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879A - 압력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압력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879A
KR20170120879A KR1020160049328A KR20160049328A KR20170120879A KR 20170120879 A KR20170120879 A KR 20170120879A KR 1020160049328 A KR1020160049328 A KR 1020160049328A KR 20160049328 A KR20160049328 A KR 20160049328A KR 20170120879 A KR20170120879 A KR 2017012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electrode
signal
metal electrod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690B1 (ko
Inventor
최만휴
김비이
김지혜
박용화
박현규
윤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690B1/ko
Priority to US16/095,428 priority patent/US10955282B2/en
Priority to PCT/KR2017/004235 priority patent/WO2017183922A1/ko
Publication of KR2017012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8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piezoelectric devices,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1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capacitance,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이다.

Description

압력 감지 센서{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본 발명은 압력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즉,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자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의자 내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착석자의 무게, 연령대, 자세 등을 파악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인 압력 감지 센서는 하부 전극, 탄성 유전층 및 상부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감지 센서는 상부 전극 상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탄성 유전층의 두께가 변화하게 되며, 탄성 유전층의 두께 변화에 따라 캐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되고,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따라 상부 전극 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산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압력 감지 센서가 흔들리거나, 압력 감지 센서 주변에 전자파가 형성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압력 감지 센서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흔들림 또는 전자파와 같은 외부 환경의 변화는 압력 감지 센서의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이다.
상기 제1 전극층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신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그라운드(groun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메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 구조는 상기 FPCB의 양면 중 한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 아래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전극의 배열과 매칭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패턴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는 압력 감지 센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압력 분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의 흔들림으로 인한 노이즈 또는 압력 감지 센서 주변에 형성되는 전자파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포인트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고, 면 단위로 감지하므로, 자세 판단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대면적화가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고해상도를 가지면서도 모듈화가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하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에 내장된 압력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하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한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하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 센서(100)는 제1 전극층(110), 제1 전극층(110)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120), 탄성 유전층(12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30), 그리고 신호 전달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층(110)은 복수의 신호 전극(112) 및 복수의 신호 전극(112)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선 전극(114)을 포함한다.
이때, 각 배선 전극(114)은 신호 전달부(140)의 제1 금속 전극(142)과 연결되고,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인출된 배선은 신호 전달부(140)의 제2 금속 전극(144)과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신호 전달부(140)는 제1 금속 전극(142), 제2 금속 전극(144), 그리고 제1 금속 전극(142) 및 제2 금속 전극(144)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146)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금속 전극(144) 상에는 절연층(148)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140)는 리지드(rigid)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이때, 제1 금속 전극(142) 및 제2 금속 전극(144)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일 수 있다. 메쉬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일 수 있다. 또는, 메쉬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일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메쉬 구조는 원형, 사선 형상, 삼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메쉬 구조는 은(Ag), 금(Au), 구리(Cu)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쉬 구조의 크기, 형상 및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층(110)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 전극(114)은 도 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배선 형태인 제1 금속 전극(142)과 연결되고,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은 도 7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메쉬 구조인 제2 금속 전극(144)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금속 전극(144)은 신호 전달부(140), 즉 FPCB의 양면 중 한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메쉬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금속 전극(142) 및 제2 금속 전극(144) 중 적어도 하나가 메쉬(mesh) 구조이면, 제1 전극층(110) 또는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발생한 전기 신호가 제1 금속 전극(142) 또는 제2 금속 전극(144)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감지 센서(100) 상의 전자파를 차폐하여 압력 감지의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쉬 구조는 배선과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므로, 압력 감지 센서의 흔들림에도 강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층(130)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144)은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며, 압력 감지의 대상, 예를 들어 인체는 제2 전극층(130) 상에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극층(130)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면, 인체가 제2 전극층(130)을 살짝 스치더라도, 제2 전극층(130) 상에 실질적으로 압력이 가해지지는 않으므로,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 간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인체의 터치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과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을 연결하는 제2 금속 전극(144)이 메쉬 구조인 경우, 압력 감지 센서(100) 상의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으므로, 전자파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은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은 전도성 섬유로 직조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섬유는 금속 와이어 또는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일 수 있다. 전도성 섬유는 금속 입자가 분산된 일반 섬유일 수도 있다. 전도성 섬유가 금속 와이어인 경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은 10㎛ 내지 100㎛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10㎛ 미만이면 금속 와이어의 강도가 약하여 직물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100㎛를 초과하면 금속 와이어의 강성이 높아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직물의 가공 시 설비에 데미지를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이때, 금속 와이어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합금은, 예를 들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2상계 스테인레스 합금, 석출경화계 스테인레스 합금 등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가 스테인레스 합금인 경우, 압력 감지 센서(100)의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다.
