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677A -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677A
KR20170121677A KR1020170020677A KR20170020677A KR20170121677A KR 20170121677 A KR20170121677 A KR 20170121677A KR 1020170020677 A KR1020170020677 A KR 1020170020677A KR 20170020677 A KR20170020677 A KR 20170020677A KR 20170121677 A KR20170121677 A KR 20170121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oor lock
unit
door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멘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멘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멘텍스
Publication of KR2017012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기부 및 내기부로 구성된 도어락 장치에 각종 센서 및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나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외측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상태정보를 통지할 수 있는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외기부가 내기부의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 및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외기부가 휴대단말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내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외기부가 제1 신호 세기 및 제2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확인하고, 휴대단말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기부가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휴대단말로 통지하고 실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기부가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통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Door lock device providing home service}
본 발명은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기부 및 내기부로 구성된 도어락 장치에 각종 센서 및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나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외측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상태정보를 통지할 수 있는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본체, 본체와 연결되는 외측 레버 및 내측 레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도어락의 잠금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잠금 해제를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등록특허 제10-1414773호를 보면 휴대단말과 도어락 간 페어링이 연결되어 휴대단말이 도어락으로 인식정보를 전송하면 도어락이 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도 도어락의 개폐 동작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에만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도어락의 개폐 동작 외에 도어락의 사용자나 관리자 측면에서 유용하고 획기적인 부가적 기능을 추가하여 도어락 장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도어락 장치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47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도어락에 홈 서비스 관련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도어락 장치의 부가가치 및 상품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레버를 구비하고 외측 레버에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외기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레버를 구비하고 내측 레버에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센서부를 내장하는 내기부와, 상기 내측 레버 및 상기 외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 및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외기부가 휴대단말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내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상기 외기부가 제1 신호 세기 및 제2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휴대단말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통지하고 실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통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홈 서비스 방법은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외기부 및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홈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외기부와 상기 내기부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상기 내기부에 구비된 센서부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수신한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 및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휴대단말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내기부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상기 외기부가 제1 신호 세기 및 상기 내기부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 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내기부에 각종 센서를 내장하여 센서가 감지하는 내용에 따라 다양한 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내기부에 온도센서나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를 내장하여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나 도어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도어 외측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알려줄 수 있다. 특별히 집안 방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여 아기가 있는 방의 환경상태나 아이의 상태를 방 밖에 있는 엄마의 휴대단말로 즉시 통지함으로써 주방이나 마루에서 엄마가 안심하고 집안일이나 볼일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를 이용하여 방 안의 환경상태나 방 안에 있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방 밖의 사람에게 모니터링 결과를 통지하는 것으로 방 안쪽의 내기부에 센서를 장착해야 하고, 원활한 통신을 위해 가능하다면 외기부에 통신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내기부와 외기부 간 통신라인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유선 통신라인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내기부와 외기부가 상호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 라인을 내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배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여 실내의 상황을 알 수 있을 때는 상태정보를 휴대단말로 통지하지 않고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하여 실내의 상황을 알 수 없을 때만 상태정보를 휴대단말로 통지함으로써, 이미 파악한 상태정보가 불필요하게 휴대단말로 전송되어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는 경우를 방지하며 꼭 필요한 상태정보만을 사용자가 파악함으로써 홈 서비스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와 통신하는 휴대단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에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에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에 홈 서비스를 제공할 때 휴대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에서 휴대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에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는 크게 내기부(100), 외기부(200) 및 잠금부(300)로 구성된다.
내기부(100)는 도어(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110), 내측 레버 고정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부품 및 배터리를 내장한 내측 레버(120), 내측 레버(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내측 레버 고정구(11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 내측 회전 바(130) 등을 포함한다.
외기부(200)는 도어(400)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내기부(100)의 구성과 유사하다. 외기부(200)는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210), 외측 레버 고정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을 내장한 외측 레버(220), 외측 레버(2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측 레버 고정구(21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 외측 회전 바(230) 등을 포함한다.
잠금부(300)는 도어 모서리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래치(10)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 잠금을 푸는 역할을 수행한다. 잠금부(300)는 내기부(100) 및 외기부(200)와 연결되어 내측 레버(120) 및 외측 레버(220)의 회전에 연동한다.
내기부(100)와 외기부(200)가 도어(400)의 내외측에 설치될 때 내측 회전 바(130) 및 외측 회전 바(230)가 잠금부(300)의 연동 구멍(305)에 삽입되고, 연동 구멍(305)에 마련된 전원단자와 회전 바(130, 230)에 마련된 전원단자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내기부(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이 외기부(200)의 전자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기부(2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 제1 센서부(202), 입력부(203), 출력부(204), 도어락 구동부(205), 제어부(206) 등을 포함하고, 내기부(100)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 제2 센서부(102), 배터리(103) 등을 포함한다.
