32)와, 상기 터브베이스(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터브벽(34)과, 상기 터브벽(34)의 상측에 결합되는 터브커버(35)를 포함한다. The tub 30 includes a tub base 32 forming a bottom surface, a tub wall 34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32 , and a tub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tub wall 34 . a cover 35 .

상기 터브베이스(32)에는 상기 배수모듈(70)과 연결되는 배수구(36), 상기 구동모듈(50)의 구동축(54)이 관통되는 관통홀(38)이 형성된다. A drain port 36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70 and a through hole 38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54 of the drive module 50 passes are formed in the tub base 32 .

상기 관통홀(38)은 상기 터브베이스(32)의 중심에 형성된다. The through hole 38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ub base 32 .

그리고 상기 터브베이스(32)의 상면에는 상기 배수구(36)로 잔수를 안내하는 잔수배출부(90)가 형성된다.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for guiding residual water to the drain port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3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잔수배출부(90)는 홈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상기 잔수배출부(90)는 상기 터브베이스(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tub base (32).

상기 잔수배출부(90)는 상기 터브베이스(32)의 상면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32 .

상기 터브베이스(32)는 자중에 의해 잔수가 상기 배수구(36)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배가 형성된다.The tub base 32 has a gradient formed so that residual water can flow toward the drain port 36 by its own weigh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배는 2가지 형태로 구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gradient is implemented in two forms.

상기 구배는 상기 터브베이스(32)의 잔수를 상기 잔수배출부(90)로 유동시키는 반경구배(102)와, 상기 잔수배출부(90)의 잔수를 상기 배수구(36)로 안내하는 잔수구배(104)를 포함한다. The gradient is a radial gradient 102 for flowing the residual water from the tub base 32 to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90, and a residual water gradient for guiding the residual water from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90 to the drain port 36 ( 104).

상기 반경구배(102)는 상기 터브베이스(32)에서 관통홀(38) 부분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더 낮게 형성된다. In the radial gradient 102 , the through-hole 38 portion of the tub base 32 is formed to be the highest, and is formed to be lower as it progresses in the radial direction.

그래서 상기 터브베이스(32) 표면의 잔수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반경구배(102)를 따라 상기 잔수배출부(90)로 유동된다. So, the residual water on the surface of the tub base 32 flows to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along the radial gradient 102 by its own weight.

상기 잔수구배(104)는 상기 잔수배출부(90)의 잔수를 배수구(36)로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잔수배출부(90) 전체가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한다.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is to flow the residual water from the residual water outlet 90 to the drain port 36, and the entire residual water outlet 90 form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특히 상기 잔수구배(104)는 상기 관통홀(38)을 중심으로 상기 배수구(36) 쪽(C)이 가장 낮고, 상기 배수구(36)의 반대쪽(A)이 가장 높게 형성된다. In particular, in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the side (C) of the drain port 36 is the lowest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38, and the opposite side (A) of the drain port 36 is the highest.

즉, 상기 잔수가 가장 높은 A쪽에 있더라도 상기 잔수구배(104)에 의해 배수구(36) 쪽인 C로 자중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residual water is in the highest side A, it can flow to C, which is the drain port 36, by its own weight by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

그래서 A쪽의 잔수는 A->B->C 위치로 유동된다. So, the residual water on the A side flows to the A->B->C position.

특히 상기 잔수구배(104)는 세탁기의 수평설치 허용범위 안에서 잔수가 배수구(36)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is formed so that residual water can flow into the drain 36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of the washing machine.

예를 들어 상기 수평설치 허용범위가 1도인 경우, 상기 배수구(36) 쪽인 C가For example, when the allowable range for horizontal installation is 1 degree, C, which is the drain port 36, is

A보다 높은 측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잔수구배(104)에 의해 잔수가 유동되게 형성된다. Even if it is located on the higher side than A, the residual water is formed to flow by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

이를 위해 상기 잔수배출부(90)의 홈 깊이는 상기 배수구(36) 쪽으로 갈수록 더 깊게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is formed to be deeper toward the drain port 36 .