전도성 섬유가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인 경우, 금속 막은 금속 입자가 도금 방식 또는 증착 방식으로 일반 섬유의 표면 상에 피복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입자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는 1㎛ 내지 50㎛일 수 있다. 금속 막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전도율이 낮으므로 신호 전송 시에 손실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면 섬유의 표면에서 금속 막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유전층(120)은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변형이 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의 유전체이다. 탄성 유전층(120)은, 예를 들어, 발포폼, 부직포, 나노웹 등의 랜덤한 섬유 배열을 가지는 섬유 기재,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 섬유, 엘라스토머, 고무, 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유전층(120)의 두께는 50㎛ 내지 30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 사이에 탄성 유전층(120)이 배치되는 경우, 제2 전극층(130) 상에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 유전층(120)의 두께(d)가 감소하며, 제1 전극층(120) 및 제2 전극층(130) 간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100)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전극층(130) 상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 전극(112)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각 신호 전극은 각 배선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전극 별로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얻을 수 있으며, 압력 감지 센서(100) 상 캐패시턴스 변화량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즉, 각 신호 전극은 하나의 센싱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층(130)은 전체적으로 연결되되, 제2 전극층(130)에는 제1 전극층(110)의 복수의 신호 전극(112)의 배열과 매칭되는 패턴(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122)에 의하여 제2 전극층(130)이 복수 개로 서로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층(130)에 형성된 패턴(132)으로 인하여 제2 전극층(130)의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거나, 빈 공간이 절연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극층(130)의 패턴이 제1 전극층(110)의 복수의 신호 전극(112)의 배열과 매칭되는 경우, 신호 전극 별로 압력 감지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내지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110)의 각 신호 전극(112)에는 패턴(112-1)이 형성되며, 제2 전극층(130)에는 제1 전극층(110)의 각 신호 전극(112)에 형성되는 패턴과 매칭되는 패턴(132-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층(110)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인하여 제1 전극층(110)의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거나, 형성된 빈 공간이 절연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신호 전극(112)에 패턴(112-1)이 형성되고, 각 신호 전극(112)에 형성된 패턴(112-1)과 매칭되도록 제2 전극층(130)에도 패턴(132-1)이 형성되는 경우, 캐패시턴스 변화량을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압력 감지의 민감도 및 분해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력 감지 센서(100)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제1 전극층(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신호 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이 압력 감지 센서(100)의 하면에 배치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 전극층(130)이 압력 감지 센서(100)의 상면, 즉 압력 감지의 대상이 놓여지는 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전극층(110)의 아래에 절연층(160)을 접합하면, 복수의 신호 전극(112)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 1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캐패시턴스 변화량을 나타낸다. 비교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복수의 신호 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 제1 전극층(110) 상의 탄성 유전층(120) 및 탄성 유전층(120) 상의 제2 전극층(130)을 포함하고, 제1 전극층(110)은 신호 전달부(140)의 배선 형태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신호 전극과 연결되었고, 제2 전극층(130)은 신호 전달부(140)의 배선 형태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복수의 신호 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 제1 전극층(110) 상의 탄성 유전층(120) 및 탄성 유전층(120) 상의 제2 전극층(130)을 포함하고, 제1 전극층(110)은 신호 전달부(140)의 배선 형태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신호 전극과 연결되었고, 제2 전극층(130)은 신호 전달부(140)의 메쉬 구조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었다.
실험예 초기(0g) 300g 흔들림시 변화량
비교예 124pF 155pF 3pF
실시예 132pF 165pF 0pF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0g의 무게가 가해진 경우와 300g의 무게가 가해진 경우의 캐패시턴스 변화량이 각각 31pF와 33pF로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만, 신호 연결부, 즉 인쇄회로기판이 흔들린 경우, 비교예의 압력 감지 센서에 대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은 3pF이나, 실시예의 압력 감지 센성에 대한 캐패시턴스 변화량은 0pF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달부의 모든 금속 전극이 배선 형태로 구성되는 비교예에 비하여, 하나의 금속 전극이 메쉬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의 압력 감지 성능이 낮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배선 간 접합에 의한 비교예에 비하여, 배선과 메쉬 간 접합에 의한 실시예에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흔들림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자세 교정용 압력 감지 의자, 재실 감지 매트, 낙상 방지 매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에 내장된 압력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 의자(1000)는 좌판(1100), 팔걸이(1200), 등받이(1300), 그리고 다리(1400) 등을 포함한다. 좌판(1100)에 사람이 착석하면, 압력 감지 의자(1000)에 내장된 압력 감지 장치(300)는 사람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착석에 따른 상대적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장치(300)는 측정한 압력 분포에 따라 무게, 연령대, 앉은 자세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장치(300)는 압력 감지 센서(100), 신호 처리부(200), 제어부(310) 및 통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100)는 좌판(1100)에 대한 사람의 착석 여부 및 착석에 따른 상대적 압력 분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감지 센서(100)는 좌판(1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00)는 압력 감지 센서(100)와 연결되며, 압력 감지 센서(100)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신호 처리부(200)와 연결되며, 신호 처리부(200)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예로, 제어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압력 감지 장치(3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자세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자세 교정을 위한 알람 신호 등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제어부(310)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압력 감지 센서
110: 제1 전극층
120: 탄성 유전층
130: 제2 전극층
112: 신호 전극
114: 배선 전극