외기부(200)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은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은 여러 개의 통신모듈에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마스터 모듈로서,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동시에 주변의 휴대단말(250)(도 4 참조)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부(202)는 도어 외측 공간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모듈을 구비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부(202)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02)에서 생성된 센서신호는 제어부(206)로 입력된다.
입력부(203)는 도어락의 비밀번호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푸시버튼이나 정전용량식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03)는 외측 레버(220)에 숫자 및 기호 버튼이 일렬로 배치된 구성이다.
출력부(204)는 도어 외측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나 인식대상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204)는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나 특정 상태를 표시하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구동부(205)는 제어부(206)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잠금부(30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도어락 구동부(205)는 제어부(206)로부터 개방 명령을 받으면 잠금부(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어부(206)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으면 잠금부(300)를 잠금 상태로 만든다.
제어부(206)는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206)는 기본적으로 입력부(203)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205)로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도어의 닫힘이 확인되면 도어락 구동부(205)로 폐쇄 명령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6)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되, 외기부(200)가 신호나 정보를 송수신하며 처리하는 내용 중심으로 상술하기로 한다.
내기부(100)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은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은 하나의 통신모듈에만 접속하는 슬레이브 모듈로서 오직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단말과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못한다.
제2 센서부(102)는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또는 도어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예를 들어, 아기)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모듈을 구비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부(102)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등의 환경센서 와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102)는 인식대상의 움직임 상태(예를 들어, 아기가 자고 있거나 깨어 움직이고 있는 상태 등)를 감지할 수 있는 RGB 카메라나 깊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02)에서 생성된 센서신호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과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 간 통신채널을 통해 제어부(206)로 입력된다.
배터리(103)는 도어락 장치의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103)로는 건전지나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03)의 전력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300)의 연결 구조를 통해 외기부(2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통신 및 외부 통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의 내부 통신에서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01)과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1)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한다.
도어락 장치의 외기부(200)와 내기부(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의 외부 통신으로서 휴대단말(250)이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01)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은 1:N 통신이 가능한 마스터 통신모듈이므로 도어락 장치의 외기부(200)와 내기부(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단말(250)과 페어링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락 장치는 휴대단말(250)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250)로 외측 공간(제1 공간)과 내측 공간(제2 공간)의 환경 상태나 내측 공간에 있는 감시(인식) 대상의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25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기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등의 통신 기능 및 홈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종류의 기기라도 가능하다.
한편,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이 휴대단말(25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1)은 휴대단말(250)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1)은 휴대단말(250)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
내기부(100)는 수신한 제2 신호 세기를 외기부(200)로 전달하고, 외기부(200)는 제1 신호 세기와 제2 신호 세기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휴대단말(250)이 도어(400) 기준으로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로 홈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50)의 외기부(200)와 내기부(100)가 상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S10)에서 도어락 장치(50)의 외기부(200)가 휴대단말(250)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S20).
블루투스의 통신 반경은 출력에 따라 다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홈 서비스를 위한 집안 내 통신이므로 대략 10m 전후가 바람직하며 집 근처까지 통신을 확대하고자 하면 50m 정도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50)이 집안에 있거나 집 근처에 있으면 도어락 장치(50)와 휴대 단말(250) 간 자동으로 페어링이 이루어지면서 휴대 단말(250)과 도어락 장치(50)이 상호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휴대 단말(250)과 도어락 장치(50)의 외기부(200) 간에 페어링 과정을 거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
휴대 단말(250)과 도어락 장치(50)에 자동 페어링이 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250)에 도어락 홈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전에 도어락 장치(50)에 사용자 등록이 완료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도어락 장치(50)의 내부 통신 및 도어락 장치(50)와 휴대단말(250) 간 통신이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50)의 내기부(100)는 센서로부터 생성된 센서신호를 내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기부(200)로 전송한다(S22).
외기부(200)는 내기부(100)로부터 내측 공간과 관련된 센서신호를 수신하면, 센서신호를 처리하여(S24), 처리된 센서신호에 따른 내측 공간의 상태를 휴대단말(400)로 통지한다(S2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에서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의 외기부(200)는 입력되는 센서신호를 확인하여 센서신호의 종류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입력되는 센서신호가 온도값인 경우(S50), 도어락 장치는 외기부(200)에서 들어온 제1 온도값과 내기부(100)에서 들어온 제2 온도값을 구분하여 처리한다. 즉, 도어락 장치는 제1 온도값과 제2 온도값을 확인하는 한편 상호 비교하여 차이값을 구한다(S52).
