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455A -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 Google Patents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455A
KR20170122455A KR1020160051422A KR20160051422A KR20170122455A KR 20170122455 A KR20170122455 A KR 20170122455A KR 1020160051422 A KR1020160051422 A KR 1020160051422A KR 20160051422 A KR20160051422 A KR 20160051422A KR 20170122455 A KR20170122455 A KR 2017012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manufacturing
resin
presen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낙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티케이
Priority to KR102016005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455A/ko
Publication of KR2017012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PLA)와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PBAT)의 폴리에스테르 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칫솔대는 고강도, 고강성, 고내열, 저흡수율, 치수 안정성 등에 우수한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90% 중량과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 10% 중량의 조성물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융합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실린더 공정;
상기 실린더 공정에 의해 용융된 것을 칫솔대 금형에 사출하는 공정;
상기 칫솔대 금형에 고화된 제품이 취출되는 공정에 의한 칫솔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제조방법.

Description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Toothbrush 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thbrush body by}
본 발명은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보방법에 의한 칫솔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PLA)와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PBAT)의 폴리에스테르 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칫솔대는 고강도, 고강성, 고내열, 저흡수율, 치수 안정성 등에 우수한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대의 제조할 때 사용되는 주 원료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90% 중량에 유리섬유 10%중량이며 이를 실린더에 융합하여 용융한 뒤 칫솔대의 형상으로 된 금혐에 사출시켜 칫솔대를 성형 제조하게 된다.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칫솔대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칫솔대(10)의 손잡이부(11)와 칫솔모(12)가 부착 결합되는 헤드부(13)와, 상기 손잡이부(11)와 헤드부(13)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폴리스트렌 90% 중량과 유리섬유 10% 중량으로 제조된 칫솔대를 사용자가 이용하게 되면 오래 지나지 않아 손잡이부(11)와 헤드부(13)와 연결하는 연결부(14)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폴리스트렌은 인장강도, 탄성율은 열가소성수지 즉,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에서 상위에 위치하지만 충격강도는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PLA)와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PBAT)의 폴리에스테르 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칫솔대는 고강도, 고강성, 고내열, 저흡수율, 치수 안정성 등에 우수하기 때문에 칫솔대의 연결부에 해당되는 목 부분이 파손되지 않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칫솔 헤드부 저면에는 혀 클리너의 형상으로 사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90% 중량과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 10% 중량의 조성물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융합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실린더 공정;
상기 실린더 공정에 의해 용융된 것을 칫솔대 금형에 사출하는 공정;
상기 칫솔대 금형에 고화된 제품이 취출되는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칫솔의 헤드부에는 혀 클리너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와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칫솔대의 연결부의 목 부분는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칫솔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사출된 칫솔대의 헤드부 저면에는 혀 클리너가 마련되어 있어 혀의 설태를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성물에 제조된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칫솔대의 제조방법에 따른 칫솔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칫솔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 특정적으로 칫솔대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제품, 예를들면 생산자재, 건축자재, 포장자재, 산업자재 등 그 대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제품으로서, 친환경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되는 제품의 물리/화학적 성질, 예를 들면 내충격성, 내열성, 성형성 및/또는 내화학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수지(PLA)와 폴리프탈아미드(PPT)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고분자 수지의 사용량은 생분행성 수지 조성물 90중량%를 기준으로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 10중량%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는 재생 가능한 유기자원 유래의 물질을 함유하며,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합성되어 고분자 재료로 사용될 수 있어 친환경적인 것으로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생분해성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식물계/동물계 바이오매스; 천연섬유, 셀룰로스, 리그노 셀룰로스, 전분, 디엔계 고분자와 중합반응하여 바이오매스 탄성체로 제조된 식물성 오일의 지방산, 해조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추천하기로는 천연섬유, 셀룰로스, 리그노셀룰로스, 전분, 식물성 오일의 지방산, 해조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혼합하여 칫솔대를 제조하는 고정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 a)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90% 중량과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 10% 중량의 조성물로 혼합하는 공정;
b) 융합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실린더 공정;
c) 실린더 공정에 의해 용융된 것을 칫솔대 금형에 사출하는 공정;
d) 칫솔대 금형에 고화된 제품이 취출되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칫솔(100)의 칫솔대(101)의 헤드부(102) 표면에는 혀의 설태를 제거하는 혀 클리너(10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혀 클리너(102)의 형상은 칫솔대의 사출금형에 따라 다양하게 모양으로 생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칫솔대(101)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조성물로 성형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칫솔대(101)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스틱형의 바 타입으로 성형하여 제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
그리고, 상기 헤드부(102)는 상기 칫솔대(101)의 선단에 동일 재질로 성형되되, 일측면에 비분해성 수지 재질의 칫솔모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양치를 하는 부분이다.
상기 헤드부(102)는 구강 내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양치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불쾌감이 없도록 라운드 면을 갖는 판 형태로 제작되되, 일면에 다수의 칫솔모가 식모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칫솔대(100)과 헤드(102)를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조성물을 이용해 사출 성형 하게 된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자연 상태에서 생분해되는 수지 조성물 중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물로 된 칫솔대는 생분해성 수지로서 폐기 과정에서 소각처리 하지 않고, 단순히 매립함에 따라 광분해성 중 1가지 이상의 분해 기능에 의해 수개월 내지 수년 이내에 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바이오매스 등으로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칫솔 101: 칫솔대
102:헤드부 103: 혀 클리너

Claims (2)

  1.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90% 중량과 부틸 렌 아디 페이트 - 코 - 테레 프탈레이트 수지 10% 중량의 조성물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융합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실린더 공정;
    상기 실린더 공정에 의해 용융된 것을 칫솔대 금형에 사출하는 공정;
    상기 칫솔대 금형에 고화된 제품이 취출되는 공정에 의한 칫솔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제조방법.
  2. 칫솔의 헤드부에는 혀 클리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대
KR1020160051422A 2016-04-27 2016-04-27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KR20170122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22A KR20170122455A (ko) 2016-04-27 2016-04-27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22A KR20170122455A (ko) 2016-04-27 2016-04-27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55A true KR20170122455A (ko) 2017-11-06

Family

ID=6038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22A KR20170122455A (ko) 2016-04-27 2016-04-27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4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73389A (zh) * 2020-12-10 2023-03-31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抑制霉菌的生物降解pla牙刷柄及其生产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73389A (zh) * 2020-12-10 2023-03-31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抑制霉菌的生物降解pla牙刷柄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govina et al.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synthetic polymers reinforced with natural fibers
HRP20170971T1 (hr) Alat za njegu ljubimca i postupak proizvodnje takvih alata za njegu ljubimca
ATE294686T1 (de) Spritzgiess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bundmaterialien und danach hergestellte zahnbürste
US9554640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WO2006125036A3 (en) Cloth-like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1200581A (zh) 天然纤维强化的聚乳酸基树脂组合物
RU2014153000A (ru) Высокоплотная полиэтиле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контейнер
KR20100066195A (ko) 천연섬유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ATE514541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ehrkomponentigen kunststoff-formteilen
KR101759573B1 (ko) 친환경 칫솔
MX2013013591A (es) Articulos moldeados de composiciones almidon-polimero-cera-aceite.
KR20070010837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N114479199B (zh) 一种全生物降解仿生鱼饵及其制备方法
BRPI0821144A8 (pt) Escova de cabelo, cerda e processo para produção das mesmas
ATE475525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voh- zusammensetzung
KR20170122455A (ko) 칫솔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칫솔대
ATE462547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aus mindestens zwei unterschiedlichen kunststoffen
Nur Diyana et al. Physic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 fiber composites reinforced poly (lactic acid): miswak (Salvadora persica L.) fibers
JP2010208190A (ja) ペットボトルリサイクル箸の製造方法
CN103910909A (zh) 一种耐高温塑料复合材料
JP2012017426A (ja) 熱可塑性樹脂用改質剤
CN102113767A (zh) 全降解环保牙刷
KR20100022411A (ko) 녹말 빨대
KR101460679B1 (ko) 칫솔 및 그 칫솔의 제조방법
JP2005323637A (ja) 歯ブラシ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