Claims (10)

  1.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인 압력 감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신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그라운드(ground)와 연결되는 압력 감지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메쉬 구조인 압력 감지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구리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구조는 상기 FPCB의 양면 중 한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압력 감지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아래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전극의 배열과 매칭되는 패턴이 형성되는 압력 감지 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패턴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압력 감지 센서.
  10. 압력 감지 센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인 압력 감지 장치.
KR1020160049328A 2016-04-22 2016-04-22 압력 감지 센서 KR102517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28A KR102517690B1 (ko) 2016-04-22 2016-04-22 압력 감지 센서
US16/095,428 US10955282B2 (en) 2016-04-22 2017-04-20 Pressure detecting sensor
PCT/KR2017/004235 WO2017183922A1 (ko) 2016-04-22 2017-04-20 압력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28A KR102517690B1 (ko) 2016-04-22 2016-04-22 압력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79A true KR20170120879A (ko) 2017-11-01
KR102517690B1 KR102517690B1 (ko) 2023-04-04

Family

ID=6038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328A KR102517690B1 (ko) 2016-04-22 2016-04-22 압력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163A (ja) * 2001-04-24 2002-10-31 Toshiba Chem Corp 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513830A (ja) * 2008-02-28 2011-04-28 ニューヨーク・ユニバーシティ 処理装置に入力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センサパ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163A (ja) * 2001-04-24 2002-10-31 Toshiba Chem Corp 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513830A (ja) * 2008-02-28 2011-04-28 ニューヨーク・ユニバーシティ 処理装置に入力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センサ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690B1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5609B2 (en) Pressure-sensing chair, including first elastic body having lower elastic modulus than second elastic bodies arranged therein
US10955282B2 (en) Pressure detecting sensor
KR102553036B1 (ko) 압력 감지 센서
US20070049837A1 (en) Acoustic sensor
EP3246685B1 (en) Pressure-sensitive element,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sensitive element
US20160327441A1 (en) Pressure sensing element and pressure sensor
KR101753247B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
KR20180117893A (ko) 압력 센서
KR20180117891A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
US20220346656A1 (en) He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18087718A (ja) センサ及びセンサシステム
US11553753B2 (en) Pressure sensing insole
KR102492375B1 (ko) 압력 감지 의자
KR102517690B1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70074045A (ko) 압력 감지 의자
KR102568540B1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70120880A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70081482A (ko) 압력 감지 의자
KR20170077514A (ko) 압력 감지 의자
KR102472286B1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80002302A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80011622A (ko) 압력 감지 센서
KR102461696B1 (ko) 압력 감지 의자
JP2022128058A (ja) ワイヤセンサ、センサシステム、及び位置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