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407A -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 Google Patents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407A
KR20170121407A KR1020160049784A KR20160049784A KR20170121407A KR 20170121407 A KR20170121407 A KR 20170121407A KR 1020160049784 A KR1020160049784 A KR 1020160049784A KR 20160049784 A KR20160049784 A KR 20160049784A KR 20170121407 A KR20170121407 A KR 2017012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 membrane
periodontal disease
therapeutic agent
hydrophilic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6004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407A/ko
Publication of KR2017012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은,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및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내에 마련되어 치주질환에 작용하는 녹차 성분이 함유된 치료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Topical administration type chip for therapy of periodontal diseases}
본 발명은,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주낭(periodontal pocket)에 치주질환 치료제를 직접 삽입하여 질환 부위에 직접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치과질환의 경우 유아기, 청년기에는 충치로 인한 질환이 치과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나 장년기, 노년기로 갈수록 충치로 인한 치과질환보다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과질환의 발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성인 질환 중 치주질환이 유병율(prevalence)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0년 들어 출산율 저하 등으로 고령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더불어 생활수준의 향상은 이런 고령화를 가속화하는 실정이다. 치주질환은 연령과도 관계가 깊은데 20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에는 과반수에서, 35세 이후에는 4명당 3명꼴로, 그리고 40세 이상의 장노년층의 경우 80~90%에서 잇몸질환이 발생한다.
치주질환은 흔히 풍치라고도 하며, 세균의 복합적인 감염(mixed infection)에 의한 치주조직의 파괴를 동반하는 염증질환을 말하며, 치은출혈과 종창, 치주낭의 형성, 부착 치은의 상실, 치조골의 파괴 및 구취와 같은 다양한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며 치아상실 및 임플란트 실패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치주질환은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에는 V자 모양의 틈이 있는데, 이 홈(sulcus)의 잇몸 선 아래 부분을 박테리아가 공격하여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이 치주질환이다. 염증이 진행되어 더 많은 조직이 손상되면서 홈이 치주낭으로 발전하게 되며,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치주인대에 염증이 생기게 되고 골소실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 치주질환이다.
이러한 치주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는 스케일링, 큐레테지 및 소파수술 등의 기계적인 방법이 있는데, 이들은 치아 및 치주조직 주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번식환경을 변화시킬 수는 있으나, 미생물은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치주염이 재발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미생물 자체를 제어하기 위한 항균제 요법 및 염증을 완화 시키기 위한 소염제 투약 등의 약물 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치주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가글액, 치약, 스트립제재의 다양한 형태의 치료 제품들이 출시,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글액, 치약의 경우 치주조직까지 침투가 어려워 질환부위의 직접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약물요법으로 치주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최소 일주일간 지속적으로 약물투여를 해야 하는데, 경구투여로는 치주조직에까지 도달하는 약물의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과량투여가 요구된다. 따라서 항균제 등의 장기 투약으로 인한 내성균의 출현이라든가 신체 다른 기관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제재는 소수성 생분해 물질을 기질로 사용하여 치주낭에서의 탈락의 문제점이 있고, 완치 이후에도 치주낭에 잔존하여 이물감 및 2차 염증반응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53981호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2014.05.0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친수성을 가지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사용해 치주낭에 치주질환 치료제를 직접 삽입하여 질환 부위에 직접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내에 마련되어 치주질환에 작용하는 녹차 성분이 함유된 치료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제1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과 제2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으로 형성하고, 상기 치료제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콜라젠(collagen), 젤라틴(gelatine), 글리세린(glycerine), 알긴산(alginic acid), 키토산(chitosan), 히알루론산(hyaluronidas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젤라틴(gelatine) 20 내지 40 중량%, 글리세린(glycerine) 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0.1mm 내지 0.3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료제는, 항생제, 녹차성분,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성 고분자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생제는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이고, 상기 녹차성분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로서, 상기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35 내지 50 중량% 포함되며, 상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카보머(carbomer) 971로서, 상기 치료제의 전체중량 대비 10 내지 25 중량% 포함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항산화 성분은 키토산, 비타민 C, 토코페롤 및 시토스테롤 함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사용해 종래 소수성 기질이 사용된 스트립제에 비해 2차 염증반응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고, 치주낭에 녹차 성분이 함유된 치주질환 치료제를 직접 삽입하여 질환 부위에 직접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개략적인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개략적인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실시 예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확대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은,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과,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 내에 마련되어 치주질환에 작용하는 녹차 성분이 함유된 치료제(120)를 포함한다.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은, 제1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1, membrane)과, 제2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2, membrane)을 포함하되, 제1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1, membrane)과 제2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2,membrane)이 치료제(120)를 감싸는 것으로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즉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 내부에 치료제(120)가 수용된다.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은, 콜라젠(collagen), 젤라틴(gelatine), 글리세린(glycerine), 알긴산(alginic acid), 키토산(chitosan), 히알루론산(hyaluronidas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은,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110, membrane)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젤라틴(gelatine)을 20 내지 40 중량%과, 글리세린(glycerine)을 1 내지 5 중량%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0.1mm 내지 0.3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치료제는, 항생제, 녹차성분,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성 고분자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항생제는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이고, 녹차성분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35 내지 50 중량% 포함되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카보머(carbomer) 971로서, 치료제의 전체중량 대비 10 내지 25중량% 포함되고, 수용성 고분자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항산화 성분은 키토산, 비타민 C, 토코페롤 및 시토스테롤 함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치료제의 유효용량은 사용목적이나 치료하고자 하는 치주질환의 중증도, 이용하는 주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녹차 중 EGCG의 생물학적 유용성(bioavailability)은 매우 낮아 800 mg EGCG 섭취 시에 혈장 내에 반영되는 농도가 400ng밖에 되지 않았으며, 4주간 하루에 800mg의 EGCG를 섭취하여도 사람에게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서 제시한 녹차추출물의 섭취량은 카테킨으로서 300~1,000 mg에 해당되며 이 때의 EGCG 함량은 일반적으로 전체 카테킨의 40% 정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시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35 내지 50 중량% 내에서 녹차추출물은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전체 조성물중의 녹차 추출물의 함량범위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농도가 너무 낮으면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고, 너무 높으면 녹차추출물의 착색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녹차출출물의 유효용량 범위를 고려하여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35 내지 50 중량% 내에서 녹차추출물을 함유하여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GCG는 현재까지 일반 병원균이나 장염균 및 허퍼스 바이러스에 대해 살균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왔다. 또한, 최근 여러 실험을 통하여, EGCG는 여러 전사조절인자의 인산화를 저해하고 활성화를 억제하여 염증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신호전달경로를 차단함으로써 항염증작용을 수행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EGCG의 투여는 염증세포의 수도 감소시키는 결과도 볼 수 있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ECM(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량에 비해 느려진 합성속도는 진피층 내에 ECM의 결핍을 초래하게 하며, 또한 여러 자극에 의한 과도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으로 인한 ECM의 분해는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 EGCG는 이러한 MMPs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식물 유래의 폴리페놀화합물 중 하나인 퀘세틴(quercetin)과 녹차의 카테킨 성분중 하나인 EGCG를 이용한 파골세포(osteoclast)의 골 흡수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 대두 및 콩류를 이용한 조골세포 활성 검색에 대한 연구 등이 보고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균, 항염, 항MMPs, 파골세포의 과다증식 조절능을 가지는 EGCC의 적용을 통해 치주염과 같은 치주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개략적인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개략적인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 시예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주질환의 치료 시, 본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 사용자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을 핀셋(P)으로 잡고,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을 치주낭 속에 삽입한다.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을 삽입하기 전에 삽입할 치주낭을 잘 건조시킨다.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의 둥근 테두리 부분(치료제를 감싸지 않고 있는 부분)을 핀셋(P)으로 잡고 치주낭에 최대한의 깊이까지 삽입한다.
삽입 후 필요 시 핀셋(P)의 끝 부분이나 평평한 기구를 사용하여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의 위치를 재조정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100)은 체내에서 완전히 생분해되기 때문에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제조
젤라틴(gelatin)을 증류수에 넣어 35ㅀC 중탕기에서 1시간 동안 녹여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을 만든다.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는 젤라틴(gelatine)과 글리세린(glycerine)의 복합물로서 젤라틴과 글리세린의 복합비율은 10:1로 마련하여 멤브레인(memvbrane)에 포함된다.
젤라틴(gelatin)을 증류수에 넣어 35ㅀC 중탕기에서 1시간 동안 녹인뒤, 젤라틴(gelatin)을 증류수에 넣어 녹인 용액에 0.1 내지 3 중량%의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을 넣어 다시 35ㅀC 중탕기에서 1시간 동안 녹인다. 상기 용액을 필름위에 부어서 바코터로 밀어준후 건조가 완료되면 원형 모양으로 펀칭(punching) 하여 치료제를 만든다.
제1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위에 치료제를 올린다. 제2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으로 덮고 24시간 동안 건조한다.
치료제를 감싼 상태로 건조된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을 치료제가 포함 되게 원형으로 펀칭(punching) 한다.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로서, 녹차 성분은 치주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대한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EGCG화학구조
Figure pat00001
치료제를 구성하는, 항생제는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으로서 치료제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포함되고, 녹차성분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40 중량% 포함되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카보머(carbomer) 971로서 치료제의 전체중량 대비 20 중량% 포함되고, 수용성 고분자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포함되며, 항산화 성분은 키토산으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제조한다.
<비교예 1>
현재 시판되고 있는 미노클린 스트립제를 마련한다.
<실험예 1> 생분해 평가
Figure pat00002
상기 실험예 1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생분해량은 미노클린 스트립제보다 많아지는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잔존량이 더 빠르게 감소하는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약물효용성 평가
(A) 항생물질이 포함된 Gelatin membrane
(B) 미노클린 스트립(Minoclne strip)
(C)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Figure pat00003
[표1]
Figure pat00004
표 1은 시간 경과에 따른 효능 지속 정도를 치료제를 각각 비교하여, 효능 지속 정도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을 5 내지 1로 분류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분포 정도는, 효능의 균일한 분포 정도를 비교하여, 분포 정도가 고른 것부터 고르지 않은 것을 5 내지 1로 분류하였다.
실험예 2 및 표 1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효능 지속 정도가 미노클린 스트립제 및 항생물질이 포함된 Gelatin membrane의 효능 지속 정도에 비하여 고르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분포 정도 역시, 미노클린 스트립제 및 항생물질이 포함된 Gelatin membrane보다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경우에 균일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제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은 단일 층(20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젤라틴(gelatin)을 증류수에 넣어 35ㅀC 중탕기에서 1시간 동안 녹여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용액을 만든다.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는 젤라틴(gelatine)과 글리세린(glycerine)의 복합물로서 젤라틴과 글리세린의 복합비율은 10:1로 마련하여 용액에 포함된다.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용액에 치료제를 넣어 다시 35ㅀC 중탕기에서 1시간 동안 녹인다. 상기 용액을 필름 위에 부어서 바코터로 밀어준 후 건조가 완료되면 원형 모양으로 펀칭(punching) 하여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와 치료제가 포함된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만든다.
바람직한 하나의 양태로서, 치료제에 포함되는 녹차 성분은 치주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대한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EGCG화학구조
Figure pat00005
치료제를 구성하는, 항생제는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으로서 치료제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포함되고, 녹차성분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40 중량% 포함되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카보머(carbomer) 971로서 치료제의 전체중량 대비 20 중량% 포함되고, 수용성 고분자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포함되며, 항산화 성분은 키토산으로서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제조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을 사용해 종래 소수성 기질이 사용된 스트립제에 비해 2차 염증반응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고, 치주낭에 녹차 성분이 함유된 치주질환 치료제를 직접 삽입하여 질환 부위에 직접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110 :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111 : 제1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112 : 제2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120 : 치료제
P : 핀셋

Claims (7)

  1. 극성을 가져 물과의 친화력이 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및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 내에 마련되어 치주질환에 작용하는 녹차 성분이 함유된 치료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제1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과 제2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으로 형성하고, 상기 치료제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콜라젠(collagen), 젤라틴(gelatine), 글리세린(glycerine), 알긴산(alginic acid), 키토산(chitosan), 히알루론산(hyaluronidas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젤라틴(gelatine) 20 내지 40 중량%, 글리세린(glycerine) 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 멤브레인(membrane)은,
    0.1mm 내지 0.3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는,
    항생제, 녹차성분,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성 고분자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이고,
    상기 녹차성분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로서, 상기 치료제의 전체 중량 대비 35 내지 50 중량% 포함되며,
    상기 폴리아크릴산 중합체는 카보머(carbomer) 971로서, 상기 치료제의 전체중량 대비 10 내지 25중량% 포함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항산화 성분은 키토산, 비타민 C, 토코페롤 및 시토스테롤 함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KR1020160049784A 2016-04-25 2016-04-25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KR20170121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84A KR20170121407A (ko) 2016-04-25 2016-04-25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84A KR20170121407A (ko) 2016-04-25 2016-04-25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07A true KR20170121407A (ko) 2017-11-02

Family

ID=6038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784A KR20170121407A (ko) 2016-04-25 2016-04-25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4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8284B2 (ja) 高張性抗微生物治療用組成物
CA2403345C (en) System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an active material to a dental site
PL205148B1 (pl) Zastosowanie chemicznych środków leczniczych
DE69931159D1 (de) Antimikrobiell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taurolidin, zitronensäure und natriumzitrat
JPS62223115A (ja) 歯周病治療剤
US20120189710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CA2141056C (en) Treatment of dentoalveolar infections with taurolidine and/or taurultam
US20220008454A1 (en) Silicic Aci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KR20170121407A (ko) 국소 투여형 치주질환 치료용 칩
DE202011111037U1 (de)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Zahnfleischerkrankung
US10441513B2 (en) Oral delivery system
KR20030093891A (ko) 프로폴리스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75603A1 (en) Compositions for removing microbial biofilm or inhibiting formation thereof
Sood et al. Efficacy of biodegradable xanthan based chlorhezidine gel (Chlosite®) and 0.2% chlorhexidine irrigation following scaling and root planing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eriodontitis
EP1500389A1 (en) Biofilm removing agent
TH9384A3 (th) เจลกำจัดรอยโรคฟันผุ
TH9384C3 (th) เจลกำจัดรอยโรคฟัน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