그래서 상기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배수구(36) 쪽인 C가 더 높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잔수배출부(90)에 형성된 잔수구배(104)를 따라 배구수(36)로 유동된다. Therefore, even if C, which is toward the drain port 36, is formed higher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the residual water flows to the volleyball water 36 along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formed in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잔수구배(104)는 상기 터브베이스(32) 전체의 두께를 변경시키지 않고, 터브베이스(32)의 두께를 구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시킨 상태에서 잔수배출부(90)의 홈 깊이를 점진적으로 변환시켜 구현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does not chang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ub base 32, an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90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thickness of the tub base 32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haft. It is implemented by gradually changing the groove depth of

이와 같이 홈 깊이를 조절하여 잔수구배(104)를 형성시키는 경우, 터브(30)의 불균형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In this way, when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is formed by adjusting the groove depth, an imbalance of the tub 30 is not caused.

상기 터브(30)가 비대칭되게 제작되어 무게의 불균형이 발생되는 경우, 서스펜션모듈(80)에 가해지는 부하도 불균형하게 형성된다. When the tub 30 is manufactured asymmetrically to cause an imbalance in weight, the load applied to the suspension module 80 is also imbalanced.

그래서 세탁 또는 탈수 시 상기 서스펜션모듈(80)에 가해지는 각기 다른 부하에 의해 진동이 효과적으로 완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Therefor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vibration is not effectively buffered by different loads applied to the suspension module 80 during washing or dehydration.

다시 말해, 터브(30)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면, 각 서스펜션모듈(80)의 부하가 각기 다르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진동일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면서 잔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weight of the tub 30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either side, the load of each suspension module 80 is formed differently, and thus the vibration may be unevenly formed. Residual water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while suppressing the

특히,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배수구(36)가 높게 위치되더라도 터브(30) 내의 잔수는 잔수배출부(90)로 유동된 후 잔수배출부(90)에 형성된 잔수구배(104)를 따라 배수구(36)로 유동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잔수를 모두 배출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even if the drain port 36 is located high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the residual water in the tub 30 flows to the residual water outlet 90 and then along the residual water gradient 104 formed in the residual water outlet 90, the drain hole ( 36), structurally, all residual water can be discharg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캐비닛 11 : 투입구
12 : 캐비닛본체 13 : 도어
14 : 탑커버 18 : 밸런서
20 : 컨트롤모듈 30 : 터브
32 : 터브베이스 34 : 터브벽
35 : 터브커버 36 : 배수구
38 : 관통홀 40 : 드럼
50 : 구동모듈 60 : 급수모듈
70 : 배수모듈 80 : 서스펜션모듈
90 : 잔수배출부 102 : 반경구배
104 : 잔수구배
10: cabinet 11: inlet
12: cabinet body 13: door
14: top cover 18: balancer
20: control module 30: tub
32: tub base 34: tub wall
35: tub cover 36: drain hole
38: through hole 40: drum
50: drive module 60: water supply module
70: drainage module 80: suspension module
90: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102: radius gradient
104: residual water gradient

Claims (13)

저면을 형성하는 터브베이스 및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터브벽이 구비된 터브를 포함하는 탑로드타입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베이스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
상기 터브베이스의 상면에 홈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잔수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배출부의 가장 높은 부분에서 상기 배수구로 잔수구배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베이스의 두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고,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배수구 측의 홈 깊이가 상기 가장 높은 부분의 홈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터브베이스의 중심에는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배수구의 반대쪽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가 가장 낮도록 상기 잔수구배가 되며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주변에서 상기 잔수배출부로 반경구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반경구배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잔수를 상기 잔수배출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잔수구배는, 상기 잔수배출부의 잔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며,
상기 잔수구배는 상기 터브베이스 전체의 두께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기 터브베이스의 두께를 구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잔수배출부의 홈 깊이를 점진적으로 변환시켜 구현되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
A top-loaded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having a tub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tub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The tub base is
a drain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rained;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which is formed concavely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drain hole;
A residual water gradient is formed from the highest par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to the drain port,
The thickness of the tub bas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to have a groove depth on the side of the drain hole deeper than the groove depth of the highest par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ub base,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hole is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and the residual water gradient is such that the drain hole is the lowest.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edge of the tub base, and a radial gradient is further formed towar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around the through hole,
The radial gradient causes the residual water of the tub base to flow to the residual water outlet, and the residual water gradient guides the residual water from the residual water outlet to the drain,
The residual water gradient is implemented by gradually changing 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residual water outlet while the thickness of the tub base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haft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tub bas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배수구과 연결된 탑로드 타입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is a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탑로드 타입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is a top rod type washing machin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배수구 쪽이 가장 높게 위치되더라도 상기 잔수구배에 의해 상기 세탁수가 상기 배수구로 유동되게 상기 잔수배출부가 형성된 탑로드 타입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at an angle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to the drain hole by the residual water gradient even if the drain por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with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allowable range.
저면을 형성하는 터브베이스 및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터브벽이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된 드럼;
구동축을 통해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베이스는
상기 배수모듈과 연결되고,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
상기 구동축이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터브베이스의 상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잔수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배출부의 가장 높은 부분에서 상기 배수구로 잔수구배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베이스의 두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고,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배수구 측의 홈 깊이가 상기 가장 높은 부분의 홈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배수구의 반대쪽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가 가장 낮도록 상기 잔수구배가 되며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주변에서 상기 잔수배출부로 반경구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반경구배는, 상기 터브베이스의 잔수를 상기 잔수배출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잔수구배는, 상기 잔수배출부의 잔수를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며,
상기 잔수구배는 상기 터브베이스 전체의 두께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기 터브베이스의 두께를 구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잔수배출부의 홈 깊이를 점진적으로 변환시켜 구현되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
a tub having a tub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tub wall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tub base to store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side the tub;
a driving module for rotating the drum through the tub through a driving shaft;
Including; a drainage modul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The tub base is
a drain port connected to the drain module and draining wash wate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passes;
A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the drain port;
A residual water gradient is formed from the highest par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to the drain port,
The thickness of the tub bas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to have a groove depth on the side of the drain hole deeper than the groove depth of the highest part,
The opposite side of the drain hole is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and the residual water gradient is such that the drain hole is the lowest.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edge of the tub base, and a radial gradient is further formed towar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around the through hole,
The radial gradient causes the residual water of the tub base to flow to the residual water outlet, and the residual water gradient guides the residual water from the residual water outlet to the drain,
The residual water gradient is implemented by gradually changing 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residual water outlet while the thickness of the tub base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haft without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tub 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설치 허용범위 내에서 상기 배수구 쪽이 가장 높게 위치되더라도 상기 잔수구배에 의해 상기 세탁수가 상기 배수구로 유동되게 상기 잔수배출부가 형성된 탑로드 타입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at an angle within the allowable horizontal installation range,
A top-load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to the drain hole by the residual water gradient even if the drain port is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withi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allowable range.
KR1020150042280A 2015-03-26 2015-03-26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KR102429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80A KR102429657B1 (en) 2015-03-26 2015-03-26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80A KR102429657B1 (en) 2015-03-26 2015-03-26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155A KR20160115155A (en) 2016-10-06
KR102429657B1 true KR102429657B1 (en) 2022-08-04

Family

ID=5716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80A KR102429657B1 (en) 2015-03-26 2015-03-26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65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68Y1 (en) * 1996-09-30 1999-06-15 전주범 The water drain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19980036757A (en) * 1996-11-19 1998-08-05 김광호 Water tank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KR20070075491A (en)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ained water draining structure of steam generator for wash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155A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143B1 (en) A washing machine
RU2619011C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thereof
EP1143059B1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CN104862920B (en)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its vibration
RU2610392C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80222A (en) Washing machine
KR20130009351A (en) Washing machine
JP4998130B2 (en) Washing machine
JP2011104211A (en) Washing machine
KR102429657B1 (en)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US7428832B2 (en) Drum washing machine
JP5003737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339979B1 (en)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KR102442966B1 (en) Top load type washing machine
JP2009045379A (en) Washing machine
JP2010017217A (en) Washing machine
JP4661521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1362369B1 (en) Clothes Washing Machine Having Balancer
EP2966211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0495069B1 (en) A tub for drum washing machine
KR102428265B1 (en) Washing machine
JP2014018498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11024847A (en) Washing machine
JP2018149219A (en) Washing machine
JP2017189480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