다음, 도어락 장치는 온도값과 온도 차이값을 이용하여 내측 공간인 제2 공간의 온도상태를 휴대단말(250)로 통지한다(S54).
한편, 입력되는 센서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S60), 도어락 장치는 내기부(100)에서 들어온 음성정보와 기저장된 음성패턴을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2).
도어락 장치는 내부 메모리에 인식대상 예를 들어, 아기의 울음소리나 특정 소리를 저장해 놓고 해당 소리에 대응하는 상태를 정의해 놓는다. 도어락 장치는 마이크에서 생성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패턴과 특정 소리에 따른 음성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입력된 음성정보가 기저장된 음성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는 해당하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도어락 장치에 출력한다(S64).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인식대상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LED 등의 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어락 장치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휴대단말(250)로 통지한다(S66).
도어 내측 공간인 방에 아기가 자고 있고 엄마가 외측 공간인 주방이나 마루에서 집안일을 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면, 엄마의 휴대단말(250)에 도 7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어락 장치가 내기부(100)에 구비된 온도 센서와 외기부(200)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통해 온도값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아기가 자고 있는 방의 온도 상태를 엄마에게 알려준다. 도 7의 (a)에서, 엄마의 휴대단말(250) 화면에 "실내온도 18℃(외부 온도보다 3℃ 낮습니다) 앗, 아기방이 추워요!"라는 메시지가 팝업 창의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가 내기부(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방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발생한 소리가 특정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아기의 상태를 엄마에게 알려준다. 도 7의 (b) 및 (c)에서, 엄마의 휴대단말(250) 화면에 "아기가 울고 있네…!", 또는 "아기가 일어났구나!" 등의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아기의 현재 상태를 방에서 발생한 소리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나, 아기의 영상을 통해 감지할 수도 있다. 즉, 도어락 장치가 내기부(100)에 구비된 RGB 카메라나 깊이 센서를 통해 RGB 영상이나 깊이 영상을 획득하고 이러한 영상으로부터 아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아기의 상태(자고 있는 상태, 깨어나 머리를 들고 있는 상태, 기어다니는 상태 등)를 엄마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엄마가 아기 방과 떨어져 있는 주방이나 마루에서 집안일이나 다른 볼일을 보고 있더라도 자신의 휴대단말을 통해 아기 방의 환경상태나 아기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의 외기부(200)가 내측 공간의 상태정보나 아기 등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무조건 휴대단말(250)로 전송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여 내측 공간의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고 하면 반드시 상태정보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실내 상황을 바로 알 수 있는데 휴대단말로 상태정보를 받는 것은 오히려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태정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에서 휴대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도어락 장치(50)의 외기부(200)와 내기부(100)가 상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S10), 외기부(200)와 휴대단말(25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S20) 상태에서, 외기부(200)는 휴대단말(250)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S32), 내기부(100)는 휴대단말(250)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한다(S34). 도어락 장치(50)의 외기부(200)와 내기부(100)는 휴대단말(250)과 근거리 통신 연결과 상관없이 휴대단말(25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의해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내기부(100)는 휴대단말(250)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 세기를 내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기부(200)로 전달한다(S36). 외기부(200)는 제1 신호 세기 및 제2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250)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 파악한다(S38). 즉, 외기부(200)는 신호 세기에 따른 거리를 연산하고 두 거리의 차이를 확인하여 휴대단말(250)이 도어를 기준으로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의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는 외기부(200)의 제1 센서부(202)와 내기부(100)의 제2 센서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센서 신호를 처리 및 분석하여 그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도어락 장치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등과 같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각종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내측 공간의 환경 상태를 획득한다(S80).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든 실외에 있든 언제나 확인해야 할 정보이므로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에 상관없이 언제나 사용자의 휴대단말(250)로 전송된다(S82).
한편, 도어락 장치는 마이크, 카메라, 깊이 센서 등과 같이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각종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의 상태를 획득한다(S90).
내측 공간에 있는 인식대상 예를 들어, 아기나 애완동물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으면 대부분 파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하여 인식대상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의 휴대단말(25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공간의 인식대상의 상태 정보가 획득된 후에 도어락 장치는 휴대단말(250)이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확인하여(S92), 휴대단말(250)이 실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획득한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S94). 반면, 휴대단말(250)이 실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획득한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휴대단말(250)에서 상태정보의 통지 여부를 그 종류와 자신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든 종류의 상태정보가 자신의 위치에 상관없이 통지되도록 설정하거나, 모든 종류의 상태정보가 자신이 실외에 있을 때만 통지되도록 설정하거나, 온도/습도/먼지 등의 실내 환경의 상태정보는 자신의 위치에 상관없이 통지되고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는 자신이 실외에 있을 때만 통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식대상의 상태정보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아기가 울고 있는 상태, 아기가 잠에서 깬 상태, 아기가 움직이고 있는 상태 등과 같이 마이크, 카메라 또는 깊이 센서 등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는 상태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상태를 선택하여 자신이 실외에 있을 때만 통지되도록 하고 나머지 상태는 위치에 상관없이 통지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휴대단말(25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정보의 통지 여부에 대한 설정정보는 도어락 장치(50)로 전송되어, 도어락 장치(50)의 외기부(20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도어락 장치(50)는 여러 종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실내외 위치를 확인한 후,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정보에 따라 어떤 상태정보는 휴대단말(250)로 통지하고 어떤 상태정보는 휴대단말(250)로 통지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50: 도어락 장치 100: 내기부
101: 제2 근거리 통신모듈 102: 제2 센서부
103: 배터리 200: 외기부
201: 제1 근거리 통신모듈 202: 제1 센서부
203: 입력부 204: 출력부
205: 도어락 구동부 206: 제어부
250: 휴대단말 300: 잠금부

Claims (5)

  1.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레버를 구비하고 외측 레버에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외기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레버를 구비하고 내측 레버에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센서부를 내장하는 내기부와,
    상기 내측 레버 및 상기 외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처리하여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 및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외기부가 휴대단말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내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상기 외기부가 제1 신호 세기 및 제2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휴대단말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통지하고 실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통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실외에 있든 실내에 있든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외기부가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3.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외기부 및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홈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기부와 상기 내기부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상기 내기부에 구비된 센서부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수신한 센서 신호를 처리하여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 및 인식대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휴대단말로부터 제1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내기부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상기 외기부가 제1 신호 세기 및 상기 내기부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도어 내측 공간의 환경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 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홈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실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기부가 인식 대상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홈 서비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환경상태 정보 및 인식대상의 상태정보의 종류와 사용자의 실내외 위치에 기반하여 상태정보의 통지 여부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외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태정보의 통지 여부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홈 서비스 방법.
KR1020170020677A 2016-04-25 2017-02-15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1701216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0378 2016-04-25
KR1020160050378 2016-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677A true KR20170121677A (ko) 2017-11-02

Family

ID=6038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677A KR20170121677A (ko) 2016-04-25 2017-02-15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532B1 (ko) * 2019-07-22 2020-02-2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12A (ko) * 2003-11-24 2005-05-27 블루솔텍(주) 무선 도어 잠금 장치의 오동작 방지 제어 방법
KR101589955B1 (ko) * 2014-11-03 2016-01-29 박용기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12A (ko) * 2003-11-24 2005-05-27 블루솔텍(주) 무선 도어 잠금 장치의 오동작 방지 제어 방법
KR101589955B1 (ko) * 2014-11-03 2016-01-29 박용기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adas(2016.03.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532B1 (ko) * 2019-07-22 2020-02-2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72B2 (en) Installation-free rechargeable door lock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9892579B2 (en) Control method for smart lock, a smart lock, and a lock system
US950824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rming and disarming of a security system
US8193935B2 (en) RFID perimeter alarm monitoring system
US10167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arage door opener operations
US10121029B2 (en) Locating radio energy-producing tag
US9542822B2 (en) Method to activate smart phone alarm on attempt to open door or windows
JP2011087016A (ja) 所在管理システム
KR101923901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3212933U (ja) 入退室管理装置
EP3217503B1 (en) Superimposed conveyance of data and electrical power
KR101551445B1 (ko) 활동 패턴 분석을 통한 입주자 인증에 따른 관제기 연동형 출입통제 시스템
KR20170121677A (ko) 홈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US11455164B2 (en) Security system with smart connection module
JP2020526176A (ja) 電気安全カバー
KR101716808B1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JP2011094292A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0869293B1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408B1 (ko) 반려동물용 장난감 관리장치 및 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장난감
KR100715120B1 (ko) 홈네트워크 제어 장치
CN109842538B (zh) 信息提示系统
US10728052B2 (en) Secure remote actuation system
JP2019108683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10149A (ja) 宅内個別化状況制御システム及び宅内個別化